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319B1 -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 Google Patents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319B1
KR101557319B1 KR1020140046147A KR20140046147A KR101557319B1 KR 101557319 B1 KR101557319 B1 KR 101557319B1 KR 1020140046147 A KR1020140046147 A KR 1020140046147A KR 20140046147 A KR20140046147 A KR 20140046147A KR 101557319 B1 KR101557319 B1 KR 101557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ner plate
elastic
plate member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희
장승호
고효인
홍지영
박덕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6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7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는 철도차량의 내판부와 외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흡음 및 제진 기능을 수행하며, 내판유닛, 외판유닛 및 탄성 가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내판유닛은 상기 내판부에 고정된다. 상기 외판유닛은 상기 외판부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 가변유닛은 상기 외판유닛 및 상기 내판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판유닛과 상기 외판유닛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Description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ELASTICITY VARIABLE SOUND INSULATING ELEMENT HAVING AN ELASTIC MATERIAL}
본 발명은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착력을 가지며 철도차량용 흡음 제진 기능을 갖는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운송 차량 또는 철도 차량과 같이 외부의 진동이나 노이즈를 차단하여 내부에 위치하는 승객의 승차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음단열기술과 관련하여, 주로 고성능 단열 또는 흡차음 소재를 개발하여 철도 차량 등의 구조에 적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즉, 철도 차량 등의 측벽부나 하면부의 구조체 사이에 상기 고성능 단열 또는 흡차음 소재를 개재시켜 차음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고성능 단열 또는 흡차음 소재로서 마이크로 섬유층을 보강한 흡음 적층 구조나, 미세구조 성능이 개선된 EPDM, 우레탄, 멜라민폼 등에 관한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02-10734호는 차체 패널의 실내면에 설치되는 차량용 방음재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흡음층을 포함하여 차음단열을 수행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 또는 적용되고 있는 차음단열기술의 경우, 차음 성능의 현저한 향상을 도모하지 못하며, 새로운 차음소재의 적용시 생산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 밖에도 철도차량 측벽부의 외판부과 내판부 사이에 차음소재가 충분한 두께를 확보하지 못하고 개재되는 경우 상기 차음소재와 각 판부 사이에 빈공간이 생기고 객실 공기가 유입되며 냉각된 외판부 내측에 결로(結露)가 형성되기도 한다. 이때 생성된 물기는 차음부재로 흡수되어 곰팡이 등의 번식환경이 되기도 하고 바닥부로 흘러내린 수분은 차량 바닥부에 삽입된 합판에 흡수되어 뒤틀림이나 부풀어 오름과 같은 손상을 야기하여 차량 바닥부의 수명을 단축하는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나아가, 현재까지 개발된 차음단열 부재의 경우, 최초 제작시의 결정된 두께로 수명이 다할 때까지 사용되어야 하므로, 사용 시간의 경과에 따라 구조 변경 등의 이유로 차음단열층의 두께 변화의 필요성이 발생된 경우, 이를 적절히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정한 두께로 제작된 차음단열 부재는 해당 철도 차량 등에만 적용될 수 있어, 범용성, 사용성 또는 교환성이 부족하여 제작비가 증가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이면서도 두께와 밀착력의 조정이 가능하여 차음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는 철도차량의 내판부와 외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흡음 및 제진 기능을 수행하며, 내판유닛, 외판유닛 및 탄성 가변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내판유닛은 상기 내판부에 고정된다. 상기 외판유닛은 상기 외판부에 고정된다. 상기 탄성 가변유닛은 상기 외판유닛 및 상기 내판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판유닛과 상기 외판유닛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가변유닛은 상기 내판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내판유닛으로부터 상기 탄성 가변유닛의 돌출 거리는 상기 내판부의 외부에서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판유닛에는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홀을 통해 조절유닛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 가변유닛의 돌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판부는 상기 내판유닛의 개구홀에 중첩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가변유닛과 상기 외판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판유닛 및 상기 내판유닛을 각각 상기 외판부와 상기 내판부로 밀착시키는 탄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유닛은 스프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판유닛은, 상기 내판부에 밀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탄성 가변유닛이 수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내판유닛은, 상기 내판부에 밀착되는 제1 내판부재, 상기 제1 내판부재에 밀착되는 제2 내판부재, 및 상기 제2 내판부재에 밀착되며 상기 탄성 가변유닛을 지지하는 제3 내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판유닛은, 상기 외판부에 밀착되는 제1 외판부재, 상기 제1 외판부재에 밀착되는 제2 외판부재, 및 상기 제2 외판부재에 밀착되며 상기 탄성유닛을 지지하는 제3 외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판부재 및 상기 제1 외판부재는 고밀도 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판부재 및 상기 제2 외판부재는 저밀도 폼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내판부재 및 상기 제3 외판부재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가 철도차량의 내판부와 외판부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한 탄성 가변유닛을 포함하므로, 철도차량의 국소적인 내판부와 외판부 사이의 거리의 차이를 고려하여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의 두께와 밀착력 조절이 가능하므로 최적의 제진성 향상 및 차음단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 가변유닛은 내판부의 외부에서 돌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를 설치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판부와 외판부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거리에 최적화되도록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제진성 및 차음단열 효과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돌출 거리의 조절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내판부는 커버부를 통해 밀폐되므로 밀폐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가 두께 조절이 가능하므로, 내판부와 외판부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철도차량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범용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다.
