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124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124A
KR20190108124A KR1020197023629A KR20197023629A KR20190108124A KR 20190108124 A KR20190108124 A KR 20190108124A KR 1020197023629 A KR1020197023629 A KR 1020197023629A KR 20197023629 A KR20197023629 A KR 20197023629A KR 20190108124 A KR20190108124 A KR 2019010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console
posture
hydraulic hos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8847B1 (ko
Inventor
마사루 시마다
다카시 이케마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572356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10812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04Control mechanisms, e.g. control levers
    • E02F9/2012Setting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levers, e.g. changing assigned functions among operations levers, setting functions dependent on the operator or seat orien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75Hoses and supports therefor and protection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8Cantilever beams, i.e. boo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booms; Dipper-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s, geometry or materials used for dipper-arms; Bucket-arms
    • E02F3/382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 E02F3/384Connections to the frame; Supports for booms or arms the boom being pivotable relative to the frame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보닛 (38) 은, 엔진 (33) 의 후방의 회전축 (71)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회 프레임 (31) 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폐된다. 콘솔 (52) 은, 보닛 (38) 의 상방에 배치된 힌지축 (72)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보닛 (38) 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자세와 제 2 자세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유압 호스 (5L, 5R) 는, 콘솔 (52) 에 접속된다. 콘솔 (52) 은, 제 1 자세일 때에는 조작이 유효가 되고, 제 2 자세일 때에는 조작이 무효화되는 작업 조작 레버 (37) 를 구비한다. 보닛 (38) 을 열기 위한 회전 방향은, 콘솔 (52) 을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전환하기 위한 회전 방향과 동일하다. 유압 호스 (5L, 5R) 가, 회전축 (71) 의 근방 및 힌지축 (72) 의 근방을 지나도록, 또한, 선회 프레임 (31) 의 내벽 및 보닛 (38) 의 내벽을 따라 배치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본 발명은, 콘솔 박스를 구비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운전 좌석의 옆에 콘솔 박스가 배치된 작업 차량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및 2 는, 이 종류의 작업 차량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 의 건설 기계는, 엔진 룸의 상면 및 후면의 양 개구부를 개폐하는 보닛을 구비한다. 보닛은, 전단부에 형성된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 (回動) 한다. 보닛의 상면부의 상면에는, 콘솔 박스가 보닛과 일체로 회동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의 소형 건설 기계는, 본체 커버의 전면 (前面) 상측 가장자리부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박스 커버를 구비한다. 박스 커버에는, 컨트롤 박스가 지지되어 있다. 박스 커버의 이면에는 지주의 일단이 베어링을 통해 장착되고, 이 지주의 타단은, 본체 커버측의 걸림 구멍부에 걸린다. 이 구성으로, 박스 커버를 들어 올리고 당해 지주로 그 후단을 유지시킴으로써, 박스 커버의 이면측에 점검 정비용의 개구를 확보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65582호 일본 특허공보 3610840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구성에서는, 가령 메인터넌스 작업 등에서, 보닛이 열린 상태를 유지하면서 콘솔 박스를 보닛의 후방측을 향하여 회전시킨 경우에, 콘솔 박스의 회전에 수반하여, 보닛이 불시에 닫힐 우려가 있었다.
