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617B1 -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 Google Patents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2617B1 KR102362617B1 KR1020190033957A KR20190033957A KR102362617B1 KR 102362617 B1 KR102362617 B1 KR 102362617B1 KR 1020190033957 A KR1020190033957 A KR 1020190033957A KR 20190033957 A KR20190033957 A KR 20190033957A KR 102362617 B1 KR102362617 B1 KR 1023626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kin
- photoaging
- linolenic acid
- oil
- preventive ag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자외선 산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을 도포해서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직접 산란시키거나 흡수하거나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내부에서 피부 세포의 방어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도록 해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를 본질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광노화 예방제는, 들기름, 아마씨유, 차조기 열매유, 치아씨드유, 사카잉키 오일, 또는, 그린너트 오일에 함유되는 α-리놀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이 광노화 예방제는, 사람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의 저하를 억제하여, 기능성 화장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해결 수단] 광노화 예방제는, 들기름, 아마씨유, 차조기 열매유, 치아씨드유, 사카잉키 오일, 또는, 그린너트 오일에 함유되는 α-리놀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이 광노화 예방제는, 사람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의 저하를 억제하여, 기능성 화장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 관한 것으로서, 특히 α-리놀렌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외측(살갗측)으로부터 「표피」, 「진피」및 「피하 조직」의 3층으로 나누어져 있다. 표피의 두께는 0.2㎜∼0.07㎜이고, 외측으로부터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有棘層) 및 기저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표피의 최상층에 해당하는 각질층은, 피부의 가장 외측에 있으며, 두께 약 0.02㎜이고, 복수매의 얇은 각질 세포가 층상으로 서로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 정상적인 각질층은 이물의 침입을 막는 등의 배리어 기능을 가지고 있고, 피부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층이다.
표피 아래의 진피는, 수분을 보존유지해서 피부의 기능을 지지하고 있다. 이 진피에 존재하는 선유아세포로 생성된 콜라겐이나 엘라스틴이라고 하는 섬유 성분과 히알론산 등 보습 성분에 의해, 피부의 탄력성을 보존유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의 피부는, 각각의 층에 있어서, 피부를 보호하여 건강하게 유지하고, 면역 정보를 거쳐 생체를 방어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자외선은, 파장이 10∼400㎚의 범위에 있는 전자파이며, 사람의 건강이나 환경에의 영향의 관점으로부터, 또, 자외선 A파(UVA:400∼315㎚), 자외선 B파(UVB:315∼280㎚), 자외선 C파(UVC:280㎚미만)로 나뉘어진다.
UVA는, 지표에 닿는 모든 자외선 중 약 95%를 차지한다. 그 자체의 에너지는 약하지만 조사량이 많고, 침투력이 높으므로 사람의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피부의 진피층에 작용하여, 단백질을 변성시킨다. 피부의 탄성을 잃게 하여 노화를 촉진한다.
UVB는, 모든 자외선의 약 5%를 차지한다. UVB의 상당수는 오존층에 의해서 흡수되지만, 근래의 오존층 파괴에 의해, 지표에도 이전보다 많이 도달하게 되었다. 이 UVB는, 주로 피부의 표면에서 흡수되기 때문에, 피부의 진피층까지 도달하는 일은 거의 없다. 그러나, UVA보다 강한 에너지를 갖고, UVA의 100∼1000배라고 말해지고 있다. 기미, 주름, 피부 건조 등의 미용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멜라닌의 생성을 과잉으로 하는 것 외에도, 면역력의 저하, 피부암, 백내장 등의 병과도 깊게 관련된다고 여겨지고 있다.
