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2625B1 - 공기 조화기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2625B1
KR102342625B1 KR1020197028706A KR20197028706A KR102342625B1 KR 102342625 B1 KR102342625 B1 KR 102342625B1 KR 1020197028706 A KR1020197028706 A KR 1020197028706A KR 20197028706 A KR20197028706 A KR 20197028706A KR 102342625 B1 KR102342625 B1 KR 102342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ssembly
support plate
elastic member
air conditioner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8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293A (ko
Inventor
즈차이 차이
원쥔 뤄
쿠이팡 쩌우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0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를 개시하며, 하우징(10); 하우징(10)에 연결되고 하우징(10)과 함께 점검구를 갖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하며 바닥벽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점검구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면(21)으로 형성되는 받침판(20); 가이드면(21)을 따라 상기 수용 캐비티(11) 내에 배치되도록 적합하는 팬 어셈블리(40)를 포함하고, 받침판(20)에는 회피 홀(22)과 탄성 부재(30)가 설치되며, 탄성 부재(30)는 적어도 일부가 회피 홀(22) 내부에 설치되고 가이드면(21)으로부터 돌출되어 팬 어셈블리(40)의 위치를 결정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실내기
본 출원은 2019년 7월 8일자로 출원된 "공기 조화기 실내기"란 중국 특허 출 원 제 201921063077.8 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 전반에 걸친 내용을 참조하고 인용하였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에서,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장착되는데 팬 어셈블리의 질량이 크기 때문에 이를 장착하고 꺼내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팬 어셈블리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큰 지지력을 제공하여 팬 어셈블리를 지지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팬 어셈블리가 낙하하여 파손되거나 작업자를 다치게 하기 쉽고 작업이 불편하고 작업자의 노동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어느 정도로 관련 기술에서의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팬 어셈블리가 쉽게 떨어지지 않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과 함께 점검구를 갖는 수용 캐비티가 형성하며 바닥벽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점검구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면으로 형성되는 받침판;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배치되도록 적합하는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회피 홀과 탄성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피 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탄성 부재를 설치하여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제한하며, 탄성 부재의 최소 일부를 회피 홀 내에 설치하여 팬 어셈블리의 낙하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노동 강도를 줄이고, 장착 및 분해가 편리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며, 기계의 몸체를 얇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기술 특징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는 회피 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점검구에서 상기 받침판 내부의 상기 팬 어셈블리를 꺼내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피 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로 기울어지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용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2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받침판의 바닥벽 사이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 제2연결부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연결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4연결부의 내측면은 항상 상기 가이드면과 나란한 위치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피 홀은 상기 받침판에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피 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점검구로부터 멀리한 상기 회피 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점검구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회피 홀의 내벽면과 이격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측면은 상기 회피 홀의 측면과 이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탄성 부재는 상기 받침판의 바닥벽에 설치되고 상기 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점검구에 인접하며, 상기 팬 어셈블리에 스냅 핏이 배치되고, 상기 걸림 부는 상기 팬 어셈블리를 고정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에 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의 바닥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상기 받침판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개방된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받침판에 끼움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면에 복수의 요홈이 설치되고, 상기 요홈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장착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요홈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판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보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중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소자 또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소자를 지칭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를 설명하는데, 여기서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벽걸이형 공기 조화기나 천장형 공기 조화기가 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일반적으로 하우징(10), 받침판(20), 팬 어셈블리 및 탄성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0)은 하우징(10)에 연결되고, 받침판(20) 및 하우징(10)에 의해 점검구를 갖는 수용 캐비티(11)를 형성하되 받침판(20)의 바닥벽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점검구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면(21)으로 형성되며, 팬 어셈블리는 가이드면(21)을 따라 수용 캐비티(11)내에 배치되도록 적합하다.
