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400B1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400B1
KR102359400B1 KR1020217019745A KR20217019745A KR102359400B1 KR 102359400 B1 KR102359400 B1 KR 102359400B1 KR 1020217019745 A KR1020217019745 A KR 1020217019745A KR 20217019745 A KR20217019745 A KR 20217019745A KR 102359400 B1 KR102359400 B1 KR 102359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posture
work vehicle
box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0635A (ko
Inventor
마사루 시마다
다카시 이케마츠
히로노부 간노
요시히토 하야마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76442A external-priority patent/JP67394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80259A external-priority patent/JP70946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80262A external-priority patent/JP68943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80263A external-priority patent/JP6985078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27003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1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0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선회 작업차의 콘솔 박스 (52) 는, 박스 본체 (55) 와, 로크 캠 (79) 을 구비한다. 박스 본체 (55) 는, 제 1 자세 (P1) 및 상기 제 1 자세 (P1) 로부터 튀어오른 제 2 자세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로크 캠 (79) 은, 제 1 판 (66) 과, 캠 아암 (81) 을 구비한다. 제 1 판 (66) 에는, 캠 홈 (88) 이 형성된다. 캠 아암 (81) 은, 로크 레버 (56) 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캠 아암 (81) 과 제 1 판 (66) 을 접속하도록, 캠 아암 축 (80) 을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이 배치된다. 캠 아암 (81) 은, 캠 홈 (88) 에 삽입되는 안내 돌기 (83) 가 캠 홈(88) 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을 반전시킨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코일 부분은, 제 1 판 (66) 보다, 박스 본체 (55) 의 좌우 중앙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콘솔 박스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작업 차량의 조작 레버를 구비하는 콘솔 박스에 있어서, 당해 조작 레버의 조작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로크 레버를 오퍼레이터가 움직이는 것에 의해, 조작 레버의 받침대 부분의 자세를 당해 조작 레버와 함께 변경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은, 이 종류의 작업 차량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 이 개시하는 선회 작업차는, 운전 조작부를 구비한다. 이 운전 조작부는, 운전석의 측방에, 작업 레버 및 로크 레버로 이루어지는 조작 레버를 장비한 레버 스탠드를 당해 조작 레버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형성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있어서, 작업 레버는, 레버 스탠드 내에 있어서, 대략 y 자형의 연결 아암에 연결된다. 로크 레버는, 연결 아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운전석 지지 프레임에는 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판은 대략 역 S 자 형상의 가이드공을 갖는다. 이 가이드공에는, 캠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핀이 자유롭게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음되어 있다. 이 캠은, 로크 레버와 일체적으로 회동한다. 캠과 가이드판 사이에, 인장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이 가설되어 있다. 이 스프링에 의해, 로크 레버는, 전하방 (前下方) 으로 회동하도록 탄성 지지된다. 연결 아암과 운전석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가스 댐퍼 등의 탄성 지지 부재가 개재하여 장착된다. 탄성 지지 부재는, 연결 아암이 하방으로 회동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특허문헌 2 의 작업 차량은, 조작 레버의 조작의 유효/무효를 전환하기 위한 로크 레버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하는 구성이 되어 있다.
특허문헌 2 가 개시하는 건설 기계 차량으로서의 불도저에서는, 운전석과 대쉬 보드 사이가, 탑승 워크 스루 영역으로 되어 있다. 운전석의 양측에는, 회동함으로써 불도저의 조종계를 로크 및 로크 해제하기 위한 로크 레버가 형성된다. 로크 레버가 탑승 워크 스루 영역을 가로지르는 위치 A 에 있어서 불도저의 조종계가 로크 해제되어, 벗어나는 위치 B 에서 조종계가 로크된다.
로크 레버의 기단에는 레버 축이 고착되고, 이 레버 축의 중간부가, 차체측에 형성한 프레임체에 고착된 베어링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승 (支承) 된다. 단, 이 프레임체는 회전하지 않는다. 레버 축의 선단부에는 출력 레버가 고착되고, 출력 레버의 선단부에 캠 핀이 형성된다. 프레임체에 캠판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이 캠판에, 상기 캠 핀이 걸어 맞춤되는 캠 홈이 형성된다. 캠판은, 조종계의 파일럿 회로 내에 개재하여 장착된 회로 개폐 밸브의 전환 레버와, 로드를 개재하여 연결된다. 로크 레버의 출력 레버와 프레임체 사이에, 나선형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토글 스프링이 개재하여 장착된다. 이 토글 스프링은, 로크 레버를 상기 위치 A 와 위치 B 에 위치 결정 탄성 지지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302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73952호
특허문헌 1 의 구성은, 로크 레버의 탄성 지지를, 인장 방향의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에 의해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그러한 형식의 스프링을 레버 스탠드의 내부에 배치하고자 하면, 스프링의 변형까지 고려하여 큰 스페이스를 레버 스탠드의 내부에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어, 레버 스탠드가 대형화하기 쉬워, 예를 들어 소형의 선회 작업차에 대한 적용이 특히 어려워지게 된다.
특허문헌 2 의 구성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로크 레버의 출력 레버와 프레임체 사이를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임체와, 캠판과, 출력 레버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구성을 소형화하는 것이 어렵고, 이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콘솔 박스에 있어서, 로크 레버를 탄성 지지하는 컴팩트한 구성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고,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콘솔 박스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의 이하의 구성이 제공된다. 즉, 상기 콘솔 박스는, 박스 본체와, 조작 레버와, 로크 레버와, 탄성 지지 부재와, 로크 캠을 구비한다. 상기 박스 본체는, 제 1 자세 및 상기 제 1 자세로부터 튀어오른 제 2 자세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로크 레버는, 상기 박스 본체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다. 상기 탄성 지지 부재는, 상기 박스 본체를 상기 제 2 자세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상기 로크 캠은, 상기 제 1 자세 및 상기 제 2 자세의 양방에 있어서 상기 박스 본체의 회전을 로크한다. 상기 로크 캠은, 안내 부재와, 캠 아암을 구비한다. 상기 안내 부재에는, 캠 홈이 형성된다. 상기 캠 아암은, 상기 로크 레버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캠 아암은, 상기 캠 홈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한다. 상기 캠 아암과 상기 안내 부재를 접속하도록, 상기 캠 아암을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배치된다. 상기 캠 아암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캠 홈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을 반전시킨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 부분은, 상기 안내 부재보다, 상기 박스 본체의 좌우 중앙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 자체의 크기를 억제하면서 큰 스트로크를 실현할 수 있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이용함으로써, 박스 본체의 내부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콘솔 박스의 컴팩트화가 용이해진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캠 아암은, 판상의 아암 본체와, 중앙측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아암 본체는, 상기 안내 부재보다 상기 박스 본체의 좌우 중앙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다. 상기 중앙측 돌출부는, 상기 아암 본체로부터 상기 박스 본체의 좌우 중앙에 가까운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스프링선의 일단이 상기 안내 부재에 장착되고, 타단이 상기 중앙측 돌출부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캠 아암의 아암 본체를 안내 부재에 근접시켜, 박스 본체의 내부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함과 동시에, 스페이스 절약성이 높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에 의해 캠 아암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상기 박스 본체가 상기 제 1 자세에 있을 때 및 상기 제 2 자세에 있을 때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상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 부분이, 상기 스프링선이 상기 안내 부재에 장착되는 위치보다 상방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안내 부재에 대하여 스프링선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접속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박스 본체 내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코일 부분이 다른 부품과 잘 간섭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컴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발명 외에, 본 명세서의 개시로부터, 적어도 이하의 기술 사상을 파악할 수 있다.
[1] 작업 차량은, 조작 레버와, 조종 박스와,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조작 레버는, 운전 좌석의 좌우 양측의 각각에 배치된다. 상기 조종 박스는,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 (前方) 의 플로어면에 상방 돌출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주행 속도단을 전환하기 위해서 조작된다. 당해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는, 상기 조종 박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운전 좌석에 앉는 오퍼레이터가 시인 가능한 위치에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를 형성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고속도단/저속도단의 조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좌석의 전방에 있는 조종 박스에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를 배치함으로써, 오퍼레이터는 좌우 어느 손으로도 주행 속도단의 전환 조작이 가능하여, 조작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상기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상기 조종 박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주행 속도단의 전환 상태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작업 차량은, 상기 조종 박스에 배치되는 주행 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는, 상기 조종 박스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주행 레버를 일방의 손으로 조작하면서, 반대측의 손으로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양손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작업 차량은, 어태치먼트 작업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와, 풋 페달을 구비한다. 상기 풋 페달은, 오퍼레이터가 상기 어태치먼트 작업기를 발로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풋 페달을 중립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 1 포트에 작동유가 공급되고, 반대측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 2 포트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어태치먼트 작업기가 복동 실린더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당해 복동 실린더를, 1 개의 풋 페달을 일측/타측으로 밟는 것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직감적으로 알기 쉬운 조작감을 실현할 수 있다.
[2] 작업 차량은, 보닛과, 콘솔 박스와, 로크부와, 안전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보닛은, 엔진의 후방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엔진을 덮고, 개폐 가능하다. 상기 콘솔 박스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레버를 갖고, 상기 보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보닛을 여는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자세로부터 제 2 자세로 전환 가능하고,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자세로부터 상기 제 1 자세로 전환 가능하다. 상기 로크부는, 상기 콘솔 박스가 상기 제 1 자세이고, 또한, 상기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을 유효로 하고, 그 이외일 때에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콘솔 박스가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는 상기 보닛의 개폐를 저지하고,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는 상기 보닛의 개폐를 허용한다.
이에 의해, 콘솔 박스를 제 2 자세로 한 상태에서 보닛을 여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수반하여 엔진 등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닛이 열림 상태일 때, 또는, 콘솔 박스가 제 2 자세일 때에는, 로크부에 의해 작업기의 조작이 무효화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엔진을 가동시킨 상태에서 보닛을 개방하여 유압 회로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하는 경우 등에, 예기치 않게 조작 레버에 접촉한 경우에도, 거기에 따른 동작이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 장치에 의해, 보닛의 개폐시에 콘솔 박스가 제 2 자세가 되어 있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닛의 개폐시에 조작 레버에 접촉하게 되는 것에 의한 작업 차량의 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작업 차량은, 운전 좌석을 구비한다. 상기 안전 장치는, 지주와, 규제부를 구비한다. 상기 지주는, 상기 운전 좌석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 쌍으로 배치된다. 상기 규제부는, 상기 지주를 서로 접속한다. 상기 보닛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 1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상기 보닛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가상 원을 생각한다. 또한, 상기 보닛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 2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상기 보닛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가상 원을 생각한다. 이 때에, 상기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가상 원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규제부의 전부 (全部) 가, 상기 제 2 가상 원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콘솔 박스가 제 1 자세일 때에는, 조작 레버가 규제부에 닿음으로써 보닛의 회전이 저지된다. 그 때문에, 콘솔 박스가 제 1 자세인 상태에서 보닛이 개폐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콘솔 박스의 회전 중심과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상기 보닛이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콘솔 박스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제 3 가상 원을 생각한다. 이 때, 상기 규제부의 전부가, 상기 제 3 가상 원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보닛이 닫힌 상태에서는, 콘솔 박스의 자세를 전환할 때에 규제부가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보닛의 개폐를 위한 일련의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상기 규제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로부터 상기 지주로의 접속 지점에 가까워짐에 따라 전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운전 좌석에 앉는 오퍼레이터의 주위에 공간을 확보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작업 차량은, 보닛과, 제 1 손잡이와, 제 2 손잡이를 구비한다. 상기 보닛은, 엔진의 후방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엔진을 덮고, 개폐 가능하다. 상기 제 1 손잡이는, 상기 보닛의 전면 (前面) 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손잡이는, 상기 제 1 파지부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보닛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2 개의 손잡이를 한 손씩 잡고, 양손을 사용하여 보닛을 개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닛의 개폐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닛을 여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보조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등에도, 엔진 등의 메인터넌스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작업 차량은, 상기 보닛의 상면에 장착되는 운전 좌석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닛과 상기 운전 좌석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제 2 손잡이에 손을 걸칠 필요가 없을 때에, 방해가 되지 않는 장소에 수납해 둘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손잡이는,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띠상체이다. 상기 제 2 손잡이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상기 보닛에 장착되어 있고, 중간부가 상기 공간에 수납 가능하다.