UVC는, 강한 살균 작용이 있고 생체에 대한 파괴성이 가장 강하지만, 오존층으로 지켜지고 있는 지표에는 통상은 도달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외선(UVA나 UVB)에 의해 생기는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은, 기미, 주름, 처짐, 건조 등을 막아, 피부의 노화를 예방하는 것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면역력의 유지, 피부 암의 예방 등에도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에 의해 생기는 피부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자외선 산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이 포함되는 도포제(소위, 자외선 차단제)가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 산란제는, 피부를 덮음(가림)으로써 자외선을 반사해서 피부로의 침투를 막는 것이다. 이것에는, 산화티탄이나 산화아연 등의 백색 무기 분체가 사용되고 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는,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바꾸어 방출함으로써, 피부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것에는, 벤조페논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등의 합성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다. 또, 근래는 피부에 친숙한 자외선 흡수제로서, 천연계 소재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에는, 금은화(金銀化), 사철나무잎(杜仲葉), 파슬리잎, 구아바잎 및 마테차 등의 추출물을 천연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자외선 산란제나 자외선 흡수제에는, 효과의 지속성에 한계가 있는 것 및 피부에의 부담이 큰 것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 문헌 1에 제안되어 있는 천연계의 자외선 흡수제로 해도, 피부에 친숙한 것이더라도 효과의 지속성에 문제가 있고, 피부의 광노화를 예방한다고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의 여러 문제에 대처해서, 자외선 산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을 도포해서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직접 산란시키거나 흡수하거나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내부에서 피부 세포의 방어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도록 해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를 본질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에 있어서, 본 발명자들은, 사람 피부의 표피 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와의 크로스토크(세포 사이의 신호(signal)를 주고받으면서 다른 경로와도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에 주목하는 것에 의해, 들기름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 예방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는, 청구항 1의 기재에 의하면,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유발되는 피부의 광노화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제로서, α-리놀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2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
상기 α-리놀렌산 유도체는, 적어도 1분자의 α-리놀렌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3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
상기 α-리놀렌산 유도체는, 들기름, 아마씨유, 차조기 열매유, 치아씨드유, 사카잉키 오일(Sachainchi Oil), 또는, 그린너트 오일에 함유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4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
사람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량(産生量)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노화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5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사람 진피 각질화(角化) 세포의 세포 장해성의 완화 작용의 발현을 1개의 요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6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내 활성 산소 레벨 증가의 억제 작용의 발현을 1개의 요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7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사람 진피 각질화 세포의 세포 장해성을 요인으로 하는 사람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량 저감의 억제 작용의 발현을 1개의 요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8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터로이킨-8 합성량 증가의 억제 작용의 발현을 1개의 요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9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사람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량의 증가 작용의 발현을 1개의 요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된 기능성 화장품은, 청구항 10의 기재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계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는, α-리놀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또, 이 α-리놀렌산 유도체는, 적어도 1분자의 α-리놀렌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이더라도 좋다. 또, 이들의 유효 성분은, 들기름, 아마씨유, 차조기 열매유, 치아씨드유, 사카잉키 오일, 또는, 그린너트 오일에 함유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이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는, 사람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광노화를 예방한다(상세는 후술한다).
또, 상기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에 관계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는, 자외선 조사에 의한 사람 진피 각질화 세포의 세포 장해성의 완화 작용의 발현, 세포내 활성 산소 레벨 증가의 억제 작용의 발현, 사람 진피 각질화 세포의 세포 장해성을 요인으로 하는 사람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량 저감의 억제 작용의 발현, 인터로이킨-8 합성량 증가의 억제 작용의 발현, 및, 사람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량의 증가 작용의 발현 등 중, 적어도 1개의 작용을 요인으로 해서, 사람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광노화를 예방한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자외선 산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을 도포해서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직접 산란시키거나 흡수하거나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내부에서 피부 세포의 방어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도록 해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를 본질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광노화 피부의 진행에 있어서의 표피 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의 크로스토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들기름의 HaCaT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α-리놀렌산의 HaCaT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1)이다.
도 5는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1)이다.
도 6은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2)이다.
도 7은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2)이다.
