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425B1 -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425B1
KR102352425B1 KR1020200105177A KR20200105177A KR102352425B1 KR 102352425 B1 KR102352425 B1 KR 102352425B1 KR 1020200105177 A KR1020200105177 A KR 1020200105177A KR 20200105177 A KR20200105177 A KR 20200105177A KR 102352425 B1 KR102352425 B1 KR 10235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frame
back frame
speake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5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범
Original Assignee
박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범 filed Critical 박재범
Priority to KR1020200105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425B1/ko
Priority to PCT/KR2021/011071 priority patent/WO202203953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425B1/ko
Priority to US18/155,956 priority patent/US1183931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7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with 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채널로부터 출력된 사운드에 의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감 내지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MULTI CHANNEL SOUND SYSTEM CHAIR}
본 발명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채널로부터 출력된 사운드에 의해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로 하여금 공간감 내지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스피커는 대개 전선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를 전기 신호 및 진동 신호로 변환하여 진동부로 진동시켜 줌으로써 소리를 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를 통하여 영화 시청 또는 게임을 하는 경우에 컴퓨터 모니터를 볼 수 있는 의자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컴퓨터의 화면에 비치는 영상을 눈으로 시청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어 진동되는 스피커의 떨림에 의하여 영상에 해당하는 진동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소리를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스피커를 여러대 구비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내 사운드의 방향 및 크기 등을 보다 정교하게 경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책상 위, 아래 또는 의자의 후방 등에 각각 스피커를 마련해야 하며, 복수의 스피커를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해야 한다는 점에서 공간적인 제약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피커를 배치시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했다 하더라도, 의자의 위치가 달라지거나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와 스피커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리적인 간섭이 존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가진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관한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38848호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시트부, 발걸이부, 등받이부, 팔걸이부를 포함한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 전단에 배치되고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위치와 돌출되는 청취 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센터 스피커, 상기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각각 배치되고 피시료자의 착좌 또는 이탈 동작에 응답하여 삽입되는 초기 위치와 돌출되는 청취위치 사이에서 무빙되는 한 쌍의 프론트 스피커들, 상기 등받이 상단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레어 스피커들 및 상기 다수의 스피커들에 각각 대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인가하는 다채널 오디오 출력부을 구비하고,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시트부에 피시료자의 착좌상태에서 피시료자의 체형을 검출하고, 검출된 체형정보에 의해 피시료자의 청취원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청취원점과 각 스피커들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 근거하여 상기 각 스피커들에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 크기 또는 시간 지연량을 조정하여 입체 사운드를 발생시키는 의자형 마사지 장치가 개시된다.
다만, 상기 의자형 마사지 장치에 의하더라도,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마련되는 위치는 상기 의자형 마사지 장치의 상기 등받이 상단 좌우측 및 상기 시트부 좌우측 팔걸이부 전단에 고정되어 있어 스피커의 보다 정교한 조정이 불가하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의자형 마사지 장치는 단순히 스피커의 수만 5.1채널을 충족하였을 뿐,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영상 내 사운드의 방향 및 크기 등이 보다 생동감있게 전달될 수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4-0138848호
이러한 기술적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백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백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됨에 따라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백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백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됨으로써,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현된 의자가 제공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독립된 채널을 통해 구현된 사운드 시스템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에는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 바람직하게는 세 개 이상의 스피커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을 향해 연장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를 지향하는 상기 헤드 프레임의 내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것만으로 실제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존재하는 것과 같이 생동감 넘치는 사운드 경험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의자에 마련된 스피커의 위치 및 수량에 따라 재생되는 영상 또는 게임 환경 내 전방, 후방, 측방, 상방 및 하방 등과 같이 다양한 방향에서 발생한 사운드를 분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진정한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적용된 백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적용된 백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헤드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헤드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헤드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 및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헤드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에 도시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편의상 특정 용어를 본원에 정의한다. 본원에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 사용된 과학 용어 및 기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또한, 문맥상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이며, 복수 형태의 용어는 그것의 단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의자와 관련된 내용은 각각의 독립적인 실시예로서 이해될 것이며, 필요한 경우, 적어도 두 개의 독립적인 실시예가 병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원에 첨부된 도면을 통해 충분히 설명되지 않은 구성 요소는 전술 또는 후술할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원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의자의 측면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의자(100)는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B) 및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S)를 포함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B)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부(H)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부(H)는 필요에 따라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분리되거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 참조된 도면에는 상기 의자(100)는 상기 시트부(S)의 하부에 이동식 부재(BT)가 마련된 이동식 의자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의자(100)는 비이동식 의자, 예를 들어, 소파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의자(100)는 