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787B1 - 배관 보호 클램프 - Google Patents

배관 보호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787B1
KR102034787B1 KR1020190048953A KR20190048953A KR102034787B1 KR 102034787 B1 KR102034787 B1 KR 102034787B1 KR 1020190048953 A KR1020190048953 A KR 1020190048953A KR 20190048953 A KR20190048953 A KR 20190048953A KR 102034787 B1 KR102034787 B1 KR 10203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ipe
fixing part
coupl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형근
이의재
Original Assignee
양형근
이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형근, 이의재 filed Critical 양형근
Priority to KR1020190048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보호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하나 이상의 배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관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가 내측에 수용되어 유체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구조를 간섭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배관 보호 클램프{PIPING PROTECTION CLAMP}
본 발명은 배관(파이프) 보호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분리 시 중력에 의해 배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된 배관 보호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나 오일 등의 작업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 설비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둘 이상의 배관이 어느 위치에서 L 또는 T형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이음관 또는 가스켓 등에 의해 여러 번 분기하여 유체가 배관을 통해 목적지에 도달하게 된다.
이러한 둘 이상의 배관은 접속구의 품질이나 이물질 투입 또는 배관과 접속구의 시공 등의 부실로 누수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044호(이하 ‘문헌 1’)의 “배관용 클램프”에서, 외부의 수분 및 산소와의 접촉으로 인해 배관 틈새 부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선박에 설치되는 배관용 클램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배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도록 형성된 바디 내측에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된 틈부식 방지부재를 적용하여 틈부식이 발생되는 환경에서 산화피막이 파괴된 후 틈부식 방지부재가 배관보다 먼저 부식되어 배관의 틈부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형식으로 형성된 바디를 교체하거나 배관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누수 등에 의해 바디를 분해해야 할 경우, 바디가 분리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하측에 형성된 제2바디가 낙하되어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6279호(이하, ‘문헌 2’)의 “파이프 임시 고정부재가 구비된 벽체 매립 상자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이음관 시공방법”에서, 내측 케이스 내측에 형성된 이음관 수용부에 파이프(배관) 또는 이음관이 임시로 고정되도록 파이프 임시 고정부재가 포함된 벽체 매립 상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고정부재에 의해 내측 케이스와 파이프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 있지만, 임시 고정부재는 일측이 개구되고, 파이프 또는 이음관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파이프가 임시고정부재에 끼움결합으로 형성되어 내측 케이스와 파이프 분리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465호(이하, ‘문헌 3’)의 “위생배관 매설박스”에서, 누수에 의한 하자 시 보수, 수리가 가능하도록 주름관에 관이 내장하여 케이스에 도입되어 관과 이음관이 배관되고 케이스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로 구성된 매설박스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시공커버와 반대측에 점검커버가 결합되어 누수에 의한 하자 시 점검 후 보수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박스가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형성되어 누수 등이 발생되었을 경우, 콘크리트를 제거하는 작업이 더 수행되어야 하는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누수가 발생되었을 경우, 콘크리트에 의해 늦게 발견되어 이에 대한 대응이 늦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배관이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7605호(이하, ‘문헌 4’)의 “스래브(슬래브) 매설상자”에서, 상자의 가로, 세로 규격을 최소화하여 슬래브용 철근의 절단, 제거를 막고 배관과 이음관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배관 중 상자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 시공성을 향상하는 슬래브 매설상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가로, 세로 규격을 최소화하여 슬래브용 철근의 절단, 제거를 막고 상하로 배근된 철근의 제약에서 이음관내장체의 상부와 측벽 2곳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손을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배관과 이음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배관 중 상자를 뒤집을 필요가 없어 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 매설상자는 슬라이드 형식으로 관출입체와 측벽체가 조립되어 나사 또는 못 등으로 고정됨으로써, 누수가 발생될 경우, 틈이 발생됨으로써 유체가 외부로 방출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0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62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3746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7605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에 하나 이상의 배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관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가 내측에 수용됨으로써, 유체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는 배관 보호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커버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배관으로부터 유출되어 커버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작업자는 신속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관 보호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배관 보호 클램프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배관과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배관 보호 클램프가 배관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중력에 의해 제1커버 또는 제2커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낙하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배관 보호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배관 보호 클램프 내측에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유체가 배관으로부터 유출될 경우, 센서부에 의해 유체가 감지됨과 동시에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관 보호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관(60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커버부(100); 및 커버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어 배관(600)이 커버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관통부(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부(100)는 하측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개구부(200)를 포함하여 배관(600)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커버(101); 및 제1커버(101) 하측에 형성되며, 상측 일측에 제1개구부(200)와 대응되도록 하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2개구부(300)를 포함하여 배관(600)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커버(102);를 