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742B1 -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742B1
KR102359742B1 KR1020200058065A KR20200058065A KR102359742B1 KR 102359742 B1 KR102359742 B1 KR 102359742B1 KR 1020200058065 A KR1020200058065 A KR 1020200058065A KR 20200058065 A KR20200058065 A KR 20200058065A KR 102359742 B1 KR102359742 B1 KR 102359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peaker
speaker mounting
unit
sound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1016A (ko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박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범 filed Critical 박재범
Priority to KR1020200058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742B1/ko
Priority to PCT/KR2021/005546 priority patent/WO2021230548A1/ko
Priority to CN202190000426.0U priority patent/CN218942659U/zh
Publication of KR20210141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742B1/ko
Priority to US17/821,332 priority patent/US2022039510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1/00Passenger or crew accommodation; Flight-deck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11/0015Arrangements for entertainment or communications, e.g. radio, television
    • B64D11/00154Loudspeakers mounted in the seat 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채널로부터 출력된 사운드에 의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ELEMENT FOR CHAIR COMPRISING MULTI CHANNEL SOUND SYSTEM FOR CHAIR AND CHAI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채널로부터 출력된 사운드에 의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스피커는 대개 전선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전기 신호 및 진동 신호로 변환하여 진동부로 진동시켜 줌으로써 소리를 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를 통하여 영화 시청 또는 게임을 하는 경우에 컴퓨터 모니터를 볼 수 있는 의자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컴퓨터의 화면에 비치는 영상을 눈으로 시청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어 진동되는 스피커의 떨림에 의하여 영상에 해당하는 진동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리를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스피커를 여러대 구비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내 사운드의 방향 및 크기 등을 보다 정교하게 경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책상 위, 아래 또는 의자의 후방 등에 각각 스피커를 마련해야 하며, 복수의 스피커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간적인 제약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피커를 배치시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했다 하더라도, 의자의 위치가 달라지거나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와 스피커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리적인 간섭이 존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관한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38848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시트부, 발걸이부, 등받이부, 팔걸이부를 포함한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전단에 배치되고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위치와 돌출되는 청취 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센터 스피커, 상기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각각 배치되고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 위치와 돌출되는 청취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 상기 등받이 상단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레어 스피커들 및 상기 다수의 스피커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는 다채널 오디오 출력부을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시트부에 피시료자의 착좌상태에서 피시료자의 체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체형정보에 의해 피시료자의 청취원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청취원점과 각 스피커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각 스피커들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 크기 또는 시간 지연량을 조정하여 입체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가 개시된다.
다만, 상기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의하더라도,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마련되는 위치는 상기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상기 등받이 상단 좌우측 및 상기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고정되어 있어 스피커의 보다 정교한 조정이 불가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의자형 마사지 장치는 단순히 스피커의 수만 5.1채널을 충족하였을 뿐,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내 사운드의 방향 및 크기 등이 보다 생동감있게 전달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4-0138848호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의자의 헤드레스트부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와 상기 등받이부가 연결된 부위에 설치되거나, 상기 헤드레스트부를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사운드 출력부가 마련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사운드 출력부가 적어도 1)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 2)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3)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 2)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3)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시트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채널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하는 사운드 출력부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횡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및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의 양 측에 각각 종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제2 스피커 마운팅부와 제3 스피커 마운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상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하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3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영역에 설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에 의해 형성된 반폐쇄형 공간 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사운드가 곧바로 주변 환경으로 전파되지 않고, 일정 공간 내에 머물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풍부한 음향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의 상부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의 상부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반개폐부 및 상기 제 1사운드 출력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의 상부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반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개폐부 및 상기 제2 