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066B1 -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066B1
KR102347066B1 KR1020200117495A KR20200117495A KR102347066B1 KR 102347066 B1 KR102347066 B1 KR 102347066B1 KR 1020200117495 A KR1020200117495 A KR 1020200117495A KR 20200117495 A KR20200117495 A KR 20200117495A KR 102347066 B1 KR102347066 B1 KR 1023470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coupling
flange
fast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범
Original Assignee
김준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범 filed Critical 김준범
Priority to KR1020200117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0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Abstract

본 발명은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지부에 대한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누출을 다중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누출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Leak prevention clamp device capable of detecting leaks}
본 발명은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클램프부에 의해 밀폐체결된 플랜지부의 외측을 감싸 밀폐시킴에 따라, 누출 및 누수를 이중으로 방지함은 물론, 누출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나 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접을 실시하였지만, 최근에 들어 재질문제 등에 의해 플랜지를 사용하여 상호 연결시키고 있다.
이 플랜지는 체결볼트용 홀을 가공하여 상호 볼팅처리됨에 따라, 두 개의 관을 연결시키며, 혹시 발생될 수 있는 누출 또는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실링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플랜지는 가공 과정이 번거로우며 또한 현장작업시 볼트체결용 홀이 일정한 위치에 있어 닥트의 방향을 조절 할 때는 홀을 다시 가공하거나 플랜지를 현장에서 용접해야하는 불편이 발생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20-0271299호에 개진된 바와 같이, 플랜지를 감싸는 조임용클램프를 사용하여 복수의 볼팅처리과정을 절감시킴에 따라 작업효율을 향상시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당 관 사용 시, 압력이나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플랜지에 누수 또는 누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유해물질이 누출될 경우, 2차 사고도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의 연결작업을 간소화시키며, 누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두 개의 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부,를 포함하여 두 관에 대한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누출을 다중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누출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두 개의 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플랜지부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부분이 위치되도록 내부에 제1안착공간부를 갖는 제1클램프프레임, 상기 결합부의 나머지부분이 위치되도록 내부에 제2안착공간부를 갖는 제2클램프프레임, 상기 해당 관과 제1클램프프레임, 제2클램프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클램프패킹,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클램프체결부, 및 상기 두 개의 관 연결부분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누출감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일단체결부, 및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타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타단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일단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일단걸림홈, 상기 제2클램프프레임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2일단걸림홈, 상기 제1일단걸림홈에 걸려지기 위한 제1일단걸림돌기를 갖고, 제1클램프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일단체결블럭, 상기 제2일단걸림홈에 걸려지기 위한 제2일단걸림돌기를 갖고, 제2클램프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2일단체결블럭, 및 상기 제1일단체결블럭과 제2일단체결블럭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일단고정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단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1타단걸림홈, 상기 제2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타단걸림홈, 상기 제1타단걸림홈에 걸려지기 위한 제1타단걸림돌기를 갖고, 제1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1타단체결블럭, 상기 제2타단걸림홈에 걸려지기 위한 제2타단걸림돌기를 갖고, 제2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타단체결블럭, 및 상기 제1타단체결블럭과 제2타단체결블럭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타단고정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일단힌지부, 및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타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타단체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일단힌지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 내부에서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일단힌지설치홈, 상기 일단힌지설치홈에 위치되는 일단힌지블럭, 상기 일단힌지블럭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통공형성된 일단힌지설치공, 각 상기 일단힌지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에 상하방햐으로 통공형성된 일단힌지고정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일단힌지설치공과 일단힌지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일단힌지핀,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단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1타단걸림홈, 상기 제2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타단걸림홈, 상기 제1타단걸림홈에 걸려지기 위한 제1타단걸림돌기를 갖고, 제1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1타단체결블럭, 상기 제2타단걸림홈에 걸려지기 위한 제2타단걸림돌기를 갖고, 제2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제2타단체결블럭, 및 상기 제1타단체결블럭과 제2타단체결블럭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타단고정볼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일단힌지부, 및 회전되는 클램프체결레버를 갖고,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타단부에 걸려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타단레버체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일단힌지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 내부에서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일단힌지설치홈, 상기 일단힌지설치홈에 위치되는 일단힌지블럭, 상기 일단힌지블럭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통공형성된 일단힌지설치공, 각 상기 일단힌지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에 상하방햐으로 통공형성된 일단힌지고정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일단힌지설치공과 일단힌지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일단힌지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단레버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 내부에서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타단체결힌지홈, 상기 제2클램프프레임의 타단부 내부에서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걸림턱이 형성된 