도 8은 UVB 조사 후의 세포내 ROS 증가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UVB 조사 후의 세포내 ROS 증가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배양상청(培養上淸) 처리에 의한 NHDF의 콜라겐 산생량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배양상청 처리에 의한 NHDF의 콜라겐 산생량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UVB 조사에 의한 IL-8 세균이 고분자 물질을 산생 항진(産生亢進)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NHDF의 콜라겐 산생량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표피 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의 크로스토크에 있어서 광노화 피부의 진행을 억제하는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들기름의 HaCaT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α-리놀렌산의 HaCaT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1)이다.
도 5는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1)이다.
도 6은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2)이다.
도 7은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2)이다.
도 8은 UVB 조사 후의 세포내 ROS 증가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UVB 조사 후의 세포내 ROS 증가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배양상청(培養上淸) 처리에 의한 NHDF의 콜라겐 산생량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UVB 조사한 HaCaT 세포의 배양상청 처리에 의한 NHDF의 콜라겐 산생량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UVB 조사에 의한 IL-8 세균이 고분자 물질을 산생 항진(産生亢進)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NHDF의 콜라겐 산생량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표피 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의 크로스토크에 있어서 광노화 피부의 진행을 억제하는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피부 노화에 대해서 설명한다. 피부 노화에는, 생리 노화와 광노화가 있다. 태양광선의 만성적인 노출에 의해 진행되는 광노화는, 진피 매트릭스의 질적 양적인 변화에 의해서, 그 표면에 주름이나 처짐이 생긴다.
도 1은, 광노화 피부의 진행에 있어서의 표피 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의 크로스토크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자외선(이하 「UV」라고도 한다)에 노출된 피부의 내부에서는, 활성 산소(이하 「ROS」라고도 한다)가 생성된다. ROS는 섬유아세포에 작용해서, 콜라겐 분해 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1(이하 「MMP1」라고도 한다)의 합성을 촉진시킨다. 또, 표피 세포에 작용한 경우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로이킨-1α(이하 「IL-1α」라고도 한다), 인터로이킨-6(이하 「IL-6」라고도 한다) 및 인터로이킨-8(이하 「IL-8」이라고도 한다)을 산생한다.
이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염증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오토클라인, 파라클라인적으로 콜라겐 합성 억제 인자(이하 「CCN1」이라고도 한다)에 작용해서, 진피 매트릭스 대사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이 매트릭스 성분의 합성과 분해의 밸런스 변조에 의해서 광노화 피부가 형성된다고 생각되고 있다.
한편, α-리놀렌산은, 도코사헥사엔산(DHA)이나 다가 불포화 지방산(EPA) 등과 같이 오메가3 지방산의 일종이며, 인간의 체내에서는 합성할 수 없는 필수 지방산이다. 또, α-리놀렌산 등의, n-3계 지방산(분자중의 이중 결합이 3개)은, 혈중 중성 지방값의 저하, 부정맥의 발생 방지, 혈관 내피 세포의 기능 개선, 혈전 생성 방지 작용 등의 생리 작용을 거쳐 생활 습관병의 예방 효과 등에 유효하게 작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최근에는 α-리놀렌산을 많이 포함하는 들기름(α-리놀렌산을 트리글리세리드로서 함유) 등의 고운 피부(美肌) 효과도 주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의 각 생리 작용을 거치는 효과나 고운 피부 효과에 더하여 자외선에 대한 피부 세포의 방어 기능을 정상적으로 작용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α-리놀렌산 유도체를 사용한다. α-리놀렌산 유도체로서는, 예를 들면, 적어도 1분자의 α-리놀렌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를 들 수 있다.
