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059A - 피팅용 락킹장치 - Google Patents

피팅용 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059A
KR20220056059A KR1020200140764A KR20200140764A KR20220056059A KR 20220056059 A KR20220056059 A KR 20220056059A KR 1020200140764 A KR1020200140764 A KR 1020200140764A KR 20200140764 A KR20200140764 A KR 20200140764A KR 20220056059 A KR20220056059 A KR 20220056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fitting
lock
seating space
le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준호
김준범
박연석
Original Assignee
현준호
김준범
박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준호, 김준범, 박연석 filed Critical 현준호
Priority to KR1020200140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059A/ko
Publication of KR20220056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출감지 가능한 밸브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제1안착공간부를 갖고, 파이프라인의 피팅의 일부를 덮기 위한 제1몸체, 내부에 제2안착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파이프라인의 피팅의 나머지부를 덮기 위한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일측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연결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타측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피팅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감지하도록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누출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피팅 등의 파이프의 연결부분이 풀리지 않도록 유지시킴은 물론, 누출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팅용 락킹장치{Fitting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라인을 형성하는 피팅의 외측을 보호하여 외력이나 파이프라인의 내압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피팅에서의 누수 또는 누출을 감지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응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피팅용 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 설비에 적용되는 피팅은 해당 제품의 특성에 따라 내부에 화학 물질 등이 유동되는 배관들을 연결하는 것으로, 이 배관들은 피팅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여기서, 피팅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팅 잠금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피팅 장금장치는 등록특허 제10-2137782에 개진된 바와 같이, 상호 체결되는 두 개의 피팅을 덮기 위한 커버가 구비되어 잠금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피팅부분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커버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서, 볼트 등의 체결 수단만 간단히 제거해 버리면 피팅 잠금 장치를 피팅으로부터 쉽게 제거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팅 잠금장치가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티핑 부분에서 가스가 누출될 수 있어 다양한 문제점이 산재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피팅부분에 대한 잠금기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액상의 누수나 가스 누출시에도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내부에 제1안착공간부를 갖고, 파이프라인의 피팅의 일부를 덮기 위한 제1몸체, 내부에 제2안착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파이프라인의 피팅의 일부를 덮기 위한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일측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연결부,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타측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잠금부, 및 상기 피팅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감지하도록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누출감지부,를 포함하여 피팅 등의 파이프의 연결부분이 풀리지 않도록 유지시킴은 물론, 누출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는 피팅용 락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제1안착공간부를 갖고, 파이프라인의 피팅의 일부를 덮기 위한 제1몸체, 내부에 제2안착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파이프라인의 피팅의 나머지부를 덮기 위한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일측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타측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상호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커버패킹,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부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제1잠금안착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몸체의 타측단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1잠금몸체, 상기 제1잠금몸체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잠금안착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2몸체의 타측단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2잠금몸체, 상기 제1잠금안착공간부의 개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설치공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잠금안착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프레임, 타측단부가 상기 제1잠금안착공간부와 제2잠금안착공간부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되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잠금프레임의 설치공에 후크로 걸려 설치되며, 타측단면에 작동홈이 형성되는 자물쇠부, 상기 제2잠금안착공간부에 위치되도록 자물쇠부의 외주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자물쇠부를 회전시킬 경우, 함께 회전되어 걸려짐에 따라, 제1잠금몸체와 제2잠금몸체를 잠그기 위한 걸림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자물쇠부를 수평회전시킬 경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잠금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자물쇠부는, 상기 잠금프레임의 설치공에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자물쇠부와 잠금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에 의해 자물쇠부를 타측단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탄성가압부, 및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지도록 상기 걸림홈에 돌출형성된 잠금턱,을 포함하고, 상기 자물쇠부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걸림홈으로 이동된 걸림돌기가 탄성가압부에 의해 잠금턱을 넘어 이동되어 잠금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해제 시, 상기 탄성가압부가 눌러지도록 자물쇠부를 눌러 걸림돌기가 잠금턱에서 이탈시킨 후, 잠금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탄성가압부는, 내부에 제1탄성이동공을 갖고, 상기 제1탄성이동공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일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잠금프레임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제1탄성가압부, 및 내부에 제2탄성이동공을 갖고, 상기 제2탄성이동공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타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1탄성이동부와 자물쇠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가압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홈은, 상기 자물쇠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일측에 형성되는 제1작동홈, 상기 제1작동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자물쇠부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타측에 형성되는 제2작동홈, 및 상기 제1작동홈과 제2작동홈을 연결하도록 자물쇠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작동연결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작동홈과 제2작동홈은, 동일한 직경이거나 상이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팅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감지하도록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누출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출감지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안착공간부와 연통되는 제1감지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누출감지몸체, 내부에 상기 제2안착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감지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2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누출감지몸체, 및 상기 제1감지공간부와 제2감지공간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피팅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반응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각 반응부가 설치되도록 상기 제1감지공간부와 제2감지공간부의 각 일단부와 타단부를 따라, 가이드턱,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누출감지부와 파이프라인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누출감지패킹,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팅은,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연결되기 위한 어느 하나의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제1피팅몸체, 상기 제1피팅몸체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제2피팅몸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제1피팅몸체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느 하나의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턱,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제2피팅몸체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른 하나의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 및 상기 제1피팅몸체와 제2피팅몸체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피팅패킹,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피팅몸체와 제2피팅몸체는,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다각형의 어느 꼭지점을 기준으로 양변이 걸려지도록 상기 제1안착공간부와 제2안착공간부의 내주면에 복수의 안착홈,이 더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팅용 락킹장치에 의하면, 피팅 등의 파이프의 연결부분이 풀리지 않도록 유지시킴은 물론, 누출을 감지하여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용 락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패킹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잠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출감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용 락킹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패킹이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잠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잠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출감지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피팅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팅용 락킹장치(10)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 힌지연결부(300) 및 잠금부(400)를 포함한다.
