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699B1 -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 Google Patents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699B1
KR102351699B1 KR1020200019163A KR20200019163A KR102351699B1 KR 102351699 B1 KR102351699 B1 KR 102351699B1 KR 1020200019163 A KR1020200019163 A KR 1020200019163A KR 20200019163 A KR20200019163 A KR 20200019163A KR 102351699 B1 KR102351699 B1 KR 102351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inner liner
self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434A (ko
Inventor
소순홍
홍창효
최정희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699B1/ko
Priority to US17/173,698 priority patent/US11993107B2/en
Priority to EP21157329.0A priority patent/EP3865317B1/en
Priority to CN202110190124.0A priority patent/CN113263872B/zh
Publication of KR20210104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1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signal- transmitting means on the wheel
    • B60C23/0411Piezoelectric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3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for attachment on the ty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1Energy harvesting or scaven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4Friction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4Tyre sensors other than for detecting tyr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가 발전을 통해 전자 모듈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형성되는 벽체부; 상기 이너라이너 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벽체부에 결합되어 트레드 표면 및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마련된 흡음부; 및 상기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마련되되, 상기 이너라이너와 상기 흡음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TIRES WITH SELF GENERATION AND SOUND ABSORPTION}
본 발명은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가 발전을 통해 전자 모듈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트레드 표면 및 노면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타이어에 흡음재를 부착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종래에는 스펀지 형태의 흡음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타이어 이너라이너 표면에 직접 부착하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접착제가 액상 형태이기 때문에 정밀한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실런트(Sealant)를 이용하는 경우 토출 노즐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해야 하며, 이 역시 액상형태로 이루어져 정밀 제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가압시 폼에서 압력을 흡수하여 압력이 접착제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접착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않아 사용 중 흡음재가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접착제가 경화 및 노화됨에 따라 접착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종래에는 흡음재 고정밴드를 구비하는 타이어도 개발되었다. 이러한 타이어는 흡음재 고정을 위한 밴드를 타이어에 가류하여 제조하고 밴드와 이너라이너 사이에 흡음재를 삽입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방식이나 흡음재가 쉽게 빠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여 더 고정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노화나 경화에 따라 접착력이 낮아지는 경우 탈착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흡음재 내부에 와이어를 삽입하여 발전하는 기술이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흡음재를 전면에 설치하고 전선 또한 전면에 삽입하기 때문에 타이어 무게가 현저히 증가한다.
일 예로, 원주 2m의 타이어인 경우 흡음재의 무게가 통상 400g내외이나 자가 발전 와이어를 넣는 경우 1.7kg까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87809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가 발전을 통해 전자 모듈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흡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형성되는 벽체부; 상기 이너라이너 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벽체부에 결합되어 트레드 표면 및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마련된 흡음부; 및 상기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마련되되, 상기 이너라이너와 상기 흡음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상기 이너라이너 상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음부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흡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공성 스폰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스폰지 또는 다공성 확장 가능한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 공극에 형성되는 제1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선은 다공성 스폰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와의 마찰 대전으로 인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은,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폴리머 구조의 필름 형태의 흡음재; 및 상기 흡음재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벽체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상기 결합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선은 다공성 스폰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와의 마찰 대전으로 인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은,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는, 타이어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갖는 전자모듈; 및 상기 전자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양 끝단이 상기 벽체부에 제1 길이만큼 삽입되며, 상기 벽체부에 삽입된 양 끝단에서부터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만큼의 영역은 나머지 삽입 영역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흡음부의 양 끝단의 형상에 대응되게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흡음과 자가 발전 기능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폰지 사용 면적을 줄이고 필름 형태를 갖는 흡음재를 사용하며, 전선 및 도선이 일반 전선이 아닌 전도성을 재료를 프린팅하여 형성될 수도 있어 경량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자가 발전을 통해 전자 모듈 전원을 활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의 제2 전선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의 흡음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의 제2 전선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의 흡음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100)는 이너라이너(110), 벽체부(120), 흡음부(130) 및 전자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벽체부(120)는 타이어의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121), 삽입홈(122) 및 제1 전선(123)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21)는 상기 이너라이너(110) 상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21)는 상기 이너라이너에 순간접착제, 실런트, PSA형 점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121)는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표면에 상호 이격되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상기 몸체(121)는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단, 상기 몸체(121)의 형상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121)는, 흡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공성 스폰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21)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스폰지 또는 다공성 확장 가능한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2)은 상기 몸체(121)에 형성되며, 상기 흡음부(130)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22)은 상기 흡음부(130)의 끝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걸쳐져 구조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선(123)은 상기 몸체(121)의 내부 공극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선(123)은 다공성 스폰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121)와의 마찰 대전으로 인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21)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몸체(121)와 다공성 스펀지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121)에 삽입된 상기 제1 전선(123)들 사이에서 마찰대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21)의 내부 공극간 마찰 시 정전기가 발생하고 공극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대전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공극에 있는 상기 제1 전선(123)에도 동일한 대전현상이 발생하여 전기에너지가 발생하게 됩니다.