착석한 사용자의 측면을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A)를 더 포함하는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지지부(A)는 소위 암레스트로서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부(H), 상기 등받이부(B) 및 상기 시트부(S)는 착석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전방 또는 내측(즉, 사용자의 사용자의 등, 허리 및 옆구리 등이 닿는 방향)은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거나, 쿠션감을 가지는 소재가 덧대어진 형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의 전방 또는 내측에 우퍼 스피커(WS)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우퍼 스피커(WS)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이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생동감있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의 내측에 구비된 우퍼 스피커(WS)는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등받이부(B) 및/또는 상기 시트부(S)에는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온열 수단, 통풍 수단 및 마사지 수단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트부(S)와 상기 이동식 부재(BT) 사이에는 선택적으로 진동 완화 부재(OS)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진동 완화 부재(OS)는 상대적으로 상기 시트부(S)의 상부에 배치된 복수의 스피커에서 발생한 진동이 상기 의자(100)의 하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등받이부(B)에는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백 프레임(110)이 설치되며, 상기 백 프레임(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SA)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 또는 후면에 상기 의자(100)의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상기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하나의 백 프레임(110)이 설치되며, 상기 백 프레임(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스피커 설치 영역(SA)이 정의되며,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에는 스피커(120)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백 프레임(110)이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에 설치될 경우,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등받이부(B)의 양 측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것이다. 한편, 상기 백 프레임(110)이 상기 등받이부(B)의 후면에 설치될 경우, 상기 백 프레임(110)과 상기 등받이부(B)를 고정하는 별도의 부재가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별도의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등받이부(B)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 또는 후면에 상기 의자(100)의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상기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두 개의 백 프레임(110)이 설치되며, 상기 백 프레임(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스피커 설치 영역(SA)이 정의되며,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에는 스피커(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20)는 상기 백 프레임(110)과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상기 백 프레임(110)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복수의 스피커(120)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백 프레임(110)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등받이부(B)에 설치된 상기 백 프레임(110)은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피커(120)는 스피커 완제품,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에 별도로 마련된 구동부에 연결되어 완제품으로서 동작하는 스피커 유닛, 디스플레이형 스피커 또는 박막형 스피커일 수 있으며, 원웨이 및 멀티웨이 스피커를 포함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피커가 무선으로 사운드를 수신할 경우, 상기 의자(100)는 무선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부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DECT 또는 라이파이 등과 같은 방식으로 사운드 소스(예를 들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와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수신부는 후술할 결속부 및/또는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수신부는 상기 의자(100)의 임의의 다른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120)는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 상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SA)과 상기 스피커(120) 사이에 별도의 스피커 설치대가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상기 의자(100)의 전방 방향(또는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직선이 아닌 형상, 꺾인 선, 곡선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상기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백 프레임(110)의 형상은 비단 상기 백 프레임(110)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후술할 설치 프레임, 제1 백 프레임, 제2 백 프레임, 제1 서브 프레임, 헤드 프레임 및 제2 서브 프레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백 프레임 회전축(113)이 위치하며,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인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평면이란 지면과 평행한 임의의 수평 평면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직교하는 평면을 의미하며, 수평 평면이란 지면과 평행하거나 지면과 평행한 임의의 수평 평면과 평행한 평면을 의미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은 상기 등받이부(B)의 양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등받이부(B)의 양 측에 구비된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에 연결되어 상기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 또는 후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프레임(111)이 위치하며,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설치 프레임(111)에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등받이부(B)가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형태를 가지거나, 휘어질 수 있는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111)은 상기 백 프레임(110)의 지향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 평행하도록 위치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설치 프레임(11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간격 조절 부재(112)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간격 조절 부재(112)는 상기 등받이부(B)와 상기 설치 프레임(111) 사이의 간격을 조절함과 동시에 상기 등받이부(B)에 대한 상기 설치 프레임(111)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을 매개로 상기 설치 프레임(1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은 상기 설치 프레임(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30)에 연결된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과 함께 상기 설치 프레임(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백 프레임(111)은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상기 백 프레임(111)이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이 상기 설치 프레임(1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치 프레임(111)이 상기 등받이부(B)의 내측 또는 후면에 위치할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111)과 상기 등받이부(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설치 프레임(111)은 상기 등받이부(B)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백 프레임(110)은 하나의 부재로서 제공될 수도 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자(100)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백 프레임(110a, 110b)이 별개의 부재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의자(100)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의자(100)의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VL1-VL1')을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백 프레임(110a)과 상기 가상의 기준선(VL1-VL1')을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백 프레임(110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또는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에 설치된 