반개폐부가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을 폐쇄할 경우,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사운드가 일정 공간 내에 보다 잘 머물수 있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사운드 출력부를 일반적인 의자의 헤드레스트부 및/또는 등받이부에 설치하거나, 헤드레스트를 대체함으로써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 의해 구현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상기 사운드 출력부 자체가 반폐쇄형 공간을 형성하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 설치된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사운드의 음향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운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마련된 의자 역시 복수의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것만으로 실제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존재하는 것과 같이 생동감 넘치는 사운드 경험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사운드 출력부 외 의자에 별도로 마련된 스피커의 위치 및 수량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전방, 후방, 측방, 상방 및 하방 등과 같이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한 사운드를 분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정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의 일 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은 도 2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의 몇몇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사운드 출력부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에 구비된 스피커는 완제품 형태의 스피커뿐만 아니라 스피커 유닛, 박막형 스피커 및 디스플레이형 스피커 등 기존에 공지된 다양한 스피커 종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는 상술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사운드 출력부(100)가 상기 의자(1000)의 헤드레스트부를 대체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0)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사운드 출력부(100)가 헤드레스트부를 대체한 경우뿐만 아니라,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사운드 출력부(100)가 헤드레스트부, 등받이부, 시트부 또는 상기 시트부로부터 연장된 암레스트부 등에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 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1000)는 적어도 1)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 2)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200) 및 3)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는 이동식 의자로서 표현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의자(1000)는 고정식 의자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전방 또는 내측(즉,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닿는 방향)은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가 덧대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부의 전방, 후방 또는 이외 다른 임의의 영역(예를 들어, 상기 헤드레스트부와 상기 등받이부(200)가 연결된 부위)에는 상술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사운드 출력부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의자의 임의의 영역에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벨크로 결합 또는 클램프 결합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고정 및 결합 방법을 사용하여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부 및 상기 등받이부(200)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다채널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하는 사운드 출력부(100)는 횡 또는 종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와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양 측에 각각 종 또는 횡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뒷통수 방향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사운드 중 후방에서 발생한 사운드를 분리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는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되거나 상기 헤드레스트부를 대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가 상기 헤드레스트부를 대체할 경우,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에는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머리 부분이 닿는 부분에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가 덧대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는 횡 또는 종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횡 방향이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오른손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왼손에 이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에 설치된 스피커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후방뿐만 아니라, 좌측 후방에서 우측 후방에 이르는 영역으로부터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종 방향이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 위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허리에 이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사운드 출력부(130)에 설치된 스피커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후방뿐만 아니라, 머리 위에서 허리에 이르는 영역으로부터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일 측(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오른손 방향 또는 우측 방향)에는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오른손 방향 또는 우측 방향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사운드 중 우측에서 발생한 사운드를 분리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는 종 또는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종 방향이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전방에 이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에 설치된 스피커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우측뿐만 아니라, 우측 후방에서 우측 전방에 이르는 영역으로부터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횡 방향 이란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우측 상방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우측 하방에 이르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에 설치된 스피커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우측뿐만 아니라, 우측 상방에서 우측 하방에 이르는 영역으로부터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타 측(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왼손 방향 또는 좌측 방향)에는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왼손 방향 또는 좌측 방향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사운드 중 좌측에서 발생한 사운드를 분리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와 동일하게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는 종 또는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에 설치된 스피커는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좌측뿐만 아니라, 좌측 후방에서 좌측 전방에 이르는 영역으로부터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고, 좌측 상방에서 좌측 후방에 이르는 영역으로부터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크기는 의자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어깨 또는 머리 