한편,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는 탄성유닛을 통해 밀착성, 흡음성, 제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의 내판유닛 및 외판유닛이 복수의 부재들을 포함하므로 스프링의 팽창력을 이용한 흡음성 및 제진성의 향상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제1 내판부재 및 제1 외판부재는 제진 기능, 상기 제2 내판부재 및 상기 제2 외판부재는 단열 및 흡음 기능, 상기 제3 내판부재 및 상기 제3 외판부재는 탄성부재로 부터의 밀착력을 분산 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가 적용된 철도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의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의 두께 변경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및 두께 변경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가 적용된 철도차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내판부(11)에 구비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의 구조 및 형상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상기 철도차량의 일 측벽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가 구비된 철도차량(10)은 측벽부와 천정부 및 바닥부(13)를 구비하여 내부에 승객이 승차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도 1에 도시된 것 외에 다양한 형태의 승차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철도차량(1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는 철도 차량은 물론, 일반 승용 차량이나 버스 등의 운송 차량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철도차량(10)의 측벽부는 내벽을 형성하는 내판부(11)와 외벽을 형성하는 외판부(12)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는 상기 내판부(11) 및 상기 외판부(12)의 사이에 구비된다.
도 1에서는 상기 외판부(12)와 상기 내판부(11)의 사이에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외판부(12)는 실질적으로 측벽부의 외벽을 형성하고, 상기 내판부(11)는 측벽부의 내벽을 형성한다.
도 2a는 도 1의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의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는 내판유닛(110), 탄성 가변유닛(120), 탄성유닛(130) 및 외판유닛(140)을 포함한다.
상기 내판유닛(110)은 상기 철도차량(10)의 내판부(11)에 고정되며, 상기 외판유닛(140)은 상기 철도차량(10)의 외판부(12)에 고정된다.
상기 내판유닛(110)은 제1 프레임(111) 및 제2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프레임(111)은 원형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내판부(11)에 밀착된다. 상기 제1 프레임(111)의 중앙에는 개구홀(114)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홀(114)을 통해 후술할 탄성 가변유닛(120)의 위치가 조절된다.
상기 제2 프레임(112)은 상기 제1 프레임(111)으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수납부(113)를 형성하는 원통형 기둥 형상을 가진다.
