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946B1 -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946B1
KR102353946B1 KR1020200023014A KR20200023014A KR102353946B1 KR 102353946 B1 KR102353946 B1 KR 102353946B1 KR 1020200023014 A KR1020200023014 A KR 1020200023014A KR 20200023014 A KR20200023014 A KR 20200023014A KR 102353946 B1 KR102353946 B1 KR 102353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mold
pattern
molding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155A (ko
Inventor
신경진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바이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바이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바이오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23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946B1/ko
Priority to US16/823,038 priority patent/US20210259814A1/en
Publication of KR2021010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946B1/ko
Priority to US17/848,987 priority patent/US2022031339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40/00Manufacturing or designing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40/001Design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 A61F2240/002Designing or making customized prostheses
    • A61F2240/004Using a positive or negative model, e.g. moul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2Nanosized materials, e.g. nanofibres, nanoparticles, nanowires, nanotubes; Nanostructured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8Modification of implant surfaces in order to improve biocompatibility, cell growth, fixation of biomolecules, e.g. plasm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 B29C59/022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e.g. pressing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r the configuration, e.g. dimensions, of the embossments or the shaping tools therefor
    • B29C2059/023Micro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표면에 골 형성 또는 재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시트가 PCL(Polycaprolactone)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턴층에 표면에 나노패턴이 형성되어 임플란트 시술시 골 형성 또는 재생이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Membrane sheet for implant osteogenesi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멤브레인 시트의 표면에 골 형성 또는 재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패턴이 형성된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환자의 잇몸을 절개한 후 그속에 있는 치조골에 인공치근을 삽입하고, 삽입된 인공치근에 인공치아(crown)를 결합하는 시술을 말한다.
치조골에 인공치근을 식립할 때, 주변 골이 충분한 경우에는 인공치근의 초기 고정력이 높아지고, 안전성등의 시술 예후가 높아지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주변 골이 충분하지 못하면 골 결손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여 인공치근의 식립 후 예후가 불안하다.
따라서,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직과 골 재생을 유도할 목적으로서, 치주 시술에 멤브레인을 사용한다. 멤브레인은 조직과 골 재생이 되는 시간동안 재생 조직이 다른 부위로 이동 및 상피세포의 재생조직으로의 침투를 차단한다.
그러나 상기 멤브레인은 다른 상피세포와의 차단 또는 세균번식 억제를 완벽하게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선행기술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선행기술은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1233호)으로 콜라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콜라겐에 천연고분자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골에 멤브레인 시트가 용이하게 부착되는 것에 일부 어려움이 발생하며, 멤브레인 시트의 소재와 표면의 패턴이 본 발명과 다르다. 또한 상기 멤브레인 시트는 구체적인 구성과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1233호: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골 형성 또는 재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시트본체와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으로 이루어진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표면에 골 형성 또는 재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본체 및 패턴층은 PCL(Polycaprolactone) 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나노패턴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방법은 글라스에 소정의 두께로 고분자를 코팅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된 고분자를 패턴이 형성된 몰드로 가압하여 패턴을 성형하는 패턴성형단계와, 상기 패턴성형단계후, 상기 글라스와 고분자를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글라스 상에 고분자를 올린 후, 상기 글라스를 회전시켜 스핀코팅한다.
상기 코팅단계와 상기 패턴성형단계의 사이에 상기 코팅된 고분자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탄화단계는 상기 코팅된 고분자를 가열하는 1차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고분자의 표면을 평탄몰드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1차 몰드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고분자를 냉각시키는 1차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패턴성형단계는 상기 코팅된 고분자를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고분자를 패턴이 형성된 몰드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2차 몰드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고분자를 냉각시키는 2차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냉각단계는 상기 글라스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평탄화된 고분자를 냉각시킨다.
