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0990B1 -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0990B1
KR102280990B1 KR1020200146228A KR20200146228A KR102280990B1 KR 102280990 B1 KR102280990 B1 KR 102280990B1 KR 1020200146228 A KR1020200146228 A KR 1020200146228A KR 20200146228 A KR20200146228 A KR 20200146228A KR 102280990 B1 KR102280990 B1 KR 102280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tting
locking
valve
locking body
fitt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범
김호일
Original Assignee
김준범
김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범, 김호일 filed Critical 김준범
Priority to KR102020014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 F16L33/2071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the sleeve be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와 각 파이프의 피팅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팅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피팅락킹부, 상기 밸브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밸브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락킹부, 및 상기 밸브락킹부와 피팅락킹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락킹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와 피팅이 인위적으로 풀리지 않도록 유지시킴은 물론, 누출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Locking device for valves and fittings}
본 발명은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와 피팅의 외측을 보호하여 외력이나 파이프라인의 내압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피팅에서의 누수 또는 누출을 감지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응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설비에 적용되는 피팅은 해당 제품의 특성에 따라 내부에 화학 물질 등이 유동되는 배관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 배관들은 피팅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피팅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팅 잠금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피팅 장금장치는 등록특허 제10-2137782에 개진된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되는 두 개의 피팅을 덮기 위한 커버가 구비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피팅부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커버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서, 볼트 등의 체결 수단만 간단히 제거해 버리면 피팅 잠금 장치를 피팅으로부터 쉽게 제거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팅 잠금장치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티핑 부분에서 가스가 누출될 수 있어 다양한 문제점이 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팅부분에 대한 잠금기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액상의 누수나 가스 누출시에도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밸브와 각 파이프의 피팅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팅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피팅락킹부, 상기 밸브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밸브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락킹부, 및 상기 밸브락킹부와 피팅락킹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락킹결합부,를 포함하여 밸브와 피팅이 인위적으로 풀리지 않도록 유지시킴은 물론, 누출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는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밸브와 각 파이프의 피팅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팅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피팅락킹부, 상기 밸브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밸브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락킹부, 및 상기 밸브락킹부와 피팅락킹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락킹결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피팅락킹부는, 상기 밸브와 어느 하나의 파이프의 제1피팅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일단피팅락킹부, 상기 밸브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의 제2피팅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타단피팅락킹부, 및 상기 일단피팅락킹부와 타단피팅락킹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피팅락킹연결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일단피팅락킹부는, 상기 제1피팅 일부를 덮기 위한 일단제1피팅락킹몸체, 상기 일단제1피팅락킹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피팅 나머지부를 덮기 위한 일단제2피팅락킹몸체, 상기 일단제1피팅락킹몸체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의 각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일단피팅힌지연결부, 및 상기 일단제1피팅락킹몸체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의 각 전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일단피팅잠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타단피팅락킹부는, 상기 제2피팅 일부를 덮기 위한 타단제1피팅락킹몸체, 상기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피팅 나머지부를 덮기 위한 타단제2피팅락킹몸체, 상기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의 각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타단피팅힌지연결부, 및 상기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의 각 전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타단피팅잠금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팅락킹연결부는, 상기 제1일단피팅락킹몸체와 제1타단피팅락킹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제1피팅락킹연결부, 및 상기 제2일단피팅락킹몸체와 제2타단피팅락킹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제2피팅락킹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피팅잠금부는, 해당 제1피팅락킹몸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1피팅잠금몸체, 상기 제1피팅잠금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피팅락킹몸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2피팅잠금몸체, 설치공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피팅잠금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피팅잠금프레임, 상기 피팅잠금프레임의 설치공에 후크로 걸려 설치되며, 노출된 면에 작동홈이 형성되는 피팅자물쇠부, 상기 제2피팅잠금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피팅자물쇠부의 외주에 돌출형성된 피팅걸림돌기, 및 상기 피팅걸림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피팅자물쇠부를 회전시킬 경우, 함께 회전되어 걸려짐에 따라, 제1피팅잠금몸체와 