도 1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어셈블리(40)는 점검구를 구비하는 수용 캐비티(11)내에 배치되므로 점검구를 통해 체크 및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팬 어셈블리가 장착될 필요가 있을 때, 팬 어셈블리(40)는 가이드면(21)을 따라 수용 캐비티(11) 내에 내장되고, 팬 어셈블리가 분해될 필요가 있을 때, 팬 어셈블리(40)는 가이드면(21)을 따라 점검구로부터 제거되며, 가이드면(21)은 설치되어 팬 어셈블리에 대한 지지 및 가이드 기능이 제공될 수 있고, 팬 어셈블리(40)가 분해 조립하기 편하다.
또한, 상기 받침판(10)에는 회피 홀과,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결정하는 탄성 부재가 설치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30)는 팬 어셈블리의 낙하로 인해 파손되거나 작업자를 다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특히, 팬 어셈블리에 대한 장착이나 분해를 수행할 때, 팬 어셈블리의 낙하에 항상 신경 쓸 필요없고 팬 어셈블리에 대한 지지력을 제공할 필요없이 작업자의 노동강도를 감소시키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중, 탄성 부재(30)는 적어도 일부가 회피 홀(22) 내에 설치되고 가이드면(21)으로부터 돌출된다. 여기서, 탄성 부재(30)는 회피 홀 (22)에 전체로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회피 홀(22)에 부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탄성 부재(30)는 가이드면(21)으로부터 돌출되는데 팬 어셈블리(40)가 장착될 때 변형되고 가이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회피 홀 내로 이동함으로써, 회피 홀(22)을 통해 팬 어셈블리(40)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팬 어셈블리(40)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히 형성할 필요가 없어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몸체가 두껍게 할 필요가 없어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두께 방향의 외관이 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탄성 부재(30)를 설치하여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제한하며, 탄성 부재(30)의 최소 일부를 회피 홀(22) 내에 설치하여 팬 어셈블리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의 노동 강도를 줄이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며, 기계의 몸체를 얇게 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0)는 받침판에 설치되는 위치 위치 미리 설정 구조를 포함하며, 위치 위치 미리 설정 구조는 제1상태와 제2상태를 포함하되 제1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용 캐비티(11) 내로 돌출되고 제2상태에서 위치 미리 설정 구조가 제1상태에서의 위치 미리 설정 구조보다 낮으며, 제1상태로 복원되는 경향을 갖도록 구성된다. 즉, 위치 미리 설정 구조는 제1상태에서 팬 어셈블리를 제한하는데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위치 미리 설정 구조는 받침판(20)에 설치되고 제1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수용 캐비티(11) 내로 돌출됨에 따라 팬 어셈블리가 장착된 후, 가이드면(21)을 따라 공기 출구의 방향으로 팬 어셈블리의 이동을 위치 미리 설정 구조를 통해 제한하여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2상태에서는 위치 미리 설정 구조가 제1상태에서의 위치 미리 설정 구조보다 낮고, 즉 제2상태에서의 위치 미리 설정 구조는 간섭 회피 역할을 하여 팬 어셈블리가 점검구에서 장착되거나 분해하는 데 편리할 수 있습니다.
그 중, 위치 미리 설정 구조는 제1상태로 복원되는 경향을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팬 어셈블리를 장착할 때 위치 미리 설정 구조가 제1상태이고, 장착이 완료되면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위치 미리 설정 구조가 제1상태로 자동으로 복원되어 장착 절차를 줄인다.
한편, 제1 상태에서는 위치 미리 설정 구조의 일부가 수용 캐비티(11) 내로 신장되거나 위치 미리 설정 구조의 전체가 수용 캐비티(11) 내로 신장된다. 예로서 제1상태에서 위치 미리 설정 구조의 일부는 받침판(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수용 캐비티(11) 내로 신장되고 다른 부분은 받침판(20)의 바닥벽 내부에 위치하거나 받침판(2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된다.