타단체결고정홈,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타단체결힌지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타단체결봉, 및 상기 타단체결봉에 나사결합되어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타단체결고정홈의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타단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타단체결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체결부를 보조하여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와 각 타단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보조체결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 보조체결돌출부,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각 상기 보조체결돌출부를 관통형성되는 보조체결공, 및 상기 보조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보조체결볼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출감지부는, 상기 제2안착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2클램프프레임에 형성되는 감지설치공, 내부에 관통형성된 누출유입공을 갖고, 상기 감지설치공에 고정되는 감지블럭, 투명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감지공간부를 갖고, 상기 감지블럭의 단부에 구비되는 감지캡, 및 상기 감지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누출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물질과 반응하여 누출을 확인시키기 위한 반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클램프프레임과 감지블럭 사이에 패킹,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감지캡이 연결된 감지블럭을 상기 감지설치공에 나사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분리될 경우, 마개가 나사결합되어 감지설치공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는, 어느 하나의 관 단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에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관 단부에 구비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의 내부에 구비되는 플랜지안착홈, 상기 플랜지안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플랜지에 돌출형성되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플랜지안착돌출부, 및 상기 플랜지안착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안착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플랜지실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결합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1결합안착홈을 갖는 제1결합프레임, 결합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가장자리 나머지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2결합안착홈을 갖는 제2결합프레임,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제2결합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결합힌지부,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감싼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제2결합프레임의 각 타단부를 체결하여 장착시키기 위한 결합체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랜지의 상면은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의 하면은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안착홈과 제2결합안착홈의 각 내측면은, 상기 제1플랜지의 상면 가장자리와 상기 제2플랜지의 하면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힌지부는,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제2결합프레임의 각 일단부 내부에서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힌지설치홈, 상기 결합힌지설치홈에 위치되는 결합힌지블럭, 상기 결합힌지블럭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통공형성된 결합힌지설치공, 각 상기 결합힌지설치공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제2결합프레임의 각 일단부에 상하방햐으로 통공형성된 결합힌지고정공, 및 일직선상에 위치된 결합힌지설치공과 결합힌지고정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제2결합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결합힌지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결부는, 상기 제1결합프레임의 타단부 내부에서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결합체결힌지홈, 상기 제2결합프레임의 타단부 내부에서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걸림턱이 형성된 결합체결고정홈,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상기 결합체결힌지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결합체결봉, 및 상기 결합체결봉에 나사결합되어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결합체결고정홈의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제2결합프레임의 각 타단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결합체결레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랜지부와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결합안착홈과 제2결합안착홈에 결합패킹,이 더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에 의하면, 두 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음은 물론, 누출을 다중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누출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체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체결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출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체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체결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출감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10)는 두 개의 관(1, 2)을 결합시키는 결합부(20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클램프부(300)를 포함한다.
이 클램프부(3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 클램프패킹(330), 클램프체결부(340) 및 누출감지부(350)를 포함한다.
제1클램프프레임(310)은 결합부(200)의 일부분이 위치되도록 내부에 제1안착공간부(3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클램프프레임(320)은 결합부(200)의 나머지부분이 위치되도록 내부에 제2안착공간부(322)가 형성된다.
클램프패킹(330)은 해당 관(1 ,2)과 제1클램프프레임(310), 제2클램프프레임(32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클램프체결부(340)는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누출감지부(350)는 두 개의 관 연결부분에서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다.
여기서, 일 실시 예의 클램프체결부(340)는 일단체결부(342)와 타단체결부(344)를 포함한다.
일단체결부(342)는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일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타단체결부(344)는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타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일단체결부(342)는 제1일단걸림홈(3421)과 제2일단걸림홈(3422), 제1일단체결블럭(3423), 제2일단체결블럭(3424) 및 일단고정볼트(3425)를 포함한다.
제1일단걸림홈(3421)은 제1클램프프레임(31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일단걸림홈(3422)은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제1일단체결블럭(3423)은 제1일단걸림홈(3421)에 걸려지기 위한 제1일단걸림돌기(3423a)를 갖고, 제1클램프프레임(31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제2일단체결블럭(3424)은 제2일단걸림홈(3422)에 걸려지기 위한 제2일단걸림돌기(3424a)를 갖고,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일단고정볼트(3425)는 제1일단체결블럭(3423)과 제2일단체결블럭(3424)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타단체결부(344)는 제1타단걸림홈(3441)과 제2타단걸림홈(3442), 제1타단체결블럭(3443), 제2타단체결블럭(3444) 및 타단고정볼트(3445)를 포함한다.