전기에너지 발생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몸체(121)의 공극 및 상기 제1 전선(123)은 가능한 많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벽체부(120)는 흡음 기능과 함께 발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선(123)은, 일반적인 전선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하여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23)의 공극에 상기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하여 상기 제1 전선(123)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1 전선(123)은 일반적인 전선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이처럼 무게를 경량화할 경우, 보다 많은 전선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몸체(121)가 상기 이너라이너(11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음부(130)는 상기 이너라이너(110) 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벽체부(120)에 결합되어 트레드 표면 및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음부(130)는 흡음재(131), 결합체(132) 및 제2 전선(133)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재(131)는 흡음을 위한 폴리머 구조의 필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흡음재(131)는 상기 이너라이너(110)상에 떨어진 상태가 되도록 이격되어 형성됨으로 상기 흡음재(131)와 상기 이너라이너(110) 사이의 공기층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흡음재(131)는 상기 공기층을 통과해 온 소음을 차단함으로 소음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체(132)는 상기 흡음재(131)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벽체부(12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음부(130)는, 양 끝단은 상기 벽체부(12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122)에 제1 길이만큼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벽체부(120)에 삽입된 양 끝단에서부터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만큼의 영역은 나머지 삽입 영역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길이만큼의 영역이 상기 결합체(132)에 해당하며, 상기 결합체(132)는 상기 몸체(121)에 삽입된 상기 흡음재(131)에 비해 두께까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122)은, 상기 흡음부(130)의 양 끝단의 형상에 대응되게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122)은 상기 결합체(132)가 삽입된 위치는 상기 결합체(132)의 두께만큼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길이에서 상기 제2 길이만큼을 뺀 나머지 영역은 상기 흡음재(131)의 두께만큼만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삽입홈(122) 및 상기 결합체(132)의 형상에 따라, 상기 흡음부(130)는 상기 벽체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체(122)와 상기 삽입홈(122)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결합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종래에 단순히 흡음재를 이너라이너에 부착하는 방식에 비해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전선(133)은 상기 결합체(132)의 내부에 형성되거나 사익 결합체(132) 자체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선(133)은 다공성 스폰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121)와의 마찰 대전으로 인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121)가 움직임에 따라, 상기 몸체(121)와 다공성 스펀지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121)에 삽입된 상기 제2 전선(133)들 사이에서 마찰대전이 발생하게 됩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121)에 형성된 상기 삽입홈(122)과 내부 공극간 마찰 시 정전기가 발생하고 공극이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대전현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삽입홈(122)에 있는 상긱 제2 전선(133)에도 동일한 대전현상이 발생하여 전기에너지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흡음부(130)는 흡음 기능과 함께 발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전선(133)은, 일반적인 전선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하여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체(132)에 상기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하여 상기 제2 전선(133)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제2 전선(133)은 일반적인 전선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다. 이처럼 무게를 경량화할 경우, 상기 몸체(121)가 상기 이너라이너(110)에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140)는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표면에 마련되되, 상기 이너라이너(110)와 상기 흡음부(1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모듈(141) 및 제1 도선(142), 제2 도선(143) 및 전원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모듈(141)은 타이어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모듈(141)에는 타이어의 통상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센서,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 센서, 변형을 계측하는 가속도 센서가 탑재될 수 있으며 스트레인 게이지 등이 탑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모듈(141)에는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 탑재될 수 있으며 통상 라디오 주파수(Radio Frequency)나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원은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를 사용하고 자가 발전을 통해 생성된 전류를 변환하는 정류회로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커패시터(Capacitor)를 포함하는 저장회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회로가 포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상기 전원은 상기 벽체부(120) 및 상기 흡음부(130)에서 마찰 발전에 의해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제공받아 상기 전자모듈(141)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선(142)은 상기 제1 전선(123)과 상기 전원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제2 도선(143)은 상기 제2 전선(133)과 상기 전원을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도선(142) 및 상기 제2 도선(143)은 일반 전선을 사용하는 경우 연선을 사용하여 피로 내구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도선(142) 및 상기 제 2도선(143)은 이너라이너(110)에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하여 형성함으로 경량화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은 자가 발전을 수행함과 동시에 흡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110: 이너라이너
