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5799A -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 Google Patents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5799A
KR20230035799A KR1020210118241A KR20210118241A KR20230035799A KR 20230035799 A KR20230035799 A KR 20230035799A KR 1020210118241 A KR1020210118241 A KR 1020210118241A KR 20210118241 A KR20210118241 A KR 20210118241A KR 20230035799 A KR20230035799 A KR 20230035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gas
gasket
hole
out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원규
Original Assignee
황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원규 filed Critical 황원규
Priority to KR102021011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5799A/ko
Publication of KR20230035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5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03Auxiliar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30Detecting lea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랜지를 제조시에 가스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스누출 탐지공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추가적으로 가스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로 점검홀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플랜지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와 기존의 가스켓의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누출 센서를 미사용시에도 다중 밀폐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잔여가스의 누출과 누출된 가스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flange structure that allows easy confirmation of gas leaks.}
본 발명은 가스배관을 연결시 사용되는 플랜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더 상세하게는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연이은 가스 배관 폭발 사고로 인하여 막대한 인명피해가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주로 이러한 대단지 화학단지에서은 여러 종류의 가스를 사용하게 된다. 그 예로 반도체 공정에서는 산화성분, 인화성분 및 유독성분을 포함하는 가스가 사용되므로 이와 관련된 설비인 배기라인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플랜지 이음방식은 프랜지 사이에 가스켓을 개재한 상태로, 복수개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결합방식이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스켓 등의 연결부위를 통해여 가스가 누출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가스의 누출 여부를 검지하기 위하여 가스누출 검지장치를 별도로 설치하거나 작업자가 일일이 가스배관을 확인 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배관의 길이가 길거나 복잡할 경우 사실상 확인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생기게 된다. 선행기술로는 등록번호 20-0277257 "가스메타를 설치를 위한 가스배관 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려고 안출된 것으로, 대단위 화학단지와 반도체 제조장비 설비라인에 사용되는 설비배관의 플랜지 조립체자체를 생산시에 가스의 누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플랜지 결합시 기밀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키 위한 플랜지의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내측으로 다수개의 제1가스켓 밀폐홈부가 구비되며, 제1가스켓 밀폐홈부의 하부에는 누출된 가스를 안내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유출 유출가스 안내공이 형성되며,
유출가스 안내공 말단에는 유출가스 탐지공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유출가스 탐지공 말단은 가스유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스센서를 구비될 수 있도록 센서거치공이 형성된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의 제1가스켓 밀폐홈부와 대향되게 외측에 제2가스켓 밀폐홈부가 구비되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유출가스 안내공 하부는 제1내입부가 형성되어 밀폐부재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내입부에 대향되게 제2내입부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에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내측과 타측에 가스켓이 거치되며, 가스켓의 관통공은 제1플랜지의 유출가스 안내공과 면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플랜지를 제조시에 가스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스누출 탐지공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추가적으로 가스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로 점검홀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플랜지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효과와 기존의 가스켓의 내구성과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누출 센서를 미사용시에도 다중 밀폐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잔여가스의 누출과 누출된 가스의 역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분리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누출시의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내측(10-1)으로 다수개의 제1가스켓 밀폐홈부(10-2)가 구비되며, 제1가스켓 밀폐홈부(10-2)의 하부에는 누출된 가스를 안내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유출 유출가스 안내공(10-3)이 형성되며,
유출가스 안내공(10-3) 말단에는 유출가스 탐지공(10-4)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유출가스 탐지공(10-4) 말단은 가스유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스센서(300)를 구비될 수 있도록 센서거치공(10-5)이 형성된 제1플랜지(10);
상기 제1플랜지(10)의 제1가스켓 밀폐홈부(10-2)와 대향되게 외측(11-1)에 제2가스켓 밀폐홈부(11-2)가 구비되는 제2플랜지(11);로 이루어지며,
또한, 상기 유출가스 안내공(10-3) 하부는 제1내입부(10-6)가 형성되어 밀폐부재(200)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내입부(10-6)에 대향되게 제2내입부(11-6)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되며,
또한, 상기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11)를 고정시에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11)의 내측(10-1)과 타측(11-1)에 가스켓(100)이 거치되며, 가스켓(100)의 관통공(101)은 제1프랜지(10)의 유출가스 안내공(10-3)과 면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1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각의 플랜지를 성형시 유출가스 안내공(10-3), 유출가스 탐지공(10-4), 센서거치공(10-5), 제1내입부(10-6)를 함께 성형함으로 별도로 점검구를 부착 또는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제1플랜지(10)의 내측(10-1)으로 다수개의 제1가스켓 밀폐홈부(10-2)가 구비되어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11) 사이에 거치된 가스켓(100)을 견고히 하여 밀폐가 되도록 한 것이다.
제1가스켓 밀폐홈부(10-2) 하부는 수평으로 유출가스 안내공(10-3)이 형성된다.
가스 안내공(10-3)은 수직으로 형성된 유출가스 탐지공(10-4)가 형성되며, 유출가스 탐지공(10-4)의 하부는 센서거치공(10-5)가 구비된다.
상기 가스 안내공(10-3)의 지름보다 유출가스 안내공(10-3)이 커야되며, 유출가스 탐지공(10-4)의 지름보다 센서거치공(10-5)이 커야 올바른 일실시예이다.
가스 안내공(10-3) 하부에는 밀폐부재(200)를 거치할 수 있도록 내입부가 형성된다.
제2플랜지(11)는 제1플랜지(10)의 내측(10-1)과 동일한 지름으로 구비되고, 제1플랜지(10)의 제1가스켓 밀폐홈부(10-2)에 대향되게 제2가스켓 밀폐홈부(11-2)가 제2플랜지(11)에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10)의 제1내입부(10-6)에 대향되게 제2내입부(11-6)가 동일한 위치에 제2플랜지(11)에 형성된다.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11)의 가스밀폐 구조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일차적으로 가스켓(100)에 의하여 밀폐되며, 고온 고압의 가스인 경우 가스켓(100)이 팽창 또는 수축함에 따라 제1가스켓 밀폐홈부(10-2)와 제2가스켓 밀폐홈부 (11-2)에 의하여 견고히 잡아 줄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1플랜지(10)와 제2플랜지(11) 결합시 과도한 조임으로 가스켓(100)이 인위적으로 늘어나 밀폐효과를 저하시킴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 제1가스켓 밀폐홈부(10-2)와 제2가스켓 밀폐홈부(1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스켓 밀폐홈부(10-2) 하부는 유출가스 안내공(10-3)과 제1내입부 (10-6)가 형성되며, 제1내입부(10-6)가 구비되며, 제1내입부(10-6)에 대향되게 제2내입부(11-6)각각 별도로 구비된다.
상기 제1내입부(10-6)와 제2내입부(11-6)에 밀폐부재(200)가 거치된다.
밀폐부재(200)로 인하여 가스켓(100)을 견고히 잡아주며, 제1내입부(10-6) 상부에 위치한 유출가스 안내공(10-3)으로 유출된 가스를 게스켓(100)과 밀폐부재 (200)로 이중으로 가스유입을 막게 된다.
유출된 가스의 흐름은 게스켓(100)의 관통공(101)-유출가스 안내공(10-3)-유출가스 탐지공(10-4)-센서거치공(10-5)순으로 이동하여 가스센서(300)에서 가스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유출가스 안내공(10-3), 유출가스 탐지공(10-4), 가스켓(100)의 관통공(101)은 항상 열려 있는 상태임으로 잔여 가스 및 가스가 역류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지하기 위하여 제1내입부(10-6)와 제2내입부(11-6)에 밀폐부재(200)가 거치 된다.
100 가스켓. 101 관통공.
200 밀폐부재.
300 가스센서.
10 제1플랜지. 10-1 내측.
10-2 제1가스켓 밀폐홈부.
10-3 유출가스 안내공.
10-4 유출가스 탐지공.
10-5 센서거치공.
10-6 제1내입부.
11 제2플랜지.
11-2 제2가스켓 밀폐홈부.
11-6 제2내입부.