이에 의해, 제 2 손잡이를 수납 가능한 간소하고 또한 저가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상기 제 2 손잡이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간에 수납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제 2 손잡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필요에 따라 수납할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작업 차량은, 상기 보닛을 닫은 상태에서 로크 가능하고, 상기 제 1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로크를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보닛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손잡이를 조작하는 조작력에 의해 로크가 해제된다.
이에 의해, 보닛을 개방하는 방향의 조작력으로 로크를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로크의 해제에 수고를 들이지 않고 보닛을 개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회 작업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콘솔 박스의 자세의 전환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제 1 자세의 콘솔 박스를 측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제 1 자세의 콘솔 박스를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2 자세의 콘솔 박스를 측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 은 선회 작업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은 선회 작업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선회 작업차의 유압 회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 은 선회 작업차를 배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1 은 작업 조작 레버에 의한 조작을 전자 밸브에 의해 무효화하는 로크 기능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2 는 콘솔 박스의 자세의 전환 및 보닛의 개폐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13 은 작업 차량을 비스듬히 상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4 는 제 1 실시형태의 로크 해제 핸들 및 벨트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보닛 스테이의 기능을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의 격납식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회 작업차 (1) 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6 등에 나타내는 선회 작업차 (작업 차량) (1) 는, 소형의 백호로서, 주로, 하부 주행체 (11) 와, 상부 선회체 (12) 를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 (11) 는, 좌우 1 쌍으로 배치된 크롤러 주행 장치 (21) 와, 이 크롤러 주행 장치 (21) 를 구동하는 유압 모터 (22) 를 구비한다. 유압 모터 (22)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21) 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 (11) 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21) 를 개별적으로 다양한 방향 및 속도로 구동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직진, 스티어링 등의 각종 주행을 실시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 (12) 는, 선회 프레임 (31) 과, 엔진 (33) 과, 유압 펌프 유닛 (34) 과, 보닛 (38) 과, 조종부 (35) 와, 작업 장치 (13) 를 구비한다.
선회 프레임 (31) 은, 하부 주행체 (11) 의 상방에 배치되고, 수직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부 주행체 (11) 에 지지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 (31) 은, 선회 모터 (32) 의 구동에 의해, 하부 주행체 (11)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엔진 (33) 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으로서 구성되어 있고, 선회 프레임 (31) 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 유닛 (34) 은, 엔진 (33) 에 의해 구동되고, 선회 작업차 (1) 의 주행 및 작업에 필요한 유압력을 발생시킨다.
보닛 (38) 은, 엔진 (33) 의 상면 등을 덮어 보호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 (38) 의 후부는, 선회 프레임 (31) 의 후부에 좌우 1 쌍으로 배치된 힌지부 (245) 에 의해, 선회 프레임 (31) 과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닛 (38) 을 선회 프레임 (31) 에 대하여, 좌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 (245c)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닛 (38) 을 후상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열림 상태로 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닫힘 상태로 할 수 있다.
조종부 (35) 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 좌석 (39) 과, 운전 좌석 (39) 의 전방에 세워 설치된 조종 박스 (152) 와, 다양한 조작 부재를 구비한다. 이 조작 부재에는, 좌우 1 쌍으로 배치되고, 조종 박스 (152) 에 지지된 주행 조작 레버 (주행 레버) (36L, 36R), 운전 좌석 (39) 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 작업 조작 레버 (65),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 (155), 및, 동력 취출용 페달 (풋 페달) (156)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작업 조작 레버 (65) 가 조작 레버에 상당한다. 오퍼레이터는, 상기의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각종 지시를 선회 작업차 (1) 에 부여할 수 있다.
조종 박스 (152)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 좌석 (39) 의 전방의 플로어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상면에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와,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와, 다양한 표시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는, 조종 박스 (152) 의 상면에 있어서 운전 좌석 (39) 에 가까운 측 그리고 좌우 중앙부에,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2 개의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고, 각각이 조종 박스 (152) 의 상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좌우의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를 앞 또는 뒤로 넘어뜨림으로써,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21) 의 전진 또는 후진을 지시할 수 있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는, 전기 스위치, 구체적으로는, 지지점 축이 좌우 방향을 향한 로커 스위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단부를 누름으로써, 당해 스위치의 자세를 시소와 같이 전환할 수 있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뒤내려감의 자세로 하면, 접점이 닫힌 ON 상태가 되고, 앞내려감의 자세로 하면, 접점이 열린 OFF 상태가 된다. 오퍼레이터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ON 상태로 함으로써 고속도단 (2 속) 을 지시하고, OFF 상태로 함으로써 저속도단 (1 속) 을 지시한다.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은, 운전 좌석 (39) 의 전방의 플로어면의 약간 위, 그리고, 조종 박스 (152) 의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은, 도시 생략의 어태치먼트 작업기 (예를 들어, 풀 베기용의 어태치먼트) 를 구동하기 위해서, 오퍼레이터가 발로 밟아 조작한다. 선회 작업차 (1) 의 적절한 위치에는, 어태치먼트 작업기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유를 공급하는 제 1 포트 (181) 및 제 2 포트 (182)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포트 (181) 및 제 2 포트 (182)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작업 장치 (13) 에 있어서의 붐 (41) 에 배치되어 있다.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은, 아암 및 로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도시 생략의 링크 기구를 통하여, 작동유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 선회 작업차 (1) 가 구비하는 방향 전환 밸브를 변위시킨다. 또한, 방향 전환 밸브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을 전측/후측으로 밟는 조작의 각각에 연동하여, 제 1 포트 (181) 및 제 2 포트 (182) 중 어느 것으로부터 작동유를 토출할 수 있다.
작업 장치 (13) 는, 붐 (41) 과, 아암 (42) 과, 버킷 (43) 과, 붐 실린더 (44) 와, 아암 실린더 (45) 와, 버킷 실린더 (46) 를 구비한다. 붐 (41), 아암 (42), 및 버킷 (43) 에는 각각 유압 실린더가 연결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버킷 (43) 에 의한 굴삭 등의 각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붐 (41) 은 가늘고 긴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단부가, 상부 선회체 (12) 의 전부 (前部) 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붐 (41) 에는 붐 실린더 (44) 가 장착되어 있고, 붐 실린더 (44) 가 신축함으로써 붐 (41) 을 회전시킬 수 있다.
아암 (42) 은 가늘고 긴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단부가, 붐 (41) 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아암 (42) 에는 아암 실린더 (45) 가 장착되어 있고, 아암 실린더 (45) 가 신축함으로써 아암 (42) 을 회전시킬 수 있다.
버킷 (43) 은, 용기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단부가, 아암 (42) 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버킷 (43) 에는 버킷 실린더 (46) 가 장착되어 있고, 버킷 실린더 (46) 가 신축함으로써 버킷 (43) 을 회전시켜, 떠내는 동작/덤프 동작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가 구비하는 유압 회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선회 작업차 (1) 의 유압 회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펌프 유닛 (34) 은, 2 개의 가변 용량형의 유압 펌프 (34a, 34b) 와, 보조 유압 펌프 (34c)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회 작업차 (1) 는, 제 1 유압 회로 (9a) 와, 제 2 유압 회로 (9b) 를 구비한다. 제 1 유압 회로 (9a) 에는 일측의 유압 펌프 (34a) 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되고, 제 2 유압 회로 (9b) 에는 타측의 유압 펌프 (34b) 로부터 작동유가 공급된다.
제 1 유압 회로 (9a) 에는, 차체 좌측에 배치된 크롤러 주행 장치 (21) 를 구동하는 유압 모터 (22L) 가 접속되어 있다. 유압 모터 (22L) 와, 유압 펌프 (34a) 의 토출 포트 사이에는, 방향 전환 밸브 (191) 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유압 회로 (9b) 에는, 차체 우측에 배치된 크롤러 주행 장치 (21) 를 구동하는 유압 모터 (22R) 와, 어태치먼트 작업기를 구동하는 어태치먼트 실린더 (90) 가 접속되어 있다. 어태치먼트 실린더 (90) 는, 복동식 실린더가 되고, 전술한 제 1 포트 (181) 및 제 2 포트 (182) 에 접속된다. 유압 펌프 (34b) 의 토출 포트와, 유압 모터 (22R) 및 어태치먼트 실린더 (90) 사이에는, 각각 방향 전환 밸브 (192, 93) 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8 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제 1 유압 회로 (9a) 및 제 2 유압 회로 (9b) 에는, 작업 장치 (13) 등을 구동하기 위한 다른 유압 액추에이터가 접속된다.
좌우의 유압 모터 (22L, 22R) 에 접속되는 방향 전환 밸브 (191, 192) 의 각각에 있어서, 스풀은, 압유의 공급을 정지하는 중립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변위함으로써 유압 모터 (22L, 22R) 를 정회전시키고, 타측으로 변위함으로써 역회전시킨다.
1 쌍의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의 각각은,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21) 의 전진, 후진 및 정지를 개별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를 중립 위치로부터 전측으로 넘어뜨림으로써 전진을 지시하고, 후측으로 넘어뜨림으로써 후진을 지시한다.
선회 작업차 (1) 는, 1 쌍의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에 대응하여 배치된 주행 조작 레버 리모콘 밸브 (95L, 95R) 를 구비한다. 각각의 주행 조작 레버 리모콘 밸브 (95L, 95R) 는 2 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고,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의 조작 방향 (전진/후진) 에 따른 포트에, 조작량에 따른 압력의 작동유를 보낼 수 있다. 상기의 방향 전환 밸브 (191, 192) 의 파일럿 포트에는, 이 주행 조작 레버 리모콘 밸브 (95L, 95R) 가 출력하는 파일럿 압력이 도출되어 있다. 따라서, 방향 전환 밸브 (191, 192) 의 스풀은,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로 지시되는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에 따른 방향 및 양만큼 변위하고, 이에 의해, 유압 모터 (22L, 22R) 를, 오퍼레이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방향 및 속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방향 전환 밸브 (93) 의 스풀은, 동력 취출용 페달 (156) 과, 전술한 링크 기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방향 전환 밸브 (93) 의 스풀은, 동력 취출용 페달 (156) 로 지시되는 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방향 및 양만큼 변위하고, 이에 의해, 어태치먼트 실린더 (90) 를, 오퍼레이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방향 및 양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펌프 유닛 (34) 에는, 상기의 유압 펌프 (34a, 34b) 외에, 유압 모터 (22) 의 출력을 조정하는 보조 유압 펌프 (34c) 가 포함되어 있다. 이 보조 유압 펌프 (34c) 는, 유압 모터 (22L, 22R) 각각의 가동 사판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사판 구동 기구에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단, 이 구동 기구와 유압 모터 (22L, 22R) 사이에는, 작동유의 공급/차단을 전환하기 위한 전자 밸브 (194) 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 밸브 (194) 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오퍼레이터가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조작하여 ON 상태로 하면, 전자 밸브 (194) 가 밸브 열림하고, OFF 상태로 하면, 전자 밸브 (194) 가 밸브 닫힘한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가 OFF 일 때에는, 전자 밸브 (194) 가 닫히기 때문에, 보조 유압 펌프 (34c) 로부터의 작동유가 사판 구동 기구에 보내지지 않는다. 이 경우, 유압 모터 (22) 내의 가동 사판의 경사 각도가 커지고, 유압 모터 (22) 는, 1 속에 대응하는 속도로 구동된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ON 할 때, 전자 밸브 (194) 가 열리기 때문에, 보조 유압 펌프 (34c) 로부터의 작동유가 사판 구동 기구에 보내진다. 이에 의해, 유압 모터 (22) 내의 가동 사판의 경사 각도가 작아지고, 유압 모터 (22) 는, 2 속에 대응하는 속도로 구동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의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는, 도 7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종 박스 (152) 의 폭 방향 (차체의 좌우 방향) 에 있어서, 주행 조작 레버 (36L) 보다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조종 박스 (152) 의 좌우 폭 방향에 있어서,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와,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오른손으로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를 조작하면서, 왼손으로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가 주행 조작 레버 (36R) 보다 우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는, 조종 박스 (152) 의 상면의 좌측이고, 약간 중앙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의 좌우 어느 손으로도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상면 (표면) 에 있어서는, 후측에 ON 마크가 표시되고, 전측에 OFF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ON 상태/OFF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어느 것을 누르면 되는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표면에는,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ON 상태에 대응하는 측에 광 투과부 (15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광 투과부 (157) 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내부에는 램프 (표시 장치) (58)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램프 (58) 는, 예를 들어,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ON 상태로 하면 점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는, 어두운 환경 (예를 들어, 야간) 에서도, 당해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ON/OFF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상면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부 (157) 의 위치에는, 고속을 나타내는 작은 그림 (아이콘) 이 그려져 있다. 이에 의해,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자세와 주행 속도단의 대응을 알기 쉽게 오퍼레이터에게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램프 (58) 의 점등 상태에서는 아이콘이 광에 의해 떠오르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ON/OFF 상태를 보다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에 의해 속도단의 전환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에 속도단의 전환 조작을 할당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와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의 조합에 의해, 복동형의 유압 액추에이터를 사용한 어태치먼트 작업기를 선회 작업차 (1) 에 장착한 경우에,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을 전측으로 밟으면 어태치먼트 작업기가 일측으로 구동되고, 타측으로 밟으면 타측으로 구동되는 심플한 조작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작업 조작 레버 (65) 를 구비하는 콘솔 박스 (52) 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부 선회체 (12) 의 상면의 좌우 중앙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 좌석 (39) 이 배치되어 있다. 단, 도 13 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벨트 (372) 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운전 좌석 (39) 은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그리고, 운전 좌석 (39) 을 사이에 끼우도록, 콘솔 박스 (52) 가 좌우 1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 (39) 및 콘솔 박스 (52) 는, 상부 선회체 (12) 가 구비하는 보닛 (38) 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솔 박스 (52) 는, 박스 본체 (55) 와, 상기 서술한 작업 조작 레버 (65) 와, 로크 레버 (56) 와, 아암 레스트 (57) 를 구비한다. 콘솔 박스 (52) 는, 상기 서술한 작업 조작 레버 (65) 와, 로크 레버 (56) 를 지지하고 있다.
