KR102364463B1 -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463B1
KR102364463B1 KR1020180092536A KR20180092536A KR102364463B1 KR 102364463 B1 KR102364463 B1 KR 102364463B1 KR 1020180092536 A KR1020180092536 A KR 1020180092536A KR 20180092536 A KR20180092536 A KR 20180092536A KR 102364463 B1 KR102364463 B1 KR 102364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hfp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218A (ko
Inventor
박준수
정범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80092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463B1/ko
Priority to PCT/KR2019/009574 priority patent/WO2020032471A1/ko
Priority to JP2021503567A priority patent/JP7110481B2/ja
Priority to US17/266,802 priority patent/US12002961B2/en
Priority to EP19846618.7A priority patent/EP3826088A4/en
Priority to CN201980049126.9A priority patent/CN112470310A/zh
Publication of KR20200017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상에 위치하는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유래 반복단위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PVDF-HFP(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를 포함하고, 상기 PVDF-HFP 중 HFP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이 2 내지 13 중량%이며,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0.8㎛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못 관통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자동차용 리튬 이차전지는 고에너지 밀도 및 고출력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개발 방향은 전지의 안전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안전성에 대한 요구는 더욱 커지고 있다. 그 중 외부 충격이나 외형 변형으로 인해 전지팩이 관통될 경우 자동차와 같은 수동장치의 폭발을 초래할 수 있다. 이처럼 자동차용 리튬 이차전지의 안전성 평가 항목 중에서 관통 안전성이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시도가 수행되고 있다.
특히, 못 관통에 의한 폭발은 못과 전극 집전체 또는 전극 활물질층과 전극 집전체의 접촉에 의한 단락전류로 인해 국부적인 IR-heating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못 관통 안전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극 활물질층과 전극 집전체 사이의 계면 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못 관통에 의한 단락으로 인해 highrate의 전류가 흐르고, 이때 전자는 전극 활물질에서 전극 집전체와 못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연결 고리에서 저항을 증가시킴으로써, 못 관통의 단락전류를 감소시켜, IR-heating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못 관통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상에 위치하는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유래 반복단위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PVDF-HFP(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를 포함하고, 상기 PVDF-HFP 중 HFP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이 2 내지 13 중량%이며,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0.8 내지 5 ㎛의 두께를 갖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이 제공된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상기 바인더를 도전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상기 바인더를 도전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5 내지 6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VDF-HFP 중합체 중 HFP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은 3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2 ㎛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는 상기 전극 활물질층 두께의 0.01 내지 0.05배, 상세하게는 0.01 내지 0.03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극인 리튬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VDF-HFP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층이 전극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 사이에 구비되어, 전극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의 계면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고, 못 관통이 일어나더라도, 못에 흐르는 단락전류의 양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PVDF-HFP가 포함하고 있는 HFP는 바인더의 열적 안전성을 향상시켜, IR-heating으로 인한 전지 내부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 집전체(10); 상기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층(20);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상에 위치하는 전극 활물질층(30)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집전체(10)는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구리,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집전체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3 ~ 500 ㎛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20)은 바인더로서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유래 반복단위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유래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PVDF-HFP(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VDF-HFP에 포함된 HFP는 유기계 전해액에 대한 흡수성이 증가하는 특성이 있어, HFP의 함량에 따라 PVDF-HFP 바인더의 스웰링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HFP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PVDF-HFP 바인더의 스웰링도 증가하게 된다.
다만, 전극 활물질층에 포함되는 바인더로 PVDF-HFP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사이클 특성이 저하하고, 전지의 스웰링이 증가하여 전지 성능의 열화를 유발할 수 되었으나, 본원에서는 전극 활물질층이 아닌 프라이머 코팅층이 PVDF-HFP 바인더를 포함하기 때문에, 전술한 부작용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상기 PVDF-HFP 바인더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층은 전극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 사이에 구비되어, 전극 전체의 스웰링에 대한 영향은 거의 없으면서 전극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 사이의 계면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못 관통이 일어나더라도, 못에 흐르는 단락전류의 양을 감소시켜, 궁극적으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HFP는 바인더의 열적 안전성을 향상시켜, IR-heating으로 인한 전지 내부의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전극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 사이의 프라이머 코팅층에 HFP 유래 반복단위를 2 내지 13 중량%, 상세하게는 3 내지 10 중량%, 더욱 상세하게는 3 내지 7 중량%로 함유하는 PVDF-HFP 바인더를 사용한 것이다. 상기 HFP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인 경우, HFP로 인한 바인더의 스웰링이 미비하고, 열적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며, 1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바인더의 주기능인 접착력을 감소시키고, 스웰링이 과도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의 저항 증가가 너무 커져 수명특성을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상기 전극 활물질층에 비해 두께가 아주 얇게 형성되어야 전극 전체의 스웰링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 즉,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는 0.8 내지 5 ㎛, 상세하게는 1 내지 2 ㎛, 더욱 상세하게는 1 내지 1.