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698B1 - 휴대기 및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기 및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39698B1 KR102339698B1 KR1020207010778A KR20207010778A KR102339698B1 KR 102339698 B1 KR102339698 B1 KR 102339698B1 KR 1020207010778 A KR1020207010778 A KR 1020207010778A KR 20207010778 A KR20207010778 A KR 20207010778A KR 102339698 B1 KR102339698 B1 KR 1023396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vehicle
- acceleration sensor
- portable device
- failure det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vehicle dynamic parameters, e.g. speed or accel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40—Features of the power supply for the anti-theft system, e.g. anti-theft batteries, back-up power supply or means to save battery power
- B60R25/406—Power supply in the remote ke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21/00—Testing or calibrating of apparatus or devic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08—Diagnosing performance data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12/64—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using geofenced are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3—Near field communication [NF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4—Acceleration senso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891—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with indication of predetermined acceleration valu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1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in two or more dimens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8—Gesture-dependent or behaviour-depend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휴대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인증 대상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증을 행하는 인증 시스템(1)에서 사용되고, 가속도 센서(34, 34c, 34d)와,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안테나(24a 내지 24d, 25, 26)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32, 32a)와, 가속도 센서에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통신부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수신 정지부(355, 355a, 355b)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기는,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부(356, 356a, 356b, 356c, 356d)와, 고장 검지부에서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는, 수신 정지부에서의 통신부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전환부(357)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10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7-202735호에 기초하는 것이고,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참조에 의해 원용한다.
본 개시는 휴대기, 및 이 휴대기를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무선 통신을 사용한 코드 대조의 결과에 따라서 차량 탑재 기기의 동작 제어를 행하는 시스템에 사용되는 휴대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휴대기는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편, 휴대기에 구비되는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하는 진동의 패턴을 바탕으로, 보행하는 유저에 휴대된 상태 및 그 후의 일정 기간만, 수신 동작을 재개시킨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휴대기에서는, 이에 의해, 유저가 차량에 가까워졌을 경우 및 유저의 승차 후의 일정 기간에 한하여 수신 동작을 행하게 하여, 전력 절약화를 시도하였다.
발명의 개요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휴대기에 구비되는 가속도 센서가 고장난 경우에는, 진동을 검출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유저가 휴대기를 갖고 다니며 차량에 가까워졌을 경우에도 불필요하게 수신 동작을 계속 정지시키게 된다. 이 경우, 무선 통신을 사용한 코드 대조를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본 개시는, 휴대기의 전력 절약화를, 가속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하면서, 이 가속도 센서가 고장난 경우에, 전력 절약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불필요하게 계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기 및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의한 휴대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인증 대상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증을 행하는 인증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가속도 센서와,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안테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가속도 센서에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통신부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수신 정지부를 구비하는 휴대기이며,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부와, 고장 검지부에서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는, 수신 정지부에서의 통신부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전환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형태에 의한 인증 시스템은,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기기와, 유저에 휴대되는 휴대기를 포함하고,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기기는,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안테나와 휴대기 사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인증 대상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증을 행하는 인증 시스템이며, 휴대기는, 가속도 센서와, 안테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와, 가속도 센서에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통신부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수신 정지부와,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부와, 고장 검지부에서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는, 수신 정지부에서의 통신부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전환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수신 정지부에 의해, 가속도 센서에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코드 대조에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므로, 수신 동작을 상시 계속하는 경우에 비해, 휴대기의 전력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부에서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는, 수신 정지부에서의 통신부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전환부를 구비하므로, 이 가속도 센서가 고장난 경우에, 전력 절약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수신 동작의 정지를 불필요하게 계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휴대기의 전력 절약화를, 가속도 센서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하면서, 이 가속도 센서가 고장난 경우에, 전력 절약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불필요하게 계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차량측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대조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휴대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가속도 센서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축차 검출되는 가속도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휴대기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9는, 대조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송신 처리부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1은, 휴대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의 휴대기의 거리와 RSSI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휴대기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5는, 대조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송신 처리부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7은,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은, 휴대기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9는, 휴대기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20은, 가속도 센서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은,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2는, 가속도 센서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3은,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차량측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대조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휴대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가속도 센서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가속도 검출부에 의해 축차 검출되는 가속도의 파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휴대기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9는, 대조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송신 처리부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1은, 휴대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은,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의 휴대기의 거리와 RSSI의 관계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는, 휴대기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5는, 대조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송신 처리부에서 송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17은,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8은, 휴대기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9는, 휴대기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20은, 가속도 센서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1은,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2는, 가속도 센서 유닛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3은, 휴대기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복수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실시 형태간에 있어서, 거기까지의 설명에 사용한 도면에 나타낸 부분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의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부분에 대하여는,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인증 시스템(1)의 개략 구성>
이하,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 시스템(1)은, 차량(Ve)에서 사용되는 차량측 유닛(2)과, 유저에 휴대되는 휴대기(3)를 포함한다. 인증 시스템(1)에서는, 차량측 유닛(2)과 휴대기(3) 사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코드 대조를 행하고, 코드 대조가 성립한 경우에, 차량 도어의 시해정 및/또는 주행 구동원의 시동 허가를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차량측 유닛(2)의 개략 구성>
먼저, 도 2를 사용하여, 차량측 유닛(2)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2는, 차량측 유닛(2)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측 유닛(2)은 대조 ECU(21), LF 송신부(22), UHF 수신부(23),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실내 안테나(25), 트렁크 외 안테나(26), 보디 ECU(27) 및 파워 유닛 ECU(28)를 구비하고 있다.
LF 송신부(22)는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실내 안테나(25), 트렁크 외 안테나(26)와 같은 LF 안테나를 통해, 휴대기(3)에 LF대의 전파로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한다. LF대란, 예를 들어 30kHz 내지 300kHz의 주파수대이다. LF 안테나로부터 LF대의 전파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통신 범위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해당한다. 리퀘스트 신호는, 코드 대조를 위한 휴대기(3)로부터의 식별 코드의 송신을 요구하는 신호이다.
도어 안테나(24a)는 운전석의 차량 도어 부근에 마련되고, 도어 안테나(24b)는 조수석측의 차량 도어 부근에 마련되고, 도어 안테나(24c)는 뒷좌석 우측의 차량 도어 부근에 마련되고, 도어 안테나(24d)는 뒷좌석 좌측의 차량 도어 부근에 마련된다. 또한, 실내 안테나(25)는 차실 내에 마련되고, 트렁크 외 안테나(26)는 차량 도어 중 트렁크룸 도어 부근에 마련된다.
도어 안테나(24a)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운전석의 차량 도어 부근에 한정되어 있으며, 도어 안테나(24b)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조수석측의 차량 도어 부근에 한정되어 있으며, 도어 안테나(24c)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뒷좌석 우측의 차량 도어 부근에 한정되어 있으며, 도어 안테나(24d)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뒷좌석 좌측의 차량 도어 부근에 한정되어 있다. 또한, 실내 안테나(25)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차실 내에 한정되어 있으며, 트렁크 외 안테나(26)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트렁크룸 도어 부근에 한정되어 있다.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트렁크 외 안테나(26)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는, 차량(Ve)의 차실 외로 넓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실내 안테나(25) 및 트렁크 외 안테나(26)가 안테나에 상당한다.
UHF 수신부(23)는 UHF 안테나를 갖고 있으며, UHF대의 전파로 휴대기(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응답 신호를 UHF 안테나에서 수신한다. UHF대란, 예를 들어 300MHz 내지 3GHz의 주파수대이다. 또한, 응답 신호란, 전술한 리퀘스트 신호에 대하여 휴대기(3)로부터 회신되는,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이다.
보디 ECU(27)는, 각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각 차량 도어에 마련된 도어록 모터로 출력함으로써, 각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행한다. 또한, 보디 ECU(27)에는, 각 차량 도어의 아우터 도어 핸들에 마련된 터치 센서가 접속되어 있고, 각 차량 도어의 아우터 도어 핸들이 유저에 접촉된 것을 검출한다. 그 밖에도, 보디 ECU(27)에는, 각 차량 도어에 관한 커티시 스위치가 접속되어, 각 차량 도어의 개폐를 검출하거나, 착석 센서가 접속되어, 좌석에의 탑승원의 착석 유무를 검출하거나 한다.