α-리놀렌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로서는, α-리놀렌산트리글리세리드, α-리놀렌산 디글리세리드, 및, α-리놀렌산 모노글리세리드가 있고, 이들의 혼합물이더라도 좋다. 또, 글리세롤의 3개의 히드록실기 중, 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하는 이외의 히드록실기는, 다른 유기산, 예를 들면, 리놀산 등과 에스테르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를 많이 포함하는 식물유(주로 종자로부터 착취)로서는, 들기름, 아마씨유, 차조기 열매유, 치아씨드유, 사카잉키 오일, 및, 그린너트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들기름은, α-리놀렌산을 총지방중 50∼65%로 많이 포함하고 있다고 말해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이 피부 세포의 방어 기능을 정상적으로 작용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를 많이 포함하는 들기름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된 α-리놀렌산 유도체의 작용 효과는, 들기름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α-리놀렌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다른 식물유 등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자들은, 광노화 피부의 진행에 대한 예방 효과를 확인함에 있어서,
제1 단계:UVB를 조사한 사람 진피 각질화 세포주(이하 「HaCaT 세포」라고도 한다)의 세포 장해성의 완화 작용,
제2 단계:세포내 활성 산소(이하 「세포내 ROS」라고도 한다) 레벨의 증가에 대한 억제 작용,
제3 단계:UVB 조사에 의한 콜라겐 합성량의 저하에 대한 억제 작용,
제4 단계:UVB 조사에 의한 IL-8 합성량의 증가에 대한 들기름의 억제 작용,
제5 단계:사람 섬유아세포(이하 「HNDF」라고도 한다)의 콜라겐 합성량에 대한 들기름의 촉진 작용,
의 5단계로 확인했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상기 5단계 중 제1 단계∼제3 단계에 있어서는, α-리놀렌산 유도체로서 들기름(α-리놀렌산 함유량 55%)을 사용ㅎ하고, 그 비교 대상으로서 α-리놀렌산(유리산(遊離酸)의 100% 시약)을 사용했다.
<제1 단계>
본 제1 단계에서는, UVB를 조사한 사람 진피 각질화 세포주(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의 완화 작용에 대해서 확인했다. 우선, 예비적 확인으로서 들기름과 α-리놀렌산의 HaCaT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했다. 배지(培地)에 HaCaT 세포를 파종(3.5×104cells/well)해서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다음에, 들기름 또는 α-리놀렌산을 소정 농도 첨가한 배지로 교환하여, 또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그 후, 세포 생존률을 MTT법으로 비색정량(比色定量)해서 평가했다.
도 2는, 들기름의 HaCaT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α-리놀렌산의 HaCaT 세포에 대한 독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어느 그래프에 있어서도, 세로축은 세포 생존률(Cell Viability)(%), 가로축은 들기름 또는 α-리놀렌산의 세포 처리 농도(μg/ml)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결과로부터, 들기름의 세포 처리 가능 농도를 300μg/ml로 했다. 또, 도 3의 결과로부터, α-리놀렌산의 세포 처리 가능 농도를 75μg/ml로 했다.
다음에, 들기름 또는 α-리놀렌산의 UVB 내성 시험을 행했다. 우선, 배지에 HaCaT 세포를 파종(3.5×104cells/well)해서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다음에, 이 세포에 조사 강도 0∼80mJ/cm2의 UVB 조사를 행하고, 들기름 또는 α-리놀렌산을 소정 농도 첨가한 배지로 교환해서, 또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그 후, 세포 생존률을 MTT법으로 비색 정량해서 평가했다.
도 4는, UVB 조사(20mJ/cm2)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1)이다. 도 5는, UVB 조사(20mJ/cm2)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1)이다. 어느 그래프에 있어서도, 세로축은 세포 생존률(%), 가로축은 들기름 또는 α-리놀렌산의 세포 처리 농도(μg/ml)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결과로부터, 들기름을 150μg/ml 이상 처리한 세포에서는, UVB 조사의 유무에 관계없이 생존률이 증가했다. 한편, 도 5의 결과로부터, α-리놀렌산을 37.5μg/ml 이상 처리한 세포에서는, UVB 조사의 유무에 따라 세포사(細胞死)가 유도되었다.