그 중, 위치 미리 설정 구조는 받침판(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구조가 될 수 있다. 예로서 위치 미리 설정 구조는 제1상태에서 받침판(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수용 캐비티(11) 내로 신장되고, 제2상태에서 받침판(2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수용 캐비티(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축된다.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되고, 예로서 위치 미리 설정 구조는 탄성구조 등일 수도 있다.
선택 가능한 일부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0)는 회피 홀(22)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점검구에서 받침판(20) 내부의 팬 어셈블리를 꺼내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한편으로는 탄성 부재(30)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경향을 갖기 때문에 팬 어셈블리는 장착되면 자동으로 위치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탄성 부재(30)는 팬 어셈블리를 점검구에서 꺼내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제2상태에 있을 때, 팬 어셈블리에 대한 가이드 및 지지를 제공할 수 있어 받침판(2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구체적으로, 팬 어셈블리가 점검구에서 수용 캐비티(11)에 장착될 때, 탄성 부재(30)는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되어 팬 어셈블리의 장착가 편리하게 되며; 팬 어셈블리가 가이드면(21)을 따라 수용 캐비티(11)에 장착되고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 탄성 부재(30)는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복원되고, 이 경우, 탄성 부재(30)는 팬 어셈블리가 가이드면(21)을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위치를 제한한다. 팬 어셈블리가 점검구에서 꺼낼 때, 탄성 부재(30)는 제1상태에서 제2상태로 전환되어 팬 어셈블리가 수용 캐비티(11) 내부에서 꺼내는 데 편리하며 팬 어셈블리가 꺼낸 후, 탄성 부재(30)는 제2상태에서 제1상태로 복원된다. 위치 미리 설정 구조는 탄성 부재(30)로 설치되고, 탄성 부재(30)의 구조는 받침판(20)과 일체형이 될 수 있으며, 구조와 공정이 단순하고 원가가 낮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0)는 제1연결부(31)와 제2연결부(32)를 포함하고, 제1연결부(31)는 회피 홀(22)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수용 캐비티(11) 내부로 기울어지며, 제2연결부(32)는 제1연결부(31)와 연결되고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수용 캐비티(1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제1연결부(31)가 수용 캐비티(11) 내부로 기울어지되 받침판(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용 캐비티(11) 내부로 연장됨에 따라 팬 어셈블리가 수용 캐비티(11)에 장착될 때, 팬 어셈블리는 수용 캐비티(11) 내부에 장착되도록 제1연결부(31)를 제2상태로 가압하며, 팬 어셈블리가 미리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제1연결부(31)가 초기 상태로 복원되는 데 제1연결부(31)가 받침판(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면서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으며; 팬 어셈블리가 점검구에서 꺼낼 때, 제1연결부(31)는 팬 어셈블리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팬 어셈블리가 제1연결부(31)를 제2상태로 가압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제2연결부(32)는 수용 캐비티(11)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팬 어셈블리가 장착될 때, 제2연결부(32)는 팬 어셈블리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팬 어셈블리가 제1연결부(31)를 제2상태로 가압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30)는 제1연결부(31)와 받침판(20)의 바닥벽 사이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33), 제2연결부(32)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제4연결부(34)를 포함하고, 그 중, 제3연결부(33)의 내측면과 제4연결부(34)의 내측면은 항상 가이드면(21)과 나란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제4연결부(34)와 제3연결부(33)는 모두 팬 어셈블리의 장착 및 꺼내는데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몰론,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고, 예로서, 제1상태에서 제4연결부(34)와 제3연결부(33)는 모두 가이드면(21)보다 낮고, 본 명세서의 고 및 저는 받침판(20)의 두께 방향에 대한 비교로, 예로서, 받침판(20)의 내표면은 받침판(20)의 외표면보다 높다. 또한, 제1상태에서 제4연결부(34)와 제3연결부(33) 중 하나는 가이드면(21)에 평행하고 다른 하나는 가이드면(21)보다 낮다.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피 홀(22)은 받침판(20)에 설치되고, 탄성 부재(30)는 회피 홀(22) 내부에 설치되며, 탄성 부재(30)의 일단은 점검구로부터 멀리한 회피 홀(22)의 일측에 연결되고 탄성 부재(30)의 타단은 점검구를 향해 연장되며 회피 홀(22)의 내벽면과 이격되고, 탄성 부재(30)의 측면은 회피 홀(22)의 측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회피 홀(22)은 간섭 회피의 역할을 하며, 탄성 부재(30)의 제1상태와 제2상태에서 전환되기 편리하다. 또한, 회피 홀(22)을 설치하여 재료 사용을 줄이고 원가를 낮출 수도 있다.
