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4537A -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 Google Patents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4537A
KR20220094537A KR1020200185831A KR20200185831A KR20220094537A KR 20220094537 A KR20220094537 A KR 20220094537A KR 1020200185831 A KR1020200185831 A KR 1020200185831A KR 20200185831 A KR20200185831 A KR 20200185831A KR 20220094537 A KR20220094537 A KR 20220094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display device
frame
user
fram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795B1 (ko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라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라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라운드
Priority to KR1020200185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795B1/ko
Priority to PCT/KR2021/019920 priority patent/WO2022145916A1/ko
Publication of KR20220094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4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3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display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CHAIR MEMBER FOR IMPLEMENTING AUDIOVISUAL SYSTEM AND CHAI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자의 착좌 편의성 및/또는 이동 편의성 등을 제고하기 위해 각 제조사의 브랜드 특성에 따라 소재 또는 구조 등에 변형을 준 의자가 많이 제시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최근에는 안마 장치와 의자를 병합한 안마 의자 또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의자에 설치한 멀티미디어 의자가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멀티미디어 의자들은 단순히 사용자의 전방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하도록 설계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그칠 뿐, 기존 상용의 의자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시청각 시스템을 설치할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76940호(2011. 10. 26 공고)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기존 상용의 의자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시청각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의자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시청각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의 구체적인 예로서, 기존 상용의 의자의 헤드레스트부, 등받이부, 시트부 또는 측면 지지부에 본원에 정의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시청각 시스템이 구현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자용 부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또는 상기 시트부에 본원에 정의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본원에 정의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에 본원에 정의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부재를 사용할 경우, 기존 상용의 의자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시청각 시스템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바, 복잡한 구조물 및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공간감 및 생동감 넘치는 시청각 환경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에 구비된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연결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21 및 도 22는 도 18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시청각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관련된 내용은 각각의 독립적인 실시예로서 이해될 것이며, 필요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실시예가 병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구성 요소는 전술 또는 후술할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원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자용 부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 가능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박막 디스플레이 장치, 필름형 디스플레이 장치, 3D 디스플레이 장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본원에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원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의자용 부재는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또는 상기 시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용 부재는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의자는 사용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헤드레스트부가 상기 등받이부와 별개로 마련된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분리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부가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마련된 경우, 실질적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부와 상기 등받이부는 구분할 수 없는 하나의 구성으로서 제공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의자에 헤드레스트부가 도시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헤드레스트부는 생략 또는 분리 가능한 구성이거나,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형성 가능한 구성으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의자용 부재는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원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의자는 의자의 하부에 이동식 부재(예를 들어, 바퀴)가 마련된 의자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의자는 바퀴가 없는 의자 또는 소파 형태와 같은 비의자로도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정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우선,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부(11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측면 방향(y, y')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10)로부터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20)은 직선, 꺾인선, 곡선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적어도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면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설치가 용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면은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곡률진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프레임(120)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상기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때 적어도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의자용 부재(100)에 설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에 스피커가 포함되는 것과 별개로 스피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40)가 설치되는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설치 및 슬라이딩하는 영역과 중복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40)는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프레임(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경우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140)는 상기 프레임(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돌출되는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일 측면 방향(y)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타 측면 방향(y')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 프레임부(120b)로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의 일 단부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부재로서 제공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별개의 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각각 상기 지지부(110)에 설치되거나, 서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가 서로 결합된 상태로 상기 지지부(110)에 설치될 경우,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는 힌지 수단을 매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는 지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 내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는 힌지 수단을 매개로 상기 지지부(110)에 설치되어 상기 의자(1000)의 전방 방향을 향한 접힘 및 펼침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0) 중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에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는 상기 제1 프레임부(120a)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 사이의 이격 공간까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정면에 위치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user)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의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user)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130)가 설치된 상기 프레임(120)을 의자에 고정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프레임(12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의 하중을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120)이 상기 의자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상기 지지부(11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의자의 헤드레스트부, 등받이부 또는 시트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헤드레스트부, 등받이부 또는 시트부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반드시 상기 지지부(11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의자에 고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상기 프레임(120)을 통해 상기 의자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의자(예를 들어, 측면 지지부)와 상기 프레임(120)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가 별도로 필요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100)가 