스피커(120)는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또는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에 정의된 스피커 설치 영역(SA)으로부터 상기 스피커(120)를 돌출시킬 수 있도록 인출입 가능한 돌출 부재(121)가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적용된 백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적용된 백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는 편의상 제2 백 프레임(110b)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은 제2 백 프레임, 후술할 제1 서브 프레임, 헤드 프레임 및 제2 서브 프레임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백 프레임(110b)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는 상기 제1 백 프레임(110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제1 백 프레임(110b)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별 사운드 시스템의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백 프레임(151)의 내측면(110b-a)에는 상기 제1 백 프레임(110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절곡된 형상의 슬라이딩 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공간(115)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공간(115)은 상기 제1 백 프레임(110b)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제1 백 프레임(110b)의 외측면이 막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공간(115)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슬라이딩 레일(116)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레일(116)에는 상기 슬라이딩 공간(115)에 설치되는 상기 스피커(12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구비된 슬라이딩 부재(117)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117)에 의해 상기 스피커(120)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116), 나아가 상기 슬라이딩 공간(115)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백 프레임(110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부재(117)는 상기 슬라이딩 레일(116)에 지지된 상기 스피커(120)가 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가능한 부재로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백 프레임(110b)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는 상기 제1 백 프레임(110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축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사운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적용된 백 프레임의 회전 동작을 나타낸 상면도로서,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또는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은 각각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a, 113b)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또는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은 각각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a, 113b)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평인 평면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또는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은 각각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a, 113b)에 연결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틸팅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적용된 백 프레임의 승강 동작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에 연결된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과 함께 상기 설치 프레임(11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상기 백 프레임(110)의 승하강 동작이 발생하는 범위는 적어도 상기 헤드레스트부(H)와 상기 시트부(S) 사이일 수 있으며, 상기 백 프레임(110)이 상기 헤드레스트부(H) 부근의 위치로 승강할 때, 적어도 상기 백 프레임(110)에 구비된 스피커(120)로부터 사운드가 발생하는 위치가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귀 근처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백 프레임(110)은 하나의 부재로서 상술한 백 프레임 회전축(113)에 연결된 상태로 제공되며, 수직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의자(100)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기 백 프레임(110)의 일 단부가 회전에 의해 하강할 경우, 상기 의자(100)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기 백 프레임(110)의 타 단부는 회전에 의해 승강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백 프레임(110)은 두 개의 부재로서 제공되며, 이 때,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과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과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은 각각 상술한 백 프레임 회전축(113a, 113b)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과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은 수직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백 프레임(110)은 두 개 또는 네 개의 부재로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백 프레임(110)이 두 개의 부재로서 제공될 경우,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110a')과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 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110a')과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 110b')은 각각 백 프레임 회전축에 개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110a')과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 110b')은 수직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110a')과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 110b') 역시 각각 두 개의 백 프레임으로 분할됨에 따라 총 네 개의 부재로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상기 네 개의 부재 각각 백 프레임 회전축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수직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절 부재(1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절 부재(114)는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의 일 단부가 상기 관절 부재(114)를 매개로 하여 자유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은 상기 등받이부(B) 또는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113a, 113b)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한 연장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은 다단식으로 일 단부가 인출입 가능한 말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백 프레임(110) (여기서,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을 포함함)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 프레임(1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서브 프레임(130)은 상기 백 프레임(11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13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130)은 제1 서브 프레임 회전축(131)을 매개로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의 임의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서브 프레임(130)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회전축(131)에 연결되어 수직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측면도를 나타낸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에 도시된 의자와 유사하게 상기 백 프레임(110) (여기서,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제1 백 프레임(110a) 및 상기 제2 백 프레임(110b)을 포함함)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서브 프레임(130a, 13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1 서브 프레임(130a, 130b)은 서로 다른 형상 및/또는 연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H)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헤드 프레임(140)이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헤드 프레임(H)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의자(100)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은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머리의 상부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도시한 도 20 및 도 21과 도 