한편, 도 6은, UVB 조사(0∼80mJ/cm2)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2)이다. 도 7은, UVB 조사(0∼80mJ/cm2)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성 시험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2)이다. 어느 그래프에 있어서도, 세로축은 세포 생존률(%), 가로축은 UVB 조사 강도(mJ/cm2)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결과로부터, UVB 조사 강도 의존적으로 세포사가 유도되지만, 들기름의 처리는 세포사를 억제했다. 한편, 도 7의 결과로부터, UVB 조사 강도 의존적으로 세포사가 유도되고, α-리놀렌산 처리는 세포사를 촉진시켰다.
이들 결과로부터, 들기름은, UVB 조사에 의한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를 의미있게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에 비해, α-리놀렌산은, 세포 장해를 억제하지 않고, 거꾸로 세포 장해를 촉진시킨다. 이것으로부터, 들기름(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이, 어떠한 작용에 의해 피부 노화에 대해서 유효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제2 단계>
본 제2 단계에서는, 세포내 활성 산소(세포내 ROS) 레벨의 증가에 대한 억제 작용에 대해서 확인했다. 우선, 배지에 HaCaT 세포를 파종(3.5×104cells/well)해서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다음에, 이 세포에 조사 강도 20mJ/cm2의 UVB 조사를 행하고, 들기름 또는 α-리놀렌산을 소정 농도 첨가한 배지(0.5% FBS/DMEM)로 교환해서, 또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그 후, 세포내 ROS 반응성 형광 프로브(H2DCFDA)에 의한 세포내 ROS 레벨의 측정을 행했다. 측정은, BCA 키트에 의해 세포 단백질을 정량하고, 세포 단백질 당의 형광 강도(F.I./μg protein)로 평가했다.
도 8은, UVB 조사 후(20mJ/cm2)의 세포내 ROS 증가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UVB 조사 후(20mJ/cm2)의 세포내 ROS 증가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어느 그래프에 있어서도, 세로축은 세포내 ROS 레벨(Intracellular ROS level)(F.I./μg protein), 가로축은 들기름 또는 α-리놀렌산의 세포 처리 농도(μg/ml)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결과로부터, 들기름을 18.8μg/ml 이상 처리한 세포에 있어서는,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ROS 레벨의 증가가 억제되었다. 한편, 도 9의 결과로부터, α-리놀렌산은,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된 세포내 ROS 레벨을 억제하지 않고, 75μg/ml의 농도에 있어서는, 세포내 ROS 레벨을 오히려 증가시키는 작용이 인정되었다.
이들 결과로부터, 들기름은, UVB 조사에 의한 세포내 ROS 레벨의 상승을 억제했다. 이것에 비해, α-리놀렌산은, UVB 조사에 의한 세포내 ROS 레벨의 상승을 억제하지 않고, 농도에 따라서는 오히려 증가시켰다. 이들로부터, 들기름(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은, 표피 세포에의 UVB 조사에 의한 세포내 ROS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세포 장해를 완화하는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3 단계>
본 제3 단계에서는, UVB 조사에 의한 콜라겐 합성량의 저하에 대한 억제 작용에 대해서 확인했다. 우선, 배지에 HaCaT 세포를 파종(3.5×104cells/well)해서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다음에, 이 세포에 조사 강도 20mJ/cm2의 UVB 조사를 행하고, 들기름 또는 α-리놀렌산을 소정 농도 첨가한 배지(0.5% FBS/DMEM)로 교환해서, 또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또, 회수한 배양상청으로부터 BAC 키트에 의해 세포 단백질을 정량했다.
한편, 정상인 진피 섬유아세포(NHDF)를 파종(2×104cells/well)한 배지에 회수한 배양상청을 첨가해서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그 후, I형 콜라겐(COLI) 합성량을 ELISA법(Enzyme-Linked Immuno Sorbent Assay)에 의해 정량했다. 다음에, 정량한 I형 콜라겐 합성량과 배양상청의 단백질량으로부터 세포 단백질 당의 콜라겐량을 산출했다.
