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270B1 -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270B1
KR101843270B1 KR1020160089924A KR20160089924A KR101843270B1 KR 101843270 B1 KR101843270 B1 KR 101843270B1 KR 1020160089924 A KR1020160089924 A KR 1020160089924A KR 20160089924 A KR20160089924 A KR 20160089924A KR 101843270 B1 KR101843270 B1 KR 101843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 unit
inner liner
tire
ai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988A (ko
Inventor
임재욱
김정헌
소순홍
허정무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27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8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8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comprising additional sensors in the wheel or tyre mounted monitoring device, e.g. movement sensors, microphones or earth magnetic field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20Devices for measuring or signalling tyre temperatur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튜브가 센서를 둘러쌈으로써,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갖추고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센서 유닛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에 설치되는 상기 센서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상기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는 상기 에어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Sensor unit having an air tube and ti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튜브가 센서를 둘러쌈으로써,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갖추고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센서 유닛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타이어 관련 기술과 정보통신기술(IT)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에 설치된 센서 칩, 송신기 칩 등의 부품을 통하여 운전자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과 온도 등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하여, 운전자는 타이어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함으로써, 타이어 불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주행 중에 타이어는 계속 회전할 수 밖에 없고, 주행 중 타이어의 발열이 일어나기 때문에, 타이어에 부품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쉽지 않다. 현재 콘티넨탈의 인텔리전트 타이어, 피렐리의 사이버 타이어 등은 접착제에 의하여 부품이 설치된 타이어들이다. 그렇지만 접착제를 활용하여 부품을 타이어의 소정 부위에 단순히 부착할 경우, 타이어의 회전, 발열 등에 의하여 부품이 타이어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현재 비드나 트레드 겹 등 타이어 내부에 부품을 부착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타이어 동작 중 부품이 파손되어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타이어가 장착되는 휠에 부품을 설치하는 경우, 타이어 탈·부착 시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타이어에 부품을 설치하는 기술로, 일본 공개특허 제2007-331295호(발명의 명칭 : 공기 타이어의 제조 방법,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한다.)에는, 커버 부착 공정, 이형제 도포 공정, 가류 공정, 커버 추출 공정, 및 패치 설치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의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7-331295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기술 1은 그린타이어에 패치를 직접 부착하는 경우 브래더의 압력이 불균일하게 작용하여 타이어의 편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를 먼저 부착한 다음 가류 공정을 진행하는 기술이나, 이렇게 하더라도 커버의 두께로 인해 브래더의 압력이 불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제1문제점, 및 종래기술 1은 커버를 제거한 후 패치를 재부착하는 공정을 포함하나, 이 경우 패치의 접착력이 약화되어 타이어의 공기가 누설됨으로써, 타이어의 편마모보다 더 위험한 상황이 도래할 수 있다는 제2문제점을 해결하려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는 본 발명은, 타이어에 설치되는 센서 유닛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는 에어 튜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유닛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튜브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상기 타이어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 상기 타이어의 온도, 및 상기 타이어의 가속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 유닛, 표면에 상기 센서 유닛이 위치 및 고정되는 이너라이너, 및 상기 센서 유닛을 커버 및 가압하면서 상기 표면에 고정하고, 일부가 상기 이너라이너에 결합되는 센서 패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에어 튜브는, 내부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내부의 상기 에어가 배기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유닛, 상기 이너라이너, 및 상기 센서 패치는 가류 공정에 의하여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너라이너 및 상기 센서 패치가 가류 공정에 의하여 일체화된 후, 상기 센서 유닛이 상기 이너라이너 및 상기 센서 패치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패치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상기 이너라이너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패치는 상기 센서 유닛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패치는 상기 홀의 원주를 따라 상기 센서 유닛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패치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어 튜브로 인하여 센서 유닛이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는 제1효과, 에어 튜브로 인하여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센서 유닛이 제조될 수 있다는 제2효과, 센서 유닛을 이너라이너 및 센서 패치 사이에 삽입한 다음, 에어 튜브 내부에 에어를 공급할 경우, 센서 유닛을 이너라이너의 표면에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는 제3효과, 센서 유닛 제거 시 에어 튜브 내부의 에어를 배기하여 용이하게 센서 유닛을 제거할 수 있다는 제4효과,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조함에 있어, 일반적인 가류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공정이 불필요하다는 제5효과, 센서 유닛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센서 패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제6효과, 센서 유닛, 이너라이너, 및 센서 패치가 일체화될 수 있으므로 주행 중 센서의 이탈 위험이 없다는 제7효과, 및 에어 튜브 및 센서 패치로 인하여 가류 공정을 거치더라도 센서의 변형 가능성이 적다는 제8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센서 유닛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인 센서 유닛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인 센서 유닛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인 센서 유닛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인 타이어의 일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이너라이너, 및 홀을 포함하는 센서 패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이미지.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센서 유닛(10)은 타이어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센서 유닛(10)은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센서 유닛(10)이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경우, 접착제에 의하여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은 가류 공정에 의하여 이너라이너(20)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유닛(10)은 소정의 가압 부재에 의하여 압력을 받으면서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은 센서(110) 및 에어 튜브(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센서 유닛(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센서 유닛(10)에 대하여 그것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별로 상술하기로 한다.
