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348B1 -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 Google Patents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348B1
KR102355348B1 KR1020210067509A KR20210067509A KR102355348B1 KR 102355348 B1 KR102355348 B1 KR 102355348B1 KR 1020210067509 A KR1020210067509 A KR 1020210067509A KR 20210067509 A KR20210067509 A KR 20210067509A KR 102355348 B1 KR102355348 B1 KR 102355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tank
water storage
water supply
skid loa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7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일규
황대현
Original Assignee
황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일규 filed Critical 황일규
Priority to KR1020210067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를 진행하도록 어테치먼트 장비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스키드 로더에서 작업중인 어테치먼트 장비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스키드 로더 차체 좌우 양측에 복수의 물 공급부를 구비한 발명에 관한 것으로, 어테치먼트부(100), 스키드 로더 차체(200), 바퀴부(300), 물 공급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A Skid steer loader equipped with stable water supply structure}
본 발명은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를 진행할 수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스키드 로더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21세기 들어 과학기술이 크게 발달하면서 토목과 건축을 포함하는 건설 분야도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고, 그 결과, 대규모 건물과 시설도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에는 건설 분야의 기술과 자본, 중장비가 부족하여 인력 중심으로 공사를 진행하다 보니 공사 진행 속도가 느리고 안전사고의 발생 빈도가 높았지만, 현재는 축적된 기술과 노하우, 발달 된 중장비 보급에 힘입어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토목 및 건설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건설용 중장비 중에 스키드 로더(skid steer loader)가 있으며, 스키드 로더는 일종의 작업용 공구인 어태치먼트 장비를 장착하여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뿐만 아니라 불도저 작업, 지게차 작업도 진행할 수 있는 소형 다목적 중장비로서, 건설 현장뿐만 아니라 공장, 농장, 축사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스키드 로더에 장착되는 어태치먼트 장비를 이용하여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등을 진행할 때, 노면에서 먼지와 비산물이 발생하고, 마찰열이 발행한다.
따라서 먼지 발생과 비산물 발생을 방지하고 마찰열을 감소하도록 어태치먼트 장비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스키드 로더는, 도 1과 같이, 스키드 로더의 운전석 상부 또는 어태치먼트 장비에 물통을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작업을 수행하는 스키드 로더의 운동 역학적 문제로 운전석 상부 또는 어태치먼트 장비에 설치되는 물통에 많은 물을 저장하지 못하고, 특히, 운전석 상부에 물통을 설치하는 경우, 물통에 저장된 중량감 있는 물의 출렁임에 의한 무게 중심에 변화로 스키드 로더가 작업 중에 흔들려 작업에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고, 어태치먼트 장비에 물통을 설치하는 경우, 작업을 진행 중인 어태치먼트 장비에 물의 무게로 인한 과부하가 발생하여 연료 소모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스키드 로더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물통에 저장된 중량감 있는 물의 출렁임에 의한 무게 중심에 변화로 스키드 로더가 작업 중에 흔들려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6412호 노면 청소기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2552호 건설장비용 물탱크를 이용한 보조 오일 쿨링 시스템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0262호 살수장치가 구비된 건물 철거용 중장비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를 진행할 수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스키드 로더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물통에 저장된 중량감 있는 물의 출렁임에 의한 무게 중심에 변화로 스키드 로더가 작업 중에 흔들려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는 스키드 로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인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는,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를 위한 어테치먼트 장비(11)가 탈부착 되도록 스키드 로더 차체(200) 전면에 형성되는 어테치먼트부(100)와;
운전자가 탑승하여 상기 어테치먼트부(100)에 장착된 어테치먼트 장비(11)를 제어하고,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스키드 로더 차체(200)와;
상기 스키드 로더 차체(200) 이동을 위해 2개의 전륜(310)과, 2개의 후륜(320)으로 구성되는 바퀴부(300)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시, 어테치먼트 장비(1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를 진행할 수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스키드 로더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스키더 로더 차체 양 측면에 물 공급부를 구성하기 때문에, 물통에 저장된 중량감 있는 물의 출렁임에 의한 무게 중심에 변화로 스키드 로더가 작업 중에 흔들리지 않아 안정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키드 로더에 물탱크를 설치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스키드 로더 차체에 물 공급부가 결합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 공급부 세부 구성도 1
도 7은 본 발명의 물 공급부 세부 구성도 2