상기 특허문헌 2 의 구성에서는, 지주로 박스 커버를 들어 올림으로써 형성되는 점검 정비용의 개구의 크기가 부분적이고 또한 한정적이다. 그 때문에, 당해 개구를 통해 수용되는 기기를 효율적으로 메인터넌스하기 위해서는, 메인터넌스가 필요시되는 기기를 당해 개구로부터 노출시키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 즉, 기기의 레이아웃에 제약이 수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 2 의 구성에서, 예를 들어 엔진을 메인터넌스하는 경우에는, 본체 커버의 상부 전부 (全部) 를 개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본체 커버의 천판부 및 좌우의 박스 커버가 서로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커버를 개방하는 것은 손이 많이 가, 효율적으로 메인터넌스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메인터넌스성에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그 목적은, 메인터넌스성이 우수한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의 작업 차량이 제공된다. 즉, 이 작업 차량은, 선회 프레임과, 보닛과, 콘솔과, 유압 호스를 구비한다. 상기 선회 프레임에는, 엔진이 배치된다. 상기 보닛은, 상기 엔진의 후방에 배치된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된다. 상기 콘솔은, 상기 보닛의 상방에 배치된 제 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보닛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자세와 제 2 자세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상기 유압 호스는, 상기 콘솔에 접속된다. 상기 콘솔은,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는 조작이 유효가 되고,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는 조작이 무효가 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한다. 상기 보닛을 열기 위해 회전시키는 방향은, 상기 콘솔을 상기 제 1 자세에서 상기 제 2 자세로 전환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유압 호스가, 상기 제 1 축의 근방 및 상기 제 2 축의 근방을 지나도록, 또한, 상기 선회 프레임의 내벽 및 상기 보닛의 내벽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보닛을 열고 나서 조작 레버의 조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콘솔을 회전시킨 경우에도, 보닛 및 콘솔을 포함한 전체의 무게 중심의 이동 방향이 보닛의 열림측이 되므로, 열린 보닛이 불시에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심하고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유압 호스가 작업의 방해가 되기 어려운 위치에 있으므로, 보닛을 연 상태에서의 메인터넌스성이 양호하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압 호스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선회 프레임 또는 상기 보닛에 고정된다. 상기 보닛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축의 근방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서 상기 유압 호스가 느슨해져 있다.
이로써, 보닛의 회전축인 제 1 축의 근방에 있어서 유압 호스의 연장 여유분을 확보할 수 있어, 유압 호스가 보닛을 잡아당겨 개방 동작의 저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닛을 원활하게 열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상기 유압 호스는, 상기 제 1 축보다 상기 콘솔로부터 먼 측이 하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고, 이 구부러진 부분이 상기 엔진의 근방을 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엔진과 유압 호스의 양방을, 보닛의 내부의 콤팩트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의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엔진은, 출력 풀리와, 팬 풀리와, 벨트를 구비한다. 상기 출력 풀리는, 출력축의 회전이 출력된다. 상기 팬 풀리는, 송풍 팬을 구동한다. 상기 벨트는, 상기 출력 풀리 및 상기 팬 풀리에 감긴다. 상기 유압 호스는, 그 일부가 상기 벨트에 평행한 방향에서 당해 벨트에 근접하고 있다.
이로써, 벨트에 유압 호스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유압 호스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작업 차량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콘솔의 작업 조작 레버에 접속하기 위해 보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압 호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유압 호스를 도 2 와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 4 는, 보닛이 열리고, 또한, 콘솔이 제 2 자세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회 작업차 (1) 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콘솔 (52) 의 작업 조작 레버 (37) 에 접속하기 위해 보닛 (38) 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압 호스 (5L, 5R)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유압 호스 (5L, 5R) 를 도 2 와 다른 방향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보닛 (38) 이 열리고, 또한, 콘솔 (52) 이 제 2 자세로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좌」「우」란, 후술하는 하부 주행체 (11) 의 정면과 상부 선회체 (12) 의 정면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운전 좌석 (39) 에 앉는 오퍼레이터가 본 전후좌우를 의미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작업 차량) (1) 는, 하부 주행체 (11) 와, 상부 선회체 (12) 를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 (11) 는, 좌우 1 쌍으로 배치된 크롤러 주행 장치 (21) 와, 이 크롤러 주행 장치 (21) 를 구동하는 도시되지 않은 유압 모터를 구비한다. 하부 주행체 (11) 는,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 (21) 를 개별적으로 다양한 방향 및 속도로 구동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직진, 스티어링 등의 각종 주행을 실시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 (12) 는, 선회 프레임 (31) 과, 엔진 (33) 과, 유압 펌프 유닛 (34) 과, 보닛 (38) 과, 조종부 (35) 와, 작업 장치 (13) 를 구비한다.
선회 프레임 (31) 은, 하부 주행체 (11) 의 상방에 배치되고, 수직인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부 주행체 (11) 에 지지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 (31) 은, 도시되지 않은 선회 모터의 구동에 의해, 하부 주행체 (11) 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 엔진 (33) 은, 예를 들어 디젤 엔진으로 구성되어 있고, 선회 프레임 (31) 의 후부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 유닛 (34) 은, 엔진 (33) 에 의해 구동되고, 선회 작업차 (1) 의 주행 및 작업에 필요한 유압력을 발생시킨다.