포함하고,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배관(6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배관(600)의 구조에 간섭되지 않도록 커버부(100) 일측에 형성된 대응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부(10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배관(600)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개구부(211)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1고정부(210); 및 커버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배관(600)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4개구부(311)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2고정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커버부(100) 일측에 커버부(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측으로부터 커버부(100)의 내측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커버부(100) 일측에 관통 형성된 제9개구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측에 하나 이상의 배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관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가 내측에 수용되어 유체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구조를 간섭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커버부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배관으로부터 유출되어 커버부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작업자는 신속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관 보호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배관 보호 클램프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배관과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배관 보호 클램프가 배관으로 분리될 경우, 중력에 의해 제1커버 또는 제2커버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낙하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관 보호 클램프 내측에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더 포함하여 유체가 배관으로부터 유출될 경우, 센서부에 의해 유체가 감지됨과 동시에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문헌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문헌 2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문헌 3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문헌 4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에 적용되는 센서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에 적용되는 센서부의 배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제1공간, 20: 제2공간
100: 커버부, 101: 제1커버, 102: 제2커버, 103: 제1관통부, 104: 결합가이드, 110: 대응부
200: 제1개구부, 210: 제1고정부, 211: 제3개구부, 213: 제3관통부, 220: 제3결합부
300: 제2개구부, 310: 제2고정부, 311: 제4개구부, 320: 제4결합부
400: 결합부재, 410: 제1결합부, 420: 제2결합부
500: 나사부재
600: 배관, 610: 부속부재
700: 센서부, 710: 제3고정부, 711: 내면, 712: 외면, 720: 제1지지부, 740: 돌출부
800: 센서, 810: 통신부
900: 제9개구부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호 클램프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 및 제1관통부(103)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커버부(100)는 배관(60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배관(600)을 따라 흐르는 유체는 화학공장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외부에 유출되었을 때, 공기 또는 배관(600) 외부에 형성된 구조물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와 반응하여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약액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즉,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커버부(100)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어 배관(600)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유체의 유출에 따른 2차사고 및 손실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커버부(100)는 배관(600)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배관(600)의 단부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배관(600) 단부의 결합에 의해 발생되는 틈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둘 이상의 배관(600)이 결합되는 위치에 커버부(100)가 위치할 경우, 커버부(100) 내측에는 배관(600)의 단부와 연결 형성된 부속부재(610)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부속부재(610)가 더 포함됨으로써, 배관(600)이 커버부(100)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부속부재(610)는 티(tee), 이경 티(reducing tee), 십자, 엘보우(elbow), 이경 엘보우(reducing elbow), 커플링, Y자선, 플럭, 리듀서(reducer), 니플(nipple), 캡, 부싱(bushing), 유니온, 플랜지(flange), 팽창곡관 등을 포함하는 관 이음쇠 또는 게이트 밸브(gate valve), 글로브 밸브(spherical valve), 체크밸브(check valve), 볼체크밸브(ball check valve), 스윙체크밸브(swing check valve), 플러그 코크(plug cock) 등을 포함하는 밸브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으나, 둘 이상의 배관(600)을 결합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커버부(10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작업자가 외측으로부터 커버부(100) 내측을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가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됨으로써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어 커버부(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작업자가 커버부(100)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신속한 대응이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인 배관 보호 클램프가 하나 이상 형성될 경우, 어느 지점에서 유출이 발생되었는지 먼 거리에서 한 번에 알아차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배관 설계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체의 유출에 따른 2차사고 및 손실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1관통부(103)는 커버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어 배관(600)이 커버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관통부(103)에 의해, 배관(600)이 커버부(100) 내측으로 인입됨과 동시에 배관(600)이 커버부(100)와 제1관통부(103)를 관통함으로써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커버부(100) 내측에 저장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관통부(103)의 형상은 배관(6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상 또는 크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관통부(103) 내측에 배관(600)이 고정되도록 배관(600)의 외경 크기와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커버부(100) 내측에 배관(600)이 제1관통부(103)에 안정적으로 인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1관통부(103)는 배관(600)의 형상 또는 구조를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커버부(100) 외측면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관(600)이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커버부(100)를 관통할 경우, 제1관통부(103)는 커버부(100)의 마주보는 면에 두 개가 형성될 수 있고, 배관(600)이 티 자형으로 형성되어 커버부(100)를 관통할 경우, 제1관통부(103)는 커버부(100)에 배관(600)이 관통되는 형상에 맞추어 세 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커버부(100) 형상도 배관(600)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커버부(10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부(100)는 