120: 벽체부
121: 몸체
122: 삽입홈
123: 제1 전선
130: 흡음부
131: 흡음재
132: 결합체
133: 제2 전선
140: 전자부
141: 전자모듈
142: 제1 도선
143: 제2 도선

Claims (12)

  1.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형성되는 벽체부;
    상기 이너라이너 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벽체부에 결합되어 트레드 표면 및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마련된 흡음부; 및
    상기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마련되되, 상기 이너라이너와 상기 흡음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벽체부는,
    상기 이너라이너 상에 부착 또는 결합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흡음부의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흡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공성 스폰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벽체부는,
    상기 몸체의 내부 공극에 형성되는 제1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선은 다공성 스폰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와의 마찰 대전으로 인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스폰지 또는 다공성 확장 가능한 폴리머 계열의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선은,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7.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형성되는 벽체부;
    상기 이너라이너 상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벽체부에 결합되어 트레드 표면 및 노면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도록 마련된 흡음부; 및
    상기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마련되되, 상기 이너라이너와 상기 흡음부 사이에 형성되는 전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부는,
    폴리머 구조의 필름 형태의 흡음재; 및
    상기 흡음재의 양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벽체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결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흡음부는,
    상기 결합체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전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선은 다공성 스폰지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몸체와의 마찰 대전으로 인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선은,
    전도성 재료를 프린팅하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10.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는,
    타이어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갖는 전자모듈; 및
    상기 전자모듈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11.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는,
    양 끝단이 상기 벽체부에 제1 길이만큼 삽입되며, 상기 벽체부에 삽입된 양 끝단에서부터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만큼의 영역은 나머지 삽입 영역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흡음부의 양 끝단의 형상에 대응되게 단차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KR1020200019163A 2020-02-17 2020-02-17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KR102351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63A KR102351699B1 (ko) 2020-02-17 2020-02-17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US17/173,698 US11993107B2 (en) 2020-02-17 2021-02-11 Tires with self generation and sound absorption
EP21157329.0A EP3865317B1 (en) 2020-02-17 2021-02-16 Tire with sound absorber and self-powered electronic unit
CN202110190124.0A CN113263872B (zh) 2020-02-17 2021-02-18 可自发电的吸音轮胎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63A KR102351699B1 (ko) 2020-02-17 2020-02-17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434A KR20210104434A (ko) 2021-08-25
KR102351699B1 true KR102351699B1 (ko) 2022-01-17

Family

ID=7466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163A KR102351699B1 (ko) 2020-02-17 2020-02-17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93107B2 (ko)
EP (1) EP3865317B1 (ko)
KR (1) KR102351699B1 (ko)
CN (1) CN1132638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5818B1 (ko) * 2021-10-26 2023-11-29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타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4779A (ja) * 2014-08-01 2016-03-1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914A (ja) * 1994-04-13 1995-10-24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3736804B2 (ja) * 2003-04-02 2006-01-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タイヤ空気室における部材の保持方法およびその方法に用いる保持部付きの部材
JP4148987B2 (ja) * 2005-02-16 2008-09-10 横浜ゴム株式会社 低騒音空気入りタイヤ
JP4833783B2 (ja) * 2006-09-26 2011-12-07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騒音低減装置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2008080969A (ja) * 2006-09-27 2008-04-10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及び車輪構造
JP2010000950A (ja) * 2008-06-20 2010-01-07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騒音低減装置