센서(110)는 여러 가지 대상을 감지하여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센서(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11)는 타이어의 공기압, 타이어의 온도, 및 타이어의 가속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센서(110)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CU는 상기 센싱부(111)가 여러 가지 대상을 감지하여 생성한 신호를 수신하여,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어에 대한 정보는 타이어의 공기압에 대한 정보, 타이어의 온도에 대한 정보, 및 타이어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센서(110)는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센서(110)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 센서(110)를 이루는 여러 가지 소자들이 실장되는 기판, 센서(110)를 이루는 여러 가지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센서(110)를 이루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 없이도 센서(110)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어 튜브(120)는 내부에 에어를 포함할 수 있는 부재이다. 에어 튜브(120)는 센서(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싼다. 에어 튜브(120)가 센서(110)의 전부를 둘러싸는 경우, 센서(110)는 에어 튜브(12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120)는 센싱부(111)를 제외한 센서(110)의 전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120)는 센서(110)의 측부 및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120)는 센서(110)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120)는 센서(110)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에어 튜브(120)는 내부에 에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110)를 외부의 충격,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 튜브(120)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10)은 우수한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가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유닛(10)이 소정의 가압 부재에 의하여 압력을 받으면서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고정되는 경우, 센서 유닛(10)은 상기 가압 부재가 가하는 압력에 저항하는 에어 튜브(120)로 인해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에어 튜브(120)는 상기 내충격성, 상기 내열성 등을 갖춘 재질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에어 튜브(120)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타이어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에어 튜브(1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내부의 에어가 배기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타이어에 설치된 센서 유닛(10)을 제거하는 경우, 에어 튜브(120) 내부의 에어를 배기하여 에어 튜브(120)의 부피를 줄인 다음, 센서 유닛(1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이너라이너(20)의 표면 사이에 센서 유닛(10)을 설치하는 경우, 센서 유닛(10)을 설치한 다음 에어 튜브(120) 내부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를 공급받아 부피가 커짐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가 가하는 압력에 저항하는 에어 튜브(120)로 인해, 센서 유닛(10)은 상기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는 센서 유닛(10),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는 센서 유닛(10),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일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 타이어에 대하여 그것을 이루는 각 구성요소별로 상술하기로 한다.
센서 유닛(10)은 센서(110) 및 에어 튜브(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110)는 여러 가지 대상을 감지하여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센서(1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11)는 타이어의 공기압, 타이어의 온도, 및 타이어의 가속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센서(110)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CU는 상기 센싱부(111)가 여러 가지 대상을 감지하여 생성한 신호를 수신하여,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타이어에 대한 정보는 타이어의 공기압에 대한 정보, 타이어의 온도에 대한 정보, 및 타이어의 가속도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센서(110)는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센서(110)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기, 센서(110)를 이루는 여러 가지 소자들이 실장되는 기판, 센서(110)를 이루는 여러 가지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센서(110)를 이루는 여러 가지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는 하우징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 없이도 센서(110)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에어 튜브(120)는 내부에 에어를 포함할 수 있는 부재이다. 에어 튜브(120)는 센서(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싼다. 에어 튜브(120)가 센서(110)의 전부를 둘러싸는 경우, 센서(110)는 에어 튜브(12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120)는 센싱부(111)를 제외한 센서(110)의 전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120)는 센서(110)의 측부 및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120)는 센서(110)의 측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튜브(120)는 센서(110)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다. 에어 튜브(120)는 내부에 에어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센서(110)를 외부의 충격, 열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에어 튜브(120)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10)은 우수한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가진다. 또한 센서 유닛(10)은 후술할 센서 패치(30)가 가하는 압력에 저항하는 에어 튜브(120)로 인해 후술할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에어 튜브(120)는 상기 내충격성, 상기 내열성 등을 갖춘 재질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에어 튜브(120)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후술할 이너라이너(20)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너라이너(20)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는 이너라이너(20)와 같은 소재일 수도 있고, 다른 소재일 수도 있다.