배관(60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설치 또는 해체가 용이하도록 제1커버(101) 및 제2커버(10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커버(101)는 하측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개구부(200)를 포함하여 배관(600)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버(101)에 의해 배관(600)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배관(600)의 상측을 보호하여 배관(600)의 상측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부자극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외부 자극에 의해 하나 이상의 배관(600)이 변형되어 유체가 유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측에 부속부재(610)가 인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포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커버(101)는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내측에 제1공간(10)이 형성되며, 제1공간(10) 내측에 배관(600), 배관(600)으로부터 흐르는 유체 또는 부속부재(6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공간(10)을 포함하는 제1커버(101)의 형상에 의해 내측에 배관(600)이 수용됨과 동시에 배관(600)에 가해지는 외부 자극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관(600)으로부터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장치들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1개구부(200)는 제1커버(101) 일측 하측 단부에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1개구부(200)에 의해 배관(600)이 커버부(100)를 관통하여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개구부(200)는 배관(600)의 외경 상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배관(600)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제1개구부(200)와 배관(60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제1개구부(200)와 배관(600) 사이로 흐르지 않게 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제1개구부(200)의 내경을 따라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개구부(200)에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개구부(200)와 배관(600) 사이의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어 배관(600)으로부터 흐르는 유체가 본 발명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커버(102)는 제1커버(101) 하측에 형성되며, 상측 일측에 제1개구부(200)와 대응되도록 하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2개구부(300)를 포함하여 배관(600)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커버(102)는 제1커버(101) 하측에 제1커버(101)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배관(600)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중력에 의해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 또는 부속부재(610)가 수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커버(102)는 하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내측에 제2공간(20)이 포함되도록 형성되어 제2공간(20) 내측에 배관(600), 배관(600)으로부터 흐르는 유체 또는 부속부재(61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개구부(300)는 제2커버(102) 일측 상측 단부에 하측방향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배관(600)의 하측을 지지함으로써, 배관(600)이 제2커버(10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개구부(300)는 제1개구부(200)와 마찬가지로 배관(600)의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배관(600)의 하측과 맞닿게 형성되어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외부에 흐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관(600)이 커버부(100)로부터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2개구부(300)는 배관(600)의 하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제1커버(101) 및 제2커버(102)가 결합되었을 때, 제1개구부(200)와 제2개구부(300)의 결합에 의해 제1관통부(10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배관(600)은 제1개구부(200) 및 제2개구부(300)에 의해 제1커버(101) 및 제2커버(102)의 단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제1커버(101) 및 제2커버(102)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2개구부(300)의 내경을 따라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개구부(300)에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2개구부(300)와 배관(600) 사이의 수밀성이 더욱 향상되어 배관(600)으로부터 흐르는 유체가 본 발명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결합되는 면의 단부 테두리에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결합부재(400)에 의해 결합됨과 동시에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결합되는 면 단부 테두리에 형성된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에 의해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수밀성이 향상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배관(6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부재(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400)에 의해 제1커버(101) 및 제2커버(102)가 결합에 의해 조립됨과 동시에 고정됨으로써, 커버부(100)가 배관(6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부(100) 외측에 형성되어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두 개의 결합부재(400)가 포함될 경우,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방향에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400)의 위치에 의해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결합부재(400)는 매미 고리 등을 포함하는 잠금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결합부재(400)는 제1결합부(410) 및 제2결합부(4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결합부(410)는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2결합부(420)가 제1결합부(410)로부터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410)는 제2결합부(420)가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고리모양으로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측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결합부(420)는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제1결합부(410)와 결합되어 제1커버(101) 및 제2커버(102)가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1커버(101) 일측에 제1결합부(410)가 형성되었다면, 제2커버(102) 일측에 제2결합부(420)가 형성되고, 제2결합부(420)가 고리모양으로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410)에 걸림으로써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조립됨과 동시에 결합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내측에 상측 또는 하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합가이드(10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결합가이드(104)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결합될 때, 제1커버(101) 및 제2커버(102)의 상측 또는 하측 단부가 뒤틀림 없이 고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결합가이드(104)는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내측 또는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모서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결합가이드(104)가 제1커버(101) 내측 또는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형성될 경우, 제1커버(101) 하측 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커버(102) 