상기 외판유닛(140)은 상기 제1 프레임(111)과 유사한 원형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판부(12)에 밀착된다.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은 상기 내판유닛(110)의 제2 프레임(112)의 수납부(114)에 수납되며 상기 제2 프레임(112)과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과 상기 제2 프레임(112)은 나사결합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의 외면 및 상기 제2 프레임(112)의 내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과 상기 제2 프레임(112)과의 결합 위치, 즉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이 상기 제2 프레임(112)으로부터의 돌출 위치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내판부(11)와 밀착된 상기 제1 프레임(111)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의 끝단까지의 거리는 변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의 두께가 탄성 가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철도차량(10)의 측벽부는 다양한 구조적 필요성에 의해, 상기 내판부(11)와 상기 외판부(12)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게 설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판부(11)와 상기 외판부(12)의 이격 간격이 일정하지 않는 경우, 종래에 상기 내판부(11)와 상기 외판부(12) 사이에 폼(foam)을 개재하는 경우 틈이 발생하여 제진 및 흡음 기능이 저하되고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의 상기 제2 프레임(112)으로부터의 돌출 거리가 변화함에 따라 상기 내판부(11)와 상기 외판부(12)의 이격 거리가 서로 다르게 설계된 경우라도,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균일한 차음 및 단열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배열되는데, 배열된 모든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의 두께가 개별적으로 조절될 필요는 없으며, 두께가 조절되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를 임의의 위치에 배열하여 전체적으로 두께 조절이 가능하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 조절이 가능한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를 4개의 배열 중 하나에만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배치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유닛(130)은 일 끝단은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에 고정되며, 다른 끝단은 상기 외판유닛(140)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탄성유닛(130)은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 및 상기 외판유닛(140)에 탄성력에 의한 압축력을 인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외판유닛(140) 및 상기 내판유닛(110)이 각각 상기 외판부(12) 및 상기 내판부(11)에 밀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에 의한 길이조절을 통해 밀착성은 높이며, 추가로 상기 탄성유닛(130)을 통해 탄성력을 인가함으로써 밀착성을 더욱 향상시킴으로써, 제진 효과 및 차음 단열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내판부와 외판유닛 또는 외판부와 내판유닛 사이에 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결로(結露)의 생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유닛(130)은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의 두께 변경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판부(11)에는 상기 내판유닛(110)의 개구홀(114)에 중첩되는 위치에 개구부(1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15)는 평소에는 커버부(160)에 의해 커버된다. 그리하여, 상기 개구부(15) 및 상기 개구홀(114)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밀폐된다.
한편,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이 상기 제2 프레임(112)으로부터 돌출되는 위치를 조절하는 경우, 즉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의 두께를 조절하는 경우, 상기 커버부(160)를 제거하여 상기 개구부(15) 및 상기 개구홀(114)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160)에는 핀부(161)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160)의 탈부착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핀부(161) 외에 다양한 탈부착 유닛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버부(160)는 상기 내판부(11)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부(15)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로, 결국 상기 핀부(161)도 상기 내판부(11)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판부(11) 상에 상기 개구부(15)가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가 위치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5)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부(160) 및 상기 핀부(161)는 상기 내판부(11)의 일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개구부(15) 및 상기 개구홀(114)이 개방되면, 별도의 조절유닛(150)의 연장부(152)를 상기 개구부(15) 및 상기 개구홀(114)을 통과하여 삽입하여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에 고정한다. 그리하여, 상기 조절유닛(150)의 손잡이부(151)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과 상기 제2 프레임(112)은 나사결합과 같은 상대적인 위치 변화가 가능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탄성 가변유닛(120)의 상기 제2 프레임(112)으로부터의 돌출거리(또는 삽입거리)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의 전체 길이가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조절유닛(150)을 통해 외부에서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의 전체 길이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및 두께 변경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200)는 내판유닛과 외판유닛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200)는 내판유닛(210), 탄성 가변유닛(220), 탄성유닛(230) 및 외판유닛(240)을 포함한다.
상기 내판유닛(210)은 상기 내판부(11)에 밀착되는 제1 내판부재(211), 상기 제1 내판부재(211)에 밀착되는 제2 내판부재(212), 및 상기 제2 내판부재(212)에 밀착되며 상기 탄성 가변유닛(220)을 지지하는 제3 내판부재(213)를 포함한다.
상기 외판유닛(240)은 상기 외판부(12)에 밀착되는 제1 외판부재(241), 상기 제1 외판부재(241)에 밀착되는 제2 외판부재(242), 및 상기 제2 외판부재(242)에 밀착되며 상기 탄성유닛(230)을 지지하는 제3 외판부재(243)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탄성유닛(2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내지 제3 내판부재들(211, 212, 213)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외판부재들(241, 242, 243)은 서로 밀착되게 되며, 제진효과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결로(結露) 생성도 미연에 방지된다.