도 8은 본 발명의 물 공급부 세부 구성도 3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10, 이하 ‘본 발명’)는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11)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스키드 로더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등의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어테치먼트 장비(11)에 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물통에 저장된 중량감 있는 물의 출렁임에 의한 무게 중심에 변화로 스키드 로더가 작업 중에 흔들려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스키드 로더 차체(200) 좌우 양측에 있는 전륜과 후륜 사이 공간에 물 공급부(400)를 각각 구성하여, 출렁이는 물에 의해 작업 중인 스키드 로더의 작업 중 무게 중심 변화를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는 발명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10)은 어테치먼트부(100), 스키드 로더 차체(200), 바퀴부(300), 물 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10)의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는, 도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를 위한 어테치먼트 장비(11)가 탈부착 되도록 스키드 로더 차체(200) 전면에 형성되는 어테치먼트부(100)와;
운전자가 탑승하여 상기 어테치먼트부(100)에 장착된 어테치먼트 장비(11)를 제어하고,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스키드 로더 차체(200)와;
상기 스키드 로더 차체(200) 이동을 위해 2개의 전륜(310)과, 2개의 후륜(320)으로 구성되는 바퀴부(300)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시, 어테치먼트 장비(1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4를 참조하면, 상기 어테치먼트부(100)는 스키드 로더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스키드 로더 차체(200) 전면에 어테치먼트 장비(11)가 탈 부착식으로 결합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어테치먼트부(100)에 탈 부착식으로 결합 되는 어테치먼트 장비(11)의 종류에 따라 스키드 로더는 노면의 파쇄 작업, 연마 작업, 청소 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키드 로더 차체(200)는 운전석이 형성되어 운전자가 탑승하고, 탑승한 운전자의 어테치먼트부(100)에 장착된 어테치먼트 장비(11)에 대한 제어에 따라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작업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이동하는 구성이다.
이때, 운전자가 스키드 로더에 장착된 어태치먼트 장비(11)를 제어하여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등을 진행할 때, 노면에서 발생하는 먼지, 비산물, 마찰열 등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어태치먼트 장비(11)에 물을 공급한다.
도 2, 4를 참조하면, 상기 바퀴부(300)는 스키드 로더 차체(200) 이동을 위해 2개의 전륜(310)과 2개의 후륜(3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륜(310)과 후륜(320)의 직경은 상호 동일하거나 상이 할 수가 있으며, 상기 전륜(310)과 후륜(320)의 직경에 따라 후술할 물 저장 탱크(410)의 외형적 곡률이 결정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부(400)는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작업을 진행할 때 어테치먼트부(100)에 장착된 어테치먼트 장비(11)에 물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스키드 로더 차체(200)의 좌우 양측의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각각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부(400)는, 기본적으로 물 저장 탱크(410), 물 공급 펌프(420), 제1 물 이송관(430), 필터(431), 제2 물 이송관(440), 배터리(450), 물 보충구(4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가적으로, T형 드레인 밸브(401), 연결관(402), 물탱크 받침대(470), 수위계(480), 함체부(4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부(400)는 구체적으로,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공급부(400)는,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 탱크(410)와,
상기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어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물 공급 펌프(420)와,
일측단은 물 저장 탱크(410)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물 공급 펌프(420)에 연결되는 제1 물 이송관(430)과,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물 저장 탱크(410)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물 이송관(430) 일측단에 형성되는 필터(431)와,
일측은 물 공급 펌프(420)에 타측은 어테치먼트 장비(11)에 연결되어 물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물 이송관(440)과,
상기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어 물 공급 펌프(4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50)와,
상기 물 저장 탱크(41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는 물 보충구(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저장 탱크(410)는 스키드 로더 차체(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즉, 도 4의 하단 그림과 같이, 스키드 로더 차체(200)의 양측에 형성된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며, 재질은 저장된 물에 대한 하중과 외부 환경으로부터 오는 압력, 충격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계열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하단 그림을 참조하면, 상기 물 저장 탱크(410)는 스키드 로더 차체(200)에 형성된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도록, 물 저장 탱크(410)의 일측면에 제1 곡률부(41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제2 곡률부(412)가 각각 형성된 “
Figure 112021060583784-pat00001
”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곡률부(411)의 곡률은 전륜(310)의 곡률에 대응되고, 제2 곡률부(412)의 곡률은 후륜(320)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와 형상으로 형성된 물 저장 탱크(410)는 최대한 많은 물을 저장하여 어테치먼트 장비(11)로 충분한 물이 공급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스키드 로더 차체(200)에 형성된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물 저장 탱크(410)가 위치함으로 인해 이동하는 스키드 로더가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출렁이는 물 하중에 의한 작업 중 무게 중심의 큰 변화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5, 6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물 저장 탱크(410)는 후술할 물탱크 받침대(470)를 통해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안착 설치된다.
