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1368U -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 Google Patents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1368U
KR20190001368U KR2020170006173U KR20170006173U KR20190001368U KR 20190001368 U KR20190001368 U KR 20190001368U KR 2020170006173 U KR2020170006173 U KR 2020170006173U KR 20170006173 U KR20170006173 U KR 20170006173U KR 20190001368 U KR20190001368 U KR 201900013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oupling
tire
container
inner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61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9733Y1 (ko
Inventor
정재권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700061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733Y1/ko
Publication of KR20190001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7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91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 B60C23/0493Constructional details of means for attaching the control device for attachment on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결합부와 센서컨테이너가 결합될 때,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주변상황 변화에 따른 센서컨테이너의 이탈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바퀴에 장착되는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타이어의 내부를 이루고 외형이 도넛형상으로 형성된 이너라이너, 상기 이너라이너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결합된 모니터링센서 및 상기 모니터링센서와 상기 이너라이너 내측면과의 결합 시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모니터링센서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고른 평면형상으로 형성된 센서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TIRE HAVING COMBINATION FOR SENSOR}
본 고안은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센서결합부가 형성되어 센서가 결합되는 타이어 내부의 크랙이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타이어 관련 기술과 정보통신기술(IT)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에 설치된 센서 칩, 송신기 칩 등의 부품을 통하여 운전자가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과 온도 등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통하여, 운전자는 타이어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함으로써, 타이어 불량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주행 중에 타이어는 계속 회전할 수 밖에 없고, 주행 중 타이어의 발열이 일어나기 때문에, 타이어에 부품을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쉽지 않다. 현재 콘티넨탈의 인텔리전트 타이어, 피렐리의 사이버 타이어 등은 접착제에 의하여 부품이 설치된 타이어들이다. 그렇지만 접착제를 활용하여 부품을 타이어의 소정 부위에 단순히 부착할 경우, 타이어의 회전, 발열 등에 의하여 부품이 타이어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높다.
한가지 예로써, 종래에는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센서부를 포함하는 센서컨테이너를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결합시켜서 공기압을 모니터링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부의 센서부착위치에 끌개로 표면을 평평하게 만들고 접착제를 도포하여 센서압착기를 통해 타이어에 센서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타이어의 제조 시 형성된 벤트라인에 의해서 센서컨네이너와의 결합력이 떨어지게 되었다. 즉, 이너라이너의 표면과 센서컨테이너의 표면 사이에 벤트라인이 존재할 경우 센서컨테이너가 일측으로 들뜨게 되므로, 이로 인해 결합력이 떨어지고, 주행 중 부착 부위의 마모나 타이어 내부의 손상 및 크랙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센서와 안정적인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는 타이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81697호(2017.09.19.)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의 내면에 센서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너라이너와 센서컨테이너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구비된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는 바퀴에 장착되는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타이어의 내부를 이루고 외형이 도넛형상으로 형성된 이너라이너, 상기 이너라이너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결합된 모니터링센서 및 상기 모니터링센서와 상기 이너라이너 내측면과의 결합 시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모니터링센서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고른 평면형상으로 형성된 센서결합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센서는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센서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센서컨테이너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컨테이너는 타이어의 조건이나 주변환경의 조건에 따라 형상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에 하나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결합부는 상기 센서컨테이너의 형상에 대응되어 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결합부의 상면에는 상기 센서컨테이너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컨테이너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컨테이너의 하면에는 표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상기 센서결합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판상으로 형성된 결합플레이트가 추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결합부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두께 및 상기 결합홈의 깊이는 1mm 이하로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열십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 형상과 대응되어 열십자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의 내면에 센서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이너라이너로부터 센서컨테이너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구비되어 센서결합부와 센서컨테이너가 결합될 때,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주변상황 변화에 따른 센서컨테이너의 이탈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류공정 이전의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의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된 센서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에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된 