상기 분리단계는 고분자가 코팅된 상기 글라스를 에탄올에 침지시켜 상기 글라스와 고분자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고분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는 프레임과,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글라스 상에 코팅된 고분자를 가압하여 패턴을 성형하는 패턴성형유닛과, 상기 패턴성형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글라스를 지지하고, 상기 고분자의 성형을 위해 상기 고분자를 가열 및 냉각시키는 지지유닛과, 상기 패턴성형유닛과 대향되도록 상기 지지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패턴성형유닛은 상기 고분자를 평탄화하기 위한 제1 성형부와, 상기 평탄화된 고분자에 패턴을 성형하기 위한 제2 성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는 각각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형성된 몰드결합부와, 상기 몰드결합부에 마련된 성형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의 제1 성형몰드는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성형부의 제2 성형몰드는 표면에 나노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몰드결합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성형몰드의 표면이 상기 고분자를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몰드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상기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몰드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유닛은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을 공급하는 열판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고분자를 냉각시키기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은 멤브레인 시트가 PCL(Polycaprolactone)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턴층에 나노패턴이 형성되어 임플란트 시술시 골 형성 또는 재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부분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의 패턴성형유닛과 지지유닛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플레이트와 몰드고정부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는 시트본체(100)와 패턴층(200)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본체(100)는 임플란트 시술시 골에 부착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층(200)은 상기 시트본체(100)의 표면에 골 형성 또는 재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시트본체(100) 및 패턴층(200)은 PCL(Polycaprolactone) 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나노패턴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PCL 소재를 적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PGA(Polyglycolic acid), PLA(Polylactic acid), PLGA(poly-lactic-co-glycolic acid) 및 PLLA(poly(L-lactic acid))등 여러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방법은 코팅단계(S100), 평탄화단계(S200), 패턴성형단계(S300), 분리단계(S400) 및 건조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코팅단계(S100)에서는 글라스(310)에 소정의 두께로 고분자(300)를 코팅한다. 상기 코팅단계(S100)에서는 상기 글라스(310) 상에 고분자(300)를 올린 후, 상기 글라스(310)를 회전시켜 스핀코팅한다.
상기 평탄화단계(S200)에서는 상기 고분자의 표면을 평탄화하며, 1차 가열단계(S210), 1차 몰드성형단계(S220) 및 1차 냉각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1차 가열단계(S210)에서는 상기 코팅된 고분자(300)를 가열한다. 상기 1차 몰드성형단계(S220)에서는 상기 1차 가열단계(S210)에서 가열된 고분자(300)의 표면을 평탄몰드(320)로 가압하여 성형한다.
상기 1차 냉각단계(S230)에서는 상기 평탄몰드(320)로 가압하여 표면이 평탄해진 고분자를 몰드와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고분자(300)를 냉각시킨다. 상기 1차 냉각단계(S230)에서는 상기 글라스(310)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평탄화된 고분자(300)를 냉각시킨다.
상기 패턴성형단계(S300)에서는 상기 코팅된 고분자(300)를 패턴이 형성된 몰드(330)로 가압하여 패턴을 성형하며, 2차 가열단계(S310), 2차 몰드성형단계(S320) 및 2차 냉각단계(S330)를 포함한다.
상기 2차 가열단계(S310)에서는 상기 코팅된 고분자(300)를 가열한다. 상기 2차 몰드성형단계(S320)에서는 상기 가열된 고분자(300)를 패턴이 형성된 몰드(330)로 가압하여 성형한다. 이때, 상기 패턴은 나노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냉각단계(S330)에서는 상기 성형된 고분자(300)를 냉각시킨다.
상기 분리단계(S400)에서는 상기 패턴성형단계(S300)후, 상기 글라스(310)와 고분자(300)를 분리한다. 상기 분리단계(S400)에서는 고분자(300)가 코팅된 상기 글라스(310)를 에탄올에 침지시켜 상기 글라스(310)와 고분자(300)를 분리한다.