파워 유닛 ECU(28)는 차량(Ve)의 내연 기관 또는 모터 제너레이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 장치이며, 대조 ECU(21)로부터 주행 구동원의 시동 허가 신호를 취득하면, 차량(Ve)의 내연 기관 또는 모터 제너레이터를 시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대조 ECU(21)는 프로세서, 메모리, I/O, 이들을 접속하는 버스를 구비하고,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차량(Ve)에서의 인증에 관한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비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비전이적 실체적 기억 매체(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이다. 또한, 비전이적 실체적 기억 매체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실현된다.
<대조 ECU(21)의 상세 구성>
계속해서, 도 3을 사용하여, 대조 ECU(21)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조 ECU(21)는 송신 처리부(211), 수신 처리부(212), 등록부(213), 대조부(214), 차실 내외 판정부(215), 시해정 허가부(216) 및 시동 허가부(217)를 기능 블록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이 대조 ECU(21)가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기기에 상당한다. 또한, 대조 ECU(21)가 실행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1개 혹은 복수의 IC 등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대조 ECU(21)가 구비하는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프로세서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실행과 하드웨어 부재의 조합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송신 처리부(211)는, LF 송신부(22)를 통해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실내 안테나(25), 트렁크 외 안테나(26)로부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인 차량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킨다. 차량 식별 코드는 차량에 탑재된 대조 ECU(21)의 기기 ID여도 되고, 차량의 차량 ID여도 된다. 차량 식별 코드는, 대조 ECU(21)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해둔 것을 읽어내어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수신 처리부(212)는, 리퀘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UHF대의 전파로 휴대기(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응답 신호를, UHF 수신부(23)를 통해 수신한다.
등록부(213)는,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휴대기(3)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인 휴대기 식별 코드 중, 정규 유저의 휴대기(3)의 휴대기 식별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대조부(214)는, 수신 처리부(212)에서 수신한 응답 신호의 송신원의 휴대기(3)가 정규 유저의 휴대기(3)인지 코드 대조를 행한다. 코드 대조는, 휴대기(3)로부터 수신한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휴대기 식별 코드와, 등록부(213)에 등록되어 있는 휴대기 식별 코드 사이에서 행한다.
차실 내외 판정부(215)는, 휴대기(3)가 차실 내외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한다. 일례로서는, 실내 안테나(25)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킨 경우에 휴대기(3)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점에서, 휴대기(3)가 차실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한다. 한편,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트렁크 외 안테나(26) 중 어느 것으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킨 경우에 휴대기(3)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였지만, 실내 안테나(25)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킨 경우에 휴대기(3)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기 때문에, 휴대기(3)가 차실 외에 위치한다고 판정한다.
시해정 허가부(216)는, 차실 내외 판정부(215)에서 휴대기(3)가 차실 외에 위치한다고 판정하고, 또한 대조부(214)에서 코드 대조가 성립한 경우, 즉 차외 대조가 성립한 경우에, 각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허가하는 신호를 보디 ECU(27)에 보낸다. 예를 들어, 송신 처리부(211)가, 차량(Ve)의 시정 후에 정기적으로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된다. 먼저, 각 차량 도어의 시해정이 허가된 경우, 보디 ECU(27)는, 각 차량 도어의 아우터 도어 핸들에 마련된 터치 센서로의 통전을 개시시켜, 유저에 의한 도어 핸들 조작을 검출 가능한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저가 이 터치 센서에 접촉한 것을 보디 ECU(27)에서 검출한 경우에, 보디 ECU(27)가 구동 신호를 도어록 모터로 출력하여, 각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행한다. 또한, 송신 처리부(211)가, 아우터 도어 핸들에 마련된 터치 센서에 유저가 접촉한 것을 검출한 것을 트리거로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을 경우에는, 각 차량 도어의 시해정이 허가된 경우에, 보디 ECU(27)가 구동 신호를 도어록 모터로 출력하여, 각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시동 허가부(217)는, 차실 내외 판정부(215)에서 휴대기(3)가 차실 내에 위치한다고 판정하고, 또한 대조부(214)에서 코드 대조가 성립한 경우, 즉 차내 대조가 성립한 경우에, 주행 구동원의 시동 허가 신호를 파워 유닛 ECU(28)에 보낸다. 시동 허가 신호를 취득한 파워 유닛 ECU(2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Ve)의 내연 기관 또는 모터 제너레이터를 시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휴대기(3)의 개략 구성>
이어서, 도 4를 사용하여 휴대기(3)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3)는 전지(31), LF 수신부(32), UHF 송신부(33), 가속도 센서 유닛(34) 및 휴대기 제어부(35)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3)는 예를 들어 차량(Ve)의 전자키로 하면 된다.
전지(31)는 휴대기(3)의 작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이다. 전지(31)는 예를 들어 리튬 전지 등의 일차 전지로 하면 된다. LF 수신부(32)는 LF 안테나를 통해, LF대의 전파로 차량측 유닛(2)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퀘스트 신호를 수신한다. 이 LF 수신부(32)가 통신부에 상당한다. UHF 송신부(33)는 휴대기 제어부(35)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UHF대의 전파에 얹어서 UHF 안테나로부터 송출시킨다. 가속도 센서 유닛(34)는 휴대기(3)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가속도를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휴대기 제어부(35)로 출력한다.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휴대기 제어부(35)는 프로세서,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IC, 마이크로컴퓨터 등이며,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비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비전이적 실체적 기억 매체(non-transitory tangible storage medium)이다. 또한, 비전이적 실체적 기억 매체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자기 디스크 등에 의해 실현된다. 휴대기 제어부(35)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개략 구성>
여기서, 도 5를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유닛(34)은 통신 인터페이스(이하, 통신 I/F)(341), 가속도 검출부(342), 센서 제어부(343) 및 기억부(344)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가속도 센서에 상당한다.
통신 I/F(341)는 가속도 센서 유닛(34)과 휴대기 제어부(35)를 접속한다. 가속도 검출부(342)는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의 3개의 검출축을 구비하고, 각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속도를 계측하는 3축 가속도 센서인 것으로 한다. 또한, 가속도 검출부(342)는, 전극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가속도를 검출하는,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 정전 용량형의 MEMS 가속도 센서인 것으로 한다.
센서 제어부(343)는, 가속도 검출부(342)에 의해 축차 검출되는 가속도를 기억부(344)에 축차 기억한다. 기억부(344)는, 예를 들어 RAM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하면 된다. 센서 제어부(343)는, 3개의 검출축마다의 가속도를 기억부(344)에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센서 제어부(343)는, 가속도 검출부(342)에 의해 축차 검출되는 가속도의 샘플링간의 차분 ΔG(도 6 참조)가,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역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진동을 검지한 것으로 하여, 기억부(344)에 진동 검지 이력을 기억하거나, 진동을 검지한 것을 나타내는 진동 검지 신호를 휴대기 제어부(35)로 출력하거나 한다. 도 6은 가속도 검출부(342)에 의해 축차 검출되는 가속도의 파형을 나타내는 것이며, 검정색 동그라미가 검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소정의 역치란, 휴대기(3)를 휴대하는 유저의 몸 동작에 의한 진동으로 추정되는 가속도를 구별하기 위한 역치이며,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이다. 예를 들어, 센서 제어부(343)는, 3개의 검출축 중 하나의 검출축의 가속도라도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경우에는 진동 검지 이력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가속도의 차분 ΔG는 가속도의 변화량의 일례이다.
<휴대기 제어부(35)의 개략 구성>
여기서, 도 7을 사용하여 휴대기 제어부(35)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 제어부(35)는 등록부(351), 대조부(352), 응답 처리부(353), 정보 취득부(354), 수신 정지부(355), 고장 검지부(356) 및 동작 전환부(357)를 기능 블록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휴대기 제어부(35)가 실행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1개 혹은 복수의 IC 등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휴대기 제어부(35)가 구비하는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프로세서에 의한 소프트웨어의 실행과 하드웨어 부재의 조합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등록부(351)는,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차량(Ve)의 차량 식별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대조부(352)는, LF 수신부(32)에서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차량 식별 코드와, 등록부(351)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 식별 코드를 대조한다. 응답 처리부(353)는, 대조부(352)에서 대조가 성립한 경우에는, 자기기의 휴대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UHF 송신부(33)로부터 회신시키는 한편, 코드 대조가 성립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응답 신호를 UHF 송신부(33)로부터 회신시키지 않는다. 자기기의 휴대기 식별 코드는, 불휘발성 메모리에 미리 기억해둔 것을 읽어내어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정보 취득부(354)는 가속도 센서 유닛(34)으로부터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유닛(34)으로부터 전술한 진동 검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이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한다. 그 밖에도,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기억부(344)에 기억되어 있는 진동 검지 이력을 취득하거나, 3개의 검출축마다의 가속도(이하, 3축의 가속도)를 취득하거나 한다.