몰론, 상기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고, 예로서, 회피 홀은 받침판(20)에 설치되고, 탄성 부재(30)는 회피 홀(22) 내부에 설치되며, 탄성 부재(30)의 일단은 점검구로부터 멀리한 회피 홀의 일측에 연결되고 탄성 부재(30)의 타단은 점검구를 향해 연장되며 받침판(20)의 회피 홀(22)보다 높다. 따라서, 간섭 회피의 역할을 하며 받침판(20)의 구조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받침판(20)의 바닥벽에 설치되고 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따라서, 복수의 탄성 부재(30)를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탄성 부재(30)가 함께 작용하여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팬 어셈블리의 위치가 안정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제1상태에서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한, 동일하거나 반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로서, 받침판(20)의 바닥벽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3개의 탄성 부재(30)가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데, 그 중의 2개의 탄성 부재(30)는 팬 어셈블리가 꺼내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 다른 하나의 탄성 부재(30)는 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몰론,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 되고, 예로서, 복수의 탄성 부재(30)는 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부(80)를 더 포함하고, 걸림 부(80)는 하우징(10)에 연결되고 점검구에 인접하며, 팬 어셈블리에 스냅 핏(41)이 배치되고, 걸림 부(80)는 팬 어셈블리를 고정하도록 팬 어셈블리에 결합한다. 걸림 부(80)와 스냅 핏(41)이 설치됨으로써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팬 어셈블리의 장착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그 중, 팬 어셈블리가 수용 캐비티(11)에 장착된 후, 미리 위치 설정 구조가 팬 어셈블리에 대해 미리 위치 설정의 역할을 하며, 걸림 부(80)와 스냅 핏(41)에 맞도록 하여 팬 어셈블리가 수용 캐비티(11)에 안정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걸림 부(80)의 일단이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걸림 부(80)가 회전하여 스냅 핏(41)에 맞도록 이탈하여 팬 어셈블리에 대한 위치 결정 및 분해가 용이해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0)의 바닥벽의 적어도 일부는 수용 캐비티(11)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바닥벽의 외표면은 오목하게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바닥벽의 내표면은 팬 어셈블리가 배치되기 위한 가이드면(21)을 형성하며, 수용 공간은 배수관(70)이나 연결관(60) 등을 장착할 수 있어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공간 활용도를 높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지지부재(50)를 포함하고, 지지부재(50)는 받침판(20)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수용 공간의 개방된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받침판(20)에 끼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지지부재(50)는 받침판(20)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를 장착할 때 지지부재(50)는 회전가능하게 오픈되며, 지지부재 (50)의 일단은 벽에 맞닿고, 지지부재 (50)의 타단은 받침판(20)을 지지함으로써, 몸체가 벽면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지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배수관(70)을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지지부재(50)가 끼움 연결될 때, 지지부재(50)는 배수관(70)을 커버하여 배수관(70)의 위치설정 효과가 구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면(21)에 복수의 요홈(23)이 설치되고, 요홈(23)은 팬 어셈블리의 장착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요홈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복수의 침강 탱크(23)를 설치함으로써, 받침판(20)의 구조강도가 증가하게 되고 받침판(20)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0)와 받침판(20)의 끼움 연결 부위는 점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팬 어셈블리가 인출될 때 지지부재(50)에 의해 팬 어셈블리를 걸리는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용어 "두께", "상", "하"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방위 또는 위치 관계에 기초하고, 본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면서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며, 상기 수단 또는 소자가 특정 방위을 가져야만 하거나 특정 방위에서 설치하여 작업한다는 것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용어 "제1", "제2"는 단지 목적을 설명히기 위해 사용되며,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 또는 암시하거나 지시된 기술적 특징을 암시하기 위한 수량으로 이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제2"로 한정되는 특징들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특징을 명시하거나 은밀하게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는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적어도 2개, 즉 2개, 3개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용어 "장착", "접합", "연결", "고정" 등 용어들은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예로서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고정 연결일 수도 있고, 탈착 가능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 연결될 수도 있고 중간 매개체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2개의 소자 내부의 연결 또는 2개의 소자의 상호 작용 관계일 수 있다. 