보닛 (38) 은, 엔진 (33) 의 상면 등을 덮어 보호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닛 (38) 의 후부는, 선회 프레임 (31) 의 후부에 배치된 힌지부 (45) 에 의해, 선회 프레임 (31) 과 연결되어 있다.
힌지부 (45) 는, 베이스 부재 (46) 와, 좌우 1 쌍의 브래킷 (47) 을 구비한다. 베이스 부재는, 선회 프레임 (31) 의 후부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된다. 각각의 브래킷 (47) 은, 상하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고, 보닛 (38) 의 후부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보닛 (38) 을 선회 프레임 (31) 에 대하여, 엔진 (33) 의 후방에 있어서 좌우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 (제 1 축) (71) 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보닛 (38) 을 후상방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열림 상태로 하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닫힘 상태로 할 수 있다.
조종부 (35) 는, 다양한 조작 부재를 구비한다. 이 조작 부재에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1 쌍으로 배치되는 주행 조작 레버 (36) 및 작업 조작 레버 (37) 등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작업 조작 레버 (37) 가 조작 레버에 상당한다. 오퍼레이터는, 상기의 조작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각종 지시를 선회 작업차 (1) 에 부여할 수 있다.
작업 장치 (13) 는, 붐 (41) 과, 아암 (42) 과, 버킷 (43) 을 구비한다. 붐 (41), 아암 (42), 및 버킷 (43) 에는 각각 유압 실린더가 연결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를 신축시킴으로써, 버킷 (43) 에 의한 굴삭 등의 각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 (12) 의 상면의 좌우 중앙에는, 오퍼레이터가 앉는 운전 좌석 (39) 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운전 좌석 (39) 을 사이에 두도록, 콘솔 (52) 이 좌우 1 쌍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 도 2 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유압 호스 (5L, 5R) 등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운전 좌석 (39) 및 콘솔 (52) 은 쇄선으로 그려져 있다. 운전 좌석 (39) 및 콘솔 (52) 은, 상부 선회체 (12) 가 구비하는 보닛 (38) 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콘솔 (52) 은 서로 대칭으로 되어 있고,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각각의 콘솔 (52) 은, 상기 서술한 작업 조작 레버 (37) 와, 로크 레버 (56) 를 지지하고 있다.
작업 조작 레버 (37) 는, 콘솔 (52) 의 상부에 배치되고, 비스듬한 전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작업 조작 레버 (37) 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 (13) 의 동작 또는 상부 선회체 (12) 의 선회에 관한 지시를 부여할 수 있다.
작업 조작 레버 (37) 에는, 콘솔 (52) 의 내부에 배치된 리모콘 밸브 (조작 밸브) (62) 가 접속되어 있다. 리모콘 밸브 (62) 는, 1 개의 입력 포트와, 4 개의 출력 포트를 구비한다. 리모콘 밸브 (62) 의 입력 포트는, 유압 펌프 유닛 (34) 이 구비하는 펌프와 후술하는 유압 호스 (5L, 5R) 를 통해 접속된다. 리모콘 밸브 (62) 의 출력 포트는, 상부 선회체 (12) 의 전부 (前部) 에 배치되어 있는 컨트롤 밸브 (84) 와 유압 호스 (5L, 5R) 를 통해 접속된다. 리모콘 밸브 (62) 는, 작업 조작 레버 (37) 를 오퍼레이터가 전후좌우로 조작함에 따라, 입력 포트와 각 출력 포트 사이를 개폐한다. 출력 포트가 열리면, 리모콘 밸브 (62) 로부터 작동유가 컨트롤 밸브 (84) 로 보내진다.