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가 0.8㎛ 미만이면 저항증가 및 스웰링 증가 효과가 미비하고, 10㎛ 초과의 경우에는 저항증가 및 스웰링이 과도하여 이로부터 수명특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히, 이러한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는 전극 활물질층 두께의 0.01 내지 0.05배, 상세하게는 0.01 내지 0.03 배가 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상기 PVDF-HFP 바인더를 상기 도전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80 중량부, 상세하게는 35 내지 65 중량부, 더욱 상세하게는 40 내지 50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VDF-HFP 바인더가 상기 함량범위를 만족할 때, 바인더의 본래 목적인 전극 접착력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전지의 못 관통시 단락 전류의 양을 감소시켜 안전성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상기한 바와 같은 PVDF-HFP 바인더 및 도전재를 용매에 분산시켜 얻은 슬러리를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전재는 통상적으로 전극 활물질층에 사용되는 도전재일 수 있으며, 예컨대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전극 활물질층(30)은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20) 상에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를 용매에 분산시켜 얻은 전극 슬러리를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이 양극인 경우에는, 활물질로서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로 사용 가능한 물질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리튬 니켈 산화물(LiNiO2)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화학식 Li1 + xMn2 - xO4 (여기서, x 는 0 ~ 0.33 임), LiMnO3,LiMn2O3,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2CuO2);LiV3O8,LiFe3O4,V2O5,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1 - xMxO2 (여기서, M =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 = 0.01 ~ 0.3 임)으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2 - xMxO2 (여기서, M = 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 = 0.01 ~ 0.1 임) 또는 Li2Mn3MO8 (여기서, M = 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LiNixMn2 - xO4로 표현되는 스피넬 구조의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2O4;디설파이드 화합물; Fe2(MoO4)3, LiNi0 . 8Co0 . 1Mn0 . 1O2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이 음극인 경우에는, 활물질로서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활물질로 사용 가능한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흑연화 탄소, 흑연계 탄소(천연흑연, 인조흑연) 등의 탄소; LixFe2O3(0≤x≤1), LixWO2(0≤x≤1), SnxMe1 - xMe’yOz(Me:Mn,Fe,Pb,Ge;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리튬 금속; 리튬 합금; 규소계 합금; 주석계 합금;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및 Bi2O5 등의 금속 산화물; 폴리아세틸렌 등의 도전성 고분자; Li-Co-Ni 계 재료; 티타늄 산화물; 리튬 티타늄 산화물 등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탄소계 물질 및/또는 Si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는 전극 활물질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상세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인더로는 폴리비닐리덴 풀루오라이드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아크릴로니트릴 (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olymethyl methacrylate),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SBR, styrene butadiene rubber),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 (CMC, carboxyl methyl cellulose) 등의 다양한 종류의 바인더가 사용될 수 있으나, PVDF-HFP는 전지의 스웰링 발생 문제로 사용하기 곤란하다. 이러한 바인더는 전극 활물질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0 중량%, 상세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형태는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은 양극일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에 사용된 바인더가 코팅 슬러리 제조시 유기계 용매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유기계 용매는 통상적으로 음극 보다는 양극의 제조시에 많이 이용됨에 따라, 양극에 보다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서, 양극과 음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동시에 리튬 이온을 통과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세퍼레이터는 통상의 리튬 이차전지 분야에서 사용되는 세퍼레이터에 사용되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단위전지로서 전지모듈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전지모듈은 전지팩, 및 상기 전지팩을 전원으로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구체적인 예로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양극의 제조
(단계 1)
바인더로서 PVDF-HFP(HFP 함량: 3 중량%) 50 중량부를 아세토니트릴 용매에 용해시켜 바인더 용액을 제조한 다음, 도전재로서 카본 블랙(Super C65) 100 중량부를 상기 바인더 용액에 투입하여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두께 20㎛의 알루미늄 집전체에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용 슬러리를 2.4㎛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120℃에서 24 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켜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시켰다.
(단계 2)
바인더로서 PVDF 4 중량부를 아세토니트릴 용매에 용해시켜 바인더 용액을 수득하여, 여기에 도전재로서 카본 블랙(Super C65) 6 중량부 및 양극 활물질로서 NCM811(LiNi0 . 8Co0 . 1Mn0 . 1O2) 90 중량부를 첨가하여 균일한 양극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슬러리를 단계 1에서 형성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상에 140㎛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12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건조시킨 후 양극 활물질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압연을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양극을 제조하였다(압연 후 양극 활물질층의 두께: 70㎛, 압연 후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 1.2㎛, 최종 양극에서 프라이머 코팅층의 양극 활물질층에 대한 두께비: 0.017).
실시예 2:
단계 1에서 바인더로서 PVDF-HFP(HFP 함량: 7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단계 1에서 바인더로서 PVDF(HFP 함량: 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단계 1에서 바인더로서 PVDF-HFP(HFP 함량: 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압연 후 프라이머 코팅층이 0.3㎛의 두께 및 양극 활물질층이 70㎛의 두께가 되도록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압연 후 프라이머 코팅층이 10㎛의 두께 및 양극 활물질층이 70㎛의 두께가 되도록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
상기에서 제조된 양극 및 하기의 음극 사이에 세퍼레이터로서 폴리 에틸렌막(Celgard, 두께: 20㎛)를 개재시킨 후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렌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가 1:2:1로 혼합된 용매에 1M LiPF6가 용해된 전해액을 주입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한 후, 전지성능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상기 음극은 음극활물질로 인조흑연 96.3 중량%, 도전재로 카본블랙(Super P) 1.0 중량% 및 바인더로 PVdF 2.7 중량%를 용매인 NMP에 분산시켜 음극 슬러리를 수득한 후, 이를 두께 10㎛의 구리 호일 위에 160㎛의 두께로 도포한 후, 건조 및 압연을 수행하여 최종 두께가 90㎛가 되도록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못 관통 안전성 평가>
제조된 전지에 대해서 총 5개의 샘플을 제작하여, 각 샘플을 4.25V의 조건으로 완충시킨 후, 못 관통 시험기(KSG-103, ㈜ 경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철로 만들어진 직경 6mm의 못을 상부에서 전지의 중앙에 관통시켰다. 이때, 못의 관통속도는 12m/분으로 일정하게 하였다.
총 5개의 샘플에 대한 못 관통 안전성 통과 여부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결정하고, 통과된 샘플의 수를 표 1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통과: 못 관통시 스모그까지는 관찰되지만 발화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실패: 못 관통시 즉시 발화 또는 관통 후 5분 이내에 지연발화하는 경우
(발화: 유관으로 불꽃 또는 화염 발생 여부로 관찰)
<수명 특성>
제조된 전지에 대해서 3 내지 4.25V의 범위에서 1C에 해당하는(40Ah) 전류를 인가하여 충방전을 진행하였다. 상기 충방전은 총 100회의 사이클로 진행한 후, 용량유지율을 하기와 같이 산출하여, 수명 특성을 평가하였다.
용량유지율(%) = (100회 사이클후의 방전 용량 / 1회 사이클의 방전 용량)×100