수신 정지부(355)는, 가속도 검출부(342)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LF 수신부(32)에서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킨다. 일례로서는, 수신 정지부(355)는, 정보 취득부(354)에서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고 있는 기간, 및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지 않게 된 후의 일정 기간을 제외하고, LF 수신부(32)에서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수신 정지부(355)는, 정보 취득부(354)에서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고 있는 기간, 및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지 않게 된 후의 일정 기간은, LF 수신부(32)에서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는다. 이에 의해, 유저가 차량에 가까워졌을 경우 및 유저의 승차 후의 일정 기간에 한하여 수신 동작을 행하게 하여, 휴대기(3)의 전력 절약화를 가능하게 한다.
일정 기간이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이며, 예를 들어 10분 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정보 취득부(354)에서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고 있는 것은,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전술한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치환할 수도 있다. 또한, 수신 정지부(355)는 수신 동작의 정지를, 예를 들어 LF 수신부(32)에의 전지(31)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고장 검지부(356)는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를 행한다. 고장 검지부(356)는,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전술한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된 경우이며, 또한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하는 3축의 가속도의 합성 벡터가 중력 가속도 1G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되는 경우, 휴대기(3)가 정지되어 있거나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상태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휴대기(3)가 정지되어 있는 것이면, 3축의 가속도의 합성 벡터가 중력 가속도 1G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 범위 내로 수렴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3축의 가속도의 합성 벡터가 중력 가속도 1G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 범위를 초과함으로써,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을 검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는, 고장 검지부(356)는, 정보 취득부(354)에서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지 않은 기간이 예를 들어 10분이라는 일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정보 취득부(354)를 통해, 기억부(344)에 기억되어 있는 3축의 가속도를 읽어낸다. 그리고, 읽어낸 3축의 가속도의 합성 벡터의 크기가, 중력 가속도 1G를 중심으로 하는 예를 들어 0.5G 내지 1.5G와 같은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면 된다. 일정 시간이란, 휴대기(3)가 정지되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는 시간으로 하면 된다. 또한, 소정 범위란, 정지 시에 3축의 가속도의 합성 벡터의 크기가 취할 수 있는 범위로 하면 된다.
동작 전환부(357)는, 고장 검지부(356)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는, 수신 정지부(355)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한다. 바꾸어 말하면, 수신 정지부(355)에 있어서, 가속도 검출부(342)에서의 검출 결과에 관계없이,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한다. 즉,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을 계속시킨다.
<휴대기(3)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
계속해서, 휴대기(3)에서의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에 관련하는 처리(이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도 8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8의 흐름도는, 휴대기(3)의 휴대기 제어부(35)에 전지(31)로부터 전력 공급을 개시되었을 때에 개시되고, 전지(31)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행해지지 않게 되었을 때에 종료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먼저, S1에서는, 정보 취득부(354)에서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지 않은 기간이 일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 즉 진동 검지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없을 경우(S1에서 "예")에는, S2로 옮겨간다. 한편, 진동 검지 신호가 일정 시간 내에 있었을 경우(S1에서 "아니오")에는, 고장을 검지하지 않은 것으로서, S1의 처리를 반복한다. 정보 취득부(354)에서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지 않은 기간이 일정 시간에 도달한 경우란,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되는 경우라고 바꾸어 말할 수도 있다.
S2에서는, 고장 검지부(356)가 정보 취득부(354)를 통해, 기억부(344)에 기억되어 있는 3축의 가속도를 읽어낸다. S3에서는, 읽어낸 3축의 가속도의 합성 벡터의 크기가, 중력 가속도 1G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S3에서 "예")에는, S5로 옮겨간다. 한편, 소정 범위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S3에서 "아니오")에는, S4로 옮겨간다.
S4에서는, 고장 검지부(356)가 가속도 검출부(342)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고 S1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고장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동작 전환부(357)는, 수신 정지부(355)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전환은 행하지 않는다. 즉, 수신 정지부(355)는 가속도 검출부(342)에서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
한편, S5에서는, 고장 검지부(356)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S6에서는,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한다. 즉, 수신 정지부(355)는 가속도 검출부(342)에서의 검출 결과에 관계없이,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S6의 처리 후에는, S1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고장 검지부(356)는,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 경우에도,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를 계속한다. 그리고, 고장 검지부(356)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일단은 검지된 경우에도, 고장 검지부(356)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게 된 경우에는, 동작 전환부(357)는 수신 정지부(355)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할 수 있도록 복귀시킨다. 또한, S6의 처리 후에는, 차량측 유닛(2)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트리거로, S1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MS 가속도 센서에서는, 미소한 전극의 일시적인 부착에 의해, 가속도 검출의 문제가 일시적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MEMS 가속도 센서가 가속도 검출의 일시적인 문제로부터 회복하여, 고장이라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할 수 있도록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고장으로부터 회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수신 정지부(355)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게 계속하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수신 정지부(355)에 의해,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가속도 검출부(342)에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유저가 차량에 가까워졌을 경우 및 유저의 승차 후의 일정 기간을 제외하고,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므로, 수신 동작을 상시 계속하는 경우에 비해, 휴대기의 전력 절약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이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부(356)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는, 수신 정지부(355)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전환부(357)를 구비하므로, 이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난 경우에, 전력 절약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수신 동작의 정지를 불필요하게 계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저가 차량에 가까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코드 대조가 행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휴대기(3)의 전력 절약화를, 가속도 센서 유닛(34)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하면서, 이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난 경우에, 전력 절약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불필요하게 계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고장 검지부(356)는, 가속도 검출부(342)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고장의 검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성을 여분으로 구비하는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의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해도 된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1)은, 차량측 유닛(2)에 대조 ECU(21) 대신에 대조 ECU(21a)를 포함하는 점과, 휴대기(3) 대신에 휴대기(3a)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1)과 동일하다.
<대조 ECU(21a)의 개략 구성>
여기서, 도 9를 사용하여, 대조 ECU(21a)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조 ECU(21a)는 송신 처리부(211a), 수신 처리부(212), 등록부(213), 대조부(214), 차실 내외 판정부(215), 시해정 허가부(216) 및 시동 허가부(217)를 기능 블록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대조 ECU(21a)는 송신 처리부(211) 대신에 송신 처리부(211a)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대조 ECU(21)와 동일하다. 이 대조 ECU(21a)가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기기에 상당한다.
송신 처리부(211a)는 송신 처리부(211)와 동일하게, LF 송신부(22)를 통해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실내 안테나(25), 트렁크 외 안테나(26)로부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인 차량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킨다.
또한, 송신 처리부(211a)는,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 후에는,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트렁크 외 안테나(26)로부터, 고장 검지용 커맨드의 신호에 더하여, 수신 신호 강도(이하, RSSI) 측정용 버스트 신호를 축차 송신한다. RSSI 측정용 버스트 신호를 이하에서는 간단히 버스트 신호라고 칭한다. 송신 처리부(211a)는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를, 보디 ECU(27)에서의 좌석에의 탑승원의 착석 유무의 검출 결과, 차량 도어의 개폐 검출 결과로부터 특정하면 된다. 도어 시정에 대하여는, 보디 ECU(27)에서의 도어록 모터로의 구동 신호의 출력으로부터 특정하면 된다.