도 10은, UVB 조사(20mJ/cm2)한 HaCaT 세포의 배양상청 처리에 의한 NHDF의 콜라겐 산생량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UVB 조사(20mJ/cm2)한 HaCaT 세포의 배양상청 처리에 의한 NHDF의 콜라겐 산생량에 대한 α-리놀렌산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어느 그래프에 있어서도, 세로축은 UVB 조사 없음을 기준으로 한 상대적 I형 콜라겐 합성량(Relative collagen I synthesis)(%), 가로축은 들기름 또는 α-리놀렌산의 세포 처리 농도(μg/ml)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의 결과로부터, UVB 조사에 의해 I형 콜라겐 합성량이 의미있게 감소하고, 들기름은 그 감소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했다. 한편, 도 11의 결과로부터, α-리놀렌산은, UVB 조사에 의한 I형 콜라겐 합성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없었다.
<제4 단계>
본 제4 단계에서는, UVB 조사에 의한 IL-8 합성량의 증가에 대한 들기름의 억제 작용에 대해서 확인했다. 우선, 배지에 HaCaT 세포를 파종(4.0×104cells/well)해서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다음에, 이 세포에 조사 강도 30mJ/cm2의 UVB 조사를 행하고, 들기름을 0∼300μg/ml 첨가한 배지(0.5% FBS/DMEM)로 교환해서, 또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해서 그 배양상청을 회수했다. 다음에, 회수한 배양상청으로부터 ELISA법에 의해 IL-8 합성량을 정량하였다.
도 12는, UVB 조사에 의한 IL-8 산생 항진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에 있어서, 세로축은 단백질중의 IL-8의 합성량(pg/μg protein)(IL-8 (pg)/μg protein), 가로축은 들기름의 세포 처리 농도(μg/ml)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의 결과로부터, UVB 조사에 의해 IL-8의 분비가 의미 있게 증가하고, 들기름은 그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했다.
<제5 단계>
본 제5 단계에서는, 사람 섬유아세포(HNDF)의 콜라겐 합성량에 대한 들기름의 촉진 작용에 대해서 확인했다. 우선, 배지에 정상인 진피 섬유아세포(NHDF)를 파종(2×104cells/well)해서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했다. 다음에, 들기름을 소정 농도 첨가한 배지(0.5% FBS/DMEM)로 교환해서, 또 37℃, 5% CO2 환경하에서 24시간 배양해서 그 배양상청을 회수했다.
다음에, ELISA법에 의해 I형 콜라겐(COLI) 합성량을 정량함과 동시에, 배양상청으로부터 BAC 키트에 의해 세포 단백질을 정량했다. 다음에, 정량한 I형 콜라겐 합성량과 배양상청의 단백질량으로부터 세포 단백질 당의 콜라겐량을 산출했다.
도 13은, NHDF의 콜라겐 산생량에 대한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에 있어서, 세로축은 세포 단백질 당의 I형 콜라겐 합성량(ng/μg protein), 가로축은 들기름의 세포 처리 농도(μg/ml)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의 결과로부터, 들기름은 섬유아세포의 세포 단백질 당의 I형 콜라겐 합성량을 농도 의존적으로 상승시켰다.
이와 같이, 제4 단계 및 제5 단계의 결과로부터, 들기름(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은, 표피 세포에의 UVB 조사에 의해 유도되는 IL-8의 분비 증가를 억제하고,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서 도 14에 나타낸다. 도 14는, 표피 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의 크로스토크에 있어서 광노화 피부의 진행을 억제하는 들기름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에 있어서, 들기름(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은, UVB 조사에 의해 상승하는 세포내 ROS를 저하시키는 것에 의해, HaCaT 세포의 세포 장해를 완화시키는 작용을 가진다.