20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헤드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및 제3 헤드 프레임(150)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일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151a)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된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타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152a)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된 제3 헤드 프레임(152)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일 측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전방 또는 내측(151a)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내측(151a)에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120)가 설치될 경우, 상기 두 개의 스피커(120)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된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일 단(151b)으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일 단(151c)을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타 측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타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가 구비된다.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전방 또는 내측(152a)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내측(152a)에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120)가 설치될 경우, 상기 두 개의 스피커(120)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된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일 단(152b)으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타 단(152c)을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일 단(151b)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일 단(152b)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양 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일 단(151c)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타 단(152c)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 또는 내측을 향해 기울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일 단(151c)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타 단(152c)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 또는 내측을 향해 기울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121, 131)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가 보다 사용자에게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일 단(151c)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타 단(152c)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 또는 내측을 향해 기울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헤드레스트 프레임(150)이 설치된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와 복수의 스피커(12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을 향해 절곡된 형상 내지 곡률진 형상을 가지거나, 직선 또는 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관절 구조를 가지는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일 단(151c)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타 단(152c)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을 향해 기울어지게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양 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와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120)는 별도로 마련된 사운드 소스(예를 들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로부터 다채널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함으로써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헤드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헤드 프레임에 설치된 스피커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의 일 단(151b)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일 단(152b)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관절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는 각각 연장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다(도 23의 (a) 및 (b) 참조).
또한, 이 때, 상기 관절부(157)는 각각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가 상기 헤드레스트부(H)를 기준으로 자유롭게 굽힘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도 23의 (c) 참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제2 및 제3 헤드 프레임(150)가 설치된 의자에 착석하거나 의자로부터 기립할 때,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방향 및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정 또는 별도의 알고리즘에 의한 자동 조정을 통해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의 방향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보다 최적화 및 사용자 맞춤형의 사운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며, 도 25 및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헤드 프레임의 일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양 측으로는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이 연장 구비되되,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상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상부 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내측(140a)에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된 제1 헤드 프레임(1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는 사운드 입력 수단(M)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백 프레임(110)에도 상기 사운드 입력 수단(M)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상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내측(140a)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내측(140a)에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120)가 설치될 경우, 상기 두 개의 스피커(120)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된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일 단(140b)으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타 단(140c)을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일 단(140b)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타 단(140c)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을 향해 절곡된 형상 내지 곡률진 형상을 가지거나, 직선 또는 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관절 구조를 가지는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타 단(140c)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가 보다 사용자에게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에 설치된 스피커(120)가 복수일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타 단(140c)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12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 경우,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에 설치된 스피커(120)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12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상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는 별도로 마련된 사운드 소스(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로부터 다채널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함으로써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은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일 단(140b)은 힌지부(142)를 매개로 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가 설치된 의자에 착석하거나 의자로부터 기립할 때,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정 또는 별도의 알고리즘에 의한 자동 조정을 통해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방향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보다 최적화 및 사용자 맞춤형의 사운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7은 도 24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헤드 프레임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 사이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과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제4 헤드 프레임(145)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 사이 및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 사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가 구비된다.