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8596U -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 Google Patents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8596U
KR20090008596U KR2020080002351U KR20080002351U KR20090008596U KR 20090008596 U KR20090008596 U KR 20090008596U KR 2020080002351 U KR2020080002351 U KR 2020080002351U KR 20080002351 U KR20080002351 U KR 20080002351U KR 20090008596 U KR20090008596 U KR 200900085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body portion
chair
speak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수
Original Assignee
김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수 filed Critical 김해수
Priority to KR2020080002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8596U/ko
Publication of KR200900085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85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04R5/023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in a chair, pill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는,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마련된 몸체부; 몸체부에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된 다리고정핀; 및 몸체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외부음원을 인가받아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의자, 음향장치, 헤드 레스트, 스피커

Description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Apparatus for sound output being mounted chair}
본 고안은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석자에게 풍부한 음향 및 정확한 소리를 전달하며 의자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향장치는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 및 서라운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스피커가 사용된다.
상기 스피커는 극장, 공연장 및 일반가정의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 보다 높은 음질 및 정확한 소리 전달을 위하여 의자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의자는 자동차, 극장, 비행기, PC방, 찜질방 등에 비치되어 사용자가 착석하여 기댈 수 있도록 마련된 시트와 머리를 기대기 위한 헤드 레스트로 이루어진다. 즉, 스피커가 설치된 의자에 사용자가 기대어 휴식을 취함은 물론, 음악 감상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사용된다. 특히, 스피커가 헤드 레스트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 및 정확한 소리를 전달할 수 있으며, 서라운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형성된 구조이다.
그러나, 헤드 레스트는 사용자의 머리가 기댈 수 있도록 이루어진 부분으로 서, 스피커의 진동에 의해 헤드 레스트가 진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가 울려 불쾌감을 느낌은 물론, 두통의 고통을 수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헤드 레스트는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고, 머리가 부딪혀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헤드 레스트에 음향장치가 설치됨으로써, 헤드 레스트의 원래의 목적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헤드 레스트에 설치된 스피커는 의자와 일체형으로 제작됨으로써 의자 또는 음향장치의 파손시 둘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의자 자체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 및 정확한 소리를 전달하며, 선택적으로 의자에 장착할 수 있는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서라운드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머리 및 목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는,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마련된 몸체부; 몸체부에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된 다리고정핀; 및 몸체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외부음원을 인가받아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때, 몸체부에 설치되고,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우퍼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몸체부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쿠션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몸체부에 다리고정핀이 삽입되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다리고정핀이 몸체부의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스피커는 회전가능하도록 몸체부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는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 및 정확한 소리를 전달하며, 선택적으로 의자에 탈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라운드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머리 및 목부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의 스피커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100)는 몸체부(110), 몸체부(110)에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12)의 다리(13)가 삽입되도록 홀(121)이 형성된 다리고정핀(120) 및, 몸체부(110)에 설치된 스피커(13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의자의 등받이(11) 상단에 마련된다. 이때, 몸체부(110) 는 헤드 레스트(12)의 다리(13)가 관통되어 의자의 등받이(11)와 결합됨으로써 마련될 수 있으나, 몸체부(110)가 의자의 등받이(11)와 직접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등받이(11) 상단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몸체부(110)에는 헤드 레스트(12)의 다리(13)가 삽입되는 다리고정핀(120)이 설치되도록 장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장공(112)은 몸체부(110)의 수직 방향으로 관통되고,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는 몸체부(110)에 헤드 레스트(12)의 다리(13) 및 다리고정핀(120)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장공(112)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장공(112)은 헤드 레스트(12)의 다리(13) 개수에 따라 선택적으로 증감될 수 있다.
상기 다리고정핀(120)은 몸체부(110)의 장공(112)에 삽입되어 장공(112)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리고정핀(120)은 헤드 레스트(12)의 다리(13)가 삽입되도록 홀(121)이 형성된 스틱(122) 및, 스틱(122)에 설치된 가이드 패널(124)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다리고정핀(120)이 몸체부(110)의 장공(112)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은, 헤드 레스트(12)의 다리(13)의 형성 위치가 생산되는 제품마다 다르게 형성됨으로써, 다리(13) 위치가 다르게 형성된 다양한 헤드 레스트와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한 쌍의 다리(13) 사이의 거리가 짧은 헤드 레스트(12)를 결합할 경우 다리고정핀(120)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헤드 레스트(12)를 결합시키고, 한 쌍의 다리(13) 사이의 거리가 긴 헤드 레스트(12)를 결합할 경우 다리고정핀(120)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 로 이동시켜 헤드 레스트(12)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다리고정핀(120)의 이동은 몸체부(110)의 장공(112) 내측에 가드 레일(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가드 레일을 따라 다리고정핀(120)이 일정 범위만큼 이동하게 된다. 예컨대, 가드 레일은 장공(112)의 길이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라인부로 이루어져 장공(112)에 삽입된 다리고정핀(120)의 가이드 패널(124)을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 패널(124)을 지지하기 위한 또 다른 대응방안으로서, 장공(112)의 폭을 감소시켜 가이드 패널이 장공에 밀착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커(130)는 몸체부(1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외부음원을 인가받아 음향을 출력한다. 이러한 스피커(130)는 몸체부(110)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몸체부(110)의 양측과 결합되는 스피커(130)는 기어결합되도록 이루어져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하여 스피커(130)가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더라도 채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몸체부(110)에 스피커(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우퍼(140)가 더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우퍼(140)는 몸체부(110)의 중앙에 위치되며, 더욱 바람직하게 몸체부(110)의 뒷면을 관통하여 소리가 앞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우퍼(140)는 낮은 소리을 높여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장비로서, 일반적으로 소리의 웅장감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우퍼(140)는 이미 알려진 기술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음향장치(100)에는 스피커(130)로 음원, 즉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외부음향기기와 연결되는 입력단자(131)가 설치된다. 상기 입력단자(131)는 스피커(13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몸체부(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단자(131)를 통하여 스피커(130)로 음향이 출력되는 상태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외부 음향기기(미도시)로부터 음원, 즉 오디오 신호가 입력단자(131)를 통해 인가되면, 입력단자(131)를 통해 인가된 오디오 신호가 신호증폭부(132)에 의하여 증폭된다. 신호증폭부(132)에 의해 증폭된 신호는 몸체부(110)의 양측에 설치된 스피커(130)를 통해 음향이 출력된다. 이때, 입력단자(131)로부터 인가된 신호 중 특정 주파수 이하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저역필터(135)가 연결된다. 상기 저역필터(135)는 고역의 신호를 차단하고, 저역의 신호를 통과시켜 연산증폭기(136)로 출력한다. 따라서, 저역필터(135)에 의하여 저역필터링된 신호는 연산증폭부(136)에 의하여 신호가 증폭되어 우퍼(140)를 통해 출력된다. 이에, 사용자의 목 뒤쪽에 마련된 우퍼(140)를 통하여 신호가 출려되고, 사용자의 양쪽 귀측에 마련된 스피커(130)를 통하여 음향신호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풍부한 음향 및 정확한 소리를 전달함은 물론, 웅장함을 느끼도록 서라운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200)는 몸체부(110), 몸체부(110)에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홀(121)이 형성된 다리고정핀(120), 몸체부(110)에 설치된 스피커(130) 및, 몸체부(110)의 앞면과 뒷면에 마련된 쿠션(250)을 구비한다. 이때, 도 5에서의 몸체부(110), 다리고정핀(120), 및 스피커(130)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몸체부(110), 다리고정핀(120) 및 스피커(130)와 각각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쿠션(250)은 몸체부(110)의 앞면과 뒷면에 탈착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쿠션(250)은 사용자의 목부위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의자에 착석시, 헤드 레스트와 의자의 등받이 사이에 마련된 쿠션(250)에 목부분이 지지됨으로써 장시간 동안 의자에 착석하여도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몸체부(110)의 양측에 설치된 스피커(130)를 통하여 음악 감상을 즐기며,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쿠션(250)은 벨크로 테잎이나 똑딱이 단추, 또는 고무 밴드 등 다양한 탈착수단을 구비하여 몸체부(110)에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된 우퍼를 몸체부(110)에 설치하여 쿠션(250)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쿠션(250)과 우퍼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우퍼로부터 출력되는 소리가 사용자에게 전달이 용이하도록 상기 쿠션(250)에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의 스피커가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에 사용되는 음향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음향장치 110 : 몸체부
120 : 다리고정핀 130 : 스피커
140 : 우퍼 250 : 쿠션