상기 건조단계(S500)에서는 에탄올에 침지된 고분자(300)를 건조한다. 상기 건조단계(S500)에서는 자연건조를 통해 상기 고분자(300)를 건조하며,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가 제조된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10)는 거치대(400), 프레임(500), 패턴성형유닛(600), 지지유닛(700) 및 이송유닛(800)을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400)는 사용자가 조작하여 컨트롤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 컨트롤패널(410)이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500)은 상기 거치대(4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패턴성형유닛(6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패턴성형유닛(600)은 글라스(310) 상에 코팅된 고분자(300)를 가압하여 패턴을 성형하는 것으로서,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500)에 설치되며, 제1 성형부(610)와, 제2 성형부(6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성형부(610)는 상기 글라스(310) 상의 고분자(300)를 평탄화한다. 상기 제2 성형부(620)는 상기 평탄화된 고분자(300)에 패턴을 성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성형부(610)와 인접하여 나란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성형부(610)와 상기 제2 성형부(620)는 각각 액츄에이터(612), 몰드결합부(614) 및 성형몰드(618)를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터(612)는 유압 또는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공압실린더로 상기 고분자(3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동작을 제공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이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몰드결합부(614)는 상기 액츄에이터(612)에 의해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형성되며, 결합플레이트(615)와 몰드고정부재(616)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플레이트(615)는 상기 액츄에이터(612)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슬라이딩홈(6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몰드고정부재(616)는 상기 성형몰드(618)의 표면이 고분자(300)를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몰드구(619)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플레이트(615)와 결합하여 상기 성형몰드(618)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결합플레이트(615)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몰드고정부재(616)는 상기 결합플레이트(615)의 슬라이딩홈(617)을 따라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성형몰드(618)는 상기 몰드결합부(614)에 마련된다. 상기 제1 성형부(610)의 제1 성형몰드(618)는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성형부(620)의 제2 성형몰드(618)는 표면에 나노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성형몰드(618)는 표면이 평탄하거나 나노패턴이 적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형태의 패턴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700)은 상기 패턴성형유닛(6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글라스(310)를 지지하고, 상기 고분자(300)의 성형을 위해 상기 고분자(300)를 가열 및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지지플레이트(710), 열판(720) 및 에어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710)는 상기 열판(72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열판(720)에서 발생되는 열에 견딜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판(720)은 고분자(300)가 코팅된 글라스(310)가 설치되며, 상기 글라스(310)에 열원을 간접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710)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에어공급부는 상기 글라스(310) 상에 코팅된 고분자(300)를 냉각시키기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에어노즐과 연결호스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노즐은 상기 지지플레이트(7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판(720) 또는 고분자(300)가 코팅된 글라스(310)를 향해 에어를 분사한다. 상기 연결호스는 에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에어노즐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연결호스를 통과한 에어가 상기 에어노즐로 공급되며, 상기 공급된 에어가 상기 에어노즐을 통해 분사되어 상기 열판(720) 또는 상기 글라스(310)를 냉각시킴으로서, 상기 고분자(300)가 경화된다.
상기 이송유닛(800)은 상기 패턴성형유닛(600)과 대향되도록 상기 지지유닛(700)을 이송시키며, 가이드레일(810), 주행부(820), 고정레일(830) 및 고정주행부(8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81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패턴성형유닛(600)의 상기 제1 성형부(610)와 제2 성형부(620)와 대향되도록 상기 거치대(400)의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레일(810)은 금속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행부(820)는 상기 가이드레일(810)을 따라 주행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플레이트(710)를 지지하며, 상기 가이드레일(810)에 따라 주행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고정레일(8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가이드레일(810)과 나란하게 상기 거치대(400)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주행부(840)는 상기 주행부(820)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레일(830)을 따라 주행한다. 또한 상기 고정주행부(840)는 상기 주행부(820)와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주행부(820)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멤브레인 시트 제조장치(1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고분자(300)가 코팅된 글라스(310)를 상기 열판(720)에 설치하면, 상기 열판(720)에 의해 상기 고분자(300)가 융해된다. 동시에 상기 주행부(820)가 상기 가이드레일(810)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제1 성형부(610)와 대향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1 성형부(610)의 제1 성형몰드(618)가 상기 글라스(310) 상에 고분자(300)를 향해 가압하여 평탄화된다. 동시에 상기 지지유닛(700)의 열판(720)의 작동을 중지하여 글라스(310) 상에 융해된 고분자(300)가 경화되고, 상기 제1 성형부(610)가 상기 고분자(300)와 상호 이격되어 평탄화과정이 마무리된다.