일례로서, 송신 처리부(211a)는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록 후에,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실내 안테나(25), 트렁크 외 안테나(26)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순차 송신시킨다. 그리고,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혹은 트렁크 외 안테나(26)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도 10의 차실 외 대조 커맨드 참조)를 송신한 타이밍에 따른 타이밍에서 휴대기(3a)로부터 회신되는 응답 신호(도 10의 리스폰스 참조)를 수신 처리부(212)에서 수신하고, 이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휴대기 식별 코드를 사용한 대조부(214)에서의 코드 대조(이하, 차실 외 대조)가 성립한 경우에, 시해정 허가부(216)가 도어 시정을 허가한다. 계속해서, 유저가 아우터 도어 핸들에 마련된 터치 센서에 접촉한 것을 보디 ECU(27)에서 검출한 경우에, 보디 ECU(27)가 도어 시정을 행한다.
또한, 송신 처리부(211a)는, 유저가 아우터 도어 핸들에 마련된 터치 센서에 접촉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실내 안테나(25), 트렁크 외 안테나(26)로부터, 리퀘스트 신호를 순차 송신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대조부(214)에서의 차실 외 대조 성립한 경우에, 보디 ECU(27)가 도어 시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도어 시정 후에는, 송신 처리부(211a)는,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혹은 트렁크 외 안테나(26)와 같은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장 검지용 커맨드로서의 리퀘스트 신호에 더하여, 버스트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시킨다. 또한, 송신 처리부(211a)는, 고장 검지용 커맨드에 대한 응답 신호가 휴대기(3a)로부터 회신되지 않게 될 때까지 고장 검지용 커맨드와 버스트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신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휴대기(3a)의 개략 구성>
이어서, 도 11을 사용하여 휴대기(3a)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기(3a)는 전지(31), LF 수신부(32a), UHF 송신부(33), 가속도 센서 유닛(34) 및 휴대기 제어부(35a)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3a)는 LF 수신부(32) 대신에 LF 수신부(32a)를 구비하는 점과, 휴대기 제어부(35) 대신에 휴대기 제어부(35a)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3)와 동일하다.
LF 수신부(32a)는 신호 강도 특정부(321)를 갖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LF 수신부(32)와 동일하다. 신호 강도 특정부(321)는 RSSI 회로 등을 사용하여, LF 수신부(32a)에서 수신하는 신호의 RSSI(즉, 수신 신호 강도)를 특정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LF 수신부(32)에서도 RSSI를 특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휴대기 제어부(35a)는 일부의 처리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 제어부(35)와 동일하다. 휴대기 제어부(35a)의 상세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휴대기 제어부(35a)의 개략 구성>
여기서, 도 12를 사용하여 휴대기 제어부(35a)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 제어부(35a)는 등록부(351), 대조부(352), 응답 처리부(353), 정보 취득부(354), 수신 정지부(355a), 고장 검지부(356a) 및 동작 전환부(357)를 기능 블록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 제어부(35a)는 수신 정지부(355) 대신에 수신 정지부(355a)를 구비하는 점과, 고장 검지부(356) 대신에 고장 검지부(356a)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 제어부(35)와 동일하다.
수신 정지부(355a)는 가속도 검출부(342)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유예 기간을 거쳐서 LF 수신부(32a)에서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킨다. 이 유예 기간은, 정보 취득부(354)에서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지 않게 된 후의 전술한 일정 기간으로 하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이 변화량의 역치를 초과하지 않게 된 후의 일정 기간으로 하면 된다. 변화량의 역치란, 휴대기(3)를 휴대하는 유저의 몸 동작에 의한 진동에 상당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을 구별하기 위한 역치이며,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이다. 또한, 수신 정지부(355a)는, 가속도 검출부(342)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반드시 유예 기간을 거쳐서 LF 수신부(32a)에서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수신 정지부(355)와 동일하다.
고장 검지부(356a)는 제1 실시 형태의 고장 검지부(356)와는 다른 방법으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를 행한다. 고장 검지부(356a)는 전술한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신호 강도 특정부(321)에서 특정하는,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 후에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축차 송신되는 버스트 신호의 RSSI가 소정값을 하회하였을 때, 도어 시정 후에 이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나서의,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이 변화량의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변화량의 역치란, 예를 들어 유저의 몸 동작에 의한 진동으로 추정되는 가속도를 구별하기 위한 전술한 소정의 역치로 하면 된다.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휴대기(3a)에서의 RSSI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의 휴대기(3a)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강도가 감쇠하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도어 시정 후에 휴대기(3a)가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나서, 이 버스트 신호의 RSSI가 소정값을 하회할 때까지의 사이란, 휴대기(3a)를 휴대하는 유저가 하차 후에 차량(Ve)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된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는 사이에 상당한다. 이러한 휴대기(3a)를 휴대하는 유저가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는, 고장나지 않았다면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전술한 역치 이상의 가속도의 변화량이 검출될 것이다. 고장 검지부(356a)는, 이러한 휴대기(3a)를 휴대하는 유저가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전술한 역치 이상의 가속도의 변화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므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보다 고정밀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례로서는, 고장 검지부(356a)는 전술한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이하의 일련 처리를 행한다. 먼저, 고장 검지부(356a)는 신호 강도 특정부(321)에서 특정하는,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 후에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축차 송신되는 버스트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소정값을 하회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값은, 휴대기(3a)를 휴대하는 유저가 차량(Ve)으로부터 이동하여 이격되었다고 추정할 수 있는 값이면 되고, 임의로 설정 가능한 값이다.
계속해서, 고장 검지부(356a)는, 이 버스트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소정값을 하회하였다고 판정한 경우에, 도어 시정 후에 이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진동 검지 이력을 정보 취득부(354)에 취득시킨다. 그리고, 정보 취득부(354)에서 취득한 진동 검지 이력에 있어서, 진동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지 않은 것으로 한다. 한편, 진동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휴대기(3a)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
계속해서, 휴대기(3a)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도 14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4의 흐름도는,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 후에 개시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일례로서, 휴대기(3a)는, 차실 외 대조의 성립 후에 송신이 개시되는 고장 검지용 커맨드를 수신하기 시작한 것을 바탕으로,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이 행해진 것을 특정하면 된다.
S21에서는, 센서 제어부(343)가 기억부(344)에 기억되어 있는 진동 검지 이력을 소거한다. 이것은,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 후에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나서의 검지 이력으로 좁혀 기억부(344)에 기억하기 위함이다. S22에서는, 고장 검지용 커맨드에 이어지는 버스트 신호를 LF 수신부(32a)에서 수신한 경우(S22에서 "예")에는, S23으로 옮겨간다. 한편, 이 버스트 신호를 LF 수신부(32a)에서 수신하지 않은 경우(S22에서 "아니오")에는, S22의 처리를 반복한다.
S23에서는, 신호 강도 특정부(321)가 S22에서 수신한 버스트 신호의 RSSI를 특정한다. S24에서는, S23에서 특정한 RSSI가 전술한 소정값 이하인 경우(S24에서 "예")에는, S25로 옮겨간다. 한편, 소정값 이하가 아닐 경우(S24에서 "아니오")에는, S22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한다.
S25에서는, 센서 제어부(343)가 기억부(344)에 기억되어 있는 진동 검지 이력을 판독하고, 휴대기 제어부(35a)로 출력하여, 이 진동 검지 이력을 정보 취득부(354)가 취득한다. 그리고, 이 진동 검지 이력을 고장 검지부(356a)가 확인한다. 이 진동 검지 이력은,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 후에 버스트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나서, 버스트 신호의 RSSI가 소정값 이하로 될 때까지의 진동 검지 이력이다.
S26에서는, S25에서 고장 검지부(356a)가 진동 검지 이력을 확인한 결과, 진동의 검지가 없었을 경우(S26에서 "예")에는, S28로 옮겨간다. 한편, 진동의 검지가 있었을 경우(S26에서 "아니오")에는, S27로 옮겨간다.
S27에서는, 고장 검지부(356a)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고 고장 검지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28에서는, 고장 검지부(356a)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그리고, S29에서는,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a)에서의 LF 수신부(32a)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는, 즉 LF 수신부(32a)의 수신 동작을 계속시키도록 하여, 고장 검지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휴대기(3a)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에서는, S29의 처리 후에, 전술한 유예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S22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고장 검지부(356a)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 경우에도,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를 계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고장 검지부(356a)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일단은 검지된 경우에도, 고장 검지부(356a)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a)에서의 LF 수신부(32a)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할 수 있도록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은,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의 양태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이라도, 휴대기(3a)의 전력 절약화를, 가속도 센서 유닛(34)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하면서, 이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난 경우에, 전력 절약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불필요하게 계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에도,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이라도, 고장 검지부(356a)는 가속도 검출부(342)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고장의 검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성을 여분으로 구비하는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3a)를 휴대하는 유저가 확실하게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전술한 역치 이상의 가속도의 변화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므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보다 고정밀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의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해도 된다. 이하,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1)은, 차량측 유닛(2)에 대조 ECU(21) 대신에 대조 ECU(21b)를 포함하는 점과, 휴대기(3) 대신에 휴대기(3b)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1)과 동일하다.