제2피팅잠금몸체를 잠그기 위한 피팅걸림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의 상호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피팅패킹,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팅자물쇠부를 수평회전시킬 경우, 상기 피팅걸림돌기가 피팅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피팅잠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팅자물쇠부는, 상기 피팅잠금프레임의 설치공의 통공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피팅잠금부는, 상기 피팅자물쇠부와 피팅잠금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에 의해 피팅자물쇠부를 피팅잠금프레임에서 이격되도록 가압시키기 위한 피팅탄성가압부, 및 상기 피팅걸림돌기가 걸려지도록 상기 피팅걸림홈에 돌출형성된 피팅잠금턱,을 포함하고, 상기 피팅자물쇠부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피팅걸림홈으로 이동된 피팅걸림돌기가 피팅탄성가압부에 의해 피팅잠금턱을 넘어 이동되어 잠금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해제 시, 상기 피팅탄성가압부가 눌러지도록 피팅자물쇠부를 눌러 피팅걸림돌기가 피팅잠금턱에서 이탈시킨 후, 잠금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피팅탄성가압부는, 내부에 제1피팅탄성이동공을 갖고, 상기 제1피팅탄성이동공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일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피팅잠금프레임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피팅탄성가압부, 및 내부에 제2피팅탄성이동공을 갖고, 상기 제2피팅탄성이동공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타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피팅탄성가압부와 피팅자물쇠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피팅탄성가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팅작동홈은, 상기 피팅자물쇠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일측에 형성되는 제1피팅작동홈, 상기 제1피팅작동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피팅자물쇠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타측에 형성되는 제2피팅작동홈, 및 상기 제1피팅작동홈과 제2피팅작동홈을 연결하도록 피팅자물쇠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피팅작동연결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피팅작동홈과 제2피팅작동홈은, 동일한 직경이거나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락킹부는, 상기 밸브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일단피팅락킹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밸브일단락킹몸체, 상기 밸브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타단피팅락킹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밸브타단락킹몸체, 및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와 밸브타단락킹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밸브락킹잠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와 밸브타단락킹몸체 사이에 밸브팩킹,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락킹잠금부는,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1밸브잠금몸체, 상기 제1밸브잠금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밸브타단락킹몸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2밸브잠금몸체, 설치공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밸브잠금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밸브잠금프레임, 상기 밸브잠금프레임의 설치공에 후크로 걸려 설치되며, 노출된 면에 작동홈이 형성되는 밸브자물쇠부, 상기 제2밸브잠금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밸브자물쇠부의 외주에 돌출형성된 밸브걸림돌기, 및 상기 밸브걸림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밸브자물쇠부를 회전시킬 경우, 함께 회전되어 걸려짐에 따라, 제1밸브잠금몸체와 제2밸브잠금몸체를 잠그기 위한 밸브걸림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밸브자물쇠부를 수평회전시킬 경우, 상기 밸브걸림돌기가 밸브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밸브잠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자물쇠부는, 상기 밸브잠금프레임의 설치공의 통공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밸브잠금부는, 상기 밸브자물쇠부와 밸브잠금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에 의해 밸브자물쇠부를 밸브잠금프레임에서 이격되도록 가압시키기 위한 밸브탄성가압부, 및 상기 밸브걸림돌기가 걸려지도록 상기 밸브걸림홈에 돌출형성된 밸브잠금턱,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자물쇠부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밸브걸림홈으로 이동된 밸브걸림돌기가 밸브탄성가압부에 의해 밸브잠금턱을 넘어 이동되어 잠금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해제 시, 상기 밸브탄성가압부가 눌러지도록 밸브자물쇠부를 눌러 밸브걸림돌기가 밸브잠금턱에서 이탈시킨 후, 잠금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밸브탄성가압부는, 내부에 제1밸브탄성이동공을 갖고, 상기 제1밸브탄성이동공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일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밸브잠금프레임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밸브탄성가압부, 및 내부에 제2밸브탄성이동공을 갖고, 상기 제2밸브탄성이동공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타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밸브탄성가압부와 밸브자물쇠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밸브탄성가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작동홈은, 상기 밸브자물쇠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일측에 형성되는 제1밸브작동홈, 상기 제1밸브작동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밸브자물쇠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타측에 형성되는 제2밸브작동홈, 및 상기 제1밸브작동홈과 제2밸브작동홈을 연결하도록 밸브자물쇠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밸브작동연결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밸브작동홈과 제2밸브작동홈은, 동일한 직경이거나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락킹부는,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와 밸브타단락킹몸체의 상단부를 상호 체결시키며,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와 밸브타단락킹몸체의 하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제3밸브잠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밸브잠금부는,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3밸브체결홈, 및 상기 제3밸브체결홈에 체결되도록 상기 밸브타단락킹몸체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3밸브체결후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결합부는, 상기 일단제1피팅락킹몸체의 일측면과 상기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의 타측면을 각각 감싸도록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의 일단부와 밸브타단락킹몸체의 타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락킹몸체, 상기 일단피팅락킹부와 타단피팅락킹부 각각 형성되는 락킹결합홈, 및 각 상기 락킹결합홈에 대응되도록 해당 락킹몸체에 돌출 형성되는 