내측 또는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형성될 경우, 제2커버(102) 상측 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결합가이드(104)는 제2커버(102) 상측 내측 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제1커버(101)가 제2커버(102)에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가이드(104)는 커버부(100) 내측 또는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포함됨으로써,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서로 뒤틀림 없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결합가이드(104)의 형상에 의해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 조립 시 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결합가이드(104)의 단부가 둥글거나 상측 일측 단부로부터 하측 타측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600)의 구조에 간섭되지 않도록 커버부(100) 일측에 형성된 대응부(1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하나 이상의 배관(600)이 미로처럼 형성된 곳에 본 발명인 배관 보호 클램프가 설치될 경우, 대응부(110)가 더 포함됨으로써, 배관(600)의 경로를 간섭하거나 방해하지 않고 본 발명인 배관 보호 클램프가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대응부(110)는 커버부(100)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며, 커버부(100)의 모서리가 모깎기 또는 계단 형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배관(600)의 구조를 간섭하지 않는 형상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내측에 하나 이상의 배관(6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관(600)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가 내측에 수용되어 유체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배관(600)의 구조를 간섭하지 않고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3>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3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제1고정부(210)는 커버부(10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배관(600)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개구부(21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210)는 독립적으로 커버부(100)와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배관(600)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2고정부(310)와 조립되어 배관(6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고정부(310)에 제1고정부(210)가 연동되도록 형성되어, 조립 시 제1고정부(210)가 제2고정부(310)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실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31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단부에 힌지 등을 포함하는 회전고정부재가 형성됨으로써, 제1고정부(210)의 회전에 의해 제1고정부(210)가 제2고정부(310)로부터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3개구부(211)가 제1고정부(210) 하측면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3개구부(211)는 제1개구부(200)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배관(600) 상측을 감쌀 수 있는 형상과 크기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제3개구부(211)와 제1개구부(200)가 동일한 축에 일직선으로 형성되고, 제3개구부(211)가 제1개구부(200)에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배관(600) 상측이 제3개구부(211) 및 제1개구부(2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분리되어 배관(600)에 고정 형성될 경우, 제1고정부(210)는 배관(600)의 제1커버(101)가 설치된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커버(101) 외측면과 제1고정부(210)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배관(6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3개구부(211)의 내측면을 따라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3개구부(211)에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3개구부(211)와 배관(600) 사이에 수밀성이 향상되어 배관(600)으로부터 흐르는 유체가 본 발명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배관(600)으로부터 견고하게 결합 고정되기 위해, 제1고정부(210) 일측에 제3결합부(220)가 내측에 나사산을 포함하여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4결합부(320)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3결합부(220)가 관통 형성되어 나사부재(500)에 의해 제3결합부(220)와 제4결합부(3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고정부(210) 양측 말단에 제3결합부(220)가 관통 형성되고,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조립되었을 때, 제3결합부(220)와 제4결합부(320)는 동일한 축에 직선으로 형성되어 나사부재(500)에 의해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조립됨과 동시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310)는 커버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배관(600)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4개구부(311)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고정부(310)는 커버부(100)와 연동되도록 형성되며, 배관(600)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제1고정부(210)와 조립되어 배관(600) 일측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고정부(310)와 커버부(100)가 접착제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4개구부(311)가 제2고정부(310) 상측면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제4개구부(311)는 제2개구부(300)의 형상과 크기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배관(600) 하측 및 제2커버(102)를 지지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제4개구부(311)와 제2개구부(300)가 동일한 축에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제4개구부(311)가 제2개구부(300)에 연동될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배관(600) 하측이 제4개구부(311) 및 제2개구부(300)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4개구부(311)의 내측면을 따라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4개구부(311)에 고무를 포함하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링 또는 돌기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더 포함됨으로써, 제4개구부(311)와 배관(600) 사이에 수밀성이 향상되어 배관(600)으로부터 흐르는 유체가 본 발명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분리되어 배관(600)에 고정 형성될 경우, 제2고정부(310)는 제2커버(102) 외측 일측에 고정되어 배관(600)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의 결합에 의해 제2커버(102)가 배관(600)에 고정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어 중력에 의해 제2커버(102)에 수용된 유체가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의 결합에 의해 제2커버(102)가 배관(600)에 고정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제2커버(102)를 안전하게 배관(6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2고정부(310) 일측에 제4결합부(320)가 내측에 나사산을 포함하여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고정부(310) 상측면 양측 말단에 제4결합부(320)가 하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4결합부(320)가 제3결합부(330)와 동일한 축에 일직선으로 형성됨으로써 나사부재(500)에 의해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배관(600)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4결합부(320)가 형성됨으로써,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배관(600)에 결합됨과 동시에 