주변부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상기 의자(1000)의 헤드레스트부로부터 시트부(300)의 주변부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1000)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곡률진 형상이란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이 곡률지게 형성되는 것은 물론,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형 또는 반구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가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되었다고 할 때,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가 전체적으로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또는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는 부분적으로 곡률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는 양 측이 각각 전방을 향하도록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양 측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일 측은 필요에 따라 곡률진 형상을 가지거나 각진형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또는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에 설치된 스피커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하거나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또는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에 설치된 스피커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 사이의 거리가 임의의 원 또는 곡선을 따라 일정하게 됨으로써,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사운드의 이질감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1000)는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또는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는 전방이 막힌 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또는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전방이 막힐 경우,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개방된 영역이 폐쇄됨으로써 내측에서 발생한 사운드의 울림통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의자(1000)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 또는 상방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위치할 수 있도록 힌지 회동 가능한 제4 스피커 마운팅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의자(1000)에 있어서, 상기 제4 스피커 마운팅부(170)는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스피커 마운팅부(170)는 일 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71)가 설치된 스피커 설치대(172)와 상기 스피커 설치대(172)의 타 측을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에 고정하는 고정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73)는 힌지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 설치대(172)는 상기 고정부(173)를 기준으로 회전하거나 접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피커 설치대(172)는 상기 고정부(173)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를 향해 회전하거나 접혀짐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운드 출력부(100)가 설치된 의자에서 일어날 때 상기 사용자의 거동을 불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또는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타단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마련된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일 단(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은 다단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기 다단 구조가 펼쳐지거나 접혀짐에 따라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다단 구조의 방식은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타 단, 또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일 단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 및 (b)는 각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를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는 편의상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에 한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도 6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은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1)가 설치되는 제1 영역(110a), 상기 제1 영역(110a)의 상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영역(110b) 및 상기 제1 영역(110a)의 하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3 영역(110c)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ㄷ"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110a)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1)는 상기 제2 영역(110b) 및 상기 제3 영역(110c)에 의해 곧바로 외부에 노출되어 있지 아니하며, 일부 함몰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111)로부터 발생한 사운드는 주위 공간에 바로 분산되지 않고, 일정 공간 내에 머물 수 있으며, 이는 사운드의 음향 효과를 풍부하게 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체감 내지 공간감있는 사운드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11)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가 보다 사용자에게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를 정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나타낸 도 6의 (b)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1)가 설치되는 제1 영역(110a)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기 제2 영역(110b) 및 상기 제3 영역(110c)을 향하는 방향으로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110a)의 상부 및 하부와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2 영역(110b) 및 상기 제3 영역(110c)의 일 측은 필요에 따라 곡률진 형상을 가지거나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영역(110a), 상기 제2 영역(110b) 및 상기 제3 영역(110c)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전방을 차단하여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내측에 설치된 스피커를 보호하는 제4 영역(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영역(160)은 상기 제1 영역(110a), 상기 제2 영역(110b) 및 상기 제3 영역(110c)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전방을 차단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으로부터 사운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4 영역(16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의 방향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를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영역(110b)과 상기 제3 영역(110c)의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5 영역(110d)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영역(110d)은 상기 제1 영역(110a)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1)로부터 출력된 사운드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메쉬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100)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100)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100)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는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100)에 