박스 본체 (55) 는, 중공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기구 (예를 들어, 후술하는 로크 캠 (79), 파일럿 밸브 (77) 및 전기 스위치 (94) 등) 를 덮어 보호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콘솔 박스 (52) 의 각각에 있어서, 박스 본체 (55) 의 내부에는 파일럿 밸브 (77) 가 배치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파일럿 밸브 (77) 는 모두, 1 개의 입력 포트와, 4 개의 출력 포트를 구비한다.
파일럿 밸브 (77) 의 입력 포트에는, 상기 서술한 유압 펌프 유닛 (34) 이 구비하는 유압 펌프의 토출 포트가, 도시 생략의 배관을 통하여 접속된다. 단, 이 유압 펌프와 파일럿 밸브 (77) 사이를 연결하는 작동유의 경로에는,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작업차 (1) 가 구비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로크부) (264) 가 배치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펌프 유닛 (34) 의 유압 펌프와, 솔레노이드 밸브 (264) 사이에는, 압력을 내보내는 릴리프 밸브가 배치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일럿 밸브 (77) 의 출력 포트는, 선회 작업차 (1) 가 구비하는 컨트롤 밸브 (284) 에, 도시 생략의 배관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 (77) 는, 작업 조작 레버 (65) 를 오퍼레이터가 전후 좌우로 조작하는 데에 따라, 입력 포트와 각 출력 포트 사이를 개폐한다. 출력 포트가 열리면, 파일럿 밸브 (77) 로부터 작동유가 컨트롤 밸브 (284) 에 보내진다.
컨트롤 밸브 (284) 는, 도 11 에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장치 (13) 등이 구비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정지를 전환하기 위한 복수의 스풀을 구비한다. 컨트롤 밸브 (284) 는, 파일럿 밸브 (77) 로부터 보내진 작동유를 파일럿 압력으로 하여 스풀이 변위함으로써, 유압 액추에이터를 움직여, 상부 선회체 (12) 의 선회, 및, 작업 장치 (13) 를 사용한 각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박스 본체 (55) 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 (38) 의 상면에 고정된 후술하는 베이스 부재 (60) 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 축 (69) 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퍼레이터가 로크 레버 (56) 를 적절히 조작함으로써, 콘솔 박스 (52) 의 자세를, 도 2 및 도 12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 1 자세 (P1) 와,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자세 (P2) 사이에서 전환할 수 있다.
보닛 (38) 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 콘솔 박스 (52) 의 제 1 자세 (P1) 는, 대략 수평한 자세가 되어 있고, 오퍼레이터가 작업 조작 레버 (65) 를 조작할 때의 통상적인 자세이다. 제 2 자세 (P2) 는, 제 1 자세 (P1) 로부터 후방으로 튀어오른 자세가 되어 있고, 오퍼레이터가 선회 작업차 (1) 에 승강할 때에 콘솔 박스 (52) 를 일시적으로 후상방으로 퇴피시키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콘솔 박스 (52) 를 제 1 자세 (P1) 로부터 제 2 자세 (P2) 로 전환하기 위한 회전 방향은, 닫힘 상태의 보닛 (38) 을 여는 경우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콘솔 박스 (52) 는 후술하는 캠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의 제 1 자세 (P1) 및 제 2 자세 (P2)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당해 자세로부터 콘솔 박스 (52) 가 보닛 (38) 에 대하여 갑자기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을 규제할 수 있다. 이 캠 기구로는, 예를 들어 홈 캠 등의 임의의 캠을 사용할 수 있다.
작업 조작 레버 (65) 및 로크 레버 (56) 는, 박스 본체 (55) 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작업 조작 레버 (65) 는, 콘솔 박스 (52) 의 상부에 배치되고, 비스듬히 전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작업 조작 레버 (65) 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 (13) 의 동작 또는 상부 선회체 (12) 의 선회에 관한 지시를 부여할 수 있다.
로크 레버 (56) 는, 콘솔 박스 (52) 의 정면 하부에 배치되고, 비스듬히 전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로크 레버 (56) 는, 콘솔 박스 (52) 의 자세를 전환하기 위하여 조작된다. 로크 레버 (56) 는, 좌우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해지도록 박스 본체 (55) 에 지지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로크 레버 (56) 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의 캠 기구에 의한 회전의 규제를 해제하여, 제 1 자세 (P1) 및 제 2 자세 (P2) 사이에서 박스 본체 (55) 를 (다시 말하면, 콘솔 박스 (52) 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선회 작업차 (1) 가 구비하는 유압 회로에는, 콘솔 박스 (52) 가 제 2 자세 (P2) 가 되어 있는 경우에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을 무효화하는 로크 기능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2 자세 (P2) 가 되어 있는 콘솔 박스 (52) 의 작업 조작 레버 (65) 에 오퍼레이터의 손 등이 실수로 닿았다고 해도, 거기에 따른 예기치 못한 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로크 기능은, 예를 들어,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에 따라 개폐하는 파일럿 밸브 (77) 에 대하여, 콘솔 박스 (52) 의 제 2 자세 (P2) 를 센서 등으로 검지한 경우에 작동유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선회 작업차 (1) 에 탄 오퍼레이터는, 콘솔 박스 (52) 를 제 1 자세 (P1) 로 하여,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을 실시한다. 한편으로, 오퍼레이터가 선회 작업차 (1) 를 승강하는 경우에는, 콘솔 박스 (52) 를 제 2 자세 (P2) 로 함으로써, 오퍼레이터의 몸에 간섭하지 않도록 퇴피시킬 수 있다.
좌우의 콘솔 박스 (52) 는 서로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고,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대표하여, 운전 좌석 (39) 에 착석한 오퍼레이터로부터 보아 좌측의 콘솔 박스 (52)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은, 제 1 자세 (P1) 의 콘솔 박스 (52) 를 측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고, 도 4 는, 배면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 는, 제 2 자세 (P2) 의 콘솔 박스 (52) 를 측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 부터 도 5 까지에 있어서는, 콘솔 박스 (52) 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박스 본체 (55) 가 쇄선으로 투시적으로 그려져 있다.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솔 박스 (52) 는, 상기의 구성 외에, 주로, 베이스 부재 (60) 와, 지지 축 (69) 과, 메인 아암 (70) 과, 제 1 보강 부재 (71) 와, 제 2 보강 부재 (72) 와, 마운트판 (75) 과, 캠 아암 축 (80) 과, 캠 아암 (81) 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부재 (60) 는, 판상의 부재를 배면에서 보아 대략 U 자 형상으로 굴곡시킨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 (60) 는 좌우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고, 내부 공간의 전방 및 상방이 개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콘솔 박스 (52) 의 구성에서 좌우 방향의 내측이란, 베이스 부재 (60) 의 폭을 2 등분하는 중앙 (좌우 방향 중앙) 에 가까운 측을 의미하고, 외측이란, 상기의 중앙으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베이스 부재 (60) 의 폭 방향 중앙은, 박스 본체 (55) 의 폭 방향 중앙과 실질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베이스 부재 (60) 는, 저판 (64) 과, 제 1 판 (안내 부재) (66) 과, 제 2 판 (67) 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저판 (64) 은, 도 1 에 나타내는 보닛 (38) 의 상면에 대하여, 체결 부재인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판 (66) 은, 저판 (64) 의 좌우 일측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판 (66) 에는 캠 홈 (88)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판 (67) 은, 저판 (64) 의 좌우 타측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판 (67) 의 상단부는, 제 1 판 (66) 의 높이보다 낮게 되어 있다.
베이스 부재 (60) 의 후부에는, 배면판 (63) 이 고정되어 있다. 배면판 (63) 에는, 제 1 지지판 (61) 이 고정되어 있다. 제 1 지지판 (61) 은, 제 2 판 (67) 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판 (66) 과 좌우 방향으로 대면하고 있다.
제 1 판 (66) 과 제 1 지지판 (61) 사이에는, 지지 축 (69) 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 축 (69) 은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고, 그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이 지지 축 (69) 이, 상기 서술한 박스 본체 (55) (나아가, 후술하는 콘솔 회전체) 의 회전축이 되어 있다.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축 (69) 에 있어서 제 1 판 (66) 으로부터 먼 쪽의 단부에는, 메인 아암 (70) 이 고정되어 있다. 메인 아암 (70) 은 측면에서 보아 대체로 역 V 자 형상의 판상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메인 아암 (70) 에 있어서 제 1 판 (66) 측을 향하는 면에는, 강성을 높이기 위한 제 1 보강 부재 (71) 가 고정되어 있다. 제 1 보강 부재 (71) 에는, 전술한 아암 레스트 (57) 가 장착되어 있다.
메인 아암 (70) 과 전술한 제 2 판 (67) 사이는, 탄성 지지 부재로서의 가스 댐퍼 (74)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가스 댐퍼 (74) 는, 신장하는 방향의 탄성력을 메인 아암 (70) 에 작용시킨다. 따라서, 메인 아암 (70) 에는, 지지 축 (69) 을 중심으로 메인 아암 (70) 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다.
메인 아암 (70) 및 제 1 보강 부재 (71) 의 상단부에는, 마운트판 (75) 이 고정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운트판 (75) 에는, 파일럿 밸브 (77) 가 고정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 (77) 의 상부에는, 상기의 작업 조작 레버 (65) 가 배치되어 있다.
선회 작업차 (1) 는, 주행 및 작업을 위한 각종 액추에이터에 대하여 작동유의 공급을 전환하는 컨트롤 밸브 (284) 를 구비한다. 파일럿 밸브 (77) 는, 가요성을 갖는 도시 생략의 배관을 통하여, 컨트롤 밸브 (284) 에 접속되어 있다.
파일럿 밸브 (77) 는, 오퍼레이터가 작업 조작 레버 (65) 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조작하는 데에 따라, 상기의 컨트롤 밸브 (284) 에 대한 파일럿 유압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부 선회체 (12) 의 선회, 버킷 (43) 의 떠내는 동작 등을 실시할 수 있다.