나사부재(5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나사부재(500)는 제3결합부(220)와 제4결합부(320)가 나사부재(500)의 회전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부재(500)는 제1고정부(210)를 관통함과 동시에 제2고정부(310)에 고정될 수 있는 길이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나사부재(500)에 의해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되기 위해, 사용자가 나사부재(500)의 상측을 움켜쥐고 회전시킴으로써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배관(6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310)의 상측 또는 하측면이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됨으로써 끼움결합에 의해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배관(6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결합부(220)는 제1고정부(210)의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제4결합부(320)는 제2고정부(310)의 상측면에 하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제3결합부(220)와 제4결합부(320)에 의해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가 끼움결합에 의해 배관(60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라 제3결합부(220)가 제1고정부(210)의 하측면에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고, 제4결합부(320)가 제2고정부(310)의 상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끼움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의 결합에 의해 커버부(100)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배관(600)에 고정시키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 결합 고정되며,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 각각 형성된 제3결합부(220)와 제4결합부(320)에 의해 제3관통부(213)가 형성됨과 동시에 배관(600)이 제3관통부(213)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고정부(210)와 제2고정부(310)에 의해 제2커버(102)가 배관(600)에 고정됨으로써,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 분리 시 중력에 의해 제2커버(102)가 낙하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커버부(100)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유입된 배관(600)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중력에 의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배관 보호 클램프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제1고정부(210) 및 제2고정부(310)가 배관(600)과 일체로 고정됨으로써 배관 보호 클램프가 배관(600)으로부터 분리될 경우, 중력에 의해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낙하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4>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 일측에 커버부(100)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부(7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부(700)는 커버부(100) 내측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센서부(700) 내측에 하나 이상의 센서(8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제3고정부(710), 제1지지부(720) 및 돌출부(7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3고정부(710)는 커버부(100) 일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3고정부(710)는 센서(8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3고정부(710)는 커버부(100)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센서(800)의 형상을 간섭하지 않고 센서(800)가 제3고정부(710)에 의해 커버부(10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고정부(710)와 커버부(100)가 서로 이격되며, 제3고정부(710)가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센서(800) 일측이 제3고정부(710)와 커버부(100) 사이에 인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관(600)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 의해 센서(800)가 제3고정부(710)로부터 걸림으로써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만약,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800)의 하측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가지가 더 포함된다면, 센서(800)에 형성된 가지는 제3고정부(710)와 커버부(10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제3고정부(7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반원모양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드에 의해 제3고정부(710)로부터 센서(800)의 고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제3고정부(710)는 내면(711)과 외면(71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내면(711)은 센서(800)의 외측면에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센서(800)가 유체에 의해 제3고정부(7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내면(711)은 센서(8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센서(800)의 외경과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면(712)은 제3고정부(710)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센서(800)의 형상에 따라 센서(800) 일측 또는 센서(800)에 포함된 가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제3고정부(710)와 커버부(100) 사이에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내면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3고정부(710) 일측 모서리는 모깍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고정부(710) 모서리 형상에 의해 센서(800)가 슬라이드 됨으로써 손상되지 않고 제3고정부(710)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3고정부(710)가 커버부(100) 하측 내측면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배관(600)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중력에 의해 커버부(100) 하측 내측면에 유입됨과 동시에 센서(80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신속하게 보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커버부(100)가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로 분리될 경우, 제3고정부(710)는 제2커버(102) 하측면 내측에 내측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지지부(720)는 커버부(100)로부터 제3고정부(710)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제3고정부(710) 하측면에 하나 이상 하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720)에 의해 제3고정부(710)와 커버부(100)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센서(800) 일측이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지지부(720)는 유체에 의한 센서(80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돌출부(740)는 제3고정부(710)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센서(800)의 이탈을 예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740)는 내면(711) 일측에 내측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740)가 형성됨으로써, 센서(800) 외경의 반 이상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센서(800)의 외경이 돌출부(740)에 걸림으로써 고정되어 제3고정부(7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돌출부(740)가 포함되어 외부 압력에 의한 슬라이드에 의해 센서(800)가 제3고정부(710)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에 따라 센서(800)가 회전되어 제3고정부(7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적용되는 센서(800)는 배관(600)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출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800)가 적용될 수 있다.