제1몸체(100)는 내부에 제1안착공간부(102)를 갖고, 파이프라인(20)의 피팅(30)의 일부를 덮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몸체(200)는 내부에 제2안착공간부(202)를 갖고, 제1몸체(100)에 대응되도록 파이프라인(30)의 피팅(30)의 나머지부를 덮기 위해 구비된다.
힌지연결부(300)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각 일측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또한 잠금부(400)는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각 타측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킨다.
이 피팅용 락킹장치는 PC, 서스(sus),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누출감지 가능한 밸브락킹장치(10)에 의하면, 피팅 부분(30)이 풀리지 않도록 보호함에 따라, 임의로 풀려 누수 또는 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누출은 기체의 누출뿐 아니라 액체 등의 누수를 포함하여 표현으로, 케미칼 액체 및 기체는 물론, 파이프로 이송될 수 있는 모든 액체와 기체를 포함한다.
이를 위한, 피팅용 락킹장치(1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패킹(130)을 더 포함한다.
이 커버패킹(130)은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상호 접하는 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결합부분을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잠금부(4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잠금몸체(410)와 제2잠금몸체(420), 잠금프레임(430), 자물쇠부(440), 걸림돌기(450) 및 걸림홈(460)을 포함한다.
제1잠금몸체(410)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제1잠금안착공간부(412)를 갖고, 제1몸체(100)의 타측단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2잠금몸체(420)는 제1잠금몸체(410)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잠금안착공간부(422)를 갖고, 제2몸체(200)의 타측단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잠금프레임(430)은 제1잠금안착공간부(412)의 개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설치공(432)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제1잠금안착공간부(412)를 구획하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자물쇠부(440)는 타측단부가 제1잠금안착공간부(412)와 제2잠금안착공간부(422)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되도록 일측단부가 잠금프레임(430)의 설치공(432)에 후크로 걸려 설치되며, 타측단면에 작동홈(442)이 형성된다.
걸림돌기(450)는 제2잠금안착공간부(422)에 위치되도록 자물쇠부(440)의 외주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걸림홈(460)은 걸림돌기(450)가 삽입되되, 자물쇠부(440)를 회전시킬 경우, 함께 회전되어 걸려짐에 따라, 제1잠금몸체(410)와 제2잠금몸체(420)를 잠그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제1잠금몸체(410)와 제2잠금몸체(420)를 결합된 상태로 체결시킴에 따라,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잠금부(4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잠금부(47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잠금부(470)는 자물쇠부(440)를 수평회전시킬 경우, 걸림돌기(450)가 걸림홈(46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자물쇠부(440)는 잠금프레임(430)의 설치공(432)에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잠금부(470)는 탄성가압부(472)와 잠금턱(474)을 포함한다.
탄성가압부(472)는 자물쇠부(440)와 잠금프레임(430)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에 의해 자물쇠부(440)를 타측단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잠금턱(474)은 걸림돌기(450)가 걸려지도록 걸림홈(460)에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제2잠금부(47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자물쇠부(440)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걸림홈(460)으로 이동된 걸림돌기(450)가 탄성가압부(472)에 의해 잠금턱(474)을 넘어 이동된다.