도 7, 8을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 펌프(420)는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어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이다.
상기 물 공급 펌프(420)의 일측에는 제1 물 이송관(430)이, 타측에는 제2 물 이송관(440)에 각각 연결되어 물 저장 탱크(410)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펌핑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물 공급 펌프(420)는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된 배터리(4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도록 하여, 스키드 로더가 어태치먼트 장비(11)를 이용하여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를 진행할 때, 외부 전원이나 스키드 로더 자체 배터리와의 연결 없이도 물 공급 펌프(420)는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다.
이때, 상기 물 공급 펌프(420)는 스키드 로더가 작업을 위해 이동하면서 발생 되는 충격과 진동에 의해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서 분리 이탈하지 않도록 후술할 함체부(490)의 제1 고정대(491)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제1 물 이송관(430)의 일측단은 물 저장 탱크(410)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물 공급 펌프(42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물 이송관(440)의 일측은 물 공급 펌프(420)에 타측은 어테치먼트 장비(11)에 각각 연결되어 물 공급 펌프(420)의 펌핑 동작에 의해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필터(431)는 물 저장 탱크(410)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물 이송관(430) 일측단에 형성되어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도 7, 8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450)는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어 물 공급 펌프(420)로 독립적인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스키드 로더가 어태치먼트 장비(11)를 이용하여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를 진행할 때, 외부 전원이나 스키드 로더 자체 배터리와의 연결 없이도 물 공급 펌프(420)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터리(450)는 스키드 로더가 작업을 위해 이동하면서 발생 되는 충격과 진동에 의해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서 분리 이탈하지 않도록 후술할 함체부(490)의 제2 고정대(492)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도 7, 8을 참조하면, 상기 물 보충구(460)는 물 저장 탱크(41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는 물 유입구로서, 상기 물 보충구(460)에는 후술할 수위계(48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물 공급부(400)는 물 저장 탱크(410)가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의 스키드 로더 차체(200)의 차체 프레임에 결합 되는 물탱크 받침대(4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 받침대(470)는 ‘L자’ 형태로 형성된 일종의 설치 브라켓으로, 상기 물탱크 받침대(470)는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스키드 로더 차체(200)의 차체 프레임에 결합 되어 물 저장 탱크(410)가 안착 설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물 저장 탱크(410)는 물탱크 받침대(470) 상측에 안착 설치되어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위치하게 되고,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의 하중도 물탱크 받침대(470)에 의해 지지된다.