즉, 배관(600)을 따라 흐르는 유체가 커버부(100) 내측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유체를 센서(800)가 감지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유체는 중력에 의해 하측방향으로 흐르며, 센서(800)는 커버부(100) 내측 하측면에 형성되어 유체가 외부로 유출됨과 동시에 제어부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통신부(8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통신부(810)는 센서(800)의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기 위해 커버부(100)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통신부(810)는 커버부(100) 외측 일측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센서(800)의 신호를 신속하게 제어부에 보낼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통신부(810)에 의해 유체가 유출된 지점을 센서(800)의 신호에 의해 원거리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내측에 LED 등을 포함하는 식별장치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센서부(700), 센서(800) 및 통신부(810)에 의해 배관(600)을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출이 감지될 경우, 작업자는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유체의 유출이 발생될 경우, 센서부(700), 센서(800) 및 통신부(810) 뿐만 아니라, 커버부(100)가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유출이 발생된 정확한 위치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인 배관 보호 클램프 내측에 하나 이상의 센서부(700)를 더 포함하여 유체가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될 경우, 센서부(700)에 의해 유체가 감지됨과 동시에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5>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부터 커버부(100)의 내측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커버부(100) 일측에 관통 형성된 제9개구부(9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9개구부(900)는 커버부(100) 상측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관(600)에 설치되는 크기가 큰 부속부재(610)가 커버부(100)의 크기에 간섭받지 않고, 커버부(100)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9개구부(900)에 의해, 사용자는 본 발명인 배관 보호 클램프의 외부로부터 부속부재(61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적용되는 부속부재(610)는 밸브류가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커버부(100)가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로 분리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면, 제1커버(101) 상측면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 보호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하나 이상의 배관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배관으로부터 외부로 유출되는 유체가 내측에 수용되어 유체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고,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배관의 구조를 간섭하지 않고 설치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6)

  1. 배관(600)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커버부(100); 및
    커버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하나 이상 관통 형성되어 배관(600)이 커버부(10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관통부(103);를 포함하고,
    커버부(100)는
    하측 일측에 상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1개구부(200)를 포함하여 배관(600)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1커버(101); 및
    제1커버(101) 하측에 형성되며, 상측 일측에 제1개구부(200)와 대응되도록 하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2개구부(300)를 포함하여 배관(600)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2커버(102);를 포함하고,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배관(6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결합부재(400);를 포함하며,
    커버부(100)와 독립적으로 형성되며, 배관(600)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3개구부(211)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1고정부(210); 및
    커버부(10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고정되며, 배관(600) 하측을 감싸도록 형성된 제4개구부(311)를 포함하여 형성된 제2고정부(310);를 포함하고,
    커버부(100)는 배관(600)으로부터 유출되는 유체를 식별하기 위하여 투명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제1고정부(210)는 제1커버(101)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제2고정부(310)는 제2커버(102) 외측 일측에 고정되며,
    내측에 나사산을 포함하며, 제1고정부(210) 일측에 관통 형성된 제3결합부(220); 및
    내측에 나사산을 포함하며, 제2고정부(310) 일측에 함몰 형성된 제4결합부(320);를 포함하고,
    제3결합부(220)와 제4결합부(320)가 동일한 축에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제3결합부(220) 및 제4결합부(320)를 회전에 의해 고정시키기 위해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재(500)를 포함하고,
    결합부재(400)는
    제2결합부(420)가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리모양으로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결합부(410); 및
    제1커버(101) 또는 제2커버(10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 형성되며, 제1결합부(410)에 걸림으로써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조립됨과 동시에 결합고정 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결합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호 클램프.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부(100)는
    배관(600)의 구조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측 모서리가 모깎기 또는 계단 형상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된 대응부(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호 클램프.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부(100)는
    일측에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부(700)를 포함하고,
    센서부(700)는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형상으로 커버부(100) 일측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슬라이드에 의해 센서(8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내면(711)을 포함하는 제3고정부(710);
    커버부(100)로부터 제3고정부(710)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제3고정부(710) 하측면에 하측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 제1지지부(720); 및
    내면(711) 일측에 내측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 돌출부(7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호 클램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버부(100)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이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일측에 관통 형성된 제9개구부(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보호 클램프.