<대조 ECU(21b)의 개략 구성>
여기서, 도 15를 사용하여, 대조 ECU(21b)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조 ECU(21b)는 송신 처리부(211b), 수신 처리부(212), 등록부(213), 대조부(214), 차실 내외 판정부(215), 시해정 허가부(216) 및 시동 허가부(217)를 기능 블록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대조 ECU(21b)는 송신 처리부(211) 대신에 송신 처리부(211b)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대조 ECU(21)와 동일하다. 이 대조 ECU(21b)가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기기에 상당한다.
송신 처리부(211b)는 송신 처리부(211)와 동일하게, LF 송신부(22)를 통해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실내 안테나(25), 트렁크 외 안테나(26)로부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코드인 차량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킨다.
또한, 송신 처리부(211b)는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트렁크 외 안테나(26)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로서의 차실 외 대조 커맨드와, 실내 안테나(25)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로서의 차실 내 대조 커맨드를, 휴대기(3b)측에서 구별 가능한 양태로 송신한다. 일례로서는, 차실 외 대조 커맨드나 차실 내 대조 커맨드인가를 구별하는 정보를 포함시켜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 후에는, 도어 안테나(24a 내지 24d) 및 트렁크 외 안테나(26)를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라 칭하고, 실내 안테나(25)를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라 칭한다.
일례로서, 송신 처리부(211b)는, 제2 실시 형태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 후에,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차실 외 대조 커맨드를 정기적으로 송신시켜, 차실 외 대조가 성립한 경우에, 시해정 허가부(216)가 도어 시정을 허가한다. 그리고, 유저가 아우터 도어 핸들에 마련된 터치 센서에 접촉한 것을 보디 ECU(27)에서 검출한 경우에, 보디 ECU(27)가 도어 시정을 행한다. 또한, 송신 처리부(211b)는, 유저가 아우터 도어 핸들에 마련된 터치 센서에 접촉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차실 외 대조 커맨드를 송신시켜, 차실 외 대조 성립한 경우에, 보디 ECU(27)가 도어 시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송신 처리부(211b)는, 차량(Ve)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 후에, 차량(Ve)의 차실 내에의 휴대기(3b)의 유폐를 검지하기 위해서,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차실 내 대조 커맨드를 송신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차실 내 대조 커맨드에 응답하여 휴대기(3b)로부터 회신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 처리부(212)에서 수신하고, 이 응답 신호에 포함되는 휴대기 식별 코드를 사용한 대조부(214)에서의 코드 대조(이하, 차실 내 대조)가 성립한 경우에, 시해정 허가부(216)가 도어 시정을 허가하지 않고, 도어 시정을 행하게 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또한, 송신 처리부(211b)는, 도어 해정 후에 도어가 개폐되었을 경우에,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차실 내 대조 커맨드를 정기적으로 송신시켜, 차실 내 대조가 성립한 경우에, 시동 허가부(217)가 주행 구동원의 시동 허가 신호를 파워 유닛 ECU(28)에 보내고, 주행 구동원을 시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송신 처리부(211b)는, 도어 해정에 대하여는, 보디 ECU(27)에서의 도어록 모터로의 구동 신호의 출력으로부터 특정하고, 도어의 개폐에 대하여는 커티시 스위치의 신호로부터 특정하면 된다. 또한, 송신 처리부(211b)는, 유저가 주행 구동원을 시동시키기 위한 스타트 스위치를 조작한 것을 트리거로 하여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차실 내 대조 커맨드를 송신시켜, 차실 내 대조가 성립한 경우에, 주행 구동원의 시동 허가 신호를 파워 유닛 ECU(28)에 보내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상으로부터, 제3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1)에서는,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가 이동하여 차량(Ve)에 가까워지고, 차량(Ve)에 승차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차실 외 대조 커맨드가 송신되어,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진다. 여기서, 차실 외 대조가 성립하여 차량(Ve)의 도어가 해정되어, 유저가 차량(Ve)에 올라타고, 차량(Ve)의 주행 구동원을 시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차실 내 대조 커맨드가 송신되어, 차실 내 대조가 행해진다.
또한, 차실 내 대조가 성립하여 차량(Ve)의 주행 구동원이 시동하고, 차량(Ve)의 주행이 끝나서 유저가 하차하는 경우에는,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차실 외 대조 커맨드가 송신되어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지는 것 외에도,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로부터 차실 내 대조 커맨드가 송신되어 차실 내 대조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차량(Ve)에의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의 승차 시에는, 차실 외 대조로부터 차실 내 대조로의 천이가 있고, 차량(Ve)으로부터의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의 하차 시에는, 차실 내 대조로부터 차실 외 대조로의 천이가 있다.
<휴대기(3b)의 개략 구성>
이어서, 휴대기(3b)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휴대기(3b)는 전지(31), LF 수신부(32), UHF 송신부(33), 가속도 센서 유닛(34) 및 휴대기 제어부(35b)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3b)는 휴대기 제어부(35) 대신에 휴대기 제어부(35b)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3)와 동일하다. 휴대기 제어부(35b)는 일부의 처리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 제어부(35)와 동일하다. 휴대기 제어부(35b)의 상세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휴대기 제어부(35b)의 개략 구성>
여기서, 도 17을 사용하여 휴대기 제어부(35b)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 제어부(35b)는 등록부(351), 대조부(352), 응답 처리부(353), 정보 취득부(354), 수신 정지부(355b), 고장 검지부(356b) 및 동작 전환부(357)를 기능 블록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 제어부(35b)는 수신 정지부(355) 대신에 수신 정지부(355b)를 구비하는 점과, 고장 검지부(356) 대신에 고장 검지부(356b)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 제어부(35)와 동일하다.
수신 정지부(355b)는 제2 실시 형태의 수신 정지부(355a)와 동일하게, 가속도 검출부(342)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유예 기간을 거쳐서 LF 수신부(32)에서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한, 수신 정지부(355b)는 가속도 검출부(342)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반드시 유예 기간을 거쳐서 LF 수신부(32)에서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수신 정지부(355)와 동일하다.
고장 검지부(356b)는 제1 실시 형태의 고장 검지부(356)와는 다른 방법으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를 행한다. 고장 검지부(356b)는 전술한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차실 외 대조 후에 차실 내 대조가 행해질 때, 그 차실 외 대조 후로부터의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이 변화량의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변화량의 역치란, 예를 들어 유저의 몸 동작에 의한 진동으로 추정되는 가속도를 구별하기 위한 전술한 소정의 역치로 하면 된다.
차실 외 대조 후에 차실 내 대조가 행해지는 상황이란,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가 이동하여 차량(Ve)에 승차하는 상황에 상당한다. 이러한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가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는, 고장나지 않았으면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전술한 역치 이상의 가속도의 변화량이 검출될 것이다. 고장 검지부(356b)는, 이러한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가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전술한 역치 이상의 가속도의 변화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므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보다 고정밀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례로서는, 고장 검지부(356b)는 전술한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이하의 일련 처리를 행한다. 먼저, 고장 검지부(356b)는, 차실 외 대조 커맨드를 LF 수신부(32)에서 수신하고 나서 차실 내 대조 커맨드를 LF 수신부(32)에서 수신할 때까지의 진동 검지 이력을 정보 취득부(354)에 취득시킨다. 그리고, 정보 취득부(354)에서 취득한 진동 검지 이력에 있어서, 진동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지 않은 것으로 한다. 한편, 진동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그 밖에도, 고장 검지부(356b)는 전술한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차실 내 대조 후에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질 때, 그 차실 내외 대조 후로부터의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이 변화량의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변화량의 역치란, 예를 들어 유저의 몸 동작에 의한 진동으로 추정되는 가속도를 구별하기 위한 전술한 소정의 역치로 하면 된다.