헤드레스트부(H) 또는 등받이부(B)에 설치된 의자(1000)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의자(1000)는 헤드레스트부(H), 등받이부(B) 및 시트부(S)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레스트부(H), 상기 등받이부(B) 및 상기 시트부(S)는 착석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전방 또는 내측(즉, 사용자의 사용자의 등, 허리 및 옆구리 등이 닿는 방향)은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가 덧대어진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의 전방 또는 내측 또는 후면에 우퍼 스피커(WS)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우퍼 스피커(WS)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생동감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의 내측에 구비된 우퍼 스피커(WS)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에는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스피커 출력 수단, 온열 수단, 통풍 수단 및 마사지 수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S)의 하부로는 하부 지지대(BT)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지지대(BT)는 바퀴와 같은 이동식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S)와 상기 하부 지지대(BT)는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구분이 불가능한 구성으로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의자(100)는 사용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부(A)는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팔 부분을 지지하는 소위 암레스트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부(S)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별개의 구성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시트부(S) 및/또는 상기 등받이부(B)와 일체의 구성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시트부(S)와 하부 지지대(BT)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진동 완화 부재(OS)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완화 부재(OS)는 상대적으로 상기 시트부(S)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의자(100)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100)가 헤드레스트부(H) 또는 등받이부(B)에 설치된 의자(10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1000)의 임의의 영역(예를 들어, 시트부(S))에는 상기 의자(1000)를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CM)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CM)는 결속 케이블(CB)을 매개로 하여 책상(DESK) 등과 같은 구조물에 상기 의자(1000)를 결속함으로써 상기 의자(100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10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 또는 스피커가 다양한 소스(예를 들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또는 태블릿 등)로부터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유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부(MCM)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MCM)가 유선으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수신부(MCM)에는 수신 케이블(MC)이 연결되며, 상기 수신 케이블(MC)은 상기 소스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중개 소스에 연결되어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 케이블(MC)이 소스 또는 중개 소스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의자(1000)가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상기 수신 케이블(MC), 상기 수신 케이블(MC)이 연결된 상기 수신부(MCM) 또는 소스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속 케이블(CB)로 상기 의자(1000)를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하여 상기 의자(10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경우, 상술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부(CB)와 상기 수신부(MCM)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 케이블(CB)과 상기 수신 케이블(MC)은 일체로 마련되거나,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100)가 설치 프레임(210)을 매개로 설치된 상기 의자(10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프레임(210)이 위치하며, 상기 의자용 부재(100), 구체적으로 상기 의자용 부재(100)의 지지부(110)는 상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받이부(B)가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상기 프레임(120)의 지향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 평행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설치 프레임(21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 조절 부재(2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부재(220)는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설치 프레임(2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부(B)에 대한 상기 설치 프레임(2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부(120a)는 상기 설치 프레임(210)에 회전축(211)을 매개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등받이부(B)의 전후 이동 또는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지면에 대한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지지부(110)를 매개로 상기 설치 프레임(2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110)는 상기 설치 프레임(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110)에 연결된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지지부(110)와 함께 상기 설치 프레임(2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치 프레임(210)이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 또는 후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210)과 상기 등받이부(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210)은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과 상기 지지부(110)는 일체형일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10)와 상기 설치프레임(21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100)가 연결 부재(150)를 매개로 설치된 상기 의자(1000)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상기 의자(1000)의 측면 지지부(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의자용 부재(100)와 상기 의자(1000) 사이에는 연결 부재(150)가 마련되며, 상기 연결 부재(150)는 상기 의자(1000)의 측면 지지부(A)와 상기 의자용 부재(100)의 상기 프레임(120)을 연결한다. 상기 측면 지지부(A)를 포함하지 않는 의자(1000)의 경우, 상기 연결 부재(150)는 상기 측면 지지부(A) 대신 상기 시트부(S)의 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며, 도 11 내지 도 14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에 구비된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연결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4에는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에만 디스플레이 장치(130a)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하에 설명할 내용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에만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거나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 또는 후술할 상부 프레임부(120d)에 모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모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 연장 부재(121)를 매개로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에 설치되어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user)에 대하여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는 상기 피벗 축(131)을 매개로 상기 제1 연장 부재(121)에 설치되어 자유 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자유 방향이란 x, y, z축을 모두 포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는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의 내측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가 슬라이딩 가능한 가이드(12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122)는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가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의 내측면에 마련된 상기 가이드(122)에는 상기 가이드(1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123)가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딩 바(123)의 일 면에는 제1 연장 부재(121)가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와 상기 슬라이딩 바(123)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는 상기 가이드(122)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는 상술한 상기 제1 연장 부재(121) 및 상기 피벗축(131)에 의한 연결 구조 이외 추가적인 얼라인 부재(124)를 통해 위치 조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의 내측면 중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의 사측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얼라인 부재(124)가 마련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2 연장 부재(125)가 상기 얼라인 부재(124)와 상기 제1 연장 부재(121), 상기 피벗축(131)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를 연결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의 사측 모서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위치하는 얼라인 부재(124)에 연결된 각각의 제2 연장 부재(125)의 길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부재(124)의 구비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의 위치 이동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제1 프레임부(120a)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30a)는 전후방 이동뿐만 아니라 좌우측 이동 및 상하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부(11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일 측면 방향(y)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타 측면 방향(y')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 프레임부(120b)로 구획된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부(120a) 및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의 