KR1020190048953A 2019-04-26 2019-04-26 배관 보호 클램프 KR10203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53A KR102034787B1 (ko) 2019-04-26 2019-04-26 배관 보호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53A KR102034787B1 (ko) 2019-04-26 2019-04-26 배관 보호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4787B1 true KR102034787B1 (ko) 2019-10-21

Family

ID=6846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953A KR102034787B1 (ko) 2019-04-26 2019-04-26 배관 보호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7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83A (ja) * 1996-07-17 1998-02-03 Osaka Gas Co Ltd 継手用保護カバー
KR20130000408U (ko) * 2011-07-08 2013-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파이프 이음 보호커버
KR101479520B1 (ko) * 2013-07-03 2015-01-07 주식회사 이엠아이 누설 탐지 및 보호를 위한 밀폐 커버
KR20150060389A (ko) *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사람들 배관용 누출검지부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783A (ja) * 1996-07-17 1998-02-03 Osaka Gas Co Ltd 継手用保護カバー
KR20130000408U (ko) * 2011-07-08 2013-0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파이프 이음 보호커버
KR101479520B1 (ko) * 2013-07-03 2015-01-07 주식회사 이엠아이 누설 탐지 및 보호를 위한 밀폐 커버
KR20150060389A (ko) *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사람들 배관용 누출검지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70209B2 (en) Tapping sleeve
US7325442B1 (en) Leak testing device with a permanent coupling
SG189022A1 (en) Tubular joint
CN107436211B (zh) 一种适用于直通式截止阀的气密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2034787B1 (ko) 배관 보호 클램프
KR20170016197A (ko)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US9279532B2 (en) Leak diverter assembly for substation transformers
US4932241A (en) Reusable plumbing test pipe
US20080083267A1 (en) Leak testing device with a permanent coupling
KR20150000286U (ko) 하이드로 테스트시 파이프 플랜지의 리크 예방장치
KR102280990B1 (ko) 밸브와 피팅용 락킹장치
US10041630B1 (en) Pipe fitting with sealable access opening for line testing
KR200316886Y1 (ko) 가스누출차단용 클램프
KR20220056059A (ko) 피팅용 락킹장치
JP7137202B2 (ja) 配管部材、配管部材を接続する管継手及びそれらを用いた仮設配管路並びに仮設配管路の施工方法
JP3099815U (ja) 排水管の漏洩試験用治具
US11513022B2 (en) Valve assembly and method for leak testing pipes using the valve assembly
KR20110025326A (ko) 수압 측정용 연결장치
KR20200051329A (ko) 배관용 안전커버
KR101955718B1 (ko) 누수 확인용 내시경 점검구
KR102347066B1 (ko) 누출감지가 가능한 누출방지용 클램프장치
JP6521357B2 (ja) 分岐継手
JP6422630B2 (ja) 弁装置を有する分岐管
US20180259086A1 (en) Butterfly Valve Comprising Removable Coupling Part
KR101194575B1 (ko) 배관 밀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