차실 내 대조 후에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지는 상황이란,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가 차량(Ve)으로부터 하차하는 상황에 상당한다. 이러한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가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는, 고장나지 않았으면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전술한 역치 이상의 가속도의 변화량이 검출될 것이다. 고장 검지부(356b)는, 이러한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가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전술한 역치 이상의 가속도의 변화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므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보다 고정밀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일례로서는, 고장 검지부(356b)는 전술한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이하의 일련 처리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먼저, 고장 검지부(356b)는, 차실 내 대조 커맨드를 LF 수신부(32)에서 수신하고 나서 차실 외 대조 커맨드를 LF 수신부(32)에서 수신할 때까지의 진동 검지 이력을 정보 취득부(354)에 취득시킨다. 그리고, 정보 취득부(354)에서 취득한 진동 검지 이력에 있어서, 진동이 검지되었을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지 않은 것으로 한다. 한편, 진동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휴대기(3b)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
계속해서, 휴대기(3b)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도 18의 흐름도 및 도 19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먼저, 도 18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차실 외 대조 후에 차실 내 대조가 행해지는 상황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8의 흐름도는, LF 수신부(32)에서 차실 외 대조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개시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S41에서는, 센서 제어부(343)가 기억부(344)에 기억되어 있는 진동 검지 이력을 소거한다. 이것은, 차실 외 대조 후로부터의 검지 이력으로 좁혀 기억부(344)에 기억하기 위함이다. S42에서는, 차실 내 대조 커맨드를 LF 수신부(32)에서 수신한 경우(S42에서 "예")에는, S43으로 옮겨간다. 한편, 이 차실 내 대조 커맨드를 LF 수신부(32)에서 수신하지 않은 경우(S42에서 "아니오")에는, S42의 처리를 반복한다.
S43에서는, 센서 제어부(343)가 기억부(344)에 기억되어 있는 진동 검지 이력을 읽어내고, 휴대기 제어부(35b)로 출력하여, 이 진동 검지 이력을 정보 취득부(354)가 취득한다. 그리고, 이 진동 검지 이력을 고장 검지부(356b)가 확인한다. 이 진동 검지 이력은,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지고 나서 차실 내 대조가 행해질 때까지의 진동 검지 이력이다.
S44에서는, S43에서 고장 검지부(356b)가 진동 검지 이력을 확인한 결과, 진동의 검지가 없었을 경우(S44에서 "예")에는, S46으로 옮겨간다. 한편, 진동의 검지가 있었을 경우(S44에서 "아니오")에는, S45로 옮겨간다.
S45에서는, 고장 검지부(356b)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고 고장 검지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46에서는, 고장 검지부(356b)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그리고, S47에서는,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b)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여, 고장 검지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차실 외 대조 후에 차실 내 대조가 행해지는 상황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에서는, S47의 처리 후에, 전술한 유예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S42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고장 검지부(356b)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 경우에도,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를 계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고장 검지부(356b)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일단은 검지된 경우에도, 고장 검지부(356b)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b)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할 수 있도록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계속해서, 도 19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차실 내 대조 후에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지는 상황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19의 흐름도는, LF 수신부(32)에서 차실 내 대조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에 개시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S61에서는, 센서 제어부(343)가 기억부(344)에 기억되어 있는 진동 검지 이력을 소거한다. 이것은, 차실 내 대조 후로부터의 검지 이력으로 좁혀 기억부(344)에 기억하기 위함이다. S62에서는, 차실 외 대조 커맨드를 LF 수신부(32)에서 수신한 경우(S62에서 "예")에는, S63으로 옮겨간다. 한편, 이 차실 외 대조 커맨드를 LF 수신부(32)에서 수신하지 않은 경우(S62에서 "아니오")에는, S62의 처리를 반복한다.
S63에서는, 센서 제어부(343)가 기억부(344)에 기억되어 있는 진동 검지 이력을 읽어내고, 휴대기 제어부(35b)로 출력하여, 이 진동 검지 이력을 정보 취득부(354)가 취득한다. 그리고, 이 진동 검지 이력을 고장 검지부(356b)가 확인한다. 이 진동 검지 이력은, 차실 내 대조가 행해지고 나서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질 때까지의 진동 검지 이력이다.
S64에서는, S63에서 고장 검지부(356b)가 진동 검지 이력을 확인한 결과, 진동의 검지가 없었을 경우(S64에서 "예")에는, S66으로 옮겨간다. 한편, 진동의 검지가 있었을 경우(S64에서 "아니오")에는, S65로 옮겨간다.
S65에서는, 고장 검지부(356b)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고 고장 검지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S66에서는, 고장 검지부(356b)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다. 그리고, S67에서는,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b)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여, 고장 검지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차실 내 대조 후에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지는 상황에서의 고장 검지 관련 처리에서는, S67의 처리 후에, 전술한 유예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S62로 되돌아가서 처리를 반복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고장 검지부(356b)가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 경우에도,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를 계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리고, 고장 검지부(356b)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일단은 검지된 경우에도, 고장 검지부(356b)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b)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할 수 있도록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휴대기(3b)에서는, 도 18의 흐름도의 처리와 도 19의 흐름도의 처리를 모두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어느 한쪽만을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8의 흐름도의 처리와 도 19의 흐름도의 처리를 모두 실시하는 구성으로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18의 흐름도가 종료된 경우에, 도 19의 흐름도의 S61의 처리를 개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 밖에도, 도 18의 흐름도의 S45의 처리 후에 도 19의 흐름도의 처리를 실시하는 한편, 도 18의 흐름도의 S47의 처리 후에는 도 19의 흐름도의 처리를 실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은,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의 양태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이라도, 휴대기(3b)의 전력 절약화를, 가속도 센서 유닛(34)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하면서, 이 가속도 검출부(342)가 고장난 경우에, 전력 절약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불필요하게 계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에도,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이라도, 고장 검지부(356b)는 가속도 검출부(342)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고장의 검지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가속도 검출부(342)의 고장을 검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구성을 여분으로 구비하는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휴대기(3b)를 휴대하는 유저가 확실하게 이동하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전술한 역치 이상의 가속도의 변화량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므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을 보다 고정밀도로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4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의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해도 된다. 이하, 제4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1)은 휴대기(3) 대신에 휴대기(3c)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1)과 동일하다.
<휴대기(3c)의 개략 구성>
여기서, 휴대기(3c)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휴대기(3c)는 전지(31), LF 수신부(32), UHF 송신부(33), 가속도 센서 유닛(34c) 및 휴대기 제어부(35c)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3c)는 가속도 센서 유닛(34) 대신에 가속도 센서 유닛(34c)을 구비하는 점과, 휴대기 제어부(35) 대신에 휴대기 제어부(35c)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3)와 동일하다. 휴대기 제어부(35c)는 일부의 처리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 제어부(35)와 동일하다. 휴대기 제어부(35c)의 상세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가속도 센서 유닛(34c)의 개략 구성>
계속해서, 도 20을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 유닛(34c)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유닛(34c)은 통신 I/F(341), 가속도 검출부(342c), 센서 제어부(343c) 및 기억부(344)를 구비하고 있다. 가속도 센서 유닛(34c)은 가속도 검출부(342) 대신에 가속도 검출부(342c)를 구비하는 점과, 센서 제어부(343) 대신에 센서 제어부(343c)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가속도 센서 유닛(34)과 동일하다. 이 가속도 센서 유닛(34c)이 가속도 센서에 상당한다.
가속도 검출부(342c)는 제1 실시 형태의 가속도 검출부(342)와 동일하게, 전극간의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가속도를 검출하는 정전 용량형의 MEMS 가속도 센서인 것으로 한다. 또한, 가속도 검출부(342c)는, 강제적으로 전압을 부여함으로써 동작을 확인하는 셀프 테스트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례로서는, 가속도 검출부(342c)의 대향하는 전극에 전압을 부여하여 강제적으로 이 전극간에 흡인력 혹은 반발력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정전 용량의 변화로부터 고장의 유무가 검지 가능하게 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센서 제어부(343c)는 가속도 검출부(342c)에 대하여 전술한 셀프 테스트를 행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센서 제어부(343)와 동일하다.