컨트롤 밸브 (84) 는, 작업 장치 (13) 등이 구비하는 유압 액추에이터의 구동/정지를 전환하기 위한 도시 생략한 복수의 스풀을 구비한다. 컨트롤 밸브 (84) 는, 리모콘 밸브 (62) 로부터 보내진 작동유를 파일럿 압력으로 하여 스풀이 변위됨으로써, 유압 액추에이터를 움직이고, 상부 선회체 (12) 의 선회, 및 작업 장치 (13) 를 사용한 각종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로크 레버 (56) 는, 콘솔 (52) 의 정면 하부에 배치되고, 비스듬한 전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로크 레버 (56) 는, 콘솔 (52) 의 자세를 전환하기 위해 조작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콘솔 (52) 은, 그 후부에 배치되는 힌지축 (제 2 축) (72)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로크 레버 (56) 를 조작함으로써, 콘솔 (52) 을, 도 1 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통상의 제 1 자세와, 쇄선으로 나타내는 제 2 자세 사이에서,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환할 수 있다. 제 1 자세는, 오퍼레이터가 작업 조작 레버 (37) 를 조작할 때의 통상의 자세이다. 제 2 자세는, 제 1 자세에서 후상방으로 튀어 올라간 자세로 되어 있고, 오퍼레이터가 선회 작업차 (1) 에 승강할 때에 콘솔 (52) 을 일시적으로 후상방으로 퇴피시키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닫은 상태의 보닛 (38) 을 여는 경우의 회전 방향은, 콘솔 (52) 을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전환하기 위한 회전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보닛 (38) 을 연 상태로 추가로 콘솔 (52) 을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전환하는 경우, 보닛 (38) 과 콘솔 (52) 을 포함한 전체의 무게 중심의 이동 방향은, 보닛 (38) 의 열림측이 된다. 따라서, 보닛 (38) 을 연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선회 작업차 (1) 가 구비하는 유압 회로에는, 콘솔 (52) 이 제 2 자세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작업 조작 레버 (37) 의 조작을 무효로 하는 로크 기능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자세로 되어 있는 콘솔 (52) 의 작업 조작 레버 (37) 에 오퍼레이터의 손 등이 잘못해서 닿았다고 해도, 그에 따른 예측할 수 없는 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로크 기능은, 예를 들어, 상기의 리모콘 밸브 (62) 에 대하여, 콘솔 (52) 의 제 2 자세를 센서 등으로 검지한 경우에 작동유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유압 호스 (5L, 5R) 는, 좌우로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이 가요성을 갖고 있다. 좌우의 유압 호스 (5L, 5R) 의 각각은, 리모콘 밸브 (62) 의 출력 포트에 접속되는 4 개의 호스를 포함하고 있다. 이하, 각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좌측의 유압 호스 (5L) 의 일단은, 좌측의 콘솔 (52) 의 내부에 있어서, 리모콘 밸브 (62) 에 접속되어 있다. 유압 호스 (5L) 는, 리모콘 밸브 (62) 와의 접속 지점으로부터 대략 S 자 형상으로 만곡된 후, 힌지축 (72) 의 근방을 통과한다. 그 후, 유압 호스 (5L) 는, 콘솔 (52) 의 하면에 형성된 도시 생략한 개구, 및 보닛 (38) 의 상면의 좌측 단부에 형성된 도시 생략한 개구를 통과하여, 보닛 (38) 의 내부로 들어간다.
보닛 (38) 에 들어간 유압 호스 (5L) 는 즉시 후방을 향하여 구부러지고, 보닛 (38) 의 천장면을 대략 따라 우측 비스듬한 후방으로 연장된다. 힌지부 (45) 가 설치되어 있는 지점의 근방에서, 유압 호스 (5L) 는 대략 수직으로 구부러지고, 좌측의 브래킷 (47) 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아래로 연장된다. 브래킷 (47) 에는, 환봉상의 부재를 C 자 형상 또는 갈고리상 등으로 구부려서 형성한 유지 부재 (고정 부재) (8) 가 상하로 복수 늘어서 고정되어 있고, 유압 호스 (5L) 는, 이 유지 부재 (8) 의 내부를 통과한다. 또, 이 과정에서, 유압 호스 (5L) 는 회전축 (71) 의 근방을 통과한다.
회전축 (71) 의 하방에 도달한 후, 유압 호스 (5L) 는, 전하방, 또한 좌측에 약간 가까워지도록 연장되고, 엔진 (33) 의 좌하방을 통과한다. 엔진 (33) 의 근방을 통과하는 부분에서는, 유압 호스 (5L) 는, 아래로 볼록해지도록 대체로 V 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이 굽힘 부분 (9) 으로부터, 유압 호스 (5L) 는 대략 전방으로 연장되어, 컨트롤 밸브 (84) 의 좌측 하방의 부분에 도달한다. 그 후, 유압 호스 (5L) 는, 상방향으로 적절히 구부러져, 컨트롤 밸브 (84) 에 접속된다.