제1타단걸림홈(3441)은 제1클램프프레임(31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2타단걸림홈(3442)은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제1타단체결블럭(3443)은 제1타단걸림홈(3441)에 걸려지기 위한 제1타단걸림돌기(3443a)를 갖고, 제1클램프프레임(31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타단체결블럭(3444)은 제2타단걸림홈(3442)에 걸려지기 위한 제2타단걸림돌기(3444a)를 갖고,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타단고정볼트(3445)는 제1타단체결블럭(3443)과 제2타단체결블럭(3444)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1일단체결블럭(3423)과 제2일단체결블럭(3424), 제1타단체결블럭(3443)과 제2타단체결블럭(3444)은 상호 맞물리도록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더욱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클램프체결부(340')는 일단힌지부(342')와 타단체결부(344')를 포함한다.
일단힌지부(342')는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일단부를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킨다.
그리고 타단체결부(344')는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타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일단힌지부(342')는 일단힌지설치홈(3421')과 일단힌지블럭(3422'), 일단힌지설치공(3423'), 일단힌지고정공(3424') 및 일단힌지핀(3425')을 포함한다.
일단힌지설치홈(3421')은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일단부 내부에서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힌지블럭(3422')은 일단힌지설치홈(3421')에 위치된다.
일단힌지설치공(3423')은 일단힌지블럭(3422')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통공형성된다.
또한 일단힌지고정공(3424')은 각 일단힌지설치공(3423')에 대응되도록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일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통공형성된다.
일단힌지핀(3425')은 일직선상에 위치된 일단힌지설치공(3423')과 일단힌지고정공(3424')에 삽입되어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타단체결부(344')는 제1타단걸림홈(3441')과 제2타단걸림홈(3442'), 제1타단체결블럭(3443'), 제2타단체결블럭(3444') 및 타단고정볼트(3445')를 포함한다.
제1타단걸림홈(3441')은 제1클램프프레임(31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2타단걸림홈(3442')은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제1타단체결블럭(3443')은 제1타단걸림홈(3441')에 걸려지기 위한 제1타단걸림돌기(3443a')를 갖고, 제1클램프프레임(31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제2타단체결블럭(3444')은 제2타단걸림홈(3442')에 걸려지기 위한 제2타단걸림돌기(3444a')를 갖고,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타단고정볼트(3445')는 제1타단체결블럭(3443')과 제2타단체결블럭(3444')을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어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1타단체결블럭(3443')과 제2타단체결블럭(3444')은 상호 맞물리도록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더욱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클램프체결부(340")는, 일단힌지부(342")와 타단레버체결부(344")를 포함한다.
일단힌지부(342")는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일단부를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킨다.
그리고 타단레버체결부(344")는 회전되는 클램프체결레버를 갖고,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타단부에 걸려 상호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일단힌지부(342")는 일단힌지설치홈(3421")과 일단힌지블럭(3422"), 일단힌지설치공(3423"), 일단힌지고정공(3424") 및 일단힌지핀(3425")을 포함한다.
일단힌지설치홈(3421")은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일단부 내부에서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힌지블럭(3422")은 일단힌지설치홈(3421")에 위치된다.
일단힌지설치공(3423")은 일단힌지블럭(3422")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통공형성된다.
또한 일단힌지고정공(3424")은 각 일단힌지설치공(3423")에 대응되도록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일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통공형성된다.
일단힌지핀(3425")은 일직선상에 위치된 일단힌지설치공(3423")과 일단힌지고정공(3424")에 삽입되어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타단레버체결부(344")는 타단체결힌지홈(3442")과 타단체결고정홈(3444"), 타단체결봉(3446") 및 타단체결레버(3448")를 포함한다.
타단체결힌지홈(3442")은 제1클램프프레임(310)의 타단부 내부에서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타단체결고정홈(3444")은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타단부 내부에서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걸림턱(3445")이 형성된다.
타단체결봉(3446")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타단체결힌지홈(344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타단체결레버(3448")는 타단체결봉(3446")에 나사결합되어 위치가 조절되며, 타단체결고정홈(3444")의 걸림턱(3445")에 걸려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타단부를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클램프부(300)는 보조체결부(360)를 더 포함한다.