이에, 자물쇠부(440)가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회전되어도 걸림돌기(450)가 잠금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해제 시, 탄성가압부(472)가 눌러지도록 자물쇠부(440)를 눌러 걸림돌기(450)가 잠금턱(474)에서 이탈시킨 후, 잠금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걸림돌기(450)가 걸림홈(460)에서 이탈될 수 있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가 분리된다.
여기서, 탄성가압부(472)는 제1탄성가압부(7422)와 제2탄성가압부(7424)를 포함한다.
제1탄성가압부(7422)는 내부에 제1탄성이동공(7423)을 갖고, 제1탄성이동공(7423)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일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잠금프레임(430)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탄성가압부(7424)는 내부에 제2탄성이동공(7425)을 갖고, 제2탄성이동공(7425)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타측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제1탄성이동부(7422)와 자물쇠부(440)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자물쇠부(440)의 작동홈(442)은 제1작동홈(4422)과 제2작동홈(4424) 및 작동연결홈(4426)을 포함한다.
제1작동홈(4422)은 자물쇠부(44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일측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작동홈(4424)은 제1작동홈(4422)에 대응되도록 자물쇠부(440)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일정 직경을 갖고, 타측에 형성된다.
작동연결홈(4426)은 제1작동홈(4422)과 제2작동홈(4424)을 연결하도록 자물쇠부(440)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1작동홈(4422)과 제2작동홈(4424)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이하게 형성되며, 깊이 역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팅용 락킹장치(1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누출감지부(500)를 더 포함한다.
이 누출감지부(500)는 피팅(30)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감지하도록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누출감지 가능한 밸브락킹장치(10)에 의하면, 피팅 부분(30)이 풀리지 않도록 보호함에 따라, 임의로 풀려 누출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누출 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 대응을 실시할 수 있다.
이 누출감지부(500)는 제1누출감지몸체(510)와 제2누출감지몸체(520) 및 반응부(530)를 포함한다.
제1누출감지몸체(510)는 투명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제1안착공간부(102)와 연통되는 제1감지공간부(512)를 갖고, 제1몸체(1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2누출감지몸체(520)는 내부에 제2안착공간부(202)와 연통되는 제2감지공간부(522)를 갖고, 제2몸체(200)에 일체로 형성된다.
반응부(530)는 제1감지공간부(512)와 제2감지공간부(522)에 각각 구비되어 피팅(30)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누출을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누출이 발생될 경우, 반응부(530)를 통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대응을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누출감지부(500)는 가이드턱(540)이 더 구비된다.
이 가이드턱(540)은 각 반응부(530)가 설치되도록 제1감지공간부(512)와 제2감지공간부(522)의 각 일단부와 타단부를 따라 돌출형성된다.
다시 말해, 가이드턱(540)은 반응부(530)의 양측단부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누출감지부(500)와 파이프라인(20)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한 누출감지패킹(550)을 더 포함한다.
이 누출감지패킹(550)은 제1누출감지몸체(510)와 제2누출감지몸체(520)의 각 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결합 시, 함께 결합되어 밀폐시킨다.
이에, 누출감지 가능한 밸브락킹장치(10)에서 누출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피팅(3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피팅몸체(31)와 제2피팅몸체(32), 제1걸림턱(33), 제2걸림턱(34) 및 피팅패킹(35)을 포함한다.
제1피팅몸체(31)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연결되기 위한 어느 하나의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피팅몸체(32)는 제1피팅몸체(31)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된다.
제1걸림턱(33)은 어느 하나의 파이프가 제1피팅몸체(31)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느 하나의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제2걸림턱(34)은 다른 하나의 파이프가 제2피팅몸체(32)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른 하나의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피팅패킹(35)은 제1피팅몸체(31)와 제2피팅몸체(32)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제1피팅몸체(31)와 제2피팅몸체(32)는 외주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다각형의 어느 꼭지점을 기준으로 양변이 걸려지도록 제1안착공간부(102)와 제2안착공간부(202)의 내주면에 복수의 안착홈(110, 210)이 더 형성된다.