한편, 상기 물 공급부(400)는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도록 물 보충구(460)에 마개 형식으로 설치되는 수위계(4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 8을 참조하면, 상기 수위계(480)는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된 물 보충구(460)에 마개(cap) 형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물 보충구(460)를 물리적으로 마감하여 물 저장 탱크(410) 내부 공간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하고,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의 양을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부(400)는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는 전기 설비인 물 공급 펌프(420)와 배터리(450)의 안정적 위치 고정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함체부(4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체부(490)는,
물 공급 펌프(420)의 안정적 위치 고정을 위한 제1 고정대(491)와,
배터리(450)의 안정적 위치 고정을 위한 제2 고정대(492)와,
물 공급 펌프(420)와 배터리(45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하기 위해 물 저장 탱크(410) 상측을 덮는 커버부(4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고정대(491), 제2 고정대(492)는 물 저장 탱크(410) 상측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 형성된 사각형의 벽면으로서, 상기 제1 고정대(491)는 물 공급 펌프(420)를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하고, 상기 제2 고정대(492)는 배터리(450)를 안정적으로 위치 고정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493)는 물 공급 펌프(420)와 배터리(45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물리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물 저장 탱크(410) 상측을 덮거나 개방하도록 힌지 회동하는 일종의 덮개로서, 상기 커버부(493)는 힌지(4931)를 통해 물 저장 탱크(410) 상측을 덮거나 개방하도록 힌지 회동한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물 공급부(400)는,
물 저장 탱크(410) 저면에 형성되고, 개폐 조작에 따라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연결관(402)을 통해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다른 물 저장 탱크(410)로 연통되도록 하는 T형 드레인 밸브(401)와,
상기 T형 드레인 밸브(401)에 연결되는 연결관(40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402)에 의해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가 상호 연결되어 동일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은 추운 겨울철에는 동파를 방지하도록 배수를 해야 하므로, 상기 물 저장 탱크(410) 저면에 물을 배수할 수 있는 T형 드레인 밸브(401)가 도 6과 같이, 형성되며, 상기 T형 드레인 밸브(401)는 물탱크 받침대(470)에 형성된 삽입구(471)를 통해 하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동파 방지를 위해 물 배수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T형 드레인 밸브(401)가 오픈되도록 조작하여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배수되도록 한다.
또한, T형 드레인 밸브(401)는 폐쇄되도록 조작된 경우,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지 않도록 하면서 연결관(402)을 통해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다른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과 연통되도록 하여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가 상호 연결되어 동일 수위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T형 드레인 밸브(401)에는 연결관(402)이 도 5와 같이, 연결되고, 연결관(402)에 의해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가 상호 연결되어,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상호 연통되어 동일 수위가 유지된다.
연결관(402)을 통해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의 수위를 동일 수위가 되도록 하는 이유는, 어테치먼트 장비(11)로의 물 공급 후,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에 남아 있게 되는 물의 양이 같아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의 상측에 형성되는 2개의 물 공급 펌프(420)가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하는 물의 양이 상호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2개의 물 공급 펌프(420)의 공급 용량 차이에 의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하는 물의 양이 상호 다를 수 있다.
만약,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가 연결관(402)을 통해 연결되지 않아 동일 수위가 유지되지 않는다면,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에 남아 있게 되는 물의 양이 달라지게 되어, 어느 순간에 한쪽 물 저장 탱크(410)에는 물이 남아 있고, 다른 물 저장 탱크(410)에는 물이 남아 있지 않게 되어, 한쪽 물 저장 탱크(410)에서는 어테치먼트 장비(11)로 물이 공급되나, 다른 물 저장 탱크(410)에서는 어테치먼트 장비(11)로 물이 공급되지 않는 물 공급 불균일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어테치먼트 장비(11)에는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시, 먼지, 비산물, 마찰열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노면에 물을 공급하는 다수의 물 공급 노즐, 예를 들어 1~8번 노즐이 구성되는데, 1~4번 노즐에는 한쪽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고, 나머지 5~8번 노즐에는 다른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공급된다.
이때, 2개의 물 저장 탱크(410)가 연결관(402)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게 되면, 물이 남아 있는 한쪽 물 저장 탱크(410)의 물은 1~4번 노즐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나, 물이 남아 있지 않은 다른 물 저장 탱크(410)를 통해 5~8번 노즐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작업이 중단된다.
이후, 작업자가 물이 남아 있지 않은 물 저장 탱크(410)에 물을 보충한 후, 다시 작업을 시작하고, 작업 중, 물을 보충하지 않았던 물 저장 탱크(410)에 물 부족이 발생하여 다시 물 보충을 위해 작업이 중단된다.