내측면에는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는 모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 중 하나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의 일 단부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 중 하나는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 사이의 이격 공간까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정면에 위치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를 절반씩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정면에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를 절반씩 위치시킬 수도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의 상면도이며,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부(11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일 측면 방향(y)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타 측면 방향(y')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 프레임부(120b)로 구획된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부(120a) 및 상기 제2 프레임부(120a)의 내측면에는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는 모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 중 하나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의 일 단부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120a)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의 일 단부에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c)가 힌지 수단(126)을 매개로 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c)를 사용하는 경우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user)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c)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의자에 대한 상기 사용자(user)의 이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수단(130c)은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의 일 단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c)의 후면에는 상기 제3 프레임부(120c)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의자용 부재(100)에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c)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3 프레임부(120c)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c)의 연결 방식은 전술한 상기 제1 프레임부(120a)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의 연결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상면도이며,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정면도이며,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의자용 부재(100)는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부(110) 및 상기 지지부(110)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일 측면 방향(y)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타 측면 방향(y')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10)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 프레임부(120b)로 구획된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부(120a) 및 상기 제2 프레임부(120a)의 내측면에는 각각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는 모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거나,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 중 하나만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의 일 단부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d)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부(120a)와 상기 제2 프레임부(120b) 사이의 이격 공간에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d)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의자(1000)에 착석한 사용자(user)의 상부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100)에 상기 의자(1000)의 후방 방향(x')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상부 프레임부(120d)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의 일 단부에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d)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user)의 이용 편의성을 위해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d) 역시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의 연장 방향을 따른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d)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은 전술한 상기 제1 프레임부(120a)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의 슬라이딩 이동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는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d)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으로 상기 제3 디스플레이장치(130d)와의 이격 공간을 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d)의 연결 방식은 전술한 상기 제1 프레임부(120a)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120b)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130a) 및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130b)의 연결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는 접힘 및 펼침 동작이 가능한 다단 구조로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를 상기 지지부(1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접음으로써 상기 사용자(user)가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 및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에 설치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d)의 방해 없이 용이하게 상기 의자에 착탈석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는 상기 지지부(110)에 힌지 수단을 매개로 설치됨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힌지 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 프레임부(120d)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40)가 설치되는 영역은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130d)가 설치 및 슬라이딩하는 영역과 중복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3)

  1. 의자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정면에 위치 가능한,
    의자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용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박막 디스플레이 장치, 필름형 디스플레이 장치, 3D 디스플레이 장치,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 커브드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선택되는,
    의자용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힌지 수단을 매개로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을 향한 접힘 및 펼침 동작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용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에 대하여 전후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용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하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용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피벗 축을 매개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자유 방향으로 틸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용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얼라인하는 얼라인 부재가 추가로 마련된,
    의자용 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일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프레임부; 및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타 측면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의 타 측으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2 프레임부;
    로 구획되는,
    의자용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에 설치된 제1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제2 프레임부에 설치된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의자용 부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지 않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일 단부는 상호 이격된,
    의자용 부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의 이격 공간 사이에 제3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치된,
    의자용 부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프레임부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힌지 수단을 매개로 설치된,
    의자용 부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1 프레임부 또는 상기 제2 프레임부로부터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 사이의 이격 공간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용 부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부 방향을 지나도록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상부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에 설치된,
    의자용 부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의자용 부재.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추가로 설치된,
    의자용 부재.
  18.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또는 상기 시트부에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
  19.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
  20.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 및 3) 사용자의 측면 부분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측면 지지부에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자용 부재가 설치된,
    의자.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 또는 후면에 고정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22.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를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하여 상기 의자의 이동 반경을 제한하는 결속부를 더 포함하는,
    의자.