이에, 피팅(30)가 누출감지 가능한 밸브락킹장치(10) 내부에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10 : 피팅용 락킹장치 20 : 파이프라인
30 : 피팅 100 : 제1몸체
200 : 제2몸체 300 : 힌지연결부
400 : 잠금부 500 : 누출감지부

Claims (7)

  1. 내부에 제1안착공간부를 갖고, 파이프라인의 피팅 일부를 덮기 위한 제1몸체;
    내부에 제2안착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몸체에 대응되도록 상기 파이프라인의 피팅 나머지부를 덮기 위한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일측단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연결부; 및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각 타측단부를 개폐 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피팅용 락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제1잠금안착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몸체의 타측단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1잠금몸체;
    상기 제1잠금몸체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제2잠금안착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2몸체의 타측단부에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제2잠금몸체;
    상기 제1잠금안착공간부의 개방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는 설치공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잠금안착공간부를 구획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잠금프레임;
    타측단부가 상기 제1잠금안착공간부와 제2잠금안착공간부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되도록 일측단부가 상기 잠금프레임의 설치공에 후크로 걸려 설치되며, 타측단면에 작동홈이 형성되는 자물쇠부;
    상기 제2잠금안착공간부에 위치되도록 자물쇠부의 외주에 돌출형성된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되, 상기 자물쇠부를 회전시킬 경우, 함께 회전되어 걸려짐에 따라, 제1잠금몸체와 제2잠금몸체를 잠그기 위한 걸림홈;을 포함하는 피팅용 락킹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부를 수평회전시킬 경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림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피팅용 락킹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물쇠부는,
    상기 잠금프레임의 설치공에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상기 자물쇠부와 잠금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탄성에 의해 자물쇠부를 타측단방향으로 가압시키기 위한 탄성가압부; 및
    상기 걸림돌기가 걸려지도록 상기 걸림홈에 돌출형성된 잠금턱;을 포함하고,
    상기 자물쇠부를 잠금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상기 걸림홈으로 이동된 걸림돌기가 탄성가압부에 의해 잠금턱을 넘어 이동되어 잠금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해제 시, 상기 탄성가압부가 눌러지도록 자물쇠부를 눌러 걸림돌기가 잠금턱에서 이탈시킨 후, 잠금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팅용 락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에서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감지하도록 상기 제1몸체와 제2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누출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피팅용 락킹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감지부는,
    투명하게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안착공간부와 연통되는 제1감지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누출감지몸체;
    내부에 상기 제2안착공간부와 연통되는 제2감지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2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누출감지몸체; 및
    상기 제1감지공간부와 제2감지공간부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피팅에 누출되는 가스와 반응하여 누출을 확인하기 위한 반응부;를 포함하는 피팅용 락킹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은,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갖고, 연결되기 위한 어느 하나의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제1피팅몸체;
    상기 제1피팅몸체의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파이프 단부가 내부에 위치되는 제2피팅몸체;
    상기 어느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제1피팅몸체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느 하나의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걸림턱; 및
    상기 다른 하나의 파이프가 상기 제2피팅몸체의 내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다른 하나의 파이프 단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걸림턱;을 포함하는 피팅용 락킹장치.
KR1020200140764A 2020-10-27 2020-10-27 피팅용 락킹장치 KR20220056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64A KR20220056059A (ko) 2020-10-27 2020-10-27 피팅용 락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764A KR20220056059A (ko) 2020-10-27 2020-10-27 피팅용 락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059A true KR20220056059A (ko) 2022-05-04

Family

ID=8158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764A KR20220056059A (ko) 2020-10-27 2020-10-27 피팅용 락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60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520B1 (ko) * 2022-05-06 2023-05-26 주식회사 인텔리즈 구독형 인공지능 이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5520B1 (ko) * 2022-05-06 2023-05-26 주식회사 인텔리즈 구독형 인공지능 이용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297B1 (ko)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KR101583597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CA2582655C (en) Pipe clamp with built in test fitting
KR101955606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US20120192950A1 (en) Floor drain valve with resiliently mounted rigid flappers
KR101520452B1 (ko) 밸브형 배관 피팅의 보호커버
KR20220056059A (ko) 피팅용 락킹장치
KR20170016197A (ko)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KR102280990B1 (ko)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US5975142A (en) Removable closure system
WO2002071022A1 (en) Arrangement at a pipe flange seal
JP3876219B2 (ja) バルブ装置の気密検査用ガス漏れ検出孔
KR101799490B1 (ko) 방폭형 배선함
JP4112371B2 (ja) プラグ・イン式安全連結装置
KR101701333B1 (ko) 배관용 클램프 장치
KR102280987B1 (ko) 누출감지 가능한 클램프를 이용한 누출관리시스템
KR102347066B1 (ko)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CN110593800A (zh) 一种组合式防喷防盗井口装置
KR20150130086A (ko) 관 이음부 고정 클램프
KR200488531Y1 (ko) 배관 피팅 연결부 누설감지 캡
JPH11108285A (ja) 配管のフランジ継手部のフランジ面シール方法及び装置
KR102034787B1 (ko) 배관 보호 클램프
US20230279981A1 (en) Temporary trap door cap
JP6797479B2 (ja) 漏洩防止具
KR100698889B1 (ko) 상수도 맨홀 누수방지 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