프라이머 코팅층

못 관통 안전성
(통과수량)

용량유지율(%)


PVDF-HFP 바인더에 함유된 HFP의 함량(중량%)

코팅층 두께
(㎛)

실시예 1

3

1.2

2/5

98.1

실시예 2

7

1.2

5/5

90.5.

비교예 1

0

1.2

0/5

98.8

비교예 2

20

1.2

5/5

70.9

비교예 3

3

0.3

0/5

98.9

비교예 4

3

10

5/5

62.5
상기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전극 집전체와 전극 활물질층 사이에 구비된 프라이머 코팅층에 HFP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이 2 내지 13 중량%인 PVDF-HFP가 사용되고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0.8 내지 5 ㎛의 범위를 만족하는 실시예 1 및 2는 못 관통 안전성 및 우수한 용량유지율을 모두 확보하였다.
반면에, 상기와 같은 HFP의 함량 범위 및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 범위를 모두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1 내지 4는 못 관통 안전성 및 우수한 용량유지율 중 어느 하나가 불량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위치하고,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상에 위치하는 전극 활물질층을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는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VDF) 유래 반복단위 및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PVDF-HFP(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로 구성되고,
    상기 PVDF-HFP 중 HFP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이 2 중량% 내지 13 중량%이며,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0.8㎛ 내지 5㎛의 두께를 갖는 것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상기 바인더를 도전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상기 바인더를 도전재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5 중량부 내지 65 중량부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VDF-HFP 중합체 중 HFP 유래 반복단위의 함량이 3 중량% 내지 10 중량%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가 1 ㎛ 내지 2 ㎛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는 상기 전극 활물질층 두께의 0.01배 내지 0.05배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는 상기 전극 활물질층 두께의 0.01배 내지 0.03배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8.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 또는 상기 음극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인 리튬 이차전지.
KR1020180092536A 2018-08-08 2018-08-08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364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36A KR102364463B1 (ko) 2018-08-08 2018-08-08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PCT/KR2019/009574 WO2020032471A1 (ko) 2018-08-08 2019-07-31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2021503567A JP7110481B2 (ja) 2018-08-08 2019-07-31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17/266,802 US12002961B2 (en) 2018-08-08 2019-07-31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EP19846618.7A EP3826088A4 (en) 2018-08-08 2019-07-31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IT
CN201980049126.9A CN112470310A (zh) 2018-08-08 2019-07-31 锂二次电池用电极和包含该电极的锂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36A KR102364463B1 (ko) 2018-08-08 2018-08-08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218A KR20200017218A (ko) 2020-02-18
KR102364463B1 true KR102364463B1 (ko) 2022-02-16