<휴대기 제어부(35c)의 개략 구성>
계속해서, 도 21을 사용하여 휴대기 제어부(35c)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 제어부(35c)는 등록부(351), 대조부(352), 응답 처리부(353), 정보 취득부(354), 수신 정지부(355), 고장 검지부(356c) 및 동작 전환부(357)를 기능 블록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 제어부(35c)는 고장 검지부(356) 대신에 고장 검지부(356c)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 제어부(35)와 동일하다.
고장 검지부(356c)는 제1 실시 형태의 고장 검지부(356)와는 다른 방법으로 가속도 센서 유닛(34c)의 고장의 검지를 행한다. 고장 검지부(356c)는 전술한 셀프 테스트에 의해, 가속도 센서 유닛(34c)의 고장의 검지를 행한다. 고장 검지부(356c)는 센서 제어부(343c)에 축차 지시를 보내어 셀프 테스트를 실행시키고, 셀프 테스트의 결과를 취득하여 고장의 검지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 밖에도, 고장 검지부(356c)로부터의 지시없이 센서 제어부(343c)에서 축차 실행되는 셀프 테스트의 결과를 고장 검지부(356c)가 축차 취득하여 고장의 검지를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셀프 테스트 실행에 의한 소비 전류량의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서, 정보 취득부(354)에서 진동 검지 신호를 취득하지 않게 되고 나서의 일정 시간 경과 후, 수신 정지부(355)에서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직전에 셀프 테스트를 실행하여, 고장의 검지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속도 센서 유닛(34c)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 경우에도, 고장 검지부(356c)가 가속도 센서 유닛(34c)의 고장의 검지를 계속하여, 고장 검지부(356c)가 가속도 센서 유닛(34c)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할 수 있도록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의 구성은, 가속도 센서 유닛(34c)의 고장 검지의 양태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제4 실시 형태의 구성이라도, 휴대기(3c)의 전력 절약화를, 가속도 센서 유닛(34c)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하면서, 이 가속도 센서 유닛(34c)이 고장난 경우에, 전력 절약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불필요하게 계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5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가속도 센서 유닛(34)의 고장 검지의 양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제5 실시 형태와 같이 해도 된다. 이하, 제5 실시 형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1)은 휴대기(3) 대신에 휴대기(3d)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1)과 동일하다.
<휴대기(3d)의 개략 구성>
여기서, 휴대기(3d)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휴대기(3d)는 전지(31), LF 수신부(32), UHF 송신부(33), 가속도 센서 유닛(34d) 및 휴대기 제어부(35d)를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3d)는 가속도 센서 유닛(34) 대신에 가속도 센서 유닛(34d)을 구비하는 점과, 휴대기 제어부(35) 대신에 휴대기 제어부(35d)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3)와 동일하다. 휴대기 제어부(35d)는 일부의 처리가 상이한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 제어부(35)와 동일하다. 휴대기 제어부(35d)의 상세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설명한다.
<가속도 센서 유닛(34d)의 개략 구성>
계속해서, 도 22를 사용하여 가속도 센서 유닛(34d)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유닛(34d)은 통신 I/F(341), 가속도 검출부(342), 센서 제어부(343d) 및 기억부(344)를 구비하고 있다. 가속도 센서 유닛(34d)은 센서 제어부(343) 대신에 센서 제어부(343d)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가속도 센서 유닛(34)과 동일하다. 이 가속도 센서 유닛(34d)이 청구항의 가속도 센서에 상당한다.
센서 제어부(343d)는 기억부(344)의 특정한 메모리 어드레스에 가속도 검출부(342)에서 검출된 가속도를 기억하고, 확인을 위해 기억한 가속도를 기억부(344)로부터 읽어내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센서 제어부(343)와 동일하다.
<휴대기 제어부(35d)의 개략 구성>
계속해서, 도 23을 사용하여 휴대기 제어부(35d)의 개략적인 구성에 관한 설명을 행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 제어부(35d)는 등록부(351), 대조부(352), 응답 처리부(353), 정보 취득부(354), 수신 정지부(355), 고장 검지부(356d) 및 동작 전환부(357)를 기능 블록으로서 구비하고 있다. 휴대기 제어부(35d)는 고장 검지부(356) 대신에 고장 검지부(356d)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휴대기 제어부(35)와 동일하다.
고장 검지부(356d)는 제1 실시 형태의 고장 검지부(356)와는 다른 방법으로 가속도 센서 유닛(34d)의 고장의 검지를 행한다. 고장 검지부(356d)는 가속도 센서 유닛(34d)과의 통신의 이상을 바탕으로 가속도 센서 유닛(34d)의 고장의 검지를 행한다. 구체예로서는, 휴대기 제어부(35d)의 정보 취득부(354)에서 가속도 센서 유닛(34d)으로부터의 출력을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없게 되었을 경우에 가속도 센서 유닛(34d)의 고장의 검지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예를 들어, 가속도 검출부(342)에서의 검출 결과를 기억부(344)의 특정한 메모리 어드레스에 기입하고, 확인을 위해 예를 들어 센서 제어부(343d)에서 읽어냄을 행하였을 때, 기입한 값과 상이한 값이 출력되거나, 출력이 없거나 한 경우를, 가속도 센서 유닛(34d)으로부터의 출력을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없게 된 것으로 하면 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 유닛(34d)이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 경우에도, 고장 검지부(356d)가 가속도 센서 유닛(34d)의 고장의 검지를 계속하여, 고장 검지부(356d)가 가속도 센서 유닛(34d)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 동작 전환부(357)가 수신 정지부(355)에서의 LF 수신부(32)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할 수 있도록 복귀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5 실시 형태의 구성은, 가속도 센서 유닛(34d)의 고장 검지의 양태가 상이한 것을 제외하면, 제1 실시 형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제5 실시 형태의 구성이라도, 휴대기(3d)의 전력 절약화를, 가속도 센서 유닛(34d)을 사용함으로써 가능하게 하면서, 이 가속도 센서 유닛(34d)이 고장난 경우에, 전력 절약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동작을 불필요하게 계속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6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도 센서 유닛(34, 34c, 34d)측에서 가속도의 변화량을 바탕으로 진동을 검지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이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유닛(34, 34c, 34d)측에서 검출한 가속도의 변화량을 바탕으로 한 결과를 사용하여, 휴대기 제어부(35, 35a, 35b, 35c, 35d)측에서 진동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 밖에도, 진동을 검지하는 대신에, 소정의 역치를 초과한 가속도의 변화량을 검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7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5 실시 형태는, 인증 시스템(1)을 차량에 적용하는 구성을 나타내었지만, 제1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는, 인증 시스템(1)을 차량 이외에 적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주택, 시설 등에 적용하여, 주택, 시설 등의 도어의 시해정의 인증에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8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5 실시 형태에서는, 가속도 검출부(342, 342c)로서 정전 용량형의 MEMS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구성을 예로 들었지만,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는, 정전 용량형의 MEMS 가속도 센서 이외의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제4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 혹은 제3 실시 형태를 조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본원에 기재되는 흐름도, 혹은 흐름도의 처리는, 복수의 스텝(혹은 섹션이라고 언급됨)으로 구성되고, 각 스텝은 예를 들어 S1이라 표현된다. 또한, 각 스텝은 복수의 서브 스텝으로 분할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스텝이 합쳐져서 하나의 스텝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개시의 일 형태에 관한 휴대기 및 인증 시스템의 실시 형태, 구성, 양태를 예시하였지만, 본 개시에 관한 실시 형태, 구성, 양태는, 상술한 각 실시 형태, 각 구성, 각 양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12)
-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인증 대상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증을 행하는 인증 시스템(1)에서 사용되고,
가속도 센서(34, 34c, 34d)와,
상기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안테나(24a 내지 24d, 25, 26)와의 사이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32, 32a)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통신부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수신 정지부(355, 355a, 355b)를 구비하는 휴대기이며,
상기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부(356, 356a, 356b, 356c, 356d)와,
상기 고장 검지부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 정지부에서의 상기 통신부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전환부(357)를 구비하는 휴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검지부(356c)는, 강제적으로 전압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가속도 센서(34c)의 동작을 확인하는 셀프 테스트에 의해 상기 가속도 센서의 고장 검지를 행하는 휴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센서(34)는 3축 가속도 센서이며,
상기 고장 검지부(356)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상기 변화량의 역치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된 경우이며, 또한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하는 3축의 가속도의 합성 벡터의 크기가 중력 가속도 1G를 기준으로 하는 소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 상기 가속도 센서가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는 휴대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검지부(356d)는 상기 가속도 센서(34d)와 통신 가능하며, 상기 가속도 센서와의 통신의 이상을 바탕으로 상기 가속도 센서의 고장 검지를 행하는 휴대기.