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내측(145a)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내측(145a)에 적어도 두 개의 스피커(120)가 설치될 경우, 상기 두 개의 스피커(120)는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된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타 단을 향해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일 단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타 단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을 향해 절곡된 형상 내지 곡률진 형상을 가지거나, 직선 또는 중간에 적어도 하나의 관절 구조를 가지는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타 단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가 보다 사용자에게 집중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에 설치된 스피커(120)가 복수일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타 단은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와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120)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 경우,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에 설치된 스피커(120)뿐만 아니라, 상기 제2 헤드 프레임(151), 상기 제3 헤드 프레임(152) 및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120)와 사용자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부(H)의 상부로 연장되게 설치된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와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는 별도로 마련된 사운드 소스(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로부터 다채널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출력함으로써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일 단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와 마찬가지로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상기 의자(100)에 착석하거나 의자(100)로부터 기립할 때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방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정 또는 별도의 알고리즘에 의한 자동 조정을 통해 상기 제4 헤드 프레임(145)의 방향을 조정하여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보다 최적화 및 사용자 맞춤형의 사운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도 28은 도 24에 도시된 의자에 적용된 헤드 프레임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상기 제2 및 제3 헤드 프레임(15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프레임(1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프레임(170)은 상기 제2 및 제3 헤드 프레임(15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헤드 프레임(15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17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서브 프레임(170)은 제2 서브 프레임 회전축(171)을 매개로 상기 제2 및 제3 헤드 프레임(150)의 임의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2 서브 프레임(170)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 회전축(171)에 연결되어 수직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일 단부는 힌지부(142)를 매개로 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부(H)에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일 단부 및 힌지부(142)는 승강부(14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41)에 의해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이 소정의 높이만큼 승강 가능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상면도이며, 도 30은 도 29에 도시된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3 서브 프레임(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서브 프레임(160)은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서브 프레임(160)의 연장 길이는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에 상기 제3 서브 프레임(160)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부(H)까지의 길이 또는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에 상기 제3 서브 프레임(160)이 설치된 위치로부터 상기 시트부(S)까지의 길이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서브 프레임(160)에 설치된 스피커(120)는 상기 의자(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측방 또는 하측방으로부터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헤드 프레임(140)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3 서브 프레임(16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도 31은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의자(100)는 상기 의자(100)를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속부(181)는 결속 케이블(182)을 매개로 하여 가구 또는 책상 등과 같은 구조물에 상기 의자(100)를 결속함으로써 상기 의자(10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100)는 상기 백 프레임(110)에 설치된 상기 스피커(120)가 유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수신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183)로부터 연장된 수신 케이블(184)은 오디오 소스(예를 들어, 홈씨어터, TV, 셋탑박스, 사운드바, 컴퓨터, 핸드폰, 태블릿 등)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오디오 소스로부터 무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오디오 중개 소스에 연결되어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183)는 수신 케이블(184)에 의하지 않고 무선으로 사운드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수신 케이블(184)이 오디오 소스 또는 오디오 중개 소스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의자(100)가 과도하게 움직일 경우, 상기 수신 케이블(184), 상기 수신 케이블(184)이 연결된 상기 수신부(183) 또는 오디오 소스 등이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속 케이블(182)로 상기 의자(100)를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하여 상기 의자(100)의 이동 반경을 제한함으로써 상술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부(181)와 상기 수신부(183)는 도 31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속 케이블(182)과 상기 수신 케이블(184)은 일체로 마련되거나,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의자(100)의 임의의 영역에는 다채널 사운드 신호의 수신, 증폭 및 전송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리시버와 같은 채널 처리 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소스를 상기 채널 처리 장치에 연결하여 다채널 사운드 신호를 상기 의자(100)에 마련된 채널에 맞게 출력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등받이부(B)에는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백 프레임(110)이 설치되며, 상기 백 프레임(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120)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SA)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등받이부(B)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 프레임(110)은 상기 등받이부(B)에 설치된 일 단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의자(100)의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7)

  1. 적어도 1) 사용자의 등 및 허리 부분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및 2)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 및 다리 일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백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백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지되,
    상기 백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 또는 후면에 백 프레임 회전축이 위치하며,
    상기 백 프레임은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인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 또는 후면에 고정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 프레임이 위치하며,