본 분야의 일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상기 용어의 본 공개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본 방명에서의 상기 용어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위에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안된다. 당업자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한 변형, 수정, 교체 및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 실내기 100,
하우징 10, 수용 캐비티 11,
받침판 20, 가이드면 21, 회피 홀 22, 침강 탱크 23,
탄성 부재 30, 제1 연결부재 31, 제2연결부재 32, 제3 연결부재 33, 제4연결부재 34
팬 어셈블리 40, 스냅 핏 41,
지지부재 50, 연결관 60, 배수관 70, 걸림 부 80

Claims (9)

  1. 공기 조화기 실내기로서,
    하우징, 받침판 및 팬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판은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받침판은 상기 하우징과 함께 점검구를 갖는 수용 캐비티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의 바닥벽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점검구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팬 어셈블리를 지지하고 가이드하며,
    상기 팬 어셈블리는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상기 수용 캐비티 내에 제거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받침판에는 회피 홀과 탄성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피 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팬 어셈블리의 위치를 결정하여 상기 팬 어셈블리가 장착되면 상기 팬 어셈블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피 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점검구에서 상기 받침판 내부의 상기 팬 어셈블리를 꺼내는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피 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로 기울어지는 제1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수용 캐비티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받침판의 바닥벽 사이에 연결되는 제3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의 자유단에 연결되는 제4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연결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4연결부의 내측면은 항상 상기 가이드면과 나란한 위치에 있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일단은 상기 점검구로부터 멀리한 상기 회피 홀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은 상기 점검구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회피 홀의 내벽면과 이격되고, 상기 탄성 부재의 측면은 상기 회피 홀의 측면과 이격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받침판의 바닥벽에 설치되고 상기 팬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4. 제1항에 있어서,
    걸림 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는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고 상기 점검구에 인접하며, 상기 팬 어셈블리에 스냅 핏이 배치되고, 상기 걸림 부는 상기 팬 어셈블리를 고정하도록 상기 팬 어셈블리에 결합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바닥벽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 캐비티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상기 받침판에 피봇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용 공간의 개방된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받침판에 끼움 연결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에 복수의 오목홈이 설치되고, 상기 오목홈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장착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오목홈은 상기 팬 어셈블리의 장착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7028706A 2019-07-08 2019-08-30 공기 조화기 실내기 KR102342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21063077.8U CN210463231U (zh) 2019-07-08 2019-07-08 空调器室内机
CN201921063077.8 2019-07-08
PCT/CN2019/103734 WO2021003827A1 (zh) 2019-07-08 2019-08-30 空调器室内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93A KR20210008293A (ko) 2021-01-21
KR102342625B1 true KR102342625B1 (ko) 2021-12-22

Family

ID=7044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706A KR102342625B1 (ko) 2019-07-08 2019-08-30 공기 조화기 실내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80345B2 (ko)
EP (1) EP3783270A1 (ko)
JP (1) JP7159194B2 (ko)
KR (1) KR102342625B1 (ko)