락킹결합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락킹결합홈은, 상기 일단제1피팅락킹몸체와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락킹결합돌기는 락킹결합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팅에서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감지하도록 상기 일단피팅락킹부와 타단피팅락킹부의 각 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누출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출감지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며, 상기 해당 피팅락킹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감지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피팅락킹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누출감지몸체, 상기 해당 피팅락킹부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감지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2피팅락킹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누출감지몸체, 및 상기 제1감지공간부와 제2감지공간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피팅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반응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반응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제1감지공간부와 제2감지공간부의 각 일단부와 타단부를 따라, 가이드턱,이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누출감지부와 파이프라인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누출감지패킹,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피팅은,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연결되기 위한 밸브의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제1피팅몸체, 상기 제1피팅몸체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제2피팅몸체, 상기 밸브의 파이프가 상기 제1피팅몸체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밸브의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턱, 및 상기 밸브의 파이프가 상기 제2피팅몸체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피팅몸체와 제2피팅몸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피팅패킹,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피팅몸체와 제2피팅몸체는,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각형의 어느 꼭지점을 기준으로 양변이 걸려지도록 상기 제1안착공간부와 제2안착공간부의 내주면에 복수의 안착홈,이 더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에 의하면, 밸브와 피팅이 풀리지 않도록 유지시킴은 물론, 누출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락킹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단피팅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피팅잠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밸브잠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출감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피팅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락킹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단피팅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피팅잠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밸브잠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출감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피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10)는 피팅락킹부(100)와 밸브락킹부(200) 및 락킹결합부(300)를 포함한다.
피팅락킹부(100)는 밸브(3)와 각 파이프(1, 2)의 피팅(20, 30)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피팅(20, 30)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밸브락킹부(200)는 밸브(3)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밸브(3)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락킹결합부(300)는 피팅락킹부(100)와 밸브락킹부(200)를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10)는 PC, 서스(sus),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10)는에 의하면, 피팅 부분(20, 30)이 풀리지 않도록 보호함에 따라, 임의로 풀려 누수 또는 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누출은 기체의 누출뿐 아니라 액체 등의 누수를 포함하여 표현으로, 케미칼 액체 및 기체는 물론, 파이프로 이송될 수 있는 모든 액체와 기체를 포함한다.
이를 위한, 피팅락킹부(100)는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피팅락킹부(110)와 타단피팅락킹부(120) 및 피팅락킹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일단피팅락킹부(110)는 밸브(3)와 어느 하나의 파이프(1)의 제1피팅(2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타단피팅락킹부(120)는 밸브(3)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2)의 제2피팅(3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피팅락킹연결부(130)는 일단피팅락킹부(110)와 타단피팅락킹부(120)를 연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일단피팅락킹부(110)는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14), 일단피팅힌지연결부(116) 및 일단피팅잠금부(118)를 포함한다.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는 제1피팅(20) 일부를 덮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14)는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에 대응되도록 제1피팅(20) 나머지부를 덮기 위해 구비된다.
일단피팅힌지연결부(116)는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14)의 각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일단피팅잠금부(118)는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14)의 각 전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킨다.
그리고 타단피팅락킹부(120)는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 타단피팅힌지연결부(126) 및 타단피팅잠금부(128)를 포함한다.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는 제2피팅(30) 일부를 덮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는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에 대응되도록 제2피팅(30) 나머지부를 덮기 위해 구비된다.
타단피팅힌지연결부(126)는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의 각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타단피팅잠금부(128)는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의 각 전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킨다.
이에, 제1피팅(20)과 제2피팅(30)의 외측을 감싸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피팅락킹연결부(130)는 제1피팅락킹연결부(132)와 제2피팅락킹연결부(134)를 포함한다.
제1피팅락킹연결부(132)는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피팅락킹연결부(134)는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14)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10)는 피팅패킹(140)을 더 포함한다.