이 보조체결부(360)는 각 실시 예의 체결부(340, 340')를 보조하여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일단부와 각 타단부를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보조체결부(360)는 보조체결돌출부(362)와 보조체결공(364), 보조체결볼트(366) 및 보조체결너트(368)를 포함한다.
보조체결돌출부(362)는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의 각 일단부에 상측 또는 하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그리고 보조체결공(364)은 각 보조체결돌출부(362)에 관통형성된다.
보조체결볼트(366)는 보조체결공(364)에 관통된다.
또한 보조체결너트(368)는 보조체결공(364)을 통해 돌출된 보조체결볼트(366)의 단부에 체결되어 제1클램프프레임(310)과 제2클램프프레임(320)을 체결시킨다.
그리고 누출감지부(35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감지설치공(352)과 감지블럭(354), 감지캡(356) 및 반응부(358)를 포함한다.
감지설치공(352)은 제2안착공간부(322)와 연통되도록 제2클램프프레임(320) 형성된다.
또한 감지블럭(354)은 내부에 관통형성된 누출유입공(355)을 갖고, 감지설치공(352)에 고정된다.
감지캡(356)은 투명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감지공간부(357)를 갖고, 감지블럭(354)의 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반응부(358)는 감지공간부(357)에 구비되어 누출유입공(355)을 통해 유입된 물질과 반응하여 누출을 확인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반응부(358)의 반응을 투명한 감지캡(356)을 통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부(358)의 일 실시 예로, 리트머스를 사용하며, 반응에 의해 변색 가능한 것이라면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여기서, 제2클램프프레임(320)과 감지블럭(354) 사이에 패킹(359)이 더 구비되어 감지설치공(352)과 감지블럭(354)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캡(356)이 연결된 감지블럭(354)을 감지설치공(352)에 나사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며, 분리될 경우, 마개가 나사결합되어 감지설치공(352)을 폐쇄시킨다.
여기서, 누출감지부(350)는 유입유도부(370)를 더 포함한다.
이 유입유도부(37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감지블럭(354)과 감지캡(356) 사이에 구비되어 감지공간부(357)과 누출유입공(355)을 구획한다.
이러한 유입유도부(37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누출이 발생될 경우, 제2안착공간부(322)의 압력과 온도가 변화되며,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 압력에 의해 유입유도부(370)가 감지공간부(357) 방향으로 휘어 개방된다.
이때, 제2안착공간부(322)의 기체 또는 액체가 감지공간부(357)로 더욱 용이하고 확실하게 유입되는 것을 유도하여 반응부(358)가 반응함에 따라 누출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관(1, 2)을 연결시키는 부분은 일 실시 예로, 플랜지부(100)가 형성된다.
이 플랜지부(100)는 플랜지실링(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결합부(200)는 플랜지부(1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플랜지부(100)의 결합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결합부(200)에 의해 플랜지부(100)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킴에 따라, 누출을 1차 방지한다.
그리고 클램프부(300)는 결합부(200)의 외측을 밀폐시킴에 따라, 플랜지부(100)에서 누출이 발생되더라도 2차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부(100)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플랜지부(1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 플랜지안착홈(130), 플랜지안착돌출부(140) 및 플랜지실링(150)을 포함한다.
제1플랜지(110)는 어느 하나의 관(1)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플랜지(120)는 제1플랜지(110)에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관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플랜지안착홈(130)은 제1플랜지(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플랜지안착돌출부(140)는 플랜지안착홈(130)에 대응되도록 제2플랜지(120)에 돌출형성되되,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플랜지실링(150)은 플랜지안착돌출부(140)의 외주를 따라 안착되어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플랜지실링(150)은 일정 간격 이격된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플랜지안착돌출부(140)에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 실시 예의 결합부(20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결합프레임(210)과 제2결합프레임(220), 결합힌지부(230) 및 결합체결부(240)를 포함한다.
제1결합프레임(210)은 결합된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1결합안착홈(212)이 형성된다.
또한 제2결합프레임(220)은 결합된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의 가장자리 나머지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2결합안착홈(222)이 형성된다.
결합힌지부(230)는 제1결합프레임(210)과 제2결합프레임(220)의 각 일단부를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체결부(240)는 제1플랜지(110)와 제2플랜지(120)를 감싼 제1결합프레임(210)과 제2결합프레임(220)의 각 타단부를 체결하여 장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1플랜지(110)의 상면은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플랜지(120)의 하면은 중앙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합안착홈(212)과 제2결합안착홈(222)의 각 내측면은 제1플랜지(110)의 상면 가장자리와 제2플랜지(120)의 하면 가장자리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결합힌지부(230)는 결합힌지설치홈(231)과 결합힌지블럭(232), 결합힌지설치공(233), 결합힌지고정공(234) 및 결합힌지핀(235)을 포함한다.