한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도 7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제1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31)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상기 제1 영역에 복수의 스피커(131a, 131b, 131c)가 설치될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131a, 131b, 131c)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연장 방향, 즉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에 연결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에 연결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의 타 단에 이르는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제1 영역(11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1)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상기 제1 영역(110a)에 복수의 스피커(111a, 111b, 111c)가 설치될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111a, 111b, 111c)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에 연결된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타 단을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제1 영역(12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1)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상기 제1 영역(120a)에 복수의 스피커(121a, 121b, 121c)가 설치될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121a, 121b, 121c)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에 연결된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타 단을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111, 121, 131)는 상기 의자(1000)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사운드 소스(예를 들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로부터 다채널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함으로써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 허리 및 옆구리 등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전방 또는 내측(즉, 사용자의 사용자의 등, 허리 및 옆구리 등이 닿는 방향)은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가 덧대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200)의 전방 또는 내측의 일부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201)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201)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20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등받이부(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의자(1000)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스피커(20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200)의 내측에 설치된 스피커(201)는 바람직하게는 우퍼 스피커일 수 있다. 우퍼 스피커의 경우, 일반적인 스피커 대비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가 크기 때문에 상기 등받이부(2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퍼 스피커(201)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생동감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우퍼스피커에 연결되는 전선에 진동발생장치를 연결하여 진동을 강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200)의 양 측에는 상기 등받이부(200)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옆구리 부분을 지지하는 사이드 볼스터부(210, 2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사이드 볼스터부(210, 220)의 내측에도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볼스터부(210, 220)의 내측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사운드를 하부에서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바,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에서 하방으로부터 발생한 사운드를 체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부(300)는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적어도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상부(즉,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이 닿는 방향)은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가 덧대어질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시트부(300)의 내측의 일부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피커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피커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시트부(3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거나, 시트부(300)의 좌우측에 외부로 노출시켜 스피커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함께 의자(1000)의 일부 영역에는 상기 스피커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300)의 내측에 설치된 스피커는 바람직하게는 우퍼 스피커일 수 있다. 우퍼 스피커의 경우, 일반적인 스피커 대비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가 크기 때문에 상기 시트부(3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우퍼 스피커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생동감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우퍼스피커에 연결되는 전선에 진동발생장치를 연결하여 진동을 강조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의자에 우퍼스피커가 마련된 경우, 상기 시트부(300)의 하부에는 진동 완화 부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200) 또는 상기 시트부(300)의 양 측에는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팔 부분을 지지하는 암레스트부(310, 320)와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다리 일 부분을 지지하는 보조 시트부(330, 34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부(310)의 내측(310a)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3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반대편 암레스트부(3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시트부(330) 역시 내측(330a)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33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반대편 보조 시트부(3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300)의 일 영역(예를 들어, 상기 보조 시트부(340)의 일 영역)에는 우퍼스위치(350)와 상기 의자(10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결속 케이블(351)의 일 단이 설치되는 결속부와 상기 의자(1000)에 설치된 다채널의 스피커에 전원 및 사운드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연결 케이블(361)의 일 단이 설치되는 연결부(360)가 같은 장소에 마련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결속부와 연결부를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결속 케이블(351)의 일 단은 상기 연결부(360)에 고정되되, 상기 결속 케이블(351)의 타 단은 예를 들어, 책상 등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의자(100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 케이블(361)의 가동 범위를 초과하도록 상기 의자(1000)가 과도하게 이동함에 따라 상기 연결 케이블(361)이 단선되거나, 상기 연결 케이블(361)의 일 단이 설치된 연결부(360)가 파손되거나, 상기 연결 케이블(361)의 타 단이 설치된 사운드 소스(예를 들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의 연결 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에 있어서, 상기 의자(1000)는 상기 의자(1000)에 설치된 다채널의 스피커에 사운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의자(1000)는 