이 피팅패킹(140)은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14)의 상호 접하는 부분과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의 상호 접하는 부분을 각각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일단피팅락킹부(110)와 타단피팅락킹부(120)의 각 결합부분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피팅잠금부(118, 128)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피팅잠금몸체(1181, 1281)와 제2피팅잠금몸체(1182, 1282), 피팅잠금프레임(1183, 1283), 피팅자물쇠부(1184, 1284), 피팅걸림돌기(1185, 1285) 및 피팅걸림홈(1186, 1286)을 포함한다.
일단피팅잠금부(118)와 타단피팅잠금부(128)는 동일한 구조임에 따라, 일단피팅잠금부(118)만 도시하여 설명한다.
제1피팅잠금몸체(1181, 1281)는 해당 제1피팅락킹몸체(112, 122)에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2피팅잠금몸체(1182, 1282)는 제1피팅잠금몸체(1181, 1281)에 대응되도록 제2피팅락킹몸체(122, 124)에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피팅잠금프레임(1183, 1283)은 설치공(1183a, 1283a)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제2피팅잠금몸체(1182, 1282)에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피팅자물쇠부(1184, 1284)는 피팅잠금프레임(1183, 1283)의 설치공(1183a, 1283a)에 후크로 걸려 설치되며, 노출된 면에 작동홈(1184a, 1284a)이 형성된다.
피팅걸림돌기(1185, 1285)는 제2피팅잠금몸체(1182, 1282)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피팅자물쇠부(1184, 1284)의 외주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피팅걸림홈(1186, 1286)은 피팅걸림돌기(1185, 1285)가 삽입되되, 피팅자물쇠부(1184, 1284)를 회전시킬 경우, 함께 회전되어 걸려짐에 따라, 제1피팅잠금몸체(1181, 1281)와 제2피팅잠금몸체(1182, 1282)를 잠그기 위한 피팅걸림홈(1186, 1286)을 포함한다.
이에, 제1피팅잠금몸체(1181, 1281)와 제2피팅잠금몸체(1182, 1282)를 결합된 상태로 체결시킴에 따라,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14) 및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피팅잠금부(118, 128)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피팅잠금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피팅잠금부(150)는 피팅자물쇠부(1184, 1284)를 수평회전시킬 경우, 피팅걸림돌기(1185, 1285)가 피팅걸림홈(1186, 128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피팅자물쇠부(1184, 1284)는 피팅잠금프레임(1183, 1283)의 설치공(1183a, 1283a)에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피팅잠금부(150)는 피팅탄성가압부(152)와 피팅잠금턱(154)을 포함한다.
피팅탄성가압부(152)는 피팅자물쇠부(1184, 1284)와 피팅잠금프레임(1183, 1283)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에 의해 피팅자물쇠부(1184, 1284)를 피팅잠금프레임(1183, 1283)에서 이격되도록 가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피팅잠금턱(154)은 피팅걸림돌기(1185, 1285)가 걸려지도록 피팅걸림홈(1186, 1286)에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2피팅잠금부(15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피팅자물쇠부(1184, 1284)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피팅걸림홈(1186, 1286)으로 이동된 피팅걸림돌기(1185, 1285)가 피팅탄성가압부(152)에 의해 피팅잠금턱(154)을 넘어 이동된다.
이에, 피팅자물쇠부(1184, 1284)가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도 피팅걸림돌기(1185, 1285)가 잠금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해제 시, 피팅탄성가압부(152)가 눌러지도록 피팅자물쇠부(1184, 1284)를 눌러 피팅걸림돌기(1185, 1285)가 피팅잠금턱(154)에서 이탈시킨 후, 잠금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피팅걸림돌기(1185, 1285)가 피팅걸림홈(1186, 1286)에서 이탈될 수 있어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14) 및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가 분리된다.
여기서, 피팅탄성가압부(152)는 제1피팅탄성가압부(1522)와 제2피팅탄성가압부(1524)를 포함한다.
제1피팅탄성가압부(1522)는 내부에 제1피팅탄성이동공(1523)을 갖고, 제1피팅탄성이동공(1523)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일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피팅잠금프레임(1183, 1283)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피팅탄성가압부(1524)는 내부에 제2피팅탄성이동공(1525)을 갖고, 제2피팅탄성이동공(1525)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타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1피팅탄성가압부(1522)와 피팅자물쇠부(1184, 1284)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피팅자물쇠부(1184, 1284)의 피팅작동홈(1187, 1287)은 제1피팅작동홈(1187a, 1287a)과 제2피팅작동홈(1187b, 1287b) 및 피팅작동연결홈(1187c, 1287c)을 포함한다.