결합힌지설치홈(231)은 제1결합프레임(210)과 제2결합프레임(220)의 각 일단부 내부에서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힌지블럭(232)은 결합힌지설치홈(231)에 위치된다.
결합힌지설치공(233)은 결합힌지블럭(232)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통공형성된다.
또한 결합힌지고정공(234)은 각 결합힌지설치공(233)에 대응되도록 제1결합프레임(210)과 제2결합프레임(220)의 각 일단부에 상하방햐으로 통공형성된다.
결합힌지핀(235)은 결합힌지설치공(233)과 결합힌지고정공(234)에 삽입되어 제1결합프레임(210)과 제2결합프레임(2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결합체결부(240)는 결합체결힌지홈(242)과 결합체결고정홈(244), 결합체결봉(246) 및 결합체결레버(248)를 포함한다.
결합체결힌지홈(242)은 제1결합프레임(210)의 타단부 내부에서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결합체결고정홈(244)은 제2결합프레임(220)의 타단부 내부에서 타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걸림턱(245)이 형성된다.
내부체결봉(246)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부가 내부체결힌지홈(242)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체결레버(248)는 결합체결봉(246)에 나사결합되어 위치가 조절되며, 결합체결고정홈(244)에 위치되도록 회전된 후, 결합체결봉(246)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걸림턱(245)에 걸려 이탈이 방지된다.
이에, 제1결합프레임(210)과 제2결합프레임(220)의 각 타단부를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결합부(200)는 내부패킹(250)이 더 구비된다.
이 내부패킹(250)은 플랜지부(100)와의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제1결합안착홈(212)과 제2결합안착홈(222)에 각각 구비된다.
이는, 플랜지부(100)에서 누출이 발생될 경우, 결합부(200)에서 2차로 밀폐시킴에 따라, 누출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클램프프레임(320)은 레버안착부(324)가 더 구비된다.
이 레버안착부(324)는 결합체결부(240)의 결합체결레버(248)의 돌출된 타단부가 안착되기 위한 레버안착홈(325)이 내부에 형성된다.
10 : 이중 클램프 100 : 플랜지부
110 : 제1플랜지 120 : 제2플랜지
130 : 플랜지안착홈 140 : 플랜지안착돌출부
150 : 플랜지실링 200 : 결합부
210 : 제1결합프레임 220 : 제2결합프레임
230 : 결합힌지부 240 : 결합체결부
300 : 클램프부 310 : 제1클램프프레임
320 : 제2클램프프레임 330 : 클램프패킹
340, 340' : 클램프체결부 350 : 누출감지부

Claims (10)

  1. 두 개의 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는,
    상기 결합부의 일부분이 위치되도록 내부에 제1안착공간부를 갖는 제1클램프프레임;
    상기 결합부의 나머지부분이 위치되도록 내부에 제2안착공간부를 갖는 제2클램프프레임;
    상기 해당 관과 제1클램프프레임, 제2클램프프레임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클램프패킹;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을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클램프체결부; 및
    상기 두 개의 관 연결부분의 누출을 감지하도록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누출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누출감지부는,
    상기 제2안착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2클램프프레임에 형성되는 감지설치공;
    내부에 관통형성된 누출유입공을 갖고, 상기 감지설치공에 고정되는 감지블럭;
    투명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감지공간부를 갖고, 상기 감지블럭의 단부에 구비되는 감지캡;
    상기 감지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누출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물질과 반응하여 누출을 확인시키기 위한 반응부;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상기 감지블럭과 감지캡 사이에 구비되어 감지공간부와 누출유입공을 구획하기 위한 유입유도부;를 포함하며,
    누출이 발생될 경우, 제2안착공간부의 압력과 온도가 변화되며, 일정 압력 이상이 될 경우, 압력에 의해 유입유도부가 감지공간부방향으로 휘어 개방되고,
    상기 제2안착공간부의 기체 또는 액체가 감지공간부로 더욱 용이하고 확실하게 유입되는 것을 유도하여 반응부가 반응함에 따라 누출상태를 더욱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일단체결부; 및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타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타단체결부;를 포함하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일단힌지부; 및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타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타단체결부;를 포함하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체결부는,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일단힌지부; 및
    회전되는 클램프체결레버를 갖고,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타단부에 걸려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타단레버체결부;를 포함하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체결부를 보조하여 상기 제1클램프프레임과 제2클램프프레임의 각 일단부와 각 타단부를 체결시키기 위한 보조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관을 연결시키는 부분은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는,