마운트판 (75) 과 메인 아암 (70) 을 접속하도록, 제 2 보강 부재 (72) 가 고정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보강 부재 (72) 에는 제 2 지지판 (62) 이 고정되고, 이 제 2 지지판 (62) 은, 메인 아암 (70) 과 좌우 방향으로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지지판 (62) 은, 제 1 판 (66) 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보강 부재 (71) 에는 지지봉 (95) 이 고정되어 있다. 지지봉 (95) 은, 전술한 제 1 자세 (P1) 에 있어서 제 1 판 (66) 의 좌우 방향 외측에 위로부터 돌아 들어가도록 적절히 절곡되고, 그 선단에, 암나사가 형성된 원기둥 형상의 장착 보스 (98) 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의 장착 보스 (98) 는, 메인 아암 (70) 의 2 개 지점, 및, 제 2 지지판 (62) 의 1 개 지점에도, 동일하게 고정되어 있다. 장착 보스 (98) 는 모두 좌우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각각의 장착 보스 (98) 에, 합성 수지제의 박스 본체 (55) 가, 체결 부재로서의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박스 본체 (55) 는, 상하 분할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로 결합한 상태로 상기 볼트에 의해 장착 보스 (98) 에 고정된다. 박스 본체 (55) 의 하면에는, 베이스 부재 (60) 를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박스 본체 (55) 에는, 작업 조작 레버 (65), 로크 레버 (56) 및 아암 레스트 (57) 의 각각을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적절히 형성되어 있다.
메인 아암 (70) 의 전부 (前部) 와, 제 2 지지판 (62) 사이에는, 캠 아암 축 (80) 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 아암 축 (80) 은 가늘고 긴 원기둥 형상의 부재이고, 그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다. 캠 아암 축 (80) 은, 베이스 부재 (60)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캠 아암 축 (80) 에는, 전술한 로크 레버 (56) 가 고정되어 있다. 로크 레버 (56) 는 만곡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서술한 제 1 자세 (P1) 에 있어서, 그 선단은 비스듬히 위를 향하고 있다.
캠 아암 축 (80) 에 있어서 제 1 판 (66) 에 가까운 측의 단부에는, 캠 아암 (81) 이 고정되어 있다. 캠 아암 (81) 은, 아암 본체 (82) 와, 안내 돌기 (삽입부) (83) 와, 스프링 수용 부재 (중앙측 돌출부) (84) 를 구비한다.
아암 본체 (82) 는, 가늘고 긴 판상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제 1 자세 (P1) 에서는, 아암 본체 (82) 는 캠 아암 축 (80) 으로부터 대체로 후방으로 연장되어, 그 선단부가 베이스 부재 (60) 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아암 본체 (82) 는, 제 1 판 (66) 의 좌우 방향 내측으로 당해 제 1 판 (66) 에 근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아암 본체 (82) 의 판의 두께 방향은, 제 1 판 (66) 의 두께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안내 돌기 (83) 는, 아암 본체 (82) 의 선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 1 판 (66) 에는 캠 홈 (88) 이 관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캠 홈 (88) 에 안내 돌기 (83) 가 삽입되어 있다. 이 캠 홈 (88) 에 의해, 캠 아암 (81) 의 선단을 안내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캠 아암 (81) 과, 제 1 판 (66) 에 의해 로크 캠 (79) 이 구성된다. 이 로크 캠 (79) 은, 제 1 자세 (P1) 및 제 2 자세 (P2) 의 양방에 있어서, 박스 본체 (55) (다시 말하면, 후술하는 콘솔 회전체) 의 회전을 로크할 수 있다.
아암 본체 (82) 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는, 아암 본체 (82) 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돌기 (85)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 (85) 에는, 스프링 수용 부재 (84) 가 고정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 부재 (84) 는, 작은 부재이고, 아암 본체 (82) 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 (즉, 아암 본체 (82) 로부터 안내 돌기 (83) 가 돌출되는 방향과 반대측) 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판 (66) 의 적절한 위치와, 스프링 수용 부재 (84) 사이를 접속하도록,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이 배치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은, 스프링선을 감은 코일 부분의 축선이 좌우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선의 일단은, 좌우 방향 외측을 향하고, 제 1 판 (66) 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삽입된다. 스프링선의 타단은, 좌우 방향 내측을 향하고, 스프링 수용 부재 (84) 에 형성된 작은 구멍에 삽입된다.
캠 홈 (88) 은, 대략 일정한 폭을 가지고 있고, 대략 S 자 형상으로 매끄럽게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 홈 (88) 중 캠 아암 축 (80) 으로부터 먼 쪽은, 하측으로 볼록해지도록 만곡하고, 그 단부는 대략 상향이 되어 있다. 이 단부 근방의 부분이, 캠 홈 (88) 의 제 1 로크부 (91) 가 되어 있다. 한편, 캠 홈 (88) 중 캠 아암 축 (80) 에 가까운 측의 단부는, 대략 직각으로 구부러져, 대략 상향이 되어 있다. 이 구부러진 부분이, 캠 홈 (88) 의 제 2 로크부 (92) 가 되어 있다.
제 2 보강 부재 (72) 에는, 전기 스위치 (94) 가 장착되어 있다. 이 전기 스위치 (94) 는 접촉자를 구비하고, 이 접촉자는, 도 3 에 나타내는 캠 아암 (81) 의 위치에서는 아암 본체 (82) 에 의해 압입된다. 한편, 도 3 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캠 아암 (81) 이 회전하면, 상기의 압입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전기 스위치 (94) 는, 캠 아암 (81) 의 회전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의 콘솔 박스 (52) 는, 이상의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베이스체에 대하여 콘솔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구성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베이스체에는, 베이스 부재 (60) 및 배면판 (63) 등이 포함된다. 콘솔 회전체에는, 작업 조작 레버 (65), 박스 본체 (55), 로크 레버 (56), 아암 레스트 (57), 메인 아암 (70), 제 1 보강 부재 (71), 제 2 보강 부재 (72), 마운트판 (75), 및 제 2 지지판 (62)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스 본체 (55) 의 자세의 변경은, 콘솔 회전체의 자세의 변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이다.
다음으로, 상기의 캠 아암 축 (80) 및 캠 홈 (88) 에 의한 로크 및 로크 해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에는, 박스 본체 (55) 가 제 1 자세 (P1) 가 되어 있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 때, 캠 아암 (81) 의 선단에 위치하는 안내 돌기 (83) 는, 캠 홈 (88) 이 갖는 제 1 로크부 (91) 에 들어가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은, 스프링선의 양단끼리를 확대하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발생시키고, 도 3 의 상태에서는, 이 스프링력은, 캠 아암 (81) 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캠 아암 (81) 은, 안내 돌기 (83) 가 제 1 로크부 (91) 에 들어간 상태로 유지된다.
가스 댐퍼 (74) 는 메인 아암 (70) 을 항상 탄성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 3 의 제 1 자세 (P1) 에 있어서, 콘솔 회전체를 제 2 자세 (P2) 를 향하여 인상하고자 하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나, 캠 아암 (81) 의 안내 돌기 (83) 가 제 1 로크부 (91) 에 걸려 있기 때문에, 콘솔 회전체 (박스 본체 (55)) 가 회전하는 경우는 없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자세 (P1) 에서의 회전 로크가 실현된다.
도 3 의 상태에서는, 전기 스위치 (94) 의 접촉자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캠 아암 (81) 에 의해 압입된다. 이 결과, 솔레노이드 밸브 (264) 가 밸브 열림 제어되고, 파일럿 밸브 (77) 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따라서,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은 유효한 상태가 되어 있다. 작업 조작 레버 (65) 를 포함하는 콘솔 회전체가 제 1 자세 (P1) 로부터 회전하지 않도록 로크되어 있기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작업 조작 레버 (65) 를 손으로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다.
이 도 3 의 상태로부터, 오퍼레이터가 로크 레버 (56) 를 비스듬히 후방으로 인상하도록 조작하면, 먼저 캠 아암 축 (80) 이 회전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캠 아암 (81) 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캠 아암 (81) 의 안내 돌기 (83) 가 제 1 로크부 (91) 를 빠진다. 이 시점에서, 제 1 자세 (P1) 에서의 회전 로크가 해제된다.
안내 돌기 (83) 가 캠 홈 (88) 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의 적절한 타이밍 (예를 들어, 안내 돌기 (83) 가 제 1 로크부 (91) 를 빠지기 직전의 타이밍) 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선의 양단부와, 캠 아암 축 (80) 의 관계에서 지지점의 넘어감이 발생한다. 그 후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력은, 캠 아암 (81) 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캠 아암 (81) 의 안내 돌기 (83) 는, 가스 댐퍼 (74) 의 탄성력에 의한 콘솔 회전체의 인상에 수반하여, 캠 홈 (88) 에 있어서 하방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는 만곡부를 통과하여, 제 2 로크부 (92) 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가스 댐퍼 (74) 의 탄성력은 계속해서 작용하고, 콘솔 회전체가, 지지 축 (69)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솔 회전체의 탄성 지지는 가스 댐퍼 (74) 에 의해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콘솔 회전체의 회전 스트로크의 전체에 걸쳐서, 탄성력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 결과, 오퍼레이터는, 안정적인 보조력을 얻어, 박스 본체 (55) 가 제 1 자세 (P1) 로부터 제 2 자세 (P2) 로 변화하도록 콘솔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캠 홈 (88) 의 적어도 중간부가 매끄러운 만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캠 아암 (81) 등의 움직임이 스무스하여, 콘솔 회전체의 자세의 변경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콘솔 회전체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력으로 캠 아암 (81) 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전기 스위치 (94) 의 접촉자가 캠 아암 (81) 에 의해 압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솔레노이드 밸브 (264) 가 밸브 닫힘 제어되고, 파일럿 밸브 (77) 로의 작동유의 공급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콘솔 박스 (52) 의 제 1 자세 (P1) 로부터 제 2 자세 (P2) 로의 변화에 연동하여,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이 무효화된다.
안내 돌기 (83) 가 제 2 로크부 (92) 에 이를 때까지 콘솔 회전체가 회전하면, 도 5 에 나타내는 제 2 자세 (P2) 가 된다. 도 5 의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력은, 캠 아암 (81) 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캠 아암 (81) 은, 굴곡상의 제 2 로크부 (92) 에 안내 돌기 (83) 가 들어간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콘솔 회전체의 회전 스트로크는, 제 1 보강 부재 (71) 에 형성된 스토퍼 (96) 가 배면판 (63) 의 상단에 접촉함으로써 규제된다.
이 제 2 자세 (P2) 에서,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가 아암 레스트 (57) 를 잡고 제 1 자세 (P1) 측으로 회전시키고자 해도, 안내 돌기 (83) 가 제 2 로크부 (92) 의 굴곡 부분에 걸리기 때문에, 캠 아암 (81) 이 버티는 형태가 되어, 콘솔 회전체 (박스 본체 (55)) 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2 자세 (P2) 에서의 회전 로크가 실현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은 무효가 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선회 작업차 (1) 에 승강하는 오퍼레이터의 몸이 작업 조작 레버 (65) 에 접촉해도, 작업 장치 (13) 등이 움직이는 경우는 없다.