제1피팅작동홈(1187a, 1287a)은 피팅자물쇠부(1184, 1284)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피팅작동홈(1187b, 1287b)은 제1피팅작동홈(1187a, 1287a)에 대응되도록 피팅자물쇠부(1184, 1284)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타측에 형성된다.
피팅작동연결홈(1187c, 1287c)은 제1피팅작동홈(1187a, 1287a)과 제2피팅작동홈(1187b, 1287b)을 연결하도록 피팅자물쇠부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피팅작동홈(1187a, 1287a)과 제2피팅작동홈(1187b, 1287b)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이하게 형성되며, 깊이 역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피팅작동홈(1187a, 1287a)과 제2피팅작동홈(1187b, 1287b)의 깊이는 피팅작동연결홈(1187c, 1287c)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피팅작동연결홈(1187c, 1287c)의 저면이 제1피팅작동홈(1187a, 1287a)과 제2피팅작동홈(1187b, 1287b)의 저면보다 돌출되어 제1피팅작동홈(1187a, 1287a)과 제2피팅작동홈(1187b, 1287b)에 삽입되는 공구(미도시)를 가이드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밸브락킹부(200)는 밸브일단락킹몸체(210)와 밸브타단락킹몸체(220) 및 밸브락킹잠금부(230)를 포함한다.
밸브일단락킹몸체(210)는 밸브(3)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일단피팅락킹부(110)의 상측에 위치된다.
또한 밸브타단락킹몸체(220)는 밸브(3)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타단피팅락킹부(120)의 상측에 위치된다.
밸브락킹잠금부(230)는 밸브일단락킹몸체(210)와 밸브타단락킹몸체(220)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밸브락킹부(200)는 밸브팩킹(240)을 더 포함한다.
이 밸브팩킹(240)은 밸브일단락킹몸체(210)와 밸브타단락킹몸체(220) 사이에 구비되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밸브(3)와의 사이도 밀폐시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밸브(3)의 레버 연결부를 통해 내부물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브락킹잠금부(23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밸브잠금몸체(231)와 제2밸브잠금몸체(232), 밸브잠금프레임(233), 밸브자물쇠부(234), 밸브걸림돌기(235) 및 밸브걸림홈(236)을 포함한다.
제1밸브잠금몸체(231)는 밸브일단락킹몸체(210)에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2밸브잠금몸체(232)는 제1밸브잠금몸체(231)에 대응되도록 밸브타단락킹몸체(220)에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밸브잠금프레임(233)은 설치공(233a)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제2밸브잠금몸체(232)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밸브자물쇠부(234)는 밸브잠금프레임(233)의 설치공(233a)에 후크로 걸려 설치되며, 노출된 면에 밸브작동홈(237)이 형성된다.
밸브걸림돌기(235)는 제2밸브잠금몸체(232)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밸브자물쇠부(234)의 외주에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밸브걸림홈(236)은 밸브걸림돌기(235)가 삽입되되, 밸브자물쇠부(234)를 회전시킬 경우, 함께 회전되어 걸려짐에 따라, 제1밸브잠금몸체(231)와 제2밸브잠금몸체(232)를 잠그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밸브락킹잠금부(23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밸브잠금부(24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밸브잠금부(240)는 밸브자물쇠부(234)를 수평회전시킬 경우, 밸브걸림돌기(235)가 밸브걸림홈(236)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밸브자물쇠부(234)는 밸브잠금프레임(233)의 설치공(233a)에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제2밸브잠금부(240)는 밸브탄성가압부(242)와 밸브잠금턱(244)을 포함한다.
밸브탄성가압부(242)는 밸브자물쇠부(234)와 밸브잠금프레임(233)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에 의해 밸브자물쇠부(234)를 밸브잠금프레임(233)에서 이격되도록 가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밸브잠금턱(244)은 밸브걸림돌기(235)가 걸려지도록 밸브걸림홈(236)에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2밸브잠금부(24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밸브자물쇠부(234)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밸브걸림홈(236)으로 이동된 밸브걸림돌기(235)가 밸브탄성가압부(242)에 의해 밸브잠금턱(244)을 넘어 이동된다.