우측의 유압 호스 (5R) 의 일단은, 우측의 콘솔 (52) 의 내부에 있어서, 리모콘 밸브 (62) 에 접속되어 있다. 리모콘 밸브 (62) 로부터 힌지부 (45) 의 회전축 (71) 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서술한 좌측의 유압 호스 (5L) 와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회전축 (71) 의 하방에 도달한 후, 유압 호스 (5R)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하방, 또한 우측으로 연장되고, 엔진 (33) 및 유압 펌프 유닛 (34) 의 우하방을 통과한다. 그 후, 유압 호스 (5R) 는 왼쪽으로 연장되고, 또한 앞으로 연장되어, 컨트롤 밸브 (84) 의 좌측 하방의 부분에 도달한다. 그 후, 유압 호스 (5R) 는, 상방향으로 적절히 구부러져, 컨트롤 밸브 (84) 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유압 호스 (5L, 5R) 가 선회 프레임 (31) 의 내벽 및 보닛 (38) 의 내벽을 따르도록 배치됨으로써, 선회 프레임 (31) 과 보닛 (38) 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각종 기기를 당해 공간에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좌우의 유압 호스 (5L, 5R) 는, 그 길이 방향 도중의 복수의 지점이, 결속 밴드 (고정 부재) (7) 에 의해 감기고, 선회 프레임 (31) 또는 보닛 (38) 등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결속 밴드 (7) 는, 브래킷 (47) 이 구비하는 유지 부재 (8) 의 부분에도 고정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과 같이 보닛 (38) 을 닫은 상태에서는, 회전축 (71) 의 근처에 있는 유지 부재 (8) 에서의 고정 지점과, 그 상방 또는 하방에서 가장 가까운 결속 밴드 (7) 에 의한 고정 지점 사이에 있어서, 유압 호스 (5L, 5R) 는 조금 굴곡되어 있고, 느슨함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 부분이 있음으로써, 도 4 와 같이 보닛 (38) 을 개방할 때의 유압 호스 (5L, 5R) 의 연장 여유분을 확보할 수 있어, 유압 호스 (5L, 5R) 가 보닛 (38) 을 잡아당겨 개방 동작의 저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33) 의 좌측에 있어서는, 크랭크축에 출력 풀리 (76) 가 고정되어 있다. 또, 엔진 (33) 의 좌측의 면의 적절한 위치에는, 팬 풀리 (77) 와, 텐션 풀리 (78) 가 배치되어 있다. 출력 풀리 (76), 팬 풀리 (77), 및 텐션 풀리 (78) 에는, 무단상의 벨트 (79) 가 감겨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의 유압 호스 (5L) 에 형성된 상기의 굽힘 부분 (9) 이, 당해 벨트 (79) 중 출력 풀리 (76) 와 텐션 풀리 (78) 사이의 부분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지면서, 벨트 (79) 의 당해 부분에 근접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벨트 (79) 의 휘말림 등을 방지하면서, 엔진 (33) 및 유압 호스 (5L) 를 콤팩트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는, 선회 프레임 (31) 과, 보닛 (38) 과, 콘솔 (52) 을 구비한다. 선회 프레임 (31) 에는, 엔진 (33) 이 배치된다. 보닛 (38) 은, 엔진 (33) 의 후방에 배치된 회전축 (71)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선회 프레임 (31) 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된다. 콘솔 (52) 은, 보닛 (38) 의 상방에 배치된 힌지축 (72) 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보닛 (38) 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자세와 제 2 자세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콘솔 (52) 은, 제 1 자세일 때에는 조작이 유효가 되고, 제 2 자세일 때에는 조작이 무효가 되는 작업 조작 레버 (37) 를 구비한다. 보닛 (38) 을 열기 위해 회전시키는 방향은, 콘솔 (52) 을 제 1 자세에서 제 2 자세로 전환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방향과 동일하다. 콘솔 (52) 에 접속되는 유압 호스 (5L, 5R) 가, 회전축 (71) 의 근방 및 힌지축 (72) 의 근방을 지나도록, 또한, 선회 프레임 (31) 의 내벽 및 보닛 (38) 의 내벽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보닛 (38) 을 열고 나서 작업 조작 레버 (37) 의 조작을 무효로 하기 위해 콘솔 (52) 을 회전시킨 경우에도, 보닛 (38) 과 콘솔 (52) 을 포함한 전체의 무게 중심의 이동 방향이 보닛 (38) 의 열림측이 되므로, 열린 보닛 (38) 이 불시에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심하고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유압 호스 (5L, 5R) 가 작업의 방해가 되기 어려운 위치에 있으므로, 보닛 (38) 을 연 상태에서의 메인터넌스성이 양호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 유압 호스 (5L, 5R) 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 밴드 (7) 또는 유지 부재 (8) 에 의해, 선회 프레임 (31) 또는 보닛 (38) 에 고정된다. 보닛 (38) 을 닫은 상태에서, 회전축 (71) 의 근방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결속 밴드 (7) 또는 유지 부재 (8) 사이에서 유압 호스 (5L, 5R) 가 느슨해져 있다.