제 2 자세 (P2) 로부터 제 1 자세 (P1) 로 되돌리려면, 도 5 의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로크 레버 (56) 를 비스듬히 전방으로 인하하도록 조작한다. 이 결과,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력에 저항하여 캠 아암 (81) 이 회전하고, 캠 홈 (88) 의 제 2 로크부 (92) 로부터 안내 돌기 (83) 가 빠진다. 이 시점에서, 제 2 자세 (P2) 에서의 로크가 해제된다. 오퍼레이터는, 로크 레버 (56) 를 더욱 인하함으로써, 가스 댐퍼 (7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콘솔 회전체를 회전시킨다. 캠 홈 (88) 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 돌기 (83) 가, 하방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는 만곡부의 하단 위치를 통과한 후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상기의 지지점의 넘어감이 발생하여,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력은, 캠 아암 (81) 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결과, 안내 돌기 (83) 는 제 1 로크부 (91) 로 이동한다. 이상에 의해, 박스 본체 (55) 를 제 1 자세 (P1) 로 되돌려 다시 로크할 수 있다. 또한, 캠 아암 (81) 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전기 스위치 (94) 의 접촉자가 캠 아암 (81) 에 의해 압입되기 때문에,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이 유효화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장 스프링 등이 아니라,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에 의해 로크 레버 (56) 를 탄성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코일 부분의 큰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 탄성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콘솔 박스 (52) 의 컴팩트한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특히, 제 1 판 (66) 보다 콘솔 박스 (52) 의 좌우 중앙측에 위치하는 공간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파일럿 밸브 (77) 에 연결되는 복수의 배관이 배치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서술한 콘솔 회전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배관이 변형되는 것으로부터, 그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마진을 당해 배관의 주위에 확보해야 한다. 또한, 제 1 판 (66) 보다 콘솔 박스 (52) 의 좌우 중앙측에 있어서, 캠 아암 (81) 의 주위에는, 당해 캠 아암 (81) 이 이동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을 사용하는 구성은, 제 1 판 (66) 보다 박스 본체 (55) 의 좌우 중앙에 가까운 측에 스페이스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예를 들어, 이 구성은, 상부 선회체 (12) 의 선회 반경이 제한되어 있는 소형의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 콘솔 박스 (52) 의 좌우 폭을 크게 할 수 없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도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이 갖는 코일 부분은, 캠 홈 (88) 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판 (66) 보다 좌우 방향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코일 부분은, 제 1 판 (66) 과, 스프링 수용 부재 (84) 사이의 좌우 방향의 폭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코일 부분의 중심은, 캠 아암 축 (80) 의 축선과 대략 평행하게 향하고 있다. 코일 부분의 내부에는, 가이드축 등의 부재가 삽입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의해, 스프링선의 양단의 위치의 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 본체 (55) 가 제 1 자세 (P1) 가 되어 있을 때, 제 1 지지판 (61) 과의 접속 지점으로부터 스프링선은 대략 위로 연장되어, 코일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 부재 (84) 와의 접속 지점으로부터도 스프링선은 대략 위로 연장되어, 코일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코일 부분은, 아암 본체 (82) 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은, 아암 본체 (82) 의 상측을 대략 우회하도록 하여, 제 1 판 (66) 과 스프링 수용 부재 (84) 를 접속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 본체 (55) 가 제 2 자세 (P2) 가 되어 있을 때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선은 제 1 지지판 (61) 과의 접속 지점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어, 코일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자세 (P1) 및 제 2 자세 (P2) 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코일 부분이, 스프링선이 제 1 지지판 (61) 에 장착되는 위치보다 상방이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지지판 (61) 에 대하여 스프링선이 하측으로 연장되어 접속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코일 부분과 다른 부재 (예를 들어, 아암 본체 (82) 및 도시 생략의 상기 배관 등) 가 잘 간섭하지 않는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는, 보닛 스위치 (275) 를 구비한다. 보닛 스위치 (275) 는, 선회 프레임 (31) 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 보닛 스위치 (275) 는 접촉자를 구비하고, 보닛 (38) 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는, 보닛 (38) 의 내벽에 고정된 작은 작동 부재에 의해, 접촉자가 압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보닛 스위치 (275) 는, 접촉자가 압입된 상태에서는 접점이 닫히고, 압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점이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닛 스위치 (275) 는, 보닛의 개폐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닛 스위치 (275) 는, 보닛 (38) 의 개폐에 관한 검출 결과를 솔레노이드 밸브 (264) 에 출력한다.
전기 스위치 (94)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콘솔 박스 (52) 의 각각이 구비하는 박스 본체 (55) 의 내부에 있어서, 적절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각각의 전기 스위치 (94) 는 접촉자를 구비하고, 콘솔 박스 (52) 가 상기의 제 1 자세 (P1) 에 있을 때에는, 적절한 부재 (예를 들어, 전술한 캠 아암 (81)) 에 의해 접촉자가 압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기 스위치 (94) 는, 접촉자가 압입된 상태에서는 접점이 닫히고, 압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접점이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기 스위치 (94) 는, 콘솔 박스 (52) 의 자세를 검출할 수 있다. 좌우의 전기 스위치 (94) 의 각각은, 솔레노이드 밸브 (26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콘솔 박스 (52) 의 자세에 관한 검출 결과를 솔레노이드 밸브 (264) 에 출력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264) 는, 좌우의 전기 스위치 (94) 및 보닛 스위치 (275) 모두에 대하여 접점이 닫혀 있는 경우에는, 밸브 열림 상태가 된다. 한편, 좌우의 전기 스위치 (94) 및 보닛 스위치 (275) 중 적어도 어느 것에 대하여 접점이 열려 있는 경우에는, 밸브 닫힘 상태가 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 (264) 는, 좌우의 콘솔 박스 (52) 가 모두 제 1 자세 (P1) 이고, 또한, 보닛 (38) 이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파일럿 밸브 (77) 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작업 조작 레버 (65) 에 의한 작업 장치 (13) 등의 조작을 유효로 한다. 한편, 상기 이외의 경우에는, 파일럿 밸브 (77) 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을 차단하여, 작업 조작 레버 (65) 에 의한 작업 장치 (13) 등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
도 1 및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 (31) 의 후부에는, 선회 작업차 (1) 의 전도시에 오퍼레이터의 주위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안전 프레임 (안전 장치) (266) 이 고정되어 있다. 단, 도 10 에서는, 보닛 (38) 의 내부의 구조를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안전 프레임 (266) 은 쇄선으로 투시적으로 그려져 있다.
이 안전 프레임 (266) 은 2 기둥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정면에서 보아 역 U 자 형상이 되어 있다. 안전 프레임 (266) 은, 2 개의 지주 (270) 와, 제 1 연결부 (271) 와, 제 2 연결부 (규제부) (272) 를 구비한다.
지주 (270) 는, 각각이 대체로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긴 부재로서 구성되고, 상부 선회체 (12) 에 좌우 1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지주 (270) 의 하부는, 엔진 (33) 의 후방측이고 선회 프레임 (31) 의 좌우 비스듬히 뒤의 부분에 고정된다. 2 개의 지주 (270) 는, 상부 선회체 (12) 의 좌우 방향으로 서로 충분한 간격을 두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보닛 (38) 의 개폐 및 콘솔 박스 (52) 의 자세 전환에 있어서 지주 (270) 가 방해가 되는 경우는 없다.
제 1 연결부 (271) 는,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1 연결부 (271) 는, 좌우의 지주 (270) 의 상단끼리를 연결하도록, 당해 지주 (270) 에 대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연결부 (272) 는, 대체로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제 2 연결부 (272) 는, 제 1 연결부 (271) 보다 낮은 위치에서, 좌우의 지주 (270) 끼리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연결부 (272) 는, 길이 방향 중간부로부터 양단부 (즉, 지주 (270) 에의 접속 지점) 에 가까워짐에 따라 전방이 되도록, 구부러진 부분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제 2 연결부 (272) 의 배치에 대하여, 도 12 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2 에는, 콘솔 박스 (52) 를 회전시켰을 때에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선단이 그리는 원호상의 궤적을 생각했을 때에, 이 궤적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으로 제 2 연결부 (272) 를 자른 단면이, 해칭으로 나타나 있다.
즉,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 (38) 의 회전축 (245c) 과 제 1 자세 (P1) 에 있어서의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회전축 (245c) 을 중심으로 하는 제 1 가상 원 (C1) 을 생각한다. 또한, 상기의 회전축 (245c) 과 제 2 자세 (P2) 에 있어서의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회전축 (245c) 을 중심으로 하는 제 2 가상 원 (C2) 을 생각한다. 이 때, 제 2 연결부 (272) 는, 제 1 가상 원 (C1) 의 내측, 그리고, 제 2 가상 원 (C2) 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솔 박스 (52) 의 회전 중심인 지지 축 (69) 과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보닛 (38) 이 닫힌 상태에서의 지지 축 (69) 을 중심으로 하는 제 3 가상 원 (C3) 을 생각한다. 이 때, 제 2 연결부 (272) 는, 제 3 가상 원 (C3) 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연결부 (272) (구체적으로는, 도 12 에서 해칭에 의해 나타낸 부분) 를 배치함으로써,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콘솔 박스 (52) 가 제 1 자세 (P1) 의 상태에서는, 보닛 (38) 을 회전시키고자 해도, 작업 조작 레버 (65) 가 제 2 연결부 (272) 에 간섭하기 때문에, 보닛 (38) 을 열 수 없다. 단, 보닛 (38) 을 닫은 상태에서는, 콘솔 박스 (52) 를 제 1 자세 (P1) 로부터 제 2 자세 (P2) 로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콘솔 박스 (52) 를 제 2 자세 (P2) 로 전환해 두면, 이 상태에서 보닛 (38) 을 회전시키면,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상단이 제 2 연결부 (272) 보다 보닛 (38) 의 회전축 (245c) 의 근처를 통과하기 때문에, 도 12 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 (38) 을 열 수 있다.
다음으로, 보닛 (38) 의 개폐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닫은 상태의 보닛 (38) 을 여는 작업을 설명한다. 오퍼레이터는, 좌우의 콘솔 박스 (52) 의 각각에 대하여, 로크 레버 (56) 를 조작하여 콘솔 박스 (52) 를 제 1 자세 (P1) 로부터 제 2 자세 (P2) 로 전환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이 작업의 결과, 콘솔 박스 (52) 가 제 2 자세 (P2) 가 된 것이 전기 스위치 (94) 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 밸브 (264) 는 밸브 닫힘되고, 좌우의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이 무효화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엔진 (33) 이 가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보닛 (38) 을 열고 있는 도중에 작업 조작 레버 (65) 에 예기치 않게 접촉한 경우에도, 이 접촉에 수반하여 작업 장치 (13) 등이 움직이게 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때문에, 보닛 (38) 을 안심하고 열 수 있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보닛 (38) 의 적절한 지점에 손을 걸쳐 후상방으로 회전시킨다. 최종적으로, 보닛 (38) 은, 도 12 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앞열림상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보닛 (38) 의 내부 (예를 들어, 엔진 (33)) 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좌우의 콘솔 박스 (52)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제 1 자세 (P1) 이면, 보닛 (38) 을 열고자 해도, 작업 조작 레버 (65) 가 제 2 연결부 (272) 와 간섭하기 때문에, 열 수 없다. 따라서, 좌우 양방의 콘솔 박스 (52) 를 제 2 자세 (P2) 로 하고 나서 보닛 (38) 을 여는 올바른 순서로의 작업을 유도시킬 수 있다.
또한, 콘솔 박스 (52) 가 제 1 자세 (P1) 의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실수로 보닛 (38) 을 연 결과, 작업 조작 레버 (65) 가 제 2 연결부 (272) 에 닿아, 파일럿 밸브 (77) 가 동작하게 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닛 (38) 을 열기 위해서 회전시키는 스트로크의 초기에, 보닛 스위치 (275) 가 보닛 (38) 의 열림 상태를 검지하여 접점을 열기 때문에, 그 시점에서 솔레노이드 밸브 (264) 는 밸브 닫힘 상태로 전환되어 있다. 이 결과,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은, 작업 조작 레버 (65) 가 제 2 연결부 (272) 에 닿기 전의 시점에서 무효화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장치 (13) 등이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린 상태의 보닛 (38) 을 닫는 작업은, 상기와 반대로 실시하면 된다. 오퍼레이터는 먼저 보닛 (38) 을 닫는데, 이 때문에 보닛 (38) 을 회전시키는 스트로크의 전역에 걸쳐서, 콘솔 박스 (52) 는 제 2 자세 (P2) 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 조작 레버 (65) 에 접촉해도 작업 장치 (13) 가 움직이게 되는 경우는 없다. 보닛 (38) 을 완전하게 닫기 직전에, 보닛 스위치 (275) 가 보닛 (38) 의 닫힘 상태를 검지하여 접점을 닫는다. 보닛 (38) 을 닫은 후, 오퍼레이터는, 좌우의 콘솔 박스 (52) 를 제 2 자세 (P2) 로부터 제 1 자세 (P1) 로 전환한다. 이 과정에서, 좌우의 전기 스위치 (94) 가 제 1 자세 (P1) 를 검지하여 접점을 닫는다. 이 결과,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이 솔레노이드 밸브 (264) 에 의해 유효화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는, 보닛 (38) 이 열려 엔진 (33) 이 가동하고 있는 상태여도,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이 무효화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선회체 (12) 가 선회하거나 작업 장치 (13) 이 동작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메인터넌스 작업을 안심하고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안전 프레임 (266) 의 제 2 연결부 (272) 에 의해, 콘솔 박스 (52) 가 제 2 자세 (P2) 로 되어 있지 않으면, 보닛 (38) 을 개폐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에 대하여, 보닛 (38) 의 개폐를 위한 순서를 확실하게 지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2 연결부 (272) 는, 길이 방향 중간부로부터 지주 (270) 로의 접속 지점 (즉, 좌우 양측의 단부) 에 가까워짐에 따라 전방이 되도록 구부러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운전 좌석 (39) 에 앉는 오퍼레이터가 답답해지지 않는 것과 같은 제 2 연결부 (272) 의 배치를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거주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를 주로 참조하여, 보닛 (38) 의 개폐를 위해서 사용되는 2 개의 손잡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 는, 제 1 실시형태의 로크 해제 핸들 (371) 및 벨트 (372) 를 전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보닛 (38) 에는, 당해 보닛 (38) 을 닫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로크 기구 (380) 가 설치되어 있다. 이 로크 기구 (380) 는, 보닛 (38) 의 전면 하부에 배치된 로크 해제 핸들 (제 1 손잡이) (371) 을 구비한다.