이에, 밸브자물쇠부(234)가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도 밸브걸림돌기(235)가 잠금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해제 시, 밸브탄성가압부(242)가 눌러지도록 밸브자물쇠부(234)를 눌러 밸브걸림돌기(235)가 밸브잠금턱(244)에서 이탈시킨 후, 잠금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밸브걸림돌기(235)가 밸브걸림홈(236)에서 이탈될 수 있어 밸브일단락킹몸체(210)와 밸브타단락킹몸체(220)가 분리된다.
여기서, 밸브탄성가압부(242)는 제1밸브탄성가압부(2422)와 제2밸브탄성가압부(2424)를 포함한다.
제1밸브탄성가압부(2422)는 내부에 제1밸브탄성이동공(2422a)을 갖고, 제1밸브탄성이동공(2422a)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일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밸브잠금프레임(233)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밸브탄성가압부(2424)는 내부에 제2밸브탄성이동공(2424a)을 갖고, 제2밸브탄성이동공(2424a)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타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1밸브탄성가압부(2422)와 밸브자물쇠부(234)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밸브작동홈(237)은 제1밸브작동홈(237a)과 제2밸브작동홈(237b) 및 밸브작동연결홈(237c)을 포함한다.
제1밸브작동홈(237a)은 밸브자물쇠부(234)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밸브작동홈(237b)은 제1밸브작동홈(237a)에 대응되도록 밸브자물쇠부(234)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타측에 형성된다.
밸브작동연결홈(237c)은 제1밸브작동홈(237a)과 제2밸브작동홈(237b)을 연결하도록 밸브자물쇠부(234)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밸브작동홈(237a)과 제2밸브작동홈(237b)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이하게 형성되며, 깊이 역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밸브작동홈(237a)과 제2밸브작동홈(237b)의 깊이는 밸브작동연결홈(237c)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어 밸브작동연결홈(237c)의 저면이 제1밸브작동홈(237a)과 제2밸브작동홈(237b)의 저면보다 돌출되어 제1밸브작동홈(237a)과 제2밸브작동홈(237b)에 삽입되는 공구(미도시)를 가이드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밸브락킹부(200)는 제3밸브잠금부(25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밸브락킹잠금부(230)는 밸브일단락킹몸체(210)와 밸브타단락킹몸체(220)의 상단부를 상호 체결시키며, 제3밸브잠금부(250)는 밸브일단락킹몸체(210)와 밸브타단락킹몸체(220)의 하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3밸브잠금부(250)는 제3밸브체결홈(252)과 제3밸브체결후크(254)를 포함한다.
제3밸브체결홈(252)은 밸브일단락킹몸체(21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3밸브체결후크(254)는 제3밸브체결홈(252)에 체결되도록 밸브타단락킹몸체(22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락킹결합부(300)는 락킹몸체(310)와 락킹결합홈(320) 및 락킹결합돌기(330)를 포함한다.
락킹몸체(310)는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의 일측면과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의 타측면을 각각 감싸도록 밸브일단락킹몸체(210)의 일단부와 밸브타단락킹몸체(220)의 타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락킹결합홈(320)은 일단피팅락킹부(110)와 타단피팅락킹부(120) 각각 형성된다.
락킹결합돌기(330)는 각 락킹결합홈(320)에 대응되도록 해당 락킹몸체(310)에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락킹결합홈(320)은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22)의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락킹결합돌기(330)는 락킹결합홈(32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1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누출감지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 누출감지부(500)는 피팅(20, 30)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감지하도록 일단피팅락킹부(110)와 타단피팅락킹부(120)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누출감지부(500)가 구비된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10)에 의하면, 피팅(20, 30)이 풀리지 않도록 보호함에 따라, 임의로 풀려 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누출 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 대응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누출감지부(500)는 제1누출감지몸체(510)와 제2누출감지몸체(520) 및 반응부(530)를 포함한다.
제1누출감지몸체(510)는 투명하게 형성되며, 해당 피팅락킹부(110, 1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1감지공간부(5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누출감지몸체(520)는 투명하게 형성되며, 해당 피팅락킹부(110, 12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제2감지공간부(5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누출감지몸체(510)는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2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제2누출감지몸체(520)는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14)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반응부(530)는 제1감지공간부(512)와 제2감지공간부(522)에 각각 구비되어 피팅(20, 30)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누출을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누출이 발생될 경우, 반응부(530)를 통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누출감지부(500)는 가이드턱(540)이 더 구비된다.
이 가이드턱(540)은 각 반응부(530)가 설치되도록 제1감지공간부(512)와 제2감지공간부(522)의 각 일단부와 타단부를 따라 돌출형성된다.