상기 의자(1000)에 설치된 다채널의 스피커에 사운드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부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DECT 또는 라이파이 등과 같은 방식으로 사운드 소스(예를 들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100)의 몇몇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는 편의상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에 한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은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상기 제1 영역(110a)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1)는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별 사운드 시스템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상기 제1 영역(110a)에는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절곡된 형상의 슬라이딩 공간(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공간(112)에는 상기 스피커(111)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딩 공간(112) 외 상기 제2 영역(110b) 및 상기 제3 영역(110c)에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레일(113, 115)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공간(112)과 상기 슬라이딩 레일(113, 115)는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외측면이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113, 115)에는 상기 제1 영역(110a) 설치되는 상기 스피커(111)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부재(114, 116)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14, 116)에 의해 상기 스피커(111)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113, 115), 나아가 상기 슬라이딩 공간(112)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으며, 홈과 돌기, 벨크로, 자석, 바퀴 및 베어링등을 이용하여 스피커(111)를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114, 116)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113, 115)에 지지된 상기 스피커(111)가 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한 부재로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상기 제1 영역(110a)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11)는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사운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슬라이딩 이동과 축 회전은 수동으로 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 및 제어장치를 통하여 자동으로 슬라이딩과 축 회전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은 도 13에 도시된 사운드 출력부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에는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개폐부(140, 150)에 한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도 14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를 포함하는 사운드 출력부(100)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10)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상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를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140, 1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를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이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의자(1000)에 적용된 사운드 출력부(100)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가 하나의 평면 상에 설치되었다고 가정할 때, 상기 상부 공간은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가 설치된 상기 평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임의의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개폐부(140, 150)는 필요에 따라 상기 상부 공간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개폐부(140, 150)가 상기 상부 공간을 폐쇄할 때 상대적으로 밀폐된 사운드 환경을 조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입체감 있는 사운드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운드 출력부(100)가 설치된 의자에서 일어날 때 상기 개폐부(140, 150)가 상기 상부 공간을 개방하여 상기 사용자의 거동을 불편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개폐부(140, 150)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상부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대신에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의 제2 영역(110b)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제2 영역(110b)이 수평으로 연장되어 접함으로써 구비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140)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10)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상부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반개폐부(140) 및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 상부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반개폐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반개폐부(140) 및 상기 제2 반개폐부(150)는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1 반개폐부(140) 및 상기 제2 반개폐부(150)는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를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을 개폐하기에 충분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개폐부(140)와 상기 제2 반개폐부(150)가 제1 스피커 마운팅부(130),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를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을 폐쇄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반개폐부(140) 및/또는 상기 제2 반개폐부(150)에는 상호 고정하는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개폐부(140)와 상기 제2 반개폐부(150)는 각각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20)의 상부로부터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상태인 사용자의 머리 윗 공간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사용자의 머리 주변 공간을 반폐쇄하는 커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반개폐부(140) 및 상기 제2 반개폐부(150)의 내측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41, 151)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반개폐부(140) 및 상기 제2 반개폐부(150)의 내측에 복수의 스피커(141a, 141b, 141c, 151a, 151b, 151c)가 설치될 경우, 상기 복수의 스피커(141a, 141b, 141c, 151a, 151b, 151c)는 상기 제1 반개폐부(140) 및 상기 제2 반개폐부(15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부(140, 150)를 포함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100)에 의해 구현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상기 사운드 출력부(100) 자체가 일정 부분 반폐쇄형 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개폐부(140, 150)의 폐쇄에 의해 상기 사용자를 중심으로 전반적인 반폐쇄형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사운드 출력부(100)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발생한 사운드의 음향 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운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반개폐부(140) 및 상기 제2 반개폐부(150)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때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110)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120)와 함께 일체감있는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1)