Family

ID=6941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536A KR102364463B1 (ko) 2018-08-08 2018-08-08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826088A4 (ko)
JP (1) JP7110481B2 (ko)
KR (1) KR102364463B1 (ko)
CN (1) CN112470310A (ko)
WO (1) WO20200324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44672A1 (en) * 2020-08-28 2022-10-27 Lg Energy Solution, Ltd. Current collector comprising primer coating layer having improved adhesive strength,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ame
KR20220128179A (ko) 2021-03-12 2022-09-20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이차전지 전극 집전체용 프라이머 분산액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프라이머 분산액,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이차전지
WO2023059039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136665A1 (ko) * 2022-01-14 2023-07-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부착강화층을 포함하는 집전체,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24009988A1 (ja) * 2022-07-04 2024-01-11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並びに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電池モジュール、及び電池システム、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6310A1 (en) 2004-05-25 2005-12-01 Yee-Ho Chia Lithium ion battery oxidized polymer binder
JP2012238469A (ja) 2011-05-11 2012-12-06 Nissan Motor Co Ltd 電気デバイスに用いられる電極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6318A (en) * 1993-03-05 1994-03-22 Bell Communications Research, Inc. Rechargeable lithium intercalation battery with hybrid polymeric electrolyte
JP3441141B2 (ja) * 1993-12-29 2003-08-25 Tdk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
US5656121A (en) * 1994-08-19 1997-08-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of making multi-layer composites having a fluoropolymer layer
JPWO2011037124A1 (ja) 2009-09-25 2013-02-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の正極集電積層体
CN103053063B (zh) * 2010-08-09 2016-08-03 株式会社Lg化学 涂布有底漆的正极集电体和包含所述正极集电体的镁二次电池
JP2012253000A (ja) * 2011-05-11 2012-12-20 Nissan Motor Co Ltd 電極
EP2830126B1 (en) * 2013-05-07 2019-07-03 LG Chem, Ltd.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thereof, and secondary battery and cable-type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984723B1 (ko) * 2016-09-07 2019-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용 다공성 집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극
KR102122467B1 (ko) * 2016-09-09 2020-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80092536A (ko) 2017-02-09 2018-08-20 서은선 개인용 이온 피부 마사지기
JP2018190527A (ja) 2017-04-28 2018-11-29 昭和電工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集電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塗工液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6310A1 (en) 2004-05-25 2005-12-01 Yee-Ho Chia Lithium ion battery oxidized polymer binder
JP2012238469A (ja) 2011-05-11 2012-12-06 Nissan Motor Co Ltd 電気デバイスに用いられる電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44014A1 (en) 2021-11-04
EP3826088A4 (en) 2021-11-24
JP2021532542A (ja) 2021-11-25
WO2020032471A1 (ko) 2020-02-13
EP3826088A1 (en) 2021-05-26
CN112470310A (zh) 2021-03-09
KR20200017218A (ko) 2020-02-18
JP7110481B2 (ja) 202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463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124950B1 (ko) 이차전지용 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558774B1 (ko) 다층의 활물질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697008B1 (ko) 리튬 이차전지
CN110462885B (zh) 用于圆柱形卷芯的条形电极以及包含其的锂二次电池
KR10247703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5325227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電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10915023B (zh) 用于二次电池的具有不对称结构的阻燃隔板
KR102161591B1 (ko) 용량 및 안전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7282925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70062170A (ko) 내열성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429237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101744120B1 (ko) 침상 관통 테스트 안전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90091220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190009489A (ko) 집전체가 없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631899B1 (ko) Si계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34215B1 (ko) Si계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70142024A (ko) 용량 및 안전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70135425A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567400B1 (ko) 이차전지
KR20080009354A (ko) 방열에 의해 안전성이 향상된 원통형 이차전지
KR101756938B1 (ko) 음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2002961B2 (en)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KR102179967B1 (ko) 구형 이차전지용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구형 이차전지
KR20150039465A (ko) 이차 전지용 분리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