    어느 하나의 관 단부에 구비되는 제1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에 대응되도록 다른 하나의 관 단부에 구비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의 내부에 구비되는 플랜지안착홈;
    상기 플랜지안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플랜지에 돌출형성되되,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에 일정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플랜지안착돌출부; 및
    상기 플랜지안착돌출부의 외주를 따라 안착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플랜지실링;을 포함하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결합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가장자리 일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1결합안착홈을 갖는 제1결합프레임;
    결합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가장자리 나머지부분이 안착되기 위한 제2결합안착홈을 갖는 제2결합프레임;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제2결합프레임의 각 일단부를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결합힌지부;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감싼 상기 제1결합프레임과 제2결합프레임의 각 타단부를 체결하여 장착시키기 위한 결합체결부;를 포함하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결부는 체결레버를 갖고,
    상기 제2클램프프레임은,
    상기 체결레버의 돌출된 타단부가 안착되기 위한 레버안착홈이 내부에 형성되는 레버안착부;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KR1020200117495A 2020-09-14 2020-09-14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KR102347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495A KR102347066B1 (ko) 2020-09-14 2020-09-14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495A KR102347066B1 (ko) 2020-09-14 2020-09-14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066B1 true KR102347066B1 (ko) 2022-01-03

Family

ID=79348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495A KR102347066B1 (ko) 2020-09-14 2020-09-14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06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01B1 (ko) * 2007-01-03 2007-09-03 우양호 탈·부착이 용이한 배관의 이음구
KR101554172B1 (ko) * 2015-02-24 2015-09-21 (주)씨엠코리아 배관 유체누출 감지 및 외부로의 누출 방지장치
KR101656426B1 (ko) * 2015-05-18 2016-09-12 (주)지에스티산업 가스누설 및 압력변화 감지가 가능한 배관연결조립체
KR20190000331U (ko) *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 플랜지의 가스 누설 검지장치
KR20190000523U (ko) * 2017-08-18 2019-02-27 김진영 배관보수용 클램프 챔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01B1 (ko) * 2007-01-03 2007-09-03 우양호 탈·부착이 용이한 배관의 이음구
KR101554172B1 (ko) * 2015-02-24 2015-09-21 (주)씨엠코리아 배관 유체누출 감지 및 외부로의 누출 방지장치
KR101656426B1 (ko) * 2015-05-18 2016-09-12 (주)지에스티산업 가스누설 및 압력변화 감지가 가능한 배관연결조립체
KR20190000331U (ko) * 2017-07-27 2019-02-11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배관 플랜지의 가스 누설 검지장치
KR20190000523U (ko) * 2017-08-18 2019-02-27 김진영 배관보수용 클램프 챔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7061B2 (ja) フランジ接合構造
KR101310297B1 (ko)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CN107436211B (zh) 一种适用于直通式截止阀的气密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US6540206B2 (en) Bidirectional ball valve particularly for ecological frigorific gases
KR102347066B1 (ko)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US6901611B2 (en) Bathtub wastewater head fitting
NO20131699A1 (no) Pakning for kompakt rørflens
KR102280987B1 (ko) 누출감지 가능한 클램프를 이용한 누출관리시스템
KR20170016197A (ko)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20220056059A (ko) 피팅용 락킹장치
KR102429157B1 (ko) 올인원 스마트 클램프
JP3971683B2 (ja) 二重配管装置
KR102280990B1 (ko)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JPS59183177A (ja) しや断コツク
KR20230035799A (ko)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KR100659369B1 (ko) 누수시험용 파이프 캡
CN212616803U (zh) 一种用于设备管道出口密封的便捷固定组件
JP6562700B2 (ja) 流路形成方法
KR102034787B1 (ko) 배관 보호 클램프
US20170254462A1 (en) Improved Valve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ation
RU205874U1 (ru) Затвор обратный
US10571044B2 (en) Adapter system for a check valve
KR102165849B1 (ko) 크로스 티 밸브
JP2573645Y2 (ja) 弁装置
KR20190000331U (ko) 배관 플랜지의 가스 누설 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