에어 튜브(12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내부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내부의 에어가 배기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후술할 센서 패치(30) 및 후술할 이너라이너(20) 사이에 설치된 센서 유닛(10)을 제거하는 경우, 에어 튜브(120) 내부의 에어를 배기하여 에어 튜브(120)의 부피를 줄인 다음, 센서 유닛(1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센서 패치(30) 및 후술할 이너라이너(20)의 표면 사이에 센서 유닛(10)을 설치하는 경우, 센서 유닛(10)을 설치한 다음 에어 튜브(120) 내부에 에어를 공급할 수 있다. 에어를 공급받아 부피가 커짐으로써 후술할 센서 패치(30)가 가하는 압력에 저항하는 에어 튜브(120)로 인해, 센서 유닛(10)은 후술할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너라이너(20)는 타이어의 구성 요소로서 이미 공지되어 있고, 공지된 어떤 이너라이너(20)로든 한정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는 센서 유닛(10)이 위치 및 고정된다.
센서 패치(30)는 그 일부가 이너라이너(20)에 결합되어 센서 유닛(10)을 커버 및 가압한다. 이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5에 따르면, 센서 패치(30)의 양단이 이너라이너(20)에 결합되어, 센서 패치(30)가 센서 유닛(10)을 커버한다. 그리고 센서 패치(30)는 이너라이너(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센서 유닛(10)을 가압한다. 센서 패치(30)는 센서 유닛(10)을 커버 및 가압함으로써 센서 유닛(10)을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고정한다.
센서 패치(30)는 센서 유닛(10)을 커버 및 가압하는 부재로서 신축성을 갖춘 재질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센서 패치(30)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상기 이너라이너(20)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너라이너(20)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는 이너라이너(20)와 같은 소재일 수도 있고, 다른 소재일 수도 있다.
센서 패치(30)는 중심부에 홀(310)을 포함할 수 있다. 홀(310)은 센서 유닛(10)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도 6에는 이너라이너(20), 및 홀(310)을 포함하는 센서 패치(3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다. 홀(310)을 포함하는 센서 패치(30) 및 이너라이너(20) 사이에 센서 유닛(10)이 설치되는 경우, 센싱부(111)가 홀(310)을 통하여 노출되고, 센서 유닛(10)의 나머지 부분은 센서 패치(3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11) 및 에어 튜브(120)의 일부가 홀(310)을 통하여 노출되고, 센서 유닛(10)의 나머지 부분은 센서 패치(30)에 의해 커버될 수도 있다. 센서 패치(30)는 홀(310)의 원주를 따라 센서 유닛(10)을 가압한다. 센서 패치(30)가 이너라이너(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센서 유닛(10)을 가압할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센서 패치(30)가 홀(310)을 포함하는 경우, 센서 패치(30)는 이너라이너(20)를 향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홀(310)의 원주를 따라 홀(31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도 센서 유닛(10)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패치(30)는 홀(31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보다 더욱 강하게 센서 유닛(10)을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고정할 수 있다.