로크 기구 (380) 는, 상기의 로크 해제 핸들 (371) 외에, 지지 보스 (385) 와, 걸림 플레이트 (386) 와, 비틀림 코일 스프링 (387) 을 구비한다. 또한, 로크 기구 (380) 의 설명에 있어서, 왼쪽 및 오른쪽이란, 운전 좌석에 앉은 오퍼레이터가 보아 왼쪽 및 오른쪽을 의미한다.
지지 보스 (385) 는, 원통상의 부재이고, 보닛 (38) 의 내벽에 브래킷 (388) 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지지 보스 (385) 의 축공은 대략 전후 방향을 향하고 있고, 이 축공에, L 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로크 해제 핸들 (371) 의 근원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로크 해제 핸들 (371) 은, 지지 보스 (385) 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보닛 (38) 에 형성된 도시 생략의 관통공을 통과한 후, 좌측으로 대략 90°구부러져 있다. 이 구부러진 부분의 선단에는, 조작을 위한 그립부가 고정되어 있다.
걸림 플레이트 (386) 는, 판상의 부재로서, 보닛 (38) 의 내측으로, 로크 해제 핸들 (371) 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걸림 플레이트 (386) 는 로크 해제 핸들 (371) 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걸림 플레이트 (386) 에 있어서, 그 회전 중심보다 하방의 위치에는, 걸림 홈 (386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홈 (386a) 은,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홈으로서 형성되고, 우측의 단부가 개구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 (31) 측의 적절한 부재에는, 가늘고 긴 로크 봉 (389) 이 고정되어 있다. 로크 봉 (389) 은 선회 프레임 (31) 으로부터 대체로 위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단부가 갈고리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걸림 홈 (386a) 에는, 로크 봉 (389) 의 선단부를 삽입할 수 있다.
걸림 홈 (386a) 의 하방에 있어서, 걸림 플레이트 (386) 에는 경사 안내부 (386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 안내부 (386b) 는, 로크 봉 (389) 의 선단에 의해 눌리는 것에 의해, 걸림 플레이트 (386) 를 회전시킬 수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387) 은, 브래킷 (388) 과, 걸림 플레이트 (386) 를 접속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387) 은 탄성 지지 부재로서 기능하고, 걸림 플레이트 (386) 에 대하여, 정면에서 보아 시계 회전 방향, 다시 말하면, 걸림 홈 (386a) 이 로크 봉 (389) 의 선단에 서로 맞물리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작용시킨다.
이 구성에서, 오퍼레이터가 보닛 (38) 을 닫은 상태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387) 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 플레이트 (386) 의 걸림 홈 (386a) 이 로크 봉 (389) 에 서로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상태가 되고, 예를 들어 후술하는 벨트 (372) 를 오퍼레이터가 잡고 인상하고자 해도, 보닛 (38) 이 열리는 경우는 없다.
오퍼레이터가 로크 해제 핸들 (371) 을 잡고 상측으로 인상하고, 지지 보스 (385) 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 (387)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걸림 플레이트 (386) 가 정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걸림 홈 (386a) 과 로크 봉 (389) 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결과, 로크가 해제되고, 보닛 (38) 을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로크 해제 핸들 (371) 의 회전 스트로크는, 걸림 플레이트 (386) 의 적절한 부위가 브래킷 (388) 에 닿음으로써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로크 해제 핸들 (371) 을 상한까지 인상한 후에는, 오퍼레이터가 로크 해제 핸들 (371) 에 가하는 인상력은, 보닛 (38) 자체를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로크 해제 핸들 (371) 은, 보닛 (38) 을 인상하여 회전시키기 위해서 오퍼레이터가 잡는 손잡이로서의 기능도 갖는다. 따라서, 보닛 (38) 의 로크 해제와 개방 동작을 원 액션으로 실시할 수 있다.
열린 상태의 보닛 (38) 을 닫을 때에는, 보닛 (38) 이 완전하게 닫히기 직전에, 로크 봉 (389) 의 선단부가 경사 안내부 (386b) 에 닿아, 걸림 플레이트 (386) 가 비틀림 코일 스프링 (387)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회전한다. 보닛 (38) 이 완전하게 닫힐 때에는, 로크 봉 (389) 은 걸림 홈 (386a) 에 들어가, 자동적으로 상기의 로크 상태로 돌아간다.
다음으로, 운전 좌석의 전부 (前部) 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벨트 (제 2 손잡이) (372) 에 대하여 설명한다.
운전 좌석 (39) 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지지 부재 (361) 와, 후측 지지 부재 (362) 를 사용하여, 보닛 (38) 의 상방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결과, 운전 좌석 (39) 과, 보닛 (38) 의 상면 사이에는, 상하 방향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전측 지지 부재 (361) 는, 금속의 판을 절곡하여 구성되고, 정면에서 보아 폭넓은 대략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앙의 저판 부분은, 좌우 1 쌍의 볼트 (고정 부재) (363) 를 사용하여, 보닛 (38) 의 상면 중 전부 (前部) 그리고 좌우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좌우의 측판에는, 운전 좌석 (39) 의 하면에 고정된 대략 역 U 자 형상의 브래킷 (364) 을, 지지점 축 (365) 을 통하여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후측 지지 부재 (362) 는, 원기둥 형상의 방진 고무를 갖고, 보닛 (38) 의 상면 중 후부에 좌우 1 쌍으로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후측 지지 부재 (362) 의 상단부에, 운전 좌석 (39) 의 하면을 장착할 수 있다.
벨트 (372) 는, 가늘고 긴 띠상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그 양단에는, 보닛 (38) 에 고정시키기 위한 버클부가 고정되어 있다. 버클부는,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합성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전술한 볼트 (363) 에 의해, 전측 지지 부재 (361) 와 함께 보닛 (38) 에 고정된다.
벨트 (372) 의 길이 방향 중간 부분은,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소재로 하여 구성되어 있고,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벨트 (372) 의 길이는, 그 양단의 장착 지점 (즉, 볼트 (363)) 의 간격보다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느슨함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벨트 (372) 의 중간 부분은, 운전 좌석 (39) 의 전단으로부터 약간 전측으로 돌출되면서, 전하방으로 처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벨트 (372) 는 용이하게 변형되기 때문에, 선회 작업차 (1) 에 승강하는 오퍼레이터에게 벨트 (372) 가 닿았다고 해도 방해가 잘 되지 않는다. 단, 벨트 (372) 를 운전 좌석 (39) 의 하방에서 후방으로 압입함으로써, 보닛 (38) 과 운전 좌석 (39) 사이의 공간에 수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보닛 (38) 을 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도 15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 는, 보닛 스테이 (48) 의 기능을 설명하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 (12) 에 있어서 보닛 (38) 에 의해 덮이는 공간의 내부에는, 스테이 지지 부재 (346) 가 고정되어 있다. 이 스테이 지지 부재 (346) 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두께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한편, 보닛 (38) 의 내벽에 있어서의 적절한 위치에는, 가이드 부재 (47) 가 고정되어 있다. 이 가이드 부재 (47) 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관통상의 가이드 홈 (47a) 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 (47a) 의 일측의 단부는, 짧게 절곡되어 있다.
스테이 지지 부재 (346) 의 후상부에는, 봉상으로 형성된 보닛 스테이 (48) 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닛 스테이 (48) 의 타단은, 가이드 부재 (47) 에 형성된 가이드 홈 (47a) 에 삽입되어, 이 가이드 홈 (47a) 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다.
이 구성에서, 오퍼레이터가 보닛 (38) 을 열고자 하는 경우, 사전의 준비로서, 도 13 등에 나타내는 좌우의 콘솔 박스 (52) 에 대하여 로크 레버 (56) 를 조작하고, 2 개의 콘솔 박스 (52) 의 양방을 후방으로 튀어오른 제 2 자세 (P2) 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이 무효화된다.
계속해서, 오퍼레이터는, 일방의 손으로 로크 해제 핸들 (371) 을 잡고, 반대의 손으로 벨트 (372) 를 잡은 상태에서, 양손으로 인상한다. 벨트 (372) 는 변형 가능하기 때문에, 손이 큰 사람은 물론, 작은 사람이어도 확실히 쥐고 잡을 수 있다. 로크 해제 핸들 (371) 에 상향의 조작력이 가해짐으로써 로크 기구 (380) 의 로크가 해제되고, 그 후, 보닛 (38) 은 회전축 (245c) 을 중심으로 하여 후상방으로 회전한다. 힘을 로크 해제 핸들 (371) 과 벨트 (372) 의 2 개 지점에서 보닛 (38) 에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양팔의 힘을 안정적으로 가할 수 있고, 토션 바 등의 탄성 지지 장치 (보조 장치) 가 없어도 보닛 (38) 의 회전은 스무스하다.
보닛 (38) 의 회전에 수반하여, 보닛 스테이 (48) 가 회전함과 함께, 그 선단이 가이드 홈 (47a) 을 따라 이동한다. 소정의 각도까지 보닛 (38) 을 회전시키면, 도 15 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 스테이 (48) 의 선단이 가이드 홈 (47a) 의 굴곡 부분에 들어간 상태가 되고, 후방으로 넘어지려고 하는 보닛 (38) 을 보닛 스테이 (48) 가 잡아 당겨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어 메인터넌스 작업시에 있어서 실수로 보닛 (38) 을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도, 가이드 홈 (47a) 의 굴곡부에 접속하는 짧은 홈에 보닛 스테이 (48) 의 선단이 들어가기 때문에, 이 짧은 홈의 단부에서 보닛 스테이 (48) 가 버티어, 보닛 (38) 이 갑자기 닫히는 것은 방지된다.