Claims (5)

  1. 의자의 등받이 상단에 마련된 몸체부;
    몸체부에 설치되고, 헤드 레스트의 다리가 삽입되도록 홀이 형성된 다리고정핀; 및
    몸체부의 양측에 설치되어 외부음원을 인가받아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에 설치되고, 스피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우퍼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몸체부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탈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쿠션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부에 다리고정핀이 삽입되도록 장공이 형성되어, 다리고정핀이 몸체부의 수평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스피커는 회전가능하도록 몸체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KR2020080002351U 2008-02-22 2008-02-22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KR200900085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351U KR20090008596U (ko) 2008-02-22 2008-02-22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351U KR20090008596U (ko) 2008-02-22 2008-02-22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8596U true KR20090008596U (ko) 2009-08-26

Family

ID=41294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351U KR20090008596U (ko) 2008-02-22 2008-02-22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8596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9127B2 (en) Method for activating massage units in a seat, control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nd seat arrangement
CN105745119B (zh) 头枕装置以及声音采集装置
US9788092B2 (en) Speaker system
US2009015291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tuneful attenuation
CN206141387U (zh) 汽车电子头枕和汽车座椅
US20030152245A1 (en) Chair equipped with a speaker
JP2007520320A5 (ko)
US20080129094A1 (en) Vibro-acoustic system
WO2006109389A1 (ja) スピーカ内蔵シートおよびパーソナル音場システム
JP2001285976A (ja) 音響装置
CN218942659U (zh) 具有多声道系统的椅子
TWI737517B (zh) 包含多聲道音響系統的椅子用部件及包含該部件的椅子
KR102630387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233369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N105025412B (zh) 多用途运动耳机
CN219920658U (zh) 具有多声道音响系统的椅子
KR102381959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0478198B1 (ko) 헬멧형 스피커장치을 이용한 의자용 스피커 시스템
KR20090008596U (ko) 의자 장착용 음향장치
CN109187049A (zh) 一种乘用车座椅声品质主动控制试验装置
CN212243072U (zh) 一种骨传导式音乐头枕
KR20150143908A (ko) 진동판과 스피커가 구비된 입체의자 및 상기 입체의자가 복수로 구동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CN109076272A (zh) 音乐欣赏装置
KR101196065B1 (ko) 음향 출력 및 안마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가구
KR101456887B1 (ko) 골전도 스피커를 이용한 소음저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