센서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에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류공정 이전의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의 부분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된 센서결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에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의 정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된 센서결합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에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130)가 형성된 타이어(100) 는 이너라이너(11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너라이너(110)는 일반적으로 튜브레스 타이어에 사용되는 구성으로 상기 튜브레스 타이어의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카카스 내면에 부착되는 고무층으로, 공기 누출을 방지하도록 도넛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에는 모니터링센서(12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너라이너(110)는 중공의 튜브형상으로 중심부 측을 향해 내부가 비도록 상단 및 하단이 오목하게 휘어지고, 단면형상이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이너라이너(110)는 도넛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축방향으로 홀이 형성되고, 측면의 단면형상이 상단 및 하단이 중심축방향을 향해 오목하게 휘어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단 및 하단 측으로 개방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에는 모니터링센서(120)가 결합되고, 상기 모니터링센서(120)는 상기 타이어에 대한 정보를 측정 및 감지하게 된다. 이러한 모니터링센서(120)를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 온도 및 타이어의 가속도 등과 같은 조건들을 감지할 수 있고, 본 고안에서는 바람직하게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TMS(Tire Mounted Sensor)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모니터링센서(120)는 센서부(121) 및 센서컨테이너(122)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니터링센서(120)는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도록 TMS(Tire Mounted Sensor)로 이루어진 센서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121)가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에 결합가능하도록 상기 센서부(121)가 결합된 센서컨테이너(122)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컨테이너(122)는 상기 센서부(121)를 외부의 충격 등과 같은 외부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내충격성, 내열성 등을 갖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천연고무, 합성고무, 타이어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센서부(121)를 외부요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센서컨테이너(122)는 내부에 에어를 포함할 수 있는 에어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컨테이너(122)는 센서부(121)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센서컨테이너(122)가 상기 센서부(121)의 전부를 둘러싸는 경우, 센서부(121)는 에어튜브로 구성된 센서컨테이너(122)의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컨테이너(122)는 내부에 포함된 에어에 의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센서부(121)를 보호하도록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센서컨테이너(122)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타이어와 일체화될 수 있는 소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해 안정적으로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에는 센서컨테이너(122)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센서결합부(130)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에서는 상기 센서컨테이너(122)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고른 평면형상으로 센서결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에는 타이어의 가류 시 발생되는 기체가 배출되도록 벤트라인이 형성되고, 이러한 벤트라인에 의해서 센서컨테이너(122)의 결합 시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센서결합부(13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과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의 결합시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이 고르지 못해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른 평면형상으로 센서결합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결합부(130)의 상면에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센서부(121) 및 상기 센서컨테이너(122)는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이너라이너(110)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가류공정에 의해서 이너라이너(1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21) 및 상기 센서컨테이너(122)는 소정의 가압부재에 의해서 압력을 받으면서 이너라이너(11)의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고, 가압부재 및 접착제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센서컨테이너(122)와 이와 결합되는 센서결합부(130)는 타이어의 조건 또는 주변환경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컨테이너(122)는 타이어의 조건이나 주변환경의 조건, 그리고 제조 또는 설계 조건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형상은 단면의 형상이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 여러 형상일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은 타이어에 대한 여러 정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고, 타이어의 주행에 따른 파손 등의 영향이 없다면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에는 센서결합부(13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판상으로 형성된 결합플레이트(123)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컨테이너(122)는 상기 센서결합부(130)와 결합되고, 결합력이 약한 경우, 타이어의 주행에 따라 상기 센서결합부(130)로부터 상기 센서컨테이너(122)가 이탈 또는 파손될 수 있다. 