JP2010179888A (ja) * 2009-02-09 2010-08-19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5499569B2 (ja) * 2009-08-31 2014-05-21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騒音低減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US9178446B2 (en) 2011-08-30 2015-11-03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Triboelectric generator
FR2987708B1 (fr) 2012-03-05 2023-11-24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electrostatique de recuperation d'energie mecanique par effet triboelectrique
CN203410251U (zh) * 2013-08-14 2014-01-29 国家纳米科学中心 轮胎胎压和速度探测装置
DE102015217475B4 (de) * 2015-09-14 2023-07-2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mit einem Reifenmodul
DE102015217472A1 (de) * 2015-09-14 2017-03-1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mit einem Reifenmodul
DE102015217474A1 (de) * 2015-09-14 2017-03-1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mit einem Reifenmodul
DE102015217479A1 (de) * 2015-09-14 2017-03-16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mit einem Reifenmodul
JP6696145B2 (ja) * 2015-10-15 2020-05-2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KR101775797B1 (ko) * 2015-11-30 2017-09-0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음재 고정밴드를 구비하는 타이어 흡음재고정구조 및 이의 포함하여 제조되는 타이어
KR101799196B1 (ko) * 2016-05-03 2017-12-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자가발전이 가능한 타이어 및 이의 제조방법
JP6272944B2 (ja) * 2016-05-13 2018-01-31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6291520B2 (ja) * 2016-05-13 2018-03-1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及び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US10587208B2 (en) * 2017-01-19 2020-03-10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riboelectric generator housing and system for vehicle wheel
KR101864536B1 (ko) * 2017-05-11 2018-06-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측면 외부전극을 구비하는 접촉대전 자가발전모듈을 포함하는 타이어
KR101887809B1 (ko) * 2017-05-11 2018-08-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접촉대전 자가발전모듈을 포함하는 타이어
KR101867228B1 (ko) * 2017-05-11 2018-06-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복수개의 외부전극을 구비한 접촉대전 자가발전모듈을 포함하는 타이어
KR101957990B1 (ko) * 2017-07-24 2019-03-14 한국과학기술원 접촉 대전 발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DE102018206819A1 (de) * 2018-05-03 2019-11-0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Reifen
DE102018208246A1 (de) * 2018-05-25 2019-11-2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Fahrzeugreifen
DE102018208459A1 (de) * 2018-05-29 2019-12-05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Luftreifen mit Dämpfungselement
CN110733299A (zh) * 2018-07-18 2020-01-31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轮胎组装体、轮胎的监控系统和方法
KR101957640B1 (ko) * 2018-08-13 2019-03-12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소음 저감 타이어
KR102044888B1 (ko) * 2019-04-12 2019-11-14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공명 소음 저감 구조를 가진 공기입 타이어
KR102127660B1 (ko) * 2020-01-06 2020-06-29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흡음재와 차음막을 이용한 공명소음 저감 공기입 타이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34779A (ja) * 2014-08-01 2016-03-1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63872A (zh) 2021-08-17
KR20210104434A (ko) 2021-08-25
EP3865317A1 (en) 2021-08-18
US11993107B2 (en) 2024-05-28
EP3865317B1 (en) 2023-11-08
CN113263872B (zh) 2023-07-07
US20210252920A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59620B (zh) 包括接触带电自发电模块的轮胎
KR102351699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흡음타이어
KR101957990B1 (ko) 접촉 대전 발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WO2005012005A1 (ja) 低騒音空気入りタイヤ
EP3330188A1 (en) Multifunctional structure for electrical energy and mechanical environment management
CN102988045A (zh) 磁共振设备
JPWO2019244349A1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アセンブリシート
JP2011084123A (ja) 二重構造タイヤ発電装置
JP2009023548A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20022158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70056147A (ko) 플랙서블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 타이어 적용 발전 장치
KR101864536B1 (ko) 측면 외부전극을 구비하는 접촉대전 자가발전모듈을 포함하는 타이어
JP7089418B2 (ja) 空気入りタイヤ
IT201800020335A1 (it) Pneumatico comprendente un dispositivo di rilevamento
KR101557319B1 (ko)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CN210970535U (zh) 轮辋结构、车轮及车辆
KR101867228B1 (ko) 복수개의 외부전극을 구비한 접촉대전 자가발전모듈을 포함하는 타이어
JP2009286271A (ja) 吸音部材、かかる吸音部材を具えるタイヤ及びかかる吸音部材を具えるタイヤとリムの組立体
JP2009023609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843270B1 (ko)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EP3647098A1 (en) Battery box and vehicle
CN219769532U (zh) 一种静音轮毂
WO2021117271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6313550B2 (ja) ワイヤハーネス保護構造
KR102578183B1 (ko) 정전기를 이용한 흡음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