이로써, 보닛 (38) 의 회전축 (71) 의 근방에 있어서 유압 호스 (5L, 5R) 의 연장 여유분을 확보할 수 있어, 유압 호스 (5L, 5R) 가 보닛 (38) 을 잡아당겨 개방 동작의 저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닛 (38) 을 원활하게 열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 좌측의 유압 호스 (5L)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 (71) 보다 콘솔 (52) 로부터 먼 측이 하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고, 이 구부러진 부분 (굽힘 부분 (9)) 이 엔진 (33) 의 근방을 지나고 있다.
이로써, 엔진 (33) 과 유압 호스 (5L) 의 양방을, 보닛 (38) 의 내부의 콤팩트한 공간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선회 작업차 (1) 에 있어서, 엔진 (33) 은, 출력 풀리 (76) 와, 팬 풀리 (77) 와, 벨트 (79) 를 구비한다. 출력 풀리 (76) 에는, 출력축의 회전이 출력된다. 팬 풀리 (77) 는, 송풍 팬을 구동한다. 벨트 (79) 는, 출력 풀리 (76) 및 팬 풀리 (77) 에 감긴다. 유압 호스 (5L) 는, 그 일부가 벨트 (79) 에 평행한 방향에서 근접하고 있다.
이로써, 벨트 (79) 에 유압 호스 (5L) 가 접촉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유압 호스 (5L) 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상기의 구성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좌우의 유압 호스 (5L, 5R) 의 각각의 경로는, 회전축 (71) 의 근방 및 힌지축 (72) 의 근방을 통과하고, 선회 프레임 (31) 의 내벽 및 보닛 (38) 의 내벽을 따르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내벽이란, 측벽의 내면 외에, 천장벽의 하면, 바닥벽의 상면을 포함한다.