센서 패치(3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센서 패치(30)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는 직사각형 형상의 센서 패치(30)가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설치된 센서 유닛(10)으로 인해 신장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원형이나 타원형 형상의 센서 패치(3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렵지 않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센서 패치(30)의 두께는, 이너라이너(20) 두께가 1.5mm일 경우, 이너라이너(20) 두께의 20 내지 80%를 제안한다. 센서 패치(30)의 두께가 이너라이너(20) 두께의 20%미만일 경우, 센서 패치(30)의 두께가 너무 얇아, 센서 패치(30)를 신장하고 센서 유닛(10)을 삽입할 시(후술함), 센서 패치(30)가 파단될 위험이 있다. 또한 센서 패치(30)의 두께가 이너라이너(20) 두께의 80%를 초과할 경우, 후술하는 가류 공정 진행 시, 브래더의 압력이 센서 패치(30) 부분에만 불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를 포함하는 타이어는 다양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가령 센서 유닛(10),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를 가류 금형에 투입한 다음, 이들에 열, 압력, 및 황을 가하여 가류할 수 있다. 센서 유닛(10),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는 이러한 가류 공정에 의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센서 유닛(10),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가 그것들이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또 다른 예로, 먼저,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를 가류 공정을 이용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패치(30)의 양단을 가류 공정을 이용하여 이너라이너(20)에 결합함으로써,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를 일체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패치(30)를 신장하여, 센서 유닛(10)을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 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센서 패치(30)가 신축성을 갖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센서 유닛(10)을 삽입한 후, 신장된 센서 패치(30)를 다시 수축하면, 센서 패치(30)가 센서 유닛(10)을 가압하게 된다. 센서 유닛(10)을 이너라이너(20)의 표면에 더욱 강하게 고정하기 위해, 센서 유닛(10), 이너라이너(20), 및 센서 패치(30) 중 어느 두 개가 접촉하는 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센서 유닛(10)을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 : 센서 유닛
110 : 센서
111 : 센싱부
120 : 에어 튜브
20 : 이너라이너
30 : 센서 패치
310 : 홀

Claims (11)

  1.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110) 및 상기 센서(110)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는 에어 튜브(120)를 포함하는 센서 유닛(10);
    표면에 상기 센서 유닛(10)이 위치 및 고정되는 이너라이너(20); 및
    상기 센서 유닛(10)을 커버 및 가압하면서 상기 표면에 고정하고, 일부가 상기 이너라이너(20)에 결합되는 센서 패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튜브(120)는,
    내부에 에어가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내부의 상기 에어가 배기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110)는,
    상기 타이어의 공기압, 상기 타이어의 온도, 및 상기 타이어의 가속도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센싱부(1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유닛(10), 상기 이너라이너(20), 및 상기 센서 패치(30)는 가류 공정에 의하여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라이너(20) 및 상기 센서 패치(30)가 가류 공정에 의하여 일체화된 후, 상기 센서 유닛(10)이 상기 이너라이너(20) 및 상기 센서 패치(30)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튜브(120)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상기 이너라이너(20)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패치(30)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상기 이너라이너(20)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 및 이들의 혼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패치(30)는 상기 센서 유닛(10)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홀(310)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 패치(30)는 상기 홀(310)의 원주를 따라 상기 센서 유닛(10)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패치(3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KR1020160089924A 2016-07-15 2016-07-15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1843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24A KR101843270B1 (ko) 2016-07-15 2016-07-15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924A KR101843270B1 (ko) 2016-07-15 2016-07-15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988A KR20180008988A (ko) 2018-01-25
KR101843270B1 true KR101843270B1 (ko) 2018-05-15

Family

ID=6109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924A KR101843270B1 (ko) 2016-07-15 2016-07-15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2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14B1 (ko) * 2018-03-29 2019-09-03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센서 커버용 고무 조성물 및 센서를 포함하는 타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312A (ja) * 1999-03-23 2000-10-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内部状態測定器
JP2006231984A (ja) * 2005-02-22 2006-09-07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及び、空気入りタイヤ製造方法
JP2007099052A (ja) * 2005-10-03 2007-04-19 Bridgestone Corp 電子部品付タイヤ及び電子部品付タイヤ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312A (ja) * 1999-03-23 2000-10-03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内部状態測定器
JP2006231984A (ja) * 2005-02-22 2006-09-07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及び、空気入りタイヤ製造方法
JP2007099052A (ja) * 2005-10-03 2007-04-19 Bridgestone Corp 電子部品付タイヤ及び電子部品付タイヤ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988A (ko) 2018-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6868B2 (en) Pneumatic tire comprising sensor patch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863657B1 (en) A tyre comprising a device for detecting at least a characteristic parameter of the tyre itself,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3632706B1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EP10484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al power to an active electronic device embedded within a tire
KR101340195B1 (ko) Ic 태그, 이를 부착한 공기압 타이어 및 ic 태그의 부착 방법
RU2746474C1 (ru) Шина
EP1970222A1 (en) Fixing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and pneumatic tire to which electronic device is fixed using such fixing structure
US11440355B2 (en) Tire
EP3611041B1 (en) Tire sensor fixed in screwing manner and tire having the same
US11338624B2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EP4019291B1 (en) Tire having an embedded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331293A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EP3730320B1 (en) Tire
KR101843270B1 (ko)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JP2005178746A (ja) 環状のアンテナと電子部品とをタイヤに組み込む装置および方法
US20140251527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uring retreaded tires
JPS62261406A (ja) 更生タイヤの製造方法
KR20190001368U (ko)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US11440356B2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EP3632707B1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JP4878939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2007024723A (ja) 電子部品取付用ゴムパッチ及びゴムパッチ付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