Claims (3)

  1. 내측으로 다수개의 제1가스켓 밀폐홈부가 구비되며, 제1가스켓 밀폐홈부의 하부에는 누출된 가스를 안내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유출 유출가스 안내공이 형성되며,
    유출가스 안내공 말단에는 유출가스 탐지공이 수직으로 형성되며, 유출가스 탐지공 말단은 가스유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가스센서를 구비될 수 있도록 센서거치공이 형성된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의 제1가스켓 밀폐홈부와 대향되게 외측에 제2가스켓 밀폐홈부가 구비되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가스 안내공 하부는 제1내입부가 형성되어 밀폐부재를 거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내입부에 대향되게 제2내입부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고정시에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의 내측과 타측에 가스켓이 거치되며, 가스켓의 관통공은 제1플랜지의 유출가스 안내공과 면접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KR1020210118241A 2021-09-06 2021-09-06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KR20230035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241A KR20230035799A (ko) 2021-09-06 2021-09-06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8241A KR20230035799A (ko) 2021-09-06 2021-09-06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5799A true KR20230035799A (ko) 2023-03-14

Family

ID=8550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8241A KR20230035799A (ko) 2021-09-06 2021-09-06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57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73B1 (ko) * 2023-07-21 2023-10-12 유정호 유압배관 및 호스 컬러 마개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73B1 (ko) * 2023-07-21 2023-10-12 유정호 유압배관 및 호스 컬러 마개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7061B2 (ja) フランジ接合構造
KR101310297B1 (ko)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AU2011306630A1 (en) Tubular joint
KR20230035799A (ko) 가스 누출 유무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플랜지의 구조.
HU221077B1 (hu) Biztonsági elem vezetékhez
US20230313508A1 (en) Compact valve assembly
JP4688117B2 (ja) 爆発性または発火性ガスに対するシール機構
US5941530A (en) Unidirectional environment barrier seal for subsea wellhead equipment and valves
CN106370243B (zh) 孔口装置及将孔板从其内移除或者安装在其内的方法
CN216811913U (zh) 双燃料发动机惰性气体吹扫装置
CN105927767A (zh) 一种新型低阻力倒流防止器
CN212900382U (zh) 一种管道交叉处理结构
CN104729805A (zh) 一种耐酸碱手套泄漏检测装置
EP2267349B1 (en) Pipe connection device
CN111656075A (zh) 法兰组件
CN114109593A (zh) 双燃料发动机惰性气体吹扫装置
CN219736729U (zh) 用于氢冷器回装的气密性检测装置
CN219657082U (zh) 一种pccp管道水压试验装置
CN105370539B (zh) 并联煤气压缩机放散装置
CN220770845U (zh) 流体泄露检测装置及半导体工艺设备
CN220118898U (zh) 一种气流分配箱
CN220366079U (zh) 一种管路法兰防渗装置
CN217059187U (zh) 一种低压阀焊接检测装置
CN219798425U (zh) 一种用于多管道气泵气流分布检测装置
CN217878233U (zh) 一种半导体设备管件的测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