작업 조작 레버 (37) 는, 전후좌우로 조작할 수 있는 구성 대신에, 예를 들어 전후로만, 좌우로만 조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콘솔 (52) 은, 좌우 1 쌍이 아니라, 좌우의 어느 일방에만 형성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선회 작업차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지 구성 및 용도의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1 : 선회 작업차 (작업 차량)
5L, 5R : 유압 호스
7 : 결속 밴드 (고정 부재)
8 : 유지 부재 (고정 부재)
31 : 선회 프레임
33 : 엔진
37 : 작업 조작 레버 (조작 레버)
38 : 보닛
52 : 콘솔
71 : 회전축 (제 1 축)
72 : 힌지축 (제 2 축)

Claims (4)

  1. 엔진이 배치되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엔진의 후방에 배치된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보닛과,
    상기 보닛의 상방에 배치된 제 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보닛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제 1 자세와 제 2 자세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콘솔과,
    상기 콘솔에 접속되는 유압 호스를 구비하고,
    상기 콘솔은, 상기 제 1 자세일 때에는 조작이 유효가 되고, 상기 제 2 자세일 때에는 조작이 무효화되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보닛을 열기 위해 회전시키는 방향은, 상기 콘솔을 상기 제 1 자세에서 상기 제 2 자세로 전환하기 위해 회전시키는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유압 호스가, 상기 제 1 축의 근방 및 상기 제 2 축의 근방을 지나도록, 또한, 상기 선회 프레임의 내벽 및 상기 보닛의 내벽을 따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호스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 부재에 의해, 상기 선회 프레임 또는 상기 보닛에 고정되고,
    상기 보닛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축의 근방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서 상기 유압 호스가 느슨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호스는, 상기 제 1 축보다 상기 콘솔로부터 먼 측이 하향으로 볼록해지도록 구부러져 있고, 이 구부러진 부분이 상기 엔진의 근방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출력축의 회전이 출력되는 출력 풀리와,
    송풍 팬을 구동하는 팬 풀리와,
    상기 출력 풀리 및 상기 팬 풀리에 감긴 벨트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호스는, 그 일부가 상기 벨트에 평행한 방향에서 당해 벨트에 근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97023629A 2017-09-14 2018-07-05 작업 차량 KR102208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76443A JP6731898B2 (ja) 2017-09-14 2017-09-14 作業車両
JPJP-P-2017-176443 2017-09-14
PCT/JP2018/025566 WO2019054021A1 (ja) 2017-09-14 2018-07-05 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124A true KR20190108124A (ko) 2019-09-23
KR102208847B1 KR102208847B1 (ko) 2021-01-27

Family

ID=6572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629A KR102208847B1 (ko) 2017-09-14 2018-07-05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2) EP3683363B1 (ko)
JP (1) JP6731898B2 (ko)
KR (1) KR102208847B1 (ko)
WO (1) WO2019054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58306B2 (ja) * 2020-08-03 2023-10-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0A (ja) 1984-06-12 1986-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デ−タ端末の自己診断装置
JP2001107390A (ja) * 1999-10-07 2001-04-1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小型建設機械の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及びコントロール配管構造
KR20100122452A (ko) * 2009-05-12 2010-11-22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9989A (en) 1977-06-02 1978-12-27 Meiji Seika Kaisha Ltd Novel derivatives of macrolide antibiotics and their preparation
JPH0421879Y2 (ko) * 1985-07-16 1992-05-19
JP3747434B2 (ja) * 2000-12-28 2006-0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40A (ja) 1984-06-12 1986-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デ−タ端末の自己診断装置
JP2001107390A (ja) * 1999-10-07 2001-04-17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小型建設機械の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及びコントロール配管構造
KR20100122452A (ko) * 2009-05-12 2010-11-22 코벨코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 기계
JP2010265582A (ja) 2009-05-12 2010-11-25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83363B1 (en) 2023-04-19
KR102208847B1 (ko) 2021-01-27
EP3683363A1 (en) 2020-07-22
EP3683363A4 (en) 2021-12-15
JP6731898B2 (ja) 2020-07-29
WO2019054021A1 (ja) 2019-03-21
EP4215674A1 (en) 2023-07-26
BR112020002977A2 (pt) 2020-08-11
JP2019052456A (ja)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50022B2 (ja) 作業機械
EP3212853B1 (en) Tailgate linkage
US10597851B2 (en) Operation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JP5803984B2 (ja) 作業機械
KR100585924B1 (ko) 건설 기계
KR20100122452A (ko) 건설 기계
KR20190108124A (ko) 작업 차량
JP4410735B2 (ja) 機械の接続ライン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機械
JP7049039B2 (ja) 作業車両
JP6826549B2 (ja) 建設機械
JP4019026B2 (ja) 作業機械
JP2008068830A (ja) 作業車輌
JP3693941B2 (ja) 旋回作業機
JP6894334B2 (ja) 作業車両
JP3691772B2 (ja) 旋回作業機
BR112020002977B1 (pt) Veículo de trabalho
JP2023115764A (ja) 建設機械
JP5941076B2 (ja) 建設機械
JPH0995978A (ja) 旋回作業車
JPH09273178A (ja) バックホウ
JPH10237902A (ja) 建設機械の操作装置
JPH11100863A (ja) 旋回作業機のバルブ類取付フレーム
JPH09151477A (ja) 掘削作業機の油圧配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