도 15 의 쇄선과 같이 열린 상태로부터 보닛 (38) 을 닫으려면, 보닛 스테이 (48) 를 손으로 조금 위로 당겨, 그 선단이 가이드 홈 (47a) 에 있어서 상기의 짧은 홈으로부터 빠지도록 한 후, 로크 해제 핸들 (371) 과 벨트 (372) 를 잡고, 보닛 (38) 을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손을 걸치는 지점이 보닛 (38) 에 2 개 지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양손으로 보닛 (38) 의 개폐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소형의 선회 작업차에 있어서, 보닛 (38) 의 내부에 토션 바 등을 형성하는 것이 스페이스의 사정으로 인해 곤란해도, 본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는, 콘솔 박스 (52) 를 구비한다. 콘솔 박스 (52) 는, 박스 본체 (55) 와, 작업 조작 레버 (65) 와, 로크 레버 (56) 와, 가스 댐퍼 (74) 와, 로크 캠 (79) 을 구비한다. 박스 본체 (55) 는, 제 1 자세 (P1) 및 상기 제 1 자세 (P1) 로부터 튀어오른 제 2 자세 (P2)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다. 작업 조작 레버 (65) 는, 박스 본체 (55) 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로크 레버 (56) 는, 박스 본체 (55) 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회전 가능하다. 가스 댐퍼 (74) 는, 박스 본체 (55) 를 제 2 자세 (P2) 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로크 캠 (79) 은, 제 1 자세 (P1) 및 제 2 자세 (P2) 의 양방에 있어서 박스 본체 (55) 의 회전을 로크한다. 로크 캠 (79) 은, 제 1 판 (66) 과, 캠 아암 (81) 을 구비한다. 제 1 판 (66) 에는, 캠 홈 (88) 이 형성된다. 캠 아암 (81) 은, 로크 레버 (56) 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캠 아암 (81) 은, 캠 홈 (88) 에 삽입되는 안내 돌기 (83) 를 구비한다. 캠 아암 (81) 과 제 1 판 (66) 을 접속하도록, 캠 아암 축 (80) 을 탄성 지지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이 배치된다. 캠 아암 (81) 은, 안내 돌기 (83) 가 캠 홈 (88) 을 따라 이동하는 도중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방향을 반전시킨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코일 부분은, 제 1 판 (66) 보다, 박스 본체 (55) 의 좌우 중앙에 가까운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 자체의 크기를 억제하면서 큰 스트로크를 실현할 수 있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을 이용함으로써, 박스 본체 (55) 의 내부의 스페이스, 특히, 제 1 판 (66) 보다 박스 본체 (55) 의 좌우 중앙측에 있는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콘솔 박스 (52) 의 컴팩트화가 용이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 캠 아암 (81) 은, 판상의 아암 본체 (82) 와, 스프링 수용 부재 (84) 를 구비한다. 아암 본체 (82) 는, 제 1 판 (66) 보다 박스 본체 (55) 의 좌우 중앙에 가까운 측에 배치된다. 스프링 수용 부재 (84) 는, 아암 본체 (82) 로부터 박스 본체 (55) 의 좌우 중앙에 가까운 측으로 돌출된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스프링선의 일단이 제 1 판 (66) 에 장착되고, 타단이 스프링 수용 부재 (84) 에 장착된다.
이에 의해, 캠 아암 (81) 의 아암 본체 (82) 를 제 1 판 (66) 에 근접시켜, 박스 본체 (55) 의 내부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함과 동시에, 스페이스 절약성이 높은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에 의해 캠 아암 (81) 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 박스 본체 (55) 가 제 1 자세 (P1) 에 있을 때 및 제 2 자세 (P2) 에 있을 때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코일 부분이, 스프링선이 제 1 판 (66) 에 장착되는 위치보다 상방에 있다.
이에 의해, 제 1 판 (66) 에 대하여 스프링선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접속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박스 본체 (55) 내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의 코일 부분이 다른 부품과 잘 간섭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컴팩트한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 박스 본체 (55) 를 제 2 자세 (P2) 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부재는, 가스 댐퍼 (74) 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 정수를 작게 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박스 본체 (55) 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력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박스 본체 (55) 의 자세의 스무스한 변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 캠 홈 (88) 은 매끄러운 만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캠 (79) 의 동작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는, 작업 조작 레버 (65) 와, 조종 박스 (152) 와,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구비한다. 작업 조작 레버 (65) 는, 운전 좌석의 좌우 양측의 각각에 배치된다. 조종 박스 (152) 는, 운전 좌석 (39) 의 전방의 플로어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는, 오퍼레이터가 주행 속도단을 전환하기 위해서 조작된다. 당해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는, 조종 박스 (152) 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운전 좌석 (39) 에 앉는 오퍼레이터가 시인 가능한 위치에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형성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고속도단/저속도단의 조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운전 좌석 (39) 의 전방에 있는 조종 박스 (152) 에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배치함으로서, 오퍼레이터는 좌우 어느 손으로도 주행 속도단의 전환 조작이 가능하여, 조작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는, 조종 박스 (152) 에,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58) 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주행 속도단의 전환 상태의 시인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는, 조종 박스 (152) 에 배치된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를 구비한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는, 조종 박스 (152) 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오퍼레이터가,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를 일방의 손으로 조작하면서, 반대측의 손으로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를 조작할 수 있다. 즉, 양손 조작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는, 어태치먼트 작업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포트 (181) 및 제 2 포트 (182) 와,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을 구비한다.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은, 오퍼레이터가 어태치먼트 작업기를 발로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을 중립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조작하면, 제 1 포트 (181) 에 작동유가 공급되고, 반대측으로 조작하면, 제 2 포트 (182) 에 작동유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어태치먼트 작업기가 복동식의 어태치먼트 실린더 (90) 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당해 어태치먼트 실린더 (90) 를,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을 일측/타측으로 밟는 것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직감적으로 알기 쉬운 조작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는, 보닛 (38) 과, 콘솔 박스 (52) 와, 솔레노이드 밸브 (264) 와, 안전 프레임 (266) 을 구비한다. 보닛 (38) 은, 엔진 (33) 의 후방에 배치된 회전축 (245c)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엔진 (33) 을 덮고, 개폐 가능하다. 콘솔 박스 (52) 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작업 조작 레버 (65) 를 갖고, 보닛 (38) 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보닛 (38) 을 여는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자세 (P1) 로부터 제 2 자세 (P2) 로 전환 가능하고,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2 자세 (P2) 로부터 제 1 자세 (P1) 로 전환 가능하다. 솔레노이드 밸브 (264) 는, 콘솔 박스 (52) 가 제 1 자세 (P1) 이고, 또한, 보닛 (38) 이 닫힘 상태일 때에는,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을 유효로 하고, 그 이외일 때에는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을 무효로 한다. 안전 프레임 (266) 은, 콘솔 박스 (52) 가 제 1 자세 (P1) 일 때에는 보닛 (38) 의 개폐를 저지하고, 제 2 자세 (P2) 일 때에는 보닛 (38) 의 개폐를 허용한다.
이에 의해, 콘솔 박스 (52) 를 제 2 자세 (P2) 로 한 상태에서 보닛 (38) 을 여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수반하여 엔진 (33) 등의 메인터넌스를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닛 (38) 이 열림 상태일 때, 또는, 콘솔 박스 (52) 가 제 2 자세 (P2) 일 때에는, 솔레노이드 밸브 (264) 에 의해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조작이 무효화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엔진 (33) 을 가동시킨 상태에서 보닛 (38) 을 개방하여 유압 회로의 메인터넌스 등을 실시하는 경우에, 예기치 않게 작업 조작 레버 (65) 에 접촉한 경우에도, 거기에 따른 동작이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전 프레임 (266) 에 의해, 보닛 (38) 의 개폐시에 콘솔 박스 (52) 가 제 2 자세 (P2) 가 되어 있는 것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닛 (38) 의 개폐시에 작업 조작 레버 (65) 에 접촉하게 되는 것에 의한 선회 작업차 (1) 의 동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는, 운전 좌석 (39) 을 구비한다. 안전 프레임 (266) 은, 지주 (270) 와, 제 2 연결부 (272) 를 구비한다. 지주 (270) 는, 운전 좌석 (39) 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1 쌍으로 배치된다. 제 2 연결부 (272) 는, 지주 (270) 를 서로 접속한다. 보닛 (38) 의 회전 중심 (지지 축 (69)) 과 제 1 자세 (P1) 에 있어서의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보닛 (38) 의 회전 중심 (회전축 (245c)) 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을 제 1 가상 원 (C1) 으로 한다. 회전축 (245c) 과 제 2 자세 (P2) 에 있어서의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회전축 (245c) 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을 제 2 가상 원 (C2) 으로 한다. 이 때, 제 2 연결부 (272) 의 전부가, 제 1 가상 원 (C1) 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제 2 연결부 (272) 의 전부가, 제 2 가상 원 (C2) 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콘솔 박스 (52) 가 제 1 자세 (P1) 일 때에는, 작업 조작 레버 (65) 가 제 2 연결부 (272) 에 닿음으로써 보닛 (38) 의 회전이 저지된다. 그 때문에, 콘솔 박스 (52) 가 제 1 자세 (P1) 인 상태에서 보닛 (38) 이 개폐되는 것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콘솔 박스 (52) 의 회전 중심 (지지 축 (69)) 과 작업 조작 레버 (65) 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보닛 (38) 이 닫힌 상태에서의 지지 축 (69) 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을 제 3 가상 원 (C3) 으로 한다. 이 때, 제 2 연결부 (272) 는, 제 3 가상 원 (C3) 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보닛 (38) 이 닫힌 상태에서는, 콘솔 박스 (52) 의 자세를 전환할 때에 제 2 연결부 (272) 가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보닛 (38) 의 개폐를 위한 일련의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 제 2 연결부 (272) 는, 그 길이 방향 중간부로부터 지주 (270) 로의 접속 지점에 가까워짐에 따라 전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운전 좌석 (39) 에 앉는 오퍼레이터의 주위에 공간을 확보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는, 보닛 (38) 과, 로크 해제 핸들 (371) 과, 벨트 (372) 를 구비한다. 보닛 (38) 은, 엔진 (33) 의 후방에 위치하는 회전축 (245c) 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엔진 (33) 을 덮고, 개폐 가능하다. 로크 해제 핸들 (371) 은, 보닛 (38) 의 전면에 배치된다. 벨트 (372) 는, 로크 해제 핸들 (371) 보다 높은 위치에서 보닛 (38) 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로크 해제 핸들 (371) 과 벨트 (372) 를 한 손씩 잡고, 양손을 사용하여 보닛 (38) 을 개폐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닛 (38) 의 개폐 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보닛 (38) 을 여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토션 바 등을 생략하는 경우에도, 엔진 (33) 등의 메인터넌스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는, 보닛 (38) 의 상면에 장착되는 운전 좌석 (39) 을 구비한다. 벨트 (372) 의 적어도 일부가, 보닛 (38) 과 운전 좌석 (39)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 가능하다.
이에 의해, 벨트 (372) 에 손을 걸칠 필요가 없을 때에, 방해가 되지 않는 장소에 수용해 둘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 벨트 (372) 는,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띠상체이다. 벨트 (372) 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보닛 (38) 에 장착되어 있고, 중간부가, 보닛 (38) 과 운전 좌석 (39)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 가능하다.
이에 의해, 벨트 (372) 를 수납 가능한 간소하고 또한 저가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6 은, 제 2 실시형태의 격납식 핸들 (372x) 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벨트 (372) 대신에 격납식 핸들 (372x) 이 보닛 (38) 에 구비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도 16 에 있어서는, 격납식 핸들 (372x) 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하여, 운전 좌석 (39) 의 주변의 콘솔 박스 (52) 등의 적절한 부재가 보닛 (38) 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그려져 있다.
이 격납식 핸들 (372x) 은, 슬라이드 기구 (390) 를 통하여, 보닛 (38) 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기구 (390) 는, 가이드 브래킷 (395) 과, 1 쌍의 슬라이더 (396) 와, 2 개의 가이드 핀 (397) 을 구비한다.