또, 들기름(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은, UVB 조사에 의해 피부 세포에서 분비 항진되는 콜라겐 합성능의 저하에 관련된 어떠한 액성 인자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UVB 조사에 의한 콜라겐 합성능의 저하를 억제하는 작용을 가진다.
이들로부터, 들기름(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은, UVB에 의한 피부 세포의 세포 장해를 완화하는 것에 의해, 광노화 피부의 진행을 억제하는 작용을 가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음에,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의 α-리놀렌산 유도체(주로 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를 피부에 집어넣는(흡수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가장 직접적인 방법으로서는, 피부로부터 피부의 내부에 집어넣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종 화장품으로서 피부에 집어넣는 것이 생각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기능성 화장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된 기능성 화장품은, 이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α-리놀렌산과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를 많이 포함하는 들기름을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로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의 배합예를 든다.
<배합예 1:화장 크림>
들기름 5.0중량%
스쿠알렌 20.0중량%
밀랍 5.0중량%
글리세린 5.0중량%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2.0중량%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나머지(殘餘)
<배합예 2:화장수>
들기름 5.0중량%
에탄올 5.0중량%
글리세린 2.0중량%
1, 3-부틸렌 글리콜 2.0중량%
폴리에틸렌 올레일에테르 0.5중량%
구연산 나트륨 0.1중량%
구연산 0.1중량%
정제수 나머지
<배합예 3:유액>
들기름 5.0중량%
스쿠알렌 4.0중량%
와셀린 2.5중량%
세타놀 2.0중량%
글리세린 2.0중량%
친유형(親油型)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0중량%
스테아린산 1.0중량%
L-아르기닌 1.0중량%
수산화칼륨 0.1중량%
향료 미량
정제수 나머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외선 산란제나 자외선 흡수제 등을 도포해서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직접 산란시키거나 흡수하거나 할 뿐만 아니라, 피부의 내부에서 피부 세포의 방어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하도록 해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를 본질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된 광노화 예방제는, 상술한 기능성 화장품에 이용되지만, 그 밖의 용도로서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는 것도 생각된다.
Claims (10)
- 자외선 조사에 의한 사람 진피 각질화 세포의 세포 장해성의 완화 작용의 발현하기 위하여, α-리놀렌산 유도체를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α-리놀렌산 유도체는, 적어도 1분자의 α-리놀렌산이 에스테르 결합한 트리글리세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α-리놀렌산 유도체는, 들기름, 아마씨유, 차조기 열매유, 치아씨드유, 사카잉키 오일, 또는, 그린너트 오일에 함유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람 진피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산생량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노화를 예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노화 예방제. - 삭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세포내 활성 산소 레벨 증가의 억제 작용의 발현을 1개의 요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사람 진피 각질화 세포의 세포 장해성을 요인으로 하는 사람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량 저감의 억제 작용의 발현을 1개의 요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인터로이킨-8 합성량 증가의 억제 작용의 발현을 1개의 요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에 의한 사람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량의 증가 작용의 발현을 1개의 요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8094212 | 2018-05-16 | ||
JPJP-P-2018-094212 | 2018-05-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1416A KR20190131416A (ko) | 2019-11-26 |
KR102362617B1 true KR102362617B1 (ko) | 2022-02-11 |
Family
ID=6872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3957A KR102362617B1 (ko) | 2018-05-16 | 2019-03-25 |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2019202990A (ko) |
KR (1) | KR102362617B1 (ko) |
TW (1) | TW202015652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14075B (zh) * | 2020-06-03 | 2022-12-13 | 北京斯利安药业有限公司 | 一种防晒组合物及其应用 |
CN114948805B (zh) * | 2021-02-23 | 2024-06-07 | 上海昆药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含有青蒿挥发油的抑菌组合物及其在祛痘护肤品中的应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75744A (ja) * | 2002-11-28 | 2004-06-24 | Kose Corp | 皮膚障害抑制剤、皮膚障害改善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