상기 제1 내판부재(211) 및 상기 제1 외판부재(241)는 각각 제진성이 우수한 합성고무, 예를 들어, CR 고무(chloroprene rubber)를 포함하는 고무 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내판부재(212) 및 상기 제2 외판부재(242)는 단열 및 흡음성이 우수한 멜라민(melamine) 또는 우레탄(urethane)을 포함하는 멜라민 폼 또는 우레탄 폼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3 내판부재(213) 및 상기 제3 외판부재(243)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외판 및 외판부재들(211, 241)은 상대적으로 고밀도인 고밀도 폼, 예를 들어 고무 폼으로 , 상기 제2 외판 및 외판부재들(212, 242)은 상대적으로 저밀도인 저밀도 폼, 예를 들어 멜라민 또는 우레탄 폼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탄성유닛(230)에서 흡음 또는 제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외판 및 외판부재들(213, 243)이 단단한 금속을 포함하므로, 상기 탄성 가변유닛(220) 및 상기 탄성유닛(170)의 고정을 위한 지지력 및 고정력을 전체 면적으로 분산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내판유닛(210)은 상기 제1 내판부재(211), 제2 내판부재(213) 및 제3 내판부재(213)의 외면을 커버하는 내판커버(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판커버(214)는 상기 제1 내판부재(211), 제2 내판부재(213) 및 제3 내판부재(213)의 외면을 커버하는 것으로 생략도 가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 가변유닛(220)은 상기 내판커버(214)와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탄성 가변유닛(220)은 상기 내판유닛(210)으로부터 돌출되는 거리가 조절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200)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200)의 두께 조절을 위해서는, 상기 내판부(11)의 커버부를 제거한 후, 상기 개구부(15)를 통과하여 조절유닛(250)의 연장부(252)를 상기 내판유닛(210), 즉 제1 내지 제3 내판부재들(211, 212, 213)을 관통하도록 삽입하여 상기 탄성 가변유닛(22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조절유닛(250)의 손잡이부(251)를 회전시켜 상기 탄성 가변유닛(220)이 상기 내판커버(214)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또는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가 철도차량의 내판부와 외판부 사이의 거리조절이 가능한 탄성 가변유닛을 포함하므로, 철도차량의 국소적인 내판부와 외판부 사이의 거리의 차이를 고려하여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므로 최적의 제진성 향상 및 차음단열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탄성 가변유닛은 내판부의 외부에서 돌출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를 설치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내판부와 외판부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거리에 최적화되도록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어, 제진성 및 차음단열 효과를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돌출 거리의 조절이 불필요한 경우, 상기 내판부는 커버부를 통해 밀폐되므로 밀폐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가 두께 조절이 가능하므로, 내판부와 외판부 사이의 거리가 서로 다른 다양한 종류의 철도차량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범용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다.
한편,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는 탄성유닛을 통해 밀착성, 흡음성, 제진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의 내판유닛 및 외판유닛이 복수의 부재들을 포함하므로 스프링의 팽창력을 이용한 흡음성 및 제진성의 향상을 보조할 수 있다. 즉, 제1 내판부재 및 제1 외판부재는 제진 기능, 상기 제2 내판부재 및 상기 제2 외판부재는 단열 및 흡음 기능, 상기 제3 내판부재 및 상기 제3 외판부재는 탄성부재로 부터의 밀착력을 분산 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는 자동차, 운송 차량 또는 철도차량의 차음단열 구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기타 두께나 탄성력의 조절이 요구되는 삽입형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가 소요되는 대상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철도차량 11 : 내판부
12 : 외판부 13 : 바닥부
100, 200 :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110, 210 : 내판유닛
111 : 제1 프레임 112 : 제2 프레임
113 : 수납부 114 : 개구홀
120, 220 : 탄성 가변유닛 130 , 230 : 탄성유닛
140, 240 : 외판유닛 150, 250 : 조절유닛
211 : 제1 내판부재 212 : 제2 내판부재
213 : 제3 내판부재 241 : 제1 외판부재
242 : 제2 외판부재 243 : 제3 외판부재

Claims (9)

  1. 철도차량의 내판부와 외판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흡음 및 제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내판부에 고정되는 내판유닛;
    상기 외판부에 고정되는 외판유닛; 및
    상기 외판유닛 및 상기 내판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내판유닛과 상기 외판유닛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탄성 가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내판유닛에는 개구홀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홀을 통해 조절유닛이 삽입되어 상기 탄성 가변유닛의 돌출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변유닛은 상기 내판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내판유닛으로부터 상기 탄성 가변유닛의 돌출 거리는 상기 내판부의 외부에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부는 상기 내판유닛의 개구홀에 중첩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변유닛과 상기 외판유닛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외판유닛 및 상기 내판유닛을 각각 상기 외판부와 상기 내판부로 밀착시키는 탄성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유닛은,