가이드 브래킷 (395) 은, 단면이 역 U 자 형상인 가늘고 긴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을 향하여, 보닛 (38) 의 상면 중 전부 (前部) 그리고 좌우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브래킷 (395) 의 좌우 양측의 측벽에는, 좌우로 동일한 형상인 관통상의 가이드 홈 (395a)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홈 (395a) 은 옆을 향한 E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홈 (395a) 에는, 하향으로 연장되는 짧은 유지 홈이 등간격으로 3 개 형성되어 있다. 유지 홈은, 가이드 홈 (395a) 의 전단부, 후단부, 및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 (396) 는, 가이드 브래킷 (395) 을 좌우 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3-1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슬라이더 (396) 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그 전단부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C 자 형상으로 형성된 격납식 핸들 (372x) 의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2 개의 가이드 핀 (397) 은, 모두 가는 환봉상의 부재이다. 각각의 가이드 핀 (397) 은, 1 쌍의 슬라이더 (396) 끼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그 길이 방향을 좌우 방향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핀 (397) 은, 가이드 브래킷 (395) 의 양측벽에 형성된 가이드 홈 (395a) 에 삽입되어 있고, 가이드 홈 (395a) 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핀 (397) 은,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서로 평행하게 향하고 있다. 가이드 핀 (397) 끼리의 간격은, 가이드 홈 (395a) 에 형성된 3 개의 유지 홈의 간격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격납식 핸들 (372x) 은, 그 폭이, 전술한 전측 지지 부재 (361) 의 측판 끼리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격납식 핸들 (372x) 은, 그 전단부가 가이드 브래킷 (395) 의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 격납식 핸들 (372x) 을 약간 들어 올리면, 슬라이더 (396) 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 핀 (397) 이 가이드 홈 (395a) 의 유지 홈으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격납식 핸들 (372x) 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격납식 핸들 (372x) 의 전단부가 운전 좌석 (39) 의 전단으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돌출되는 사용 위치와, 대략 전부가 운전 좌석 (39) 의 하방에 수납되는 격납 위치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6 에는, 2 개의 가이드 핀 (397) 이 가이드 홈 (395a) 의 전단부와 중앙부의 유지 홈에 들어가, 격납식 핸들 (372x) 이 사용 위치가 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사용 위치로부터 격납식 핸들 (372x) 을 후방으로 압입함으로써, 상기의 격납 위치로 하여, 선회 작업차 (1) 에 승강하는 오퍼레이터의 방해가 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격납식 핸들 (372x) 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보닛 (38) 과 운전 좌석 (39)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 가능하다.
이에 의해, 격납식 핸들 (372x) 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필요에 따라 수납할 수 있다.
이상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구성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가, 주행 조작 레버 (36L, 36R) 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가, 상부 후면에 배치되어도 된다.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는, 로커 스위치 대신에, 다른 형식의 전기 스위치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램프 (58) 는,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에 내장되는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조종 박스 (152) 의 상면에 있어서 주행 속도단 전환 스위치 (155) 의 근방에 배치되어도 된다.
각각의 조작 부재의 위치는,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력 취출용 페달 (156) 을 조종 박스 (152) 의 우측에 배치해도 된다.
캠 홈 (88) 이 형성되는 제 1 판 (66) 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저판 (64)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부품으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캠 홈 (88) 은, 관통상이 아닌 홈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캠 홈 (88) 은 상기의 형상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캠 아암 (81) 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안내 돌기 (83) 및 스프링 수용 부재 (84) 등을, 캠 아암 (81) 에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제 1 지지판 (61), 캠 아암 (81), 및 비틀림 코일 스프링 (86) 등의 위치 관계가 좌우 반대로 되어 있어도 된다.
콘솔 박스 (52) 는, 좌우 1 쌍이 아니라, 좌우의 어느 일방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제 2 연결부 (272) 모두가 제 1 가상 원 (C1) 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일부만이 제 1 가상 원 (C1) 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변경해도 된다.
보닛 (38) 의 개폐를 검출하는 구성으로는, 보닛 스위치 (275) 대신에, 예를 들어 광 센서, 포텐쇼미터 등의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콘솔 박스 (52) 의 자세를 검출하는 구성으로서도, 전기 스위치 (94) 대신에, 다른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이 컨트롤러가, 보닛 스위치 (275) 및 전기 스위치 (94) 의 개폐를 센서에 의해 검출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264) 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안전 프레임 (266) 에, 추가로 캐노피가 구비되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벨트 (372) 및 격납식 핸들 (372x) 은, 보닛 (38) 의 전방으로부터 손을 걸칠 수 있도록, 전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대신에, 벨트 (372) 또는 격납식 핸들 (372x) 이, 보닛 (38) 으로부터 좌우의 적어도 일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도 된다. 단, 2 개의 손잡이가 모두 (회전축 (245c) 으로부터 먼) 보닛 (38) 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으면, 가벼운 힘으로 보닛 (38) 을 열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해제 핸들 (371) 로서, 전후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봉상의 레버가 이용되어 있다. 그러나, 로크 해제 핸들로서, 예를 들어, 좌우 수평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플랩상의 핸들이 이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핸들을 위로 인상함으로써 보닛 (38) 의 로크 해제가 실시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벨트 (372) 의 버클부에, 예를 들어 오퍼레이터의 손의 크기에 맞추어 벨트 (372) 의 길이를 조정 가능한 조정 기구가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벨트 (372) 대신에, 예를 들어 로프가 이용되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보닛 (38) 의 상면에, 후방으로 압입된 벨트 (372) 를 수납 가능한 패임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보닛 (38) 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 부재와, 보닛 (38) 을 회전시키기 위해서 잡는 손잡이가, 다른 부재여도 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슬라이드 기구 (390) 를, 예를 들어, 원통에 의해 로드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선회 작업차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구성 및 용도의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1 ; 선회 작업차 (작업 차량)
52 ; 콘솔 박스
55 ; 박스 본체
56 ; 로크 레버
66 ; 제 1 판 (안내 부재)
65 ; 작업 조작 레버 (조작 레버)
74 ; 가스 댐퍼 (탄성 지지 부재)
79 ; 로크 캠
81 ; 캠 아암
82 ; 아암 본체
83 ; 안내 돌기 (삽입부)
84 ; 스프링 수용 부재 (중앙측 돌출부)
86 ; 비틀림 코일 스프링
88 ; 캠 홈

Claims (13)

  1. 엔진의 후방에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엔진을 덮는 개폐 가능한 보닛과,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레버를 갖고, 상기 보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보닛을 여는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자세로부터 제 2 자세로 전환 가능하고,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2 자세로부터 상기 제 1 자세로 전환 가능한 콘솔 박스와,
    상기 콘솔 박스가 상기 제 1 자세이고, 또한, 상기 보닛이 닫힘 상태일 때에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을 유효로 하고, 그 이외일 때에는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로크부와,
    상기 콘솔 박스가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는 상기 보닛의 개폐를 저지하고,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는 상기 보닛의 개폐를 허용하는 안전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운전 좌석을 구비하고,
    상기 안전 장치는,
    상기 운전 좌석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1 쌍의 지주와,
    상기 지주를 서로 접속하는 규제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닛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 1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상기 보닛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을 제 1 가상 원으로 하고,
    상기 보닛의 회전 중심과 상기 제 2 자세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상기 보닛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을 제 2 가상 원으로 했을 때에,
    상기 규제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가상 원보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규제부의 전부 (全部) 가, 상기 제 2 가상 원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솔 박스의 회전 중심과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고, 상기 보닛이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콘솔 박스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 원을 제 3 가상 원으로 했을 때에,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3 가상 원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로부터 상기 지주로의 접속 지점에 가까워짐에 따라 전방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전면 (前面) 에 배치되는 제 1 손잡이와,
    상기 제 1 손잡이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보닛에 배치되는 제 2 손잡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의 상면에 장착되는 운전 좌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손잡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닛과 상기 운전 좌석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손잡이는, 가요성을 갖는 가늘고 긴 띠상체이고,
    상기 제 2 손잡이의 길이 방향 양단부가 상기 보닛에 장착되어 있고, 중간부가 상기 공간에 수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손잡이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일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공간에 수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닛을 닫은 상태에서 로크 가능하고, 상기 제 1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로크를 해제 가능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보닛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손잡이를 조작하는 조작력에 의해 로크가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운전 좌석의 좌우 양측의 각각에 배치되고,
    상기 작업 차량은,
    상기 운전 좌석의 전방의 플로어면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조종 박스와,
    오퍼레이터가 주행 속도단을 전환하기 위해서 조작하는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는, 상기 조종 박스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의 조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상기 조종 박스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종 박스에 배치되는 주행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주행 속도단 전환 장치는, 상기 조종 박스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행 레버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어태치먼트 작업기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포트 및 제 2 포트와,
    오퍼레이터가 상기 어태치먼트 작업기를 발로 조작하기 위한 풋 페달을 구비하고,
    상기 풋 페달을 중립 위치로부터 일측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 1 포트에 작동유가 공급되고, 반대측으로 조작하면, 상기 제 2 포트에 작동유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217019745A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KR102359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03580A KR102500122B1 (ko)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76442 2017-09-14
JP2017176442A JP6739413B2 (ja) 2017-09-14 2017-09-14 作業車両
JPJP-P-2017-180259 2017-09-20
JPJP-P-2017-180263 2017-09-20
JP2017180259A JP7094679B2 (ja) 2017-09-20 2017-09-20 作業車両
JPJP-P-2017-180262 2017-09-20
JP2017180262A JP6894334B2 (ja) 2017-09-20 2017-09-20 作業車両
JP2017180263A JP6985078B2 (ja) 2017-09-20 2017-09-20 作業車両
KR1020197022698A KR102271408B1 (ko)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PCT/JP2018/031632 WO2019054165A1 (ja) 2017-09-14 2018-08-28 作業車両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698A Division KR102271408B1 (ko)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580A Division KR102500122B1 (ko)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635A KR20210080635A (ko) 2021-06-30
KR102359400B1 true KR102359400B1 (ko) 2022-02-08

Family

ID=6572272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580A KR102500122B1 (ko)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KR1020217019745A KR102359400B1 (ko)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KR1020197022698A KR102271408B1 (ko)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3580A KR102500122B1 (ko)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2698A KR102271408B1 (ko) 2017-09-14 2018-08-28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74485B1 (ko)
KR (3) KR102500122B1 (ko)
BR (1) BR112020004836A2 (ko)
WO (1) WO2019054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2708B (zh) * 2021-04-07 2023-12-12 雷沃工程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挖掘机扶手箱整套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605A (ja) * 1999-05-24 2000-11-28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安全装置
JP2009030248A (ja) * 2007-07-24 2009-02-12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の運転操作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0994B2 (ja) * 1989-09-30 1998-07-02 井関農機株式会社 小型ショベルカーに於ける油圧操作レバーのロック装置
JP2001342647A (ja) 2000-05-31 2001-12-14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掘削作業車の旋回体上部構造
JP4488329B2 (ja) 2000-12-05 2010-06-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車両の操縦系ロックレバー装置
JP2006274593A (ja) * 2005-03-28 2006-10-12 Kubota Corp 旋回作業機
JP4491623B2 (ja) * 2006-09-11 2010-06-30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操作装置
JP4882098B2 (ja) * 2008-09-22 2012-02-22 ヤンマー建機株式会社 掘削作業車
JP2012057410A (ja) * 2010-09-10 2012-03-22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機械
JP5819760B2 (ja) 2012-03-29 2015-11-24 ヤンマー株式会社 旋回作業車のボンネット開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605A (ja) * 1999-05-24 2000-11-28 Sumitomo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安全装置
JP2009030248A (ja) * 2007-07-24 2009-02-12 Yanmar Co Ltd 旋回作業車の運転操作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20004836A2 (pt) 2020-09-15
EP3674485A1 (en) 2020-07-01
KR102271408B1 (ko) 2021-06-30
EP3674485A4 (en) 2021-06-02
KR20190104370A (ko) 2019-09-09
KR20210080635A (ko) 2021-06-30
WO2019054165A1 (ja) 2019-03-21
KR20220018635A (ko) 2022-02-15
EP3674485B1 (en) 2023-10-04
KR102500122B1 (ko) 202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6643B1 (en) Variable engine speed control
KR100854187B1 (ko) 작업차
US201801193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a zone of operation for a lift arm
JP4494318B2 (ja) 作業機
JP6487316B2 (ja) 建設機械の操作装置
KR102359400B1 (ko) 작업 차량
US9534354B2 (en) Construction machine
JP4494319B2 (ja) 作業機
JP6739413B2 (ja) 作業車両
US20100006789A1 (en) Operating Device for Control Valve
JP6634865B2 (ja) 作業車両
JP2019138005A (ja) 作業車両
JP3532790B2 (ja) 建設機械及びそれに用いるコンソール装置
KR20190108124A (ko) 작업 차량
JP6894334B2 (ja) 作業車両
JP7289897B2 (ja) 作業車両
JP4352420B2 (ja) 田植機の植付部位置制御機構
JP3997028B2 (ja) リバース式作業車の走行レバーの規制機構
JPH1136368A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H0534032Y2 (ko)
JP6985078B2 (ja) 作業車両
JPH1046629A (ja) 建設機械の操作レバー装置
JP2019213565A (ja) 作業車両
KR20070030667A (ko) 작업차의 변속 조작 구조
JPH01106214A (ja) 操作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