  1. 적어도 1)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 2)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3)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시트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며, 다채널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횡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및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의 양 측에 각각 종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제2 스피커 마운팅부와 제3 스피커 마운팅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제1 영역;
    상기 제1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를 지향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2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의 하부로부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를 지향하는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 제3 영역;
    에 의해 반폐쇄형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에 의해 형성된 상기 반폐쇄형 공간 내에 설치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내지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피커 마운팅부 및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의 전방을 차단하는 제4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영역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 또는 상방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위치할 수 있도록 힌지 회동 가능한 제4 스피커 마운팅부가 추가로 설치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 중 적어도 하나는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 중 적어도 하나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는 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타단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마련된 다단 구조를 가지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의 상부에 각각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를 기준으로 구획된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의 상부 일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 반개폐부; 및
    상기 제1 스피커 마운팅부 내지 상기 제3 스피커 마운팅부의 상부 타단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 반개폐부;
    를 포함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개폐부 및 상기 제2 반개폐부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곡률진 형상으로 형성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개폐부 및 상기 제2 반개폐부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부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와 상기 등받이부가 연결된 부위에 설치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헤드레스트부와 일체로 마련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에는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옆구리 부분을 지지하는 사이드 볼스터부가 마련되며,
    상기 사이드 볼스터부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또는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에는 사용자의 팔 부분을 지지하는 암레스트부가 마련되며,
    상기 암레스트부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양 측에는 상기 시트부의 상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의 다리 일 부분을 지지하는 보조 시트부가 마련되며,
    상기 보조 시트부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 진동 완화 부재가 추가로 마련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20200058065A 2020-05-15 2020-05-15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2359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65A KR102359742B1 (ko) 2020-05-15 2020-05-15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PCT/KR2021/005546 WO2021230548A1 (ko) 2020-05-15 2021-05-03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CN202190000426.0U CN218942659U (zh) 2020-05-15 2021-05-03 具有多声道系统的椅子
US17/821,332 US20220395101A1 (en) 2020-05-15 2022-08-22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065A KR102359742B1 (ko) 2020-05-15 2020-05-15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016A KR20210141016A (ko) 2021-11-23
KR102359742B1 true KR102359742B1 (ko) 2022-02-08

Family

ID=78524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065A KR102359742B1 (ko) 2020-05-15 2020-05-15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395101A1 (ko)
KR (1) KR102359742B1 (ko)
CN (1) CN218942659U (ko)
WO (1) WO20212305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5958A2 (ko) * 2019-10-30 2021-05-06 박재범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KR102378865B1 (ko) * 2020-06-16 2022-03-25 박재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357554B1 (ko) * 2020-08-12 2022-02-07 박재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7278A (ja) * 2007-07-05 2009-01-22 Kenwood Corp 車載スピーカ
JP2018094179A (ja) * 2016-12-15 2018-06-21 株式会社イトーキ 椅子又はこれと一緒に使用される家具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12605A (en) * 1967-08-31 1970-05-19 David D Mccorkle Stereo speaker headrest for an automobile seat
US4075438A (en) * 1976-12-02 1978-02-21 Gary Kappel Stereo speaker system
US4440443A (en) * 1981-04-10 1984-04-03 Nordskog Robert A Headrest
US4797934A (en) * 1987-08-27 1989-01-10 Hufnagel Fred M Speaker headrest
US5889875A (en) * 1994-07-01 1999-03-30 Bose Corporation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US5887071A (en) * 1996-08-07 1999-03-2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Dipole speaker headrests
JPH10200983A (ja) * 1997-01-09 1998-07-31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DE19754168A1 (de) * 1997-12-06 1999-06-10 Volkswagen Ag Kopfstütze für einen Sitz,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JP3660130B2 (ja) * 1998-06-26 2005-06-1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ー付き椅子及びこれを用いたマッサージ機
JP2001112572A (ja) * 1999-10-20 2001-04-24 Pioneer Electronic Corp スピーカ付シート並びに音響システム
KR100478198B1 (ko) * 2002-09-25 2005-03-23 엠엠기어 주식회사 헬멧형 스피커장치을 이용한 의자용 스피커 시스템
EP1716722B1 (en) * 2003-11-27 2008-04-23 Yul Anderson Vsr surround tube headphone
KR100629806B1 (ko) * 2005-02-04 2006-10-04 윤성훈 헤드레스트 핸즈프리장치
JP4239026B2 (ja) * 2005-05-13 2009-03-18 ソニー株式会社 音響再生方法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US20070001494A1 (en) * 2005-06-29 2007-01-04 Randy Ho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simulating an environment while participating in an activity