    상기 백 프레임은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설치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은 백 프레임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설치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백 프레임은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인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은,
    상기 의자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의자의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백 프레임; 및
    상기 의자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의자의 전방 및 후방을 연결하는 가상의 기준선을 중심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백 프레임;
    을 포함하는,
    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백 프레임 및 상기 제2 백 프레임은 각각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 또는 후면에 마련된 백 프레임 회전축에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인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독립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한 연장 길이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은 전후방 틸팅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설치 영역에 설치된 스피커는 상기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를 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관절 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백 프레임은 상기 관절 부재를 매개로 하여 자유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 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은 상기 백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된,
    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은 제1 서브 프레임 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백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서브 프레임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 회전축에 연결되어 수직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시트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우퍼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의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의 양 측에 백 프레임 회전축이 위치하며,
    상기 백 프레임은 상기 백 프레임 회전축에 연결되어 수직 평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상기 백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의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17. 삭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는 사용자의 머리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헤드레스트부에는 상기 헤드레스트부로부터 전방 방향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헤드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된,
    의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프레임은 상기 헤드레스트부에 관절 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며,
    상기 헤드 프레임은 상기 관절 부재를 매개로 하여 자유 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상기 헤드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의자.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프레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는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프레임은 상기 헤드레스트부로부터 상기 의자의 전방 방향을 향해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의자.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 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은 상기 헤드 프레임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서브 프레임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설치 영역이 정의된,
    의자.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를 임의의 구조물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를 더 포함하는,
    의자.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2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된,
    의자.
  2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부와 일체로 형성된,
    의자.
KR1020200105177A 2020-08-21 2020-08-21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2352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177A KR102352425B1 (ko) 2020-08-21 2020-08-21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PCT/KR2021/011071 WO2022039539A1 (ko) 2020-08-21 2021-08-20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US18/155,956 US11839311B2 (en) 2020-08-21 2023-01-18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5177A KR102352425B1 (ko) 2020-08-21 2020-08-21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425B1 true KR102352425B1 (ko) 2022-01-18

Family

ID=8005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5177A KR102352425B1 (ko) 2020-08-21 2020-08-21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2872B2 (en) * 2020-06-16 2023-11-14 Tround Inc. Member for chair for implement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477A (ja) * 2005-05-13 2006-12-21 Sony Corp 音響再生方法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KR20140138848A (ko) 2012-06-15 2014-12-04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비교 및 대체 dat 테이블 엔트리
JP2016134794A (ja) * 2015-01-20 2016-07-25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スタンド
KR101991425B1 (ko) * 2018-12-17 2019-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5477A (ja) * 2005-05-13 2006-12-21 Sony Corp 音響再生方法および音響再生システム
KR20140138848A (ko) 2012-06-15 2014-12-04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비교 및 대체 dat 테이블 엔트리
JP2016134794A (ja) * 2015-01-20 2016-07-25 ヤマハ株式会社 スピーカスタンド
KR101991425B1 (ko) * 2018-12-17 2019-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음장검사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포함하는 소형방음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2872B2 (en) * 2020-06-16 2023-11-14 Tround Inc. Member for chair for implement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554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2630387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1630542B1 (ko) 극장 좌석 운동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426565B1 (ko) 무선 스피커 의자
US11839311B2 (en)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JP2019528626A (ja) スピーカーを組み込んだヘッド支持体および多次元音響効果を再生するためのシステム
TWI737517B (zh) 包含多聲道音響系統的椅子用部件及包含該部件的椅子
KR10233369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US20220395101A1 (en)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KR102153707B1 (ko) 다채널스피커가 장착된 이동식 의자
KR102406224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35242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
KR102381959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이 구비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378865B1 (ko) 다채널 사운드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JP6776342B6 (ja) 音楽鑑賞装置
US20210127841A1 (en)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US11998121B2 (en) Member for chair including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chair including the member
CN220557687U (zh) 椅子防倒用下部支撑架及包括该下部支撑架的椅子
KR20220094537A (ko) 시청각 시스템 구현을 위한 의자용 부재 및 상기 의자용 부재를 포함하는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