이후, 상기 지지유닛(700)의 열판(720)에 의해 상기 글라스(310) 상에 경화된 고분자(300)가 융해된다. 동시에 상기 주행부(820)가 상기 가이드레일(810)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제2 성형부(620)와 대향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제2 성형부(620)의 제2 성형몰드(618)가 상기 글라스(310) 상에 고분자(300)를 향해 가압하여 나노패턴이 형성된다. 동시에 상기 열판(720)의 작동을 중지하여 상기 글라스(310) 상에 융해된 고분자(300)가 경화되고, 상기 제2 형성부가 상기 고분자(300)와 이격되며, 상기 고분자(300)에는 나노패턴의 형성된다. 상기 나노패턴이 형성된 고분자(300)는 최종적으로 글라스(310)와 분리되어 본 발명의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가 제조되게 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
100: 시트본체 200: 패턴층
300: 고분자 310: 글라스
320: 평탄몰드 330: 패턴몰드
400: 거치대 410: 컨트롤패널
500: 프레임 600: 패턴성형유닛
610: 제1 성형부 612: 액츄에이터
614: 몰드결합부 615: 결합플레이트
616: 몰드고정부재 617: 슬라이딩홈
618: 성형몰드 619: 몰드구
620: 제2 성형부 700: 지지유닛
710: 지지플레이트 720: 열판
800: 이송유닛 810: 가이드레일
820: 주행부 830: 고정레일
840: 고정주행부 S100: 코팅단계
S200: 평탄화단계 S210: 1차 가열단계
S220: 1차 몰드성형단계 S230: 1차 냉각단계
S300: 패턴성형단계 S310: 2차 가열단계
S320: 2차 몰드성형단계 S330: 2차 냉각단계
S400: 분리단계 S500: 건조단계

Claims (13)

  1.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시트본체와;
    상기 시트본체의 표면에 골 형성 또는 재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패턴이 형성된 패턴층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본체 및 패턴층은 PCL(Polycaprolactone) 소재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나노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2. 삭제
  3. 글라스에 소정의 두께로 고분자를 코팅하는 코팅단계와;
    상기 코팅된 고분자를 패턴이 형성된 몰드로 가압하여 패턴을 성형하는 패턴성형단계와;
    상기 패턴성형단계후, 상기 글라스와 고분자를 분리하는 분리단계와;
    상기 분리된 고분자를 건조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단계는 고분자가 코팅된 상기 글라스를 에탄올에 침지시켜 상기 글라스와 고분자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는 상기 글라스 상에 고분자를 올린 후, 상기 글라스를 회전시켜 스핀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단계와 상기 패턴성형단계의 사이에 상기 코팅된 고분자의 표면을 평탄화하는 평탄화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평탄화단계는
    상기 코팅된 고분자를 가열하는 1차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고분자의 표면을 평탄몰드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1차 몰드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고분자를 냉각시키는 1차 냉각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패턴성형단계는
    상기 코팅된 고분자를 가열하는 2차 가열단계와;
    상기 가열된 고분자를 패턴이 형성된 몰드로 가압하여 성형하는 2차 몰드성형단계와;
    상기 성형된 고분자를 냉각시키는 2차 냉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냉각단계는 상기 글라스에 에어를 분사하여 상기 평탄화된 고분자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방법.
  7. 삭제
  8. 프레임과;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며, 글라스 상에 코팅된 고분자를 가압하여 패턴을 성형하는 패턴성형유닛과;
    상기 패턴성형유닛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글라스를 지지하고, 상기 고분자의 성형을 위해 상기 고분자를 가열 및 냉각시키는 지지유닛과;
    상기 패턴성형유닛과 대향되도록 상기 지지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성형유닛은 상기 고분자를 평탄화하기 위한 제1 성형부와;
    상기 평탄화된 고분자에 패턴을 성형하기 위한 제2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부와 상기 제2 성형부는 각각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형성된 몰드결합부와;
    상기 몰드결합부에 마련된 성형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성형부의 제1 성형몰드는 표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성형부의 제2 성형몰드는 표면에 나노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결합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되는 결합플레이트와;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성형몰드의 표면이 상기 고분자를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몰드구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결합하여 상기 성형몰드를 지지하는 몰드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은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을 공급하는 열판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며, 상기 고분자를 냉각시키기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가이드레일과;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주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의 제조장치.