또한, 결합력이 충분한 경우에도 지속적인 충경에 따른 피로하중에 의해 상기 센서결합부(130)로부터 상기 센서컨테이너(122)가 이탈 또는 파손될 가능성도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컨테이너(122)가 상기 센서결합부(130)와 안정적인 결합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에는 판상의 결합플레이트(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123)는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결합부(130)와 안정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이탈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결합플레이트(123)의 상면형상이 원형, 사각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센서컨테이너(122) 또는 상기 센서결합부(130)의 형상에 의해서 변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결합부(130)와 안정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면 상기 결합플레이트(123)의 형상은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결합부(130)의 상면에는 센서컨테이너(122)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124)가 형성되고,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에는 결합돌기(124)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결합홈(131)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결합부(130)의 상면에는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센서컨테이너(122)가 고정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돌기(12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24)와 대응되어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에는 결합홈(1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124)와 결합홈(1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센서결합부(130)와 센서컨테이너(122)가 결합될 때,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홈 및 돌기의 구조로 인해 결합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결합부(130)와 센서컨테이너(122)의 결합을 보다 확고히 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상기 센서결합부(130)의 상면에 결합홈(131)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에 결합돌기(124)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홈(131)은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에 결합플레이트(123)가 형성될 경우 상기 결합플레이트(123)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센서결합부(130)는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 또는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플레이트(12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의 하면에는 상기 센서결합부(13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결합플레이트(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플레이트(123)는 판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센서결합부(130)에 결합 시 센서컨테이너(122)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짐으로 인해, 결합력이 향상된다. 따라서, 결합돌기(124)와 결합홈(1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센서결합부(130)와 센서컨테이너(122)가 결합될 때, 일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주변상황 변화에 따른 센서컨테이너(122)의 이탈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센서결합부(130)의 상면에 결합홈(131)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123)의 하면에 결합돌기(124)가 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결합돌기(124)의 두께 및 결합홈(131)의 깊이는 1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돌기(124)의 두께와 상기 결합홈(131)의 깊이는 1mm 이하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결합돌기(124)의 두께와 상기 결합홈(131)의 깊이가 1mm 보다 낮을 경우 상기 결합돌기(124)와 결합홈(131)의 결합력이 부족하게 되어 외부충격 등으로 인해 결합이 해제되거나, 정위치에 결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반대로 상기 결합돌기(124)의 두께와 상기 결합홈(131)의 깊이가 1mm 보다 클 경우 상기 결합돌기(124)의 경우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결합되기 전에 마모되거나 손상될 우려가 크고, 결합홈(131)의 경우 홈의 깊이로 인해 타이어의 주행으로 인해 응력이 집중되어 파손될 가능성이 높고, 홈의 깊이만큼 이너라이너(110)의 두께가 얇아져 정상적인 성능을 발휘하는데 지장이 생기게 된다.
또한, 결합돌기(124)는 열십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결합홈(131)은 열십자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돌기(124)는 열십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31)은 상기 결합돌기(124)의 형상에 대응되어 열십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24)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결합돌기(124)와 결합홈(131)과의 결합력을 높여주고, 돌기와 홈 구조로 인해 결합된 후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결합돌기(124) 및 결함홈의 구조를 이해가 용이하도록 열십자 형상으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결합돌기(124) 및 결합홈(131)이 안정적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다면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도 크게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의 정단면도이다.
도9를 참조하면, 모니터링센서(220)는 센서부(221), 센서컨테이너(222) 및 결합돌기(224)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모니터링센서(220)는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센서부(221)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221)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센서부(221)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센서컨테이너(222)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컨테이너(222)의 하면에서는 센서결합부(도3 또는 도6의 130)와 결합되도록 결합돌기(22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결합부(도3 또는 도6의 130)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센서결합부(도3 또는 도6의 130)에 결합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 경우 상기 모니터링센서(220)는 결합홈(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모니터링센서(220)는 도5에 개시된 모니터링센서(120)와 비교할 때, 결합플레이트(도5의 123)의 형성여부에서만 차이가 있고,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상기 내용을 참조한다.
도 10는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의 확대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된 센서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10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이너라이너(310)의 내측면에 센서결합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센서결합부(330)는 도 6 내지 도 7에 개시된 센서결합부(130)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고, 센서결합부(330)의 형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상기 센서결합부(330)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6 내지 도 7에 개시된 센서결합부(130)가 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과 달리 도 10내지 도 11의 센서결합부(33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센서결합부(330)의 형상은 센서컨테이너(도4의 122또는 도 9의 222)의 형상에 따라 변화되고, 상기 센서컨테이너(도4의 122또는 도 9의 222)와 높은 체결력을 유지하도록 하기위함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상을 제외한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상기 내용을 참조한다.