CN (1) CN210463231U (ko)
WO (1) WO202100382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755349U (zh) * 2017-03-31 2017-12-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0576Y2 (ja) 1979-11-30 1984-06-15 株式会社東芝 空気調和機
KR950014765A (ko) 1993-11-26 1995-06-16 이헌조 에어콘의 배관고정장치
JP3664795B2 (ja) 1996-01-31 2005-06-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壁掛け形空気調和機
JP3122715B2 (ja) 1996-11-13 2001-01-09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H10172641A (ja) * 1996-12-12 1998-06-26 Yazaki Corp 合体コネクタ
JP2000171092A (ja) 1998-12-01 2000-06-23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KR20010018489A (ko) 1999-08-19 2001-03-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프론트그릴 체결장치
JP2005133998A (ja) 2003-10-29 2005-05-26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空気調和機
KR100903140B1 (ko) 2004-10-25 2009-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2007141730A (ja) * 2005-11-21 2007-06-07 Alps Electric Co Ltd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JP5359771B2 (ja) 2009-09-25 2013-12-04 三洋電機株式会社 分離型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の据付装置
JP6272121B2 (ja) 2014-04-21 2018-01-3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U2015389069B2 (en) 2015-03-31 2018-07-26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CN204629963U (zh) 2015-03-31 2015-09-09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的外壳及具有它的空调器室内机
CA2953840C (en) * 2015-03-31 2018-10-30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US10222079B2 (en) 2015-06-10 2019-03-05 British Gas Trading Limited Battery-powered control device
JP6633457B2 (ja) * 2016-05-31 2020-01-22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06123292B (zh) * 2016-08-23 2022-03-0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用于空调器室内机的底座结构
CN106705239B (zh) 2017-01-18 2020-02-1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室内机及壁挂式空调器
WO2018135022A1 (ja) 2017-01-20 2018-07-26 シャープ株式会社 据付板
JP6524127B2 (ja) * 2017-02-22 2019-06-05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6871245A (zh) 2017-03-31 2017-06-2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107062397A (zh) 2017-03-31 2017-08-1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06817625U (zh) * 2017-06-06 2017-12-29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07036173A (zh) * 2017-06-06 2017-08-11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755349U (zh) * 2017-03-31 2017-12-15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6143A1 (en) 2021-11-18
EP3783270A4 (en) 2021-02-24
JP2021533319A (ja) 2021-12-02
KR20210008293A (ko) 2021-01-21
WO2021003827A1 (zh) 2021-01-14
US11480345B2 (en) 2022-10-25
CN210463231U (zh) 2020-05-05
JP7159194B2 (ja) 2022-10-24
EP3783270A1 (en) 202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9584B1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US9903600B2 (en) Wind direction adjusting device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10113550B2 (en)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CN105278649A (zh) 风扇单元及其安装方法、拆卸方法
JP6433011B2 (ja) 燃料供給装置
KR102342625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JP6260865B2 (ja) 燃料供給装置
JP5216427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CN210123187U (zh) 空调器的电控盒及具有其的空调器
CN209484797U (zh) 一种电控盒组件及其空调器
CN210688661U (zh) 一种空调器的导风板组件和具有其的空调器
JP5148240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7248029A (ja) 給気換気装置
CN111850977A (zh) 壁挂衣物处理装置
JP5470419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9222384A (ja) 給排気口
CN111850992B (zh) 壁挂式衣物处理装置
JP4775334B2 (ja) ファンシステム
CN213775838U (zh) 一种风机固定装置及应用有该风机固定装置的吸油烟机
US11614257B2 (en) Housing assembly for air handling apparatus and air handling apparatus
CN204205358U (zh) 电气柜
CN217274776U (zh) 防鼠挡板和具有其的空调器
CN210772504U (zh) 用于空调的外置排水泵组件
CN210128402U (zh) 浴霸及其安装结构
CN209801725U (zh) 一种空调器的过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