KR1020200023014A 2020-02-25 2020-02-25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KR102353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14A KR102353946B1 (ko) 2020-02-25 2020-02-25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US16/823,038 US20210259814A1 (en) 2020-02-25 2020-03-18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induc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7/848,987 US20220313397A1 (en) 2020-02-25 2022-06-24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induc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14A KR102353946B1 (ko) 2020-02-25 2020-02-25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155A KR20210108155A (ko) 2021-09-02
KR102353946B1 true KR102353946B1 (ko) 2022-01-20

Family

ID=77365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014A KR102353946B1 (ko) 2020-02-25 2020-02-25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210259814A1 (ko)
KR (1) KR10235394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2082B1 (ko) * 1983-01-19 1986-11-24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레지스트 패턴의 형성 방법 및 장치
US4608129A (en) * 1984-05-22 1986-08-26 Nippon Telegraphy And Telephone Polymer film with conductive patter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961707A (en) * 1987-12-22 1990-10-09 University Of Florida Guided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US5839899A (en) * 1996-03-01 1998-11-24 Robinson; Dane Q.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jaw bone utilizing a guided-tissue regeneration plate support and fixation system
JPH10139684A (ja) * 1996-11-13 1998-05-26 Sunstar Inc 歯周組織再生促進薬および促進用歯科材料
JP3927768B2 (ja) * 2000-11-17 2007-06-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WO2008066965A2 (en) * 2006-06-23 2008-06-0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rticles comprising large-surface-area bio-compatible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US9005648B2 (en) * 2010-07-06 2015-04-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organically surface-modified polyme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m
KR101269127B1 (ko) * 2011-10-18 2013-05-29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멤브레인형 인공 지지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5985362B2 (ja) 2012-11-13 2016-09-06 住友重機械イオン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イオン注入装置及びイオン注入方法
KR101782673B1 (ko) * 2014-06-24 2017-09-2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구조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분화 촉진용 배양지지체
KR101988912B1 (ko) * 2016-07-08 2019-06-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패턴을 이용한 조골세포 분화 촉진용 배양지지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사민우 외 3명. "폴리머 적층 시스템과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다양한 공극 패턴에 따른 PCL 인공지지체의 제작 연구",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제41권, 페이지 645-653, 2017.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13397A1 (en) 2022-10-06
US20210259814A1 (en) 2021-08-26
KR20210108155A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34902A1 (en) 3D Printing Equipment Utilizing Biological Material, and Method
US5964752A (en) Articular cartilage surface shaping apparatus and method
US11623397B2 (en) Additive manufactured parts with smooth surface finishes and customizable properties
CN104190576B (zh) 一种补片、用于制备补片的涂层设备及其制备方法
KR101215587B1 (ko) 파우더 슬러쉬 성형기 및 파우더 슬러쉬 성형 방법
JP4160311B2 (ja) 合成材料部品の製造方法
KR101934782B1 (ko) 지르코니아 치아보철물의 제조시스템
JP2017533851A (ja) シリコーンエラストマー部品の製造方法
JP2002503511A (ja) 電極バルーン用の方法及び装置
KR102353946B1 (ko) 치주조직 재생 유도제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JP6742697B2 (ja) 樹脂複合材料の硬化装置、および硬化方法
US2002012734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ynthetic material part
JP5410289B2 (ja) 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CZ293851B6 (cs) Způsob adhezivního spojování potahu s tvarovanou vycpávkou
JP2578684B2 (ja) 金属連続気泡構造体で移植組織片を製造する方法
JPH02273224A (ja) 繊維強化樹脂の成形方法
JPH061807Y2 (ja) 光学的造形体の仕上げ処理装置
EP1225030B1 (en) Pre-treatment of molds
KR100636312B1 (ko) 멤브레인 프레스에 사용되는 실리콘 고무시트의 제조 장치및 그 방법
KR101215843B1 (ko) 방사부를 구비한 세포 배양용 지지체 성형장치
JP2751329B2 (ja) 歯科用光重合型レジンの重合方法及び装置
JP2020040360A (ja) 制御部を備えた光硬化樹脂用光照射装置
TWI261019B (en) Method for forming silicon rubber
KR102045271B1 (ko) 다중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3차원 프린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차원 프린팅 방법
JPH03174072A (ja) 敷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