따라서, 2개의 물 저장 탱크(410) 중 어느 한쪽 물 저장 탱크(410)에 물 부족이 발생하면 매번 물 보충을 위해 작업이 중단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물 보충을 위한 작업 중단을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 테치먼트 장비(11)로의 균일한 물 공급, 예를 들어, 2개의 물 저장 탱크(410)에 동일하게 물이 남아 있어 2개의 물 공급 펌프(420)가 물을 어테치먼트 장비(11)로 동시에 공급하거나 2개의 물 저장 탱크(410)에 동일하게 물이 남아 있지 않아 동시에 어테치먼트 장비(11)로 물을 공급하지 않도록 하면, 2개의 물 저장 탱크(410)에 대한 물 보충이 두 번에서 한 번으로 줄어 물 보충을 위한 작업 중단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관(402)을 통해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를 상호 연결하여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의 수위를 동일 수위가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11 : 어테치먼트 장비
100 : 어테치먼트부
200 : 스키드 로더 차체
300 : 바퀴부
400 : 물 공급부

Claims (8)

  1.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에 있어서,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를 위한 어테치먼트 장비(11)가 탈부착 되도록 스키드 로더 차체(200) 전면에 형성되는 어테치먼트부(100)와;
    운전자가 탑승하여 상기 어테치먼트부(100)에 장착된 어테치먼트 장비(11)를 제어하고,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이동하는 스키드 로더 차체(200)와;
    상기 스키드 로더 차체(200) 이동을 위해 2개의 전륜(310)과, 2개의 후륜(320)으로 구성되는 바퀴부(300)와;
    노면의 파쇄, 연마, 청소 시, 어테치먼트 장비(1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물 공급부(400)는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공급부(400)는,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형성되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 탱크(410)와,
    상기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어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되도록 동작하는 물 공급 펌프(420)와,
    일측단은 물 저장 탱크(410)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단은 물 공급 펌프(420)에 연결되는 제1 물 이송관(430)과,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물 저장 탱크(410) 내부에 위치하는 제1 물 이송관(430) 일측단에 형성되는 필터(431)와,
    일측은 물 공급 펌프(420)에 타측은 어테치먼트 장비(11)에 연결되어 물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2 물 이송관(440)과,
    상기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어 물 공급 펌프(4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50)와,
    상기 물 저장 탱크(41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는 물 보충구(460)를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 탱크(410)는,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형성될 수 있도록 일측면에 제1 곡률부(411)가 타측면에 제2 곡률부(412)가 각각 형성된 “
    Figure 112021129497111-pat00011
    ” 모양으로 형성되어, 어테치먼트 장비(11)로 물을 공급하면서 이동하는 스키드 로더가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 하중에 의한 무게 중심의 이동 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률부(411)의 곡률은 전륜(310)의 곡률에 대응되고, 제2 곡률부(412)의 곡률은 후륜(320)의 곡률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400)는,
    물 저장 탱크(410)가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의 스키드 로더 차체(200)의 차체 프레임에 결합 되는 물탱크 받침대(4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 저장 탱크(410)는 물탱크 받침대(470) 상측에 안착 설치되어 전륜(310)과 후륜(320)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400)는,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도록 물 보충구(460)에 마개 형식으로 설치되는 수위계(4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400)는,
    물 저장 탱크(410) 상측에 형성되는 전기 설비인 물 공급 펌프(420)와 배터리(450)의 안정적 위치 고정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한 함체부(4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체부(490)는,
    물 공급 펌프(420)의 안정적 위치 고정을 위한 제1 고정대(491)와,
    배터리(450)의 안정적 위치 고정을 위한 제2 고정대(492)와,
    물 공급 펌프(420)와 배터리(450)를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보호하기 위해 물 저장 탱크(410) 상측을 덮는 커버부(4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400)는,
    물 저장 탱크(410) 저면에 형성되고, 개폐 조작에 따라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거나 연결관(402)을 통해 물 저장 탱크(410)에 저장된 물이 다른 물 저장 탱크(410)로 연통되도록 하는 T형 드레인 밸브(401)와,