다시 말해, 가이드턱(540)은 반응부(530)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누출감지부(500)와 해당 파이프(1, 2)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누출감지패킹(550)을 더 포함한다.
이 누출감지패킹(550)은 제1누출감지몸체(510)와 제2누출감지몸체(520)의 각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14) 및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22)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의 결합 시, 함께 결합되어 밀폐시킨다.
이에, 밸브락킹장치(10)에서 누출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각 피팅(20, 30)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피팅몸체(21, 31)와 제2피팅몸체(22, 32), 제1걸림턱(23, 33), 제2걸림턱(24, 34) 및 피팅패킹(25, 35)을 포함한다.
이 제1피팅(20)과 제2피팅(30)은 동일한 구조임에 따라, 제1피팅(20)을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피팅몸체(21, 31)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연결되기 위한 밸브의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피팅몸체(22, 32)는 제1피팅몸체(21, 31)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된다.
제1걸림턱(23, 33)은 밸브의 파이프가 제1피팅몸체(21, 31)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밸브의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2걸림턱(24, 34)은 밸브의 파이프가 제2피팅몸체(22, 32)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피팅패킹(25, 35)은 제1피팅몸체(21, 31)와 제2피팅몸체(22, 32)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1피팅몸체(21, 31)와 제2피팅몸체(22, 32)는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다각형의 어느 꼭지점을 기준으로 양변이 걸려지도록 일단제1피팅락킹몸체(112)와 타단제1피팅락킹몸체(114) 및 일단제2피팅락킹몸체(122)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124)의 내주면에 복수의 안착홈(113, 115)이 더 형성된다.
이에, 피팅(20, 30)가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10)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10 :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20 : 제1피팅
30 : 제2피팅 100 : 피팅락킹부
200 : 밸브락킹부 300 : 락킹결합부
500 : 누출감지부

Claims (10)

  1. 밸브와 각 파이프의 피팅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피팅을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피팅락킹부;
    상기 밸브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밸브를 인위적으로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락킹부; 및
    상기 밸브락킹부와 피팅락킹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락킹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팅락킹부는,
    상기 밸브와 어느 하나의 파이프의 제1피팅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일단피팅락킹부;
    상기 밸브와 다른 하나의 파이프의 제2피팅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타단피팅락킹부; 및
    상기 일단피팅락킹부와 타단피팅락킹부를 연결시키기 위한 피팅락킹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일단피팅락킹부는,
    상기 제1피팅 일부를 덮기 위한 일단제1피팅락킹몸체;
    상기 일단제1피팅락킹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피팅 나머지부를 덮기 위한 일단제2피팅락킹몸체;
    상기 일단제1피팅락킹몸체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의 각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일단피팅힌지연결부; 및
    상기 일단제1피팅락킹몸체와 일단제2피팅락킹몸체의 각 전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일단피팅잠금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단피팅락킹부는,
    상기 제2피팅 일부를 덮기 위한 타단제1피팅락킹몸체;
    상기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피팅 나머지부를 덮기 위한 타단제2피팅락킹몸체;
    상기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의 각 후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타단피팅힌지연결부; 및
    상기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와 타단제2피팅락킹몸체의 각 전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타단피팅잠금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피팅잠금부는,
    해당 제1피팅락킹몸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1피팅잠금몸체;
    상기 제1피팅잠금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피팅락킹몸체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2피팅잠금몸체;
    설치공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피팅잠금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피팅잠금프레임;
    상기 피팅잠금프레임의 설치공에 후크로 걸려 설치되며, 노출된 면에 작동홈이 형성되는 피팅자물쇠부;
    상기 제2피팅잠금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피팅자물쇠부의 외주에 돌출형성된 피팅걸림돌기; 및
    상기 피팅걸림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피팅자물쇠부를 회전시킬 경우, 함께 회전되어 걸려짐에 따라, 제1피팅잠금몸체와 제2피팅잠금몸체를 잠그기 위한 피팅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피팅자물쇠부를 수평회전시킬 경우, 상기 피팅걸림돌기가 피팅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피팅잠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팅자물쇠부는,