    상기 내판부에 밀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연장되어 내부에 상기 탄성 가변유닛이 수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판유닛은, 상기 내판부에 밀착되는 제1 내판부재, 상기 제1 내판부재에 밀착되는 제2 내판부재, 및 상기 제2 내판부재에 밀착되며 상기 탄성 가변유닛을 지지하는 제3 내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외판유닛은, 상기 외판부에 밀착되는 제1 외판부재, 상기 제1 외판부재에 밀착되는 제2 외판부재, 및 상기 제2 외판부재에 밀착되며 상기 탄성유닛을 지지하는 제3 외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판부재 및 상기 제1 외판부재는 고밀도 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판부재 및 상기 제2 외판부재는 저밀도 폼을 포함하며,
    상기 제3 내판부재 및 상기 제3 외판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KR1020140046147A 2014-04-17 2014-04-17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KR101557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147A KR101557319B1 (ko) 2014-04-17 2014-04-17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147A KR101557319B1 (ko) 2014-04-17 2014-04-17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7319B1 true KR101557319B1 (ko) 2015-10-05

Family

ID=54344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147A KR101557319B1 (ko) 2014-04-17 2014-04-17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731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968B1 (ko) * 2016-02-15 2016-08-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음저감 유닛
KR102489761B1 (ko) 2021-09-02 2023-01-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력과 탄성선도 조절이 가능한 탄성유닛 및 그 작동방법
KR102557148B1 (ko) * 2022-06-20 2023-07-19 (주)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친환경 방진용 패널구조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393A (ja) 2001-02-05 2002-08-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二重床
JP2006117133A (ja) 2004-10-22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真空断熱材を具備した鉄道車両の車体または鉄道保冷車両の車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393A (ja) 2001-02-05 2002-08-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二重床
JP2006117133A (ja) 2004-10-22 2006-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真空断熱材を具備した鉄道車両の車体または鉄道保冷車両の車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968B1 (ko) * 2016-02-15 2016-08-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음저감 유닛
KR102489761B1 (ko) 2021-09-02 2023-01-1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성력과 탄성선도 조절이 가능한 탄성유닛 및 그 작동방법
US11992068B2 (en) 2021-09-02 2024-05-28 Chung Ang University Industry 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Elastic unit with adjustable elasticity and elastic modul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557148B1 (ko) * 2022-06-20 2023-07-19 (주)디에이그룹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친환경 방진용 패널구조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319B1 (ko) 탄성재가 삽입된 탄성가변 차음단열부재
JP4754836B2 (ja) 二重壁構造体
US9099163B1 (en) Hard disk drive (HDD) mounting system for shock and vibration
US20090223738A1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and vehicle component having sound absorption property
US11536343B2 (en) Design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lightweight hyperdamping materials providing large attenuation of broadband-frequency structure-borne sound
JP7090712B2 (ja) 区画部材、乗物、及び電子機器
EP1705643A1 (en) Sound absorbing structure
KR200477936Y1 (ko) 공기층을 포함하는 고흡음 방음 패널
KR101782399B1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TWI422759B (zh) 可調式緩衝器及使用此可調式緩衝器的多媒體儲存裝置模組
CN107922044B (zh) 具有可由飞行器门覆盖的降声空腔的飞行器门装置
WO2016006073A1 (ja) エンジンカバー
KR101557318B1 (ko) 탄성재가 삽입된 밀착형 차음단열부재
JP4752449B2 (ja) 車両用吸音材
KR102432124B1 (ko) 차체의 벌크헤드용 차음 요소
WO2021215516A1 (ja) 吸音カバー
JP4334391B2 (ja) アクティブノイズ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を備えた鉄道車両車体構造
JP5223608B2 (ja) 吸音構造体
WO2009104283A1 (ja) 電子機器の制振装置
KR20140004965U (ko) 차음 및 단열성이 향상된 차음판넬 및 이를 포함하는 차음 도어
JP5608111B2 (ja) 遮音カバー及び遮音性配線ボックス
JP2004122845A (ja) 鉄道車両における車室部材の制振装置
JP5608119B2 (ja) 配線ボックスの遮音装置及び遮音性配線ボックス
JP6929532B2 (ja) 防音パネル
JP2024051555A (ja) 防音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