JP2009046510A (ja) | 2003-05-12 | 2009-03-05 | Avon Products Inc | 皮膚の審美的外観を改善する化粧品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
JP2016190822A (ja) | 2015-03-31 | 2016-11-10 |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 炎症移行抑制皮膚外用組成物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92010995A1 (en) * | 1990-12-19 | 1992-07-09 | Beecham Group Plc | Novel compositions |
JPH08120255A (ja) | 1994-10-25 | 1996-05-14 | T Hasegawa Co Ltd | 紫外線吸収剤 |
JP2001031558A (ja) * | 1999-05-19 | 2001-02-06 | Kose Corp | 皮膚外用剤 |
JP2003073268A (ja) * | 2001-08-31 | 2003-03-12 | Almighty:Kk | 細胞賦活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
JP4091824B2 (ja) * | 2002-02-05 | 2008-05-28 | 株式会社コーセー | 皮膚外用剤 |
KR100718190B1 (ko) * | 2005-12-27 | 2007-05-16 | 남종현 |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미용팩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0941854B1 (ko) * | 2006-09-01 | 2010-02-11 | (주)아모레퍼시픽 |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JP2008239494A (ja) * | 2007-03-23 | 2008-10-09 | Naris Cosmetics Co Ltd | 皮膚外用剤 |
EP2667945A1 (en) * | 2011-01-24 | 2013-12-04 | Anterios, Inc. | Oil compositions |
-
2019
- 2019-03-25 TW TW108110249A patent/TW202015652A/zh unknown
- 2019-03-25 KR KR1020190033957A patent/KR1023626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4-23 JP JP2019081836A patent/JP2019202990A/ja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175744A (ja) * | 2002-11-28 | 2004-06-24 | Kose Corp | 皮膚障害抑制剤、皮膚障害改善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
JP2009046510A (ja) | 2003-05-12 | 2009-03-05 | Avon Products Inc | 皮膚の審美的外観を改善する化粧品組成物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
JP2016190822A (ja) | 2015-03-31 | 2016-11-10 |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 炎症移行抑制皮膚外用組成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015652A (zh) | 2020-05-01 |
KR20190131416A (ko) | 2019-11-26 |
JP2019202990A (ja) | 2019-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250187A (zh) | 一种植物活性肽紧致面膜精华液及其应用 | |
KR101716680B1 (ko) |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62617B1 (ko) | 피부의 광노화 예방제, 및, 이것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 |
CN104958242A (zh) | 抗紫外线面膜液及其制备方法 | |
KR101716428B1 (ko) | 해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2019514981A (ja) | 皮膚に対する化粧品または治療用途のためのSaxifraga抽出物 | |
KR20100059347A (ko) | 인삼꽃 정유를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 |
KR101780486B1 (ko) |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90048202A (ko) |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소듐 콘드로이틴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나노 리포좀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US20160074353A1 (en) | Use of petroselinic acid to fight against aesthetic disorders of the body figure | |
KR20170076147A (ko) |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70055172A (ko) |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CN108938511B (zh) | 天然植物提取物的组合物及在皮肤保湿祛痘产品中的应用 | |
KR102530481B1 (ko) |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
CN100548268C (zh) | 含有刺玫瑰果肉的护肤品 | |
CN109646329A (zh) | 一种降真香精油祛斑霜及其制备方法 | |
KR101775485B1 (ko) |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90036388A (ko) |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00067700A (ko) | 관동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WO2014180808A1 (en) | Use of petroselinic acid for combating aesthetic disorders of the figure associated with adipose tissue modifications | |
BR102013009302A2 (pt) | Composição cosmética para a pele madura, uso da referida composição e kit compreendendo a mesma | |
KR20180069998A (ko) | 공진단 성분 추출물과 연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9990075521A (ko) | 주름개선효과가 있는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 |
JP5769448B2 (ja) | Dna修復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 |
KR101864203B1 (ko) | 해양식물 유래 뮤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