    상기 피팅잠금프레임의 설치공의 통공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피팅잠금부는,
    상기 피팅자물쇠부와 피팅잠금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에 의해 피팅자물쇠부를 피팅잠금프레임에서 이격되도록 가압시키기 위한 피팅탄성가압부; 및
    상기 피팅걸림돌기가 걸려지도록 상기 피팅걸림홈에 돌출형성된 피팅잠금턱;을 포함하고,
    상기 피팅자물쇠부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피팅걸림홈으로 이동된 피팅걸림돌기가 피팅탄성가압부에 의해 피팅잠금턱을 넘어 이동되어 잠금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해제 시, 상기 피팅탄성가압부가 눌러지도록 피팅자물쇠부를 눌러 피팅걸림돌기가 피팅잠금턱에서 이탈시킨 후, 잠금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락킹연결부는,
    상기 제1일단피팅락킹몸체와 제1타단피팅락킹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제1피팅락킹연결부; 및
    상기 제2일단피팅락킹몸체와 제2타단피팅락킹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제1피팅락킹연결부;를 포함하는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락킹부는,
    상기 밸브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일단피팅락킹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밸브일단락킹몸체;
    상기 밸브의 타측부를 감싸도록 상기 타단피팅락킹부의 상측에 위치되는 밸브타단락킹몸체; 및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와 밸브타단락킹몸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밸브락킹잠금부;를 포함하는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락킹는,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와 밸브타단락킹몸체의 상단부를 상호 체결시키며,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와 밸브타단락킹몸체의 하단부를 상호 체결시키기 위한 제3밸브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결합부는,
    상기 일단제1피팅락킹몸체의 일측면과 상기 타단제1피팅락킹몸체의 타측면을 각각 감싸도록 상기 밸브일단락킹몸체의 일단부와 밸브타단락킹몸체의 타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는 락킹몸체;
    상기 일단피팅락킹부와 타단피팅락킹부 각각 형성되는 락킹결합홈; 및
    각 상기 락킹결합홈에 대응되도록 해당 락킹몸체에 돌출 형성되는 락킹결합돌기;를 포함하는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KR1020200146228A 2020-11-04 2020-11-04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KR102280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228A KR102280990B1 (ko) 2020-11-04 2020-11-04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228A KR102280990B1 (ko) 2020-11-04 2020-11-04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990B1 true KR102280990B1 (ko) 2021-07-22

Family

ID=77158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228A KR102280990B1 (ko) 2020-11-04 2020-11-04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816B1 (ko) * 2023-01-03 2023-11-17 주식회사 베스타 수도꼭지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93B1 (ko) * 2012-06-20 2012-11-12 이창헌 밸브핸들의 부정한 조작을 방지하는 밸브핸들용 보호캡
KR101258803B1 (ko) * 2012-09-21 2013-04-26 김동찬 반도체 및 엘씨디 생산 설비용 밸브 피팅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393B1 (ko) * 2012-06-20 2012-11-12 이창헌 밸브핸들의 부정한 조작을 방지하는 밸브핸들용 보호캡
KR101258803B1 (ko) * 2012-09-21 2013-04-26 김동찬 반도체 및 엘씨디 생산 설비용 밸브 피팅 잠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816B1 (ko) * 2023-01-03 2023-11-17 주식회사 베스타 수도꼭지 잠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297B1 (ko)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CA2582655C (en) Pipe clamp with built in test fitting
KR101955606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KR102280990B1 (ko)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US20120192950A1 (en) Floor drain valve with resiliently mounted rigid flappers
KR101944804B1 (ko) 전극 접점을 이용한 가스누출 감지장치
KR20170016197A (ko)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1477238B1 (ko) 배관 유체누출 감지 및 외부로의 누출 방지장치
KR20070104228A (ko) 수착 기둥
WO2002071022A1 (en) Arrangement at a pipe flange seal
KR20220056059A (ko) 피팅용 락킹장치
NO336970B1 (no) Pakning for kompakt rørflens
US6845528B2 (en) Test plug assembly for a bath tub
KR101799490B1 (ko) 방폭형 배선함
JP4112371B2 (ja) プラグ・イン式安全連結装置
KR101631486B1 (ko)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KR101684733B1 (ko) 관 이음부 고정 클램프
KR200488531Y1 (ko) 배관 피팅 연결부 누설감지 캡
KR101629450B1 (ko) 누설 감지부를 갖춘 배관 피팅용 풀림 방지구
KR101955607B1 (ko) 리크감지 센서 어셈블리
KR102382535B1 (ko) 가스감지용 포집장치
KR20170065930A (ko) 밸브
KR102034787B1 (ko) 배관 보호 클램프
KR102347066B1 (ko)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JP2009063546A (ja) ガスメータ取付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