  23.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또는 상기 시트부에 적어도 하나의 우퍼 스피커가 설치된,
    의자.
KR1020200185831A 2020-12-29 2020-12-29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KR102491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831A KR102491795B1 (ko) 2020-12-29 2020-12-29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PCT/KR2021/019920 WO2022145916A1 (ko) 2020-12-29 2021-12-27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831A KR102491795B1 (ko) 2020-12-29 2020-12-29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4537A true KR20220094537A (ko) 2022-07-06
KR102491795B1 KR102491795B1 (ko) 2023-01-26

Family

ID=8225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831A KR102491795B1 (ko) 2020-12-29 2020-12-29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91795B1 (ko)
WO (1) WO2022145916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8870B2 (ja) * 1988-11-15 1999-05-10 天龍工業株式会社 座席用モニターの取付構造
JP3066548U (ja) * 1999-08-11 2000-02-25 紳堡實業股▲ふん▼有限公司 コンピュ―タ用椅子
US20070035164A1 (en) * 2005-08-11 2007-02-15 North Perry C Adjustable chair station and method of use
US20100187372A1 (en) * 2006-11-06 2010-07-29 Andrei Smirnov Monitor support apparatus
KR101076940B1 (ko) 2011-02-25 2011-10-26 박찬석 컴퓨터 의자
KR20120134568A (ko) * 2011-06-02 2012-12-12 윤정두 진동 스피커 쿠션의 역진동 시스템
JP5821945B2 (ja) * 2011-02-28 2015-11-24 村田機械株式会社 上肢訓練装置
KR102153707B1 (ko) * 2019-10-30 2020-09-08 박재범 다채널스피커가 장착된 이동식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548B2 (ja) 1991-11-28 2000-07-17 株式会社リコー カメラ用測光装置
JP2016134794A (ja) * 2015-01-20 2016-07-25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スタンド
JP2017012594A (ja) * 2015-07-03 2017-01-19 株式会社岡村製作所 椅子装置
KR101882778B1 (ko) * 2017-06-07 2018-07-27 정광웅 안마의자용 tv 거치장치
KR102030658B1 (ko) * 2017-09-18 2019-10-10 김영환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을 위한 안락 의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88870B2 (ja) * 1988-11-15 1999-05-10 天龍工業株式会社 座席用モニターの取付構造
JP3066548U (ja) * 1999-08-11 2000-02-25 紳堡實業股▲ふん▼有限公司 コンピュ―タ用椅子
US20070035164A1 (en) * 2005-08-11 2007-02-15 North Perry C Adjustable chair station and method of use
US20100187372A1 (en) * 2006-11-06 2010-07-29 Andrei Smirnov Monitor support apparatus
KR101076940B1 (ko) 2011-02-25 2011-10-26 박찬석 컴퓨터 의자
JP5821945B2 (ja) * 2011-02-28 2015-11-24 村田機械株式会社 上肢訓練装置
KR20120134568A (ko) * 2011-06-02 2012-12-12 윤정두 진동 스피커 쿠션의 역진동 시스템
KR102153707B1 (ko) * 2019-10-30 2020-09-08 박재범 다채널스피커가 장착된 이동식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795B1 (ko) 2023-01-26
WO2022145916A1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9938539U (zh) 具有多声道音响系统的椅子
US2009015473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n entertainment chair
CA3156094C (en) Chair member provided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comprising same
US20230054544A1 (en) Chair equipped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TWI737517B (zh) 包含多聲道音響系統的椅子用部件及包含該部件的椅子
US20220395101A1 (en)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US11839311B2 (en)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CN219920658U (zh) 具有多声道音响系统的椅子
US9555890B2 (en) Loudspeaker system
US11882419B2 (en) Wireless speaker chair
KR20150094504A (ko) 극장 좌석 운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3369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153707B1 (ko) 다채널스피커가 장착된 이동식 의자
US11812872B2 (en) Member for chair for implement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CN103002366A (zh) 带音箱的平板电子设备支架
KR20200018844A (ko) 조립식 소파 프레임
KR102491795B1 (ko)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KR20220005266A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35242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20140090052A (ko) 지지프레임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텔레비전
KR102468528B1 (ko) 케이블 보호 수단이 구비된 이동식 의자
KR200193700Y1 (ko) 의자형 퍼스널컴퓨터
WO2012048647A1 (en) Docking station for media player
CN105849793A (zh) 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