    상기 T형 드레인 밸브(401)에 연결되는 연결관(40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관(402)에 의해 스키드 로더 차체(200)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물 저장 탱크(410)가 상호 연결되어 동일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KR1020210067509A 2021-05-26 2021-05-26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KR10235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509A KR102355348B1 (ko) 2021-05-26 2021-05-26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7509A KR102355348B1 (ko) 2021-05-26 2021-05-26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348B1 true KR102355348B1 (ko) 2022-01-24

Family

ID=80049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7509A KR102355348B1 (ko) 2021-05-26 2021-05-26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34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0990B2 (ja) * 1994-04-14 1999-11-0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壁面処理機
JP2000043752A (ja) * 1998-07-29 2000-02-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タンク
KR200206412Y1 (ko) 2000-06-20 2000-12-01 이충규 노면 청소기
JP3730420B2 (ja) * 1998-11-11 2006-01-05 日立建機株式会社 旋回式建設機械
JP4109386B2 (ja) * 1999-06-04 2008-07-02 酒井重工業株式会社 転圧車両における路面用散水タンクの構造
KR20090046040A (ko) * 2007-11-05 2009-05-11 이형근 다목적용 차량용 살수 시스템 및 융설제 가열 살포장치
KR100932511B1 (ko) * 2009-05-14 2009-12-17 바스코코리아(주) 친환경 차로 이탈 방지용 소음띠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00062552A (ko) 2008-12-02 2010-06-1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장비용 물탱크를 이용한 보조 오일 쿨링 시스템
KR20140113129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아이알이시스 취약지역에 상시 배치하여 운영하는 반자동 액상 제설함
KR101910602B1 (ko) * 2018-01-27 2018-10-23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도로건설현장용 미세먼지 방지장치
KR102080262B1 (ko) 2019-12-12 2020-02-21 (유) 태영건설산업 살수장치가 구비된 건물 철거용 중장비
KR102140529B1 (ko) * 2019-10-04 2020-08-03 황일규 스키드 로더의 슬라이더형 어태치먼트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0990B2 (ja) * 1994-04-14 1999-11-02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壁面処理機
JP2000043752A (ja) * 1998-07-29 2000-02-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のタンク
JP3730420B2 (ja) * 1998-11-11 2006-01-05 日立建機株式会社 旋回式建設機械
JP4109386B2 (ja) * 1999-06-04 2008-07-02 酒井重工業株式会社 転圧車両における路面用散水タンクの構造
KR200206412Y1 (ko) 2000-06-20 2000-12-01 이충규 노면 청소기
KR20090046040A (ko) * 2007-11-05 2009-05-11 이형근 다목적용 차량용 살수 시스템 및 융설제 가열 살포장치
KR20100062552A (ko) 2008-12-02 2010-06-10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장비용 물탱크를 이용한 보조 오일 쿨링 시스템
KR100932511B1 (ko) * 2009-05-14 2009-12-17 바스코코리아(주) 친환경 차로 이탈 방지용 소음띠 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13129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아이알이시스 취약지역에 상시 배치하여 운영하는 반자동 액상 제설함
KR101910602B1 (ko) * 2018-01-27 2018-10-23 주식회사 이레하이테크이앤씨 도로건설현장용 미세먼지 방지장치
KR102140529B1 (ko) * 2019-10-04 2020-08-03 황일규 스키드 로더의 슬라이더형 어태치먼트
KR102080262B1 (ko) 2019-12-12 2020-02-21 (유) 태영건설산업 살수장치가 구비된 건물 철거용 중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2060B1 (ko) 건설 또는 산림 중장비의 연료공급시스템
US10081929B2 (en) Shovel
US9045039B2 (en) Hydraulic reservoir assembly for a crop sprayer
CN1779085B (zh) 旋转式工作机
KR20160023768A (ko) 건설기계
JP2009179960A (ja) 建設機械
KR102355348B1 (ko) 안정적 물 공급 구조를 갖는 스키드 로더
JP3980912B2 (ja) 旋回型作業機械
JP5631835B2 (ja) 建設機械
KR100261860B1 (ko) 배터리 구동의 건설기계
JP3270746B2 (ja) 振動締固め機の散水装置
CN210919286U (zh) 可拆卸式柴油发电机组用底盘油箱
JP2000142127A (ja)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装置
JP2007291602A (ja) 建設機械
CN210589251U (zh) 一种远程控制抢险救灾机器人
JPH11245676A (ja)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装置
CN212601767U (zh) 一种综合布线工程工具箱
CN213360371U (zh) 工程机械的空气压缩机单元
JP2000142128A (ja)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装置
CN112639214B (zh) 工程机械
CN217327247U (zh) 一种用于岩土工程钻机围挡装置
CN214092491U (zh) 转塔结构和作业机械
JP2024037316A (ja) 建設機械
JP3178389B2 (ja) 建設機械のバッテリ取付構造
JP3461138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