도 12은 본 고안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결합부에 모니터링센서가 결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모니터링센서(220)는 센서결합부(230)에 결합된다. 상기 모니터링센서(220)는 센서부(221), 센서컨테이너(222) 및 결합돌기(224)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컨테이너(222)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돌기(224)에 상기 센서결합부(23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홈(231)이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도 5 및 도 8에 개시된 센서결합부(130)에 모니터링센서(120)가 결합되는 구조와 비교하여 상기 센서컨테이너(122)에 결합플레이트(123)의 유무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링센서(220)는 결합플레이트(도 5의 123)가 없으므로 구조가 콤팩트하고, 이에 따라 보다 간편하게 센서결합부(230)에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결합부(230)에 결합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모니터링센서(220)에는 결합홈(231)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다 자세한 구조는 상기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110, 310: 이너라이너
120, 220: 모니터링센서
121, 221, 320: 센서부
122, 222: 센서컨테이너
123, 323: 결합플레이트
124, 224: 결합돌기
130, 330: 센서결합부
131, 331: 결합홈

Claims (9)

  1. 바퀴에 장착되는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타이어의 내부를 이루고, 외형이 도넛형상으로 형성된 이너라이너;
    상기 이너라이너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공기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도록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결합된 모니터링센서; 및
    상기 모니터링센서와 상기 이너라이너 내측면과의 결합 시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모니터링센서가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이너라이너의 내측면에 고른 평면형상으로 형성된 센서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센서는,
    상기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센서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센서컨테이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컨테이너는 타이어의 조건이나 주변환경의 조건에 따라 형상이 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결합부는 상기 센서컨테이너의 형상에 대응되어 원형, 사각형, 다각형 중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결합부의 상면에는 상기 센서컨테이너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센서컨테이너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컨테이너의 하면에는 표면적을 넓게함으로써 상기 센서결합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판상으로 형성된 결합플레이트가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결합부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플레이트와 결합되도록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하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8. 제 5 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의 두께 및 상기 결합홈의 깊이는 1mm 이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열십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 형상과 대응되어 열십자 형상의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KR2020170006173U 2017-11-30 2017-11-30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KR200489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173U KR200489733Y1 (ko) 2017-11-30 2017-11-30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6173U KR200489733Y1 (ko) 2017-11-30 2017-11-30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368U true KR20190001368U (ko) 2019-06-10
KR200489733Y1 KR200489733Y1 (ko) 2019-07-29

Family

ID=66810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6173U KR200489733Y1 (ko) 2017-11-30 2017-11-30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7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145B1 (ko) 2020-09-25 2022-06-07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센서장치 부착을 위한 타이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0512A (ja) * 2014-02-27 2015-09-0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機能部品取付台座、及び、タイヤ
WO2016108985A1 (en) * 2014-12-30 2016-07-07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Rubber article including electronics attachment mechanism
KR101781697B1 (ko) 2015-11-13 2017-10-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착판과 진공흡착공간을 구비하는 타이어 센서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60512A (ja) * 2014-02-27 2015-09-0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機能部品取付台座、及び、タイヤ
WO2016108985A1 (en) * 2014-12-30 2016-07-07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Rubber article including electronics attachment mechanism
KR101781697B1 (ko) 2015-11-13 2017-10-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착판과 진공흡착공간을 구비하는 타이어 센서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733Y1 (ko) 201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0222B1 (en) Fixing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and pneumatic tire to which electronic device is fixed using such fixing structure
US8959990B2 (en) Arrangement of a tire pressure sensor unit
EP1721760B1 (en) Electronic device fixing system for air-filled tire, air-filled tire and electronic device storing apparatus
US8863570B2 (en) Support and insert for attaching a module to a tire wall
US6952957B2 (en) Transmitter in tire condition monitoring apparatus
KR20170023606A (ko) 센서 패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방법
JP5432164B2 (ja) 装置のためのホルダを構成する部材及びかかる部材を有するタイヤ
US20120112898A1 (en) Programmable tire-condition sensor having a flexible shell, its installation method and a tire carrying same
WO2012160896A1 (ja) 空気入りタイヤ
EP3611041B1 (en) Tire sensor fixed in screwing manner and tire having the same
US20200055353A1 (en) Functional component attachment base
US9783014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tire pressure in a pneumatic tire of a vehicle
WO2015045459A1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89733Y1 (ko) 센서결합부가 형성된 타이어
US20100206449A1 (en) Vehicle Wheel Having Inner Tire And Outer Tire
JP2019093996A (ja) 機能部品取付台座及びタイヤ
WO2012114964A1 (ja) チューブタイヤ用のフラップ
US20220016945A1 (en) Ball and socket articulating tpm sensor
KR100677730B1 (ko) 서포트 링 타입 런플랫 타이어
KR101843270B1 (ko) 에어 튜브를 구비한 센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EP2844504B1 (en) Snap-in valve for rubber wheels
KR102339832B1 (ko) 윈터 타이어용 스터드 핀
JP5943152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6486772B1 (en) Pressure indicating device for tube-less tire
WO2019106893A1 (ja) 機能部品取付台座、機能部品及び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