WO2009002853A2 (en) * 2007-06-22 2008-12-3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backlight output characteristics
JP4718648B2 (ja) * 2008-09-03 2011-07-06 朋美 山田 歯科治療椅子用ヘッドレスト及び歯科治療椅子
CA2639409A1 (fr) * 2008-09-09 2009-05-30 Luc Riopel Coussin cinema maison
KR101218027B1 (ko) * 2009-08-31 2013-01-02 최해용 서클라인 다채널 스피커 장치
KR101244646B1 (ko) * 2009-08-31 2013-03-18 (주) 아이알로봇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을 연계한 로봇 게임 시스템
US9950793B2 (en) * 2009-10-02 2018-04-24 Dennis A Tracy Loudspeaker system
US8858343B2 (en) * 2009-11-09 2014-10-14 Igt Server-based gaming chair
US8655008B2 (en) * 2011-01-05 2014-02-18 Cherno Waka Jagne Configurable headset support with variable positioning
US8950813B2 (en) * 2012-01-12 2015-02-10 Ali Nawaz Integrated adjustable headrest
US20130339656A1 (en) 2012-06-15 2013-1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re and Replace DAT Table Entry
WO2015198745A1 (ja) * 2014-06-27 2015-12-30 クラリオン株式会社 音響装置
US9967672B2 (en) * 2015-11-11 2018-05-08 Clearmotion Acquisition I Llc Audio system
US11832039B2 (en) * 2021-04-12 2023-11-28 The Lovesac Company Tuning calibration technology for systems and methods for acoustically correcting sound loss through fabric
US9596544B1 (en) * 2015-12-30 2017-03-14 Gregory Douglas Brotherton Head mounted phased focused speakers
WO2017204125A1 (ja) * 2016-05-25 2017-11-30 株式会社タチエス ヘッド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CN113709632A (zh) * 2016-08-18 2021-11-26 声音六维公司 用于记录多维声效果的麦克风
EP3532344B1 (en) * 2016-10-28 2022-03-02 Bose Corporation Backrest speakers with acoustic channels
US11896549B2 (en) * 2017-03-13 2024-02-13 Aisin Corporation Seat device
US10820103B1 (en) * 2018-04-16 2020-10-27 Joseph L Hudson, III Sound system
CN206623779U (zh) * 2017-04-17 2017-11-10 吉林大学 一种汽车座椅扬声器阵列装置
EP3468225B1 (en) * 2017-10-06 2021-05-26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Vehicle headrest with speakers and contol for adaptive spatial performance
US10479235B1 (en) * 2017-11-14 2019-11-19 Helen Stroud Infant car seat with massaging capabilities
US10562426B2 (en) * 2017-12-13 2020-02-18 Lear Corporation Vehicle head restraint with movement mechanism
US11509981B2 (en) * 2018-10-17 2022-11-2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Loudspeaker arrangement
FR3089901B1 (fr) * 2018-12-17 2020-12-18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ppui-tête de siège de véhicule muni d’enceintes audio
CN209472760U (zh) * 2019-01-30 2019-10-08 爱斯得电子(嘉兴)有限公司 六声道扬声器环绕系统
EP3972281A4 (en) * 2019-05-13 2022-07-06 Sony Group Corporation ACOUSTIC REFLECTOR, SPEAKER UNIT AND CHAIR
GB201907267D0 (en) * 2019-05-23 2019-07-10 Pss Belgium Nv Loudspeaker
FR3097487B1 (fr) * 2019-06-18 2022-11-04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ppui-tête pour siège de véhicule, à haut-parleur intégré
KR102333695B1 (ko) * 2020-01-10 2021-12-02 박재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JP7354775B2 (ja) * 2019-11-01 2023-10-03 日本発條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用計測装置
FR3103954B1 (fr) * 2019-11-29 2021-12-24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ppui-tête à annulation de bruit pour siège de véhicule
US20230001834A1 (en) * 2019-12-11 2023-01-05 Adient Us Llc Backrest for a vehicle seat
JP2021095037A (ja) * 2019-12-18 2021-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及び車両用ヘッドレスト
US11510499B2 (en) * 2020-05-11 2022-11-29 Wudi Industrial (Shanghai) Co., Ltd. Gaming chair
KR102381959B1 (ko) * 2020-07-06 2022-04-01 박재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US11357332B2 (en) * 2020-08-11 2022-06-14 Samuelson Group Inc. Furniture with integrated acoustical system
KR102406224B1 (ko) * 2020-09-02 2022-06-08 박재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US11641945B2 (en) * 2020-12-28 2023-05-09 Creative Technology Ltd Chair system with an untethered chair with speakers
CN116724566A (zh) * 2020-12-31 2023-09-08 哈曼国际工业有限公司 与车辆头枕一起使用的模块化音频组件
US20220211179A1 (en) * 2021-01-03 2022-07-07 Karthik Vasanth Active Posture Management
US11490197B1 (en) * 2021-05-07 2022-11-01 Wudi Industrial (Shanghai) Co., Ltd. Personal audio entertainmen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7278A (ja) * 2007-07-05 2009-01-22 Kenwood Corp 車載スピーカ
JP2018094179A (ja) * 2016-12-15 2018-06-21 株式会社イトーキ 椅子又はこれと一緒に使用される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548A1 (ko) 2021-11-18
US20220395101A1 (en) 2022-12-15
KR20210141016A (ko) 2021-11-23
CN218942659U (zh) 2023-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742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233369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630387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2357554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JP7126714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サウンドシステムが具備された椅子用部材を含む椅子
US20010026087A1 (en) Sound apparatus
KR102381959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426565B1 (ko) 무선 스피커 의자
CN206141387U (zh) 汽车电子头枕和汽车座椅
US20190266993A1 (en) Seat arranged for enhanced sound perception via vibration
CN219920658U (zh) 具有多声道音响系统的椅子
KR10237886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35242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JP6776342B6 (ja) 音楽鑑賞装置
KR101196065B1 (ko) 음향 출력 및 안마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가구
US11998121B2 (en)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CA3156094C (en) Chair member provided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comprising same
JP3245299U (ja) 音響機能付きソファ
JP3246391U (ja) 音響装置
JP2003047080A (ja) Av視聴用椅子
KR20220094537A (ko)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JP2023132331A (ja) 振動シートおよび再生システム
JPS5821877B2 (ja) 臨場感再現装置
KR20090008596U (ko)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