- 제1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차량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증을 행하는 인증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안테나와의 사이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인 휴대기. - 제1항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차량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증을 행하는 인증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안테나와의 사이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상기 수신 정지부(355a, 355b)는,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유예 기간을 거쳐서 상기 통신부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휴대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 범위가 상기 차량의 차실 외로 넓어지는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24a 내지 24d, 26), 및 통신 범위가 상기 차량의 차실 내에 머무르는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25)의 사이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상기 고장 검지부(356b)는 상기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인 차실 외 대조 후에, 상기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인 차실 내 대조가 행해질 때, 상기 차실 외 대조 후로부터의 상기 가속도 센서(34)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상기 변화량의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가속도 센서가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는 휴대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통신 범위가 상기 차량의 차실 외로 넓어지는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24a 내지 24d, 26), 및 통신 범위가 상기 차량의 차실 내에 머무르는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25)의 사이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상기 고장 검지부(356b)는 상기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인 차실 내 대조 후에, 상기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인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질 때, 상기 차실 내 대조 후로부터의 상기 가속도 센서(34)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상기 변화량의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가속도 센서가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는 휴대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검지부(356b)는 상기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차실 내 대조용 안테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상기 코드 대조인 상기 차실 내 대조 후에, 상기 차실 외 대조용 안테나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상기 코드 대조인 상기 차실 외 대조가 행해질 때, 상기 차실 내 대조 후로부터의 상기 가속도 센서(34)에서 검출하는 상기 가속도의 상기 변화량이, 상기 변화량의 역치를 초과한 상기 상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가속도 센서가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는 휴대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하였을 때의 수신 신호 강도를 특정하는 신호 강도 특정부(321)를 구비하고,
상기 고장 검지부(356a)는 상기 유예 기간을 초과하기 전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강도 특정부에서 특정하는, 상기 차량으로부터의 탑승원의 하차 시의 도어 시정 후에 상기 안테나로부터 축차 송신되는 상기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소정값을 하회하였을 때, 상기 도어 시정 후에 상기 신호를 수신하기 시작하고 나서의, 상기 가속도 센서(34)에서 검출하는 가속도의 변화량이, 상기 변화량의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역치를 초과한 상태가 없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가속도 센서가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하는 휴대기.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검지부는, 상기 가속도 센서가 고장나 있는 것으로 검지한 경우에도, 상기 가속도 센서의 고장 검지를 계속하고,
상기 동작 전환부는, 상기 고장 검지부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수신 정지부에서의 상기 통신부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기. -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기기(21, 21a, 21b)와, 유저에 휴대되는 휴대기(3, 3a, 3b, 3c, 3d)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기기는, 인증 대상에 구비되는 안테나(24a 내지 24d, 25, 26)와 상기 휴대기 사이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상기 인증 대상의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증을 행하는 인증 시스템이며,
상기 휴대기는,
가속도 센서(34, 34c, 34d)와,
상기 안테나와의 사이에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32, 32a)와,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의 검출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통신부의 수신 동작을 정지시키는 수신 정지부(355, 355a, 355b)와,
상기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하는 고장 검지부(356, 356a, 356b, 356c, 356d)와,
상기 고장 검지부에서 상기 가속도 센서의 고장을 검지한 경우에는, 상기 수신 정지부에서의 상기 통신부의 수신 동작의 정지를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하는 동작 전환부(357)를 구비하는 인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7-202735 | 2017-10-19 | ||
JP2017202735A JP6816699B2 (ja) | 2017-10-19 | 2017-10-19 | 携帯機及び認証システム |
PCT/JP2018/031393 WO2019077880A1 (ja) | 2017-10-19 | 2018-08-24 | 携帯機及び認証システ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47719A KR20200047719A (ko) | 2020-05-07 |
KR102339698B1 true KR102339698B1 (ko) | 2021-12-16 |
Family
ID=66174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7010778A KR102339698B1 (ko) | 2017-10-19 | 2018-08-24 | 휴대기 및 인증 시스템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390251B2 (ko) |
JP (1) | JP6816699B2 (ko) |
KR (1) | KR102339698B1 (ko) |
DE (1) | DE112018004657T5 (ko) |
WO (1) | WO201907788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91728B2 (ja) * | 2018-03-09 | 2022-06-2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携帯機および車両 |
JP2023042216A (ja) * | 2021-09-14 | 2023-03-27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通信装置 |
DE102021129489A1 (de) * | 2021-11-12 | 2023-05-17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Personalisierungsverfahren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ein Datenfreigabeverfahren für ein Backen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74311A (ja) * | 2013-10-08 | 2015-04-20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動作検知リモートシステム |
JP2016088156A (ja) * | 2014-10-30 | 2016-05-23 | 株式会社デンソー |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携帯機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273226A (ja) * | 1991-03-25 | 1993-10-22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衝撃検出装置 |
JP3003668B2 (ja) | 1997-06-16 | 2000-01-31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
JP2004015312A (ja) * | 2002-06-05 | 2004-01-15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電話機 |
JP2007069712A (ja) * | 2005-09-06 | 2007-03-22 | Denso Corp | 車両用盗難防止装置 |
US20080091352A1 (en) * | 2006-10-11 | 2008-04-17 | O'hare James K | Automobile collision avoidance system |
US20090201375A1 (en) * | 2008-02-08 | 2009-08-13 | Kelsey-Hayes Company | Fail safe test for motion sensors |
JP5356745B2 (ja) * | 2008-07-22 | 2013-12-04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通信システム |
JP5365979B2 (ja) * | 2008-08-29 | 2013-12-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携帯型無線通信機 |
JP5173934B2 (ja) * | 2009-05-26 | 2013-04-03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電子キーシステム |
US9199680B2 (en) * | 2011-06-23 | 2015-12-01 | Honda Motor Co., Ltd. | Vehicle anti-theft device |
US20160187368A1 (en) * | 2014-12-30 | 2016-06-30 | Google Inc. |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failure of an opening sensor |
JP2017202735A (ja) | 2016-05-11 | 2017-11-16 | 愛知機械工業株式会社 | 動力出力装置および動力出力装置の組み立て方法 |
JP6913897B2 (ja) * | 2017-10-09 | 2021-08-04 | ボイス・ライフ・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無線給電の効率化 |
-
2017
- 2017-10-19 JP JP2017202735A patent/JP6816699B2/ja active Active
-
2018
- 2018-08-24 DE DE112018004657.5T patent/DE112018004657T5/de active Pending
- 2018-08-24 WO PCT/JP2018/031393 patent/WO2019077880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08-24 KR KR1020207010778A patent/KR10233969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3-18 US US16/822,789 patent/US1139025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74311A (ja) * | 2013-10-08 | 2015-04-20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動作検知リモートシステム |
JP2016088156A (ja) * | 2014-10-30 | 2016-05-23 | 株式会社デンソー |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携帯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077880A1 (ja) | 2019-04-25 |
JP6816699B2 (ja) | 2021-01-20 |
JP2019073251A (ja) | 2019-05-16 |
US11390251B2 (en) | 2022-07-19 |
DE112018004657T5 (de) | 2020-06-04 |
US20200216028A1 (en) | 2020-07-09 |
KR20200047719A (ko) | 2020-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1347997B (zh) | 借助移动电子识别传感器的运动数据认证车辆用户的方法 | |
KR102339698B1 (ko) | 휴대기 및 인증 시스템 | |
US10513244B2 (en) |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device | |
EP3309755B1 (en) | Biometric-electronic key system | |
KR101915420B1 (ko) | 통신 시스템, 위치 판정 방법 | |
US11267439B2 (en) | Activation of valet mode for vehicles | |
CN114590222A (zh) | 具有双因素认证的被动进入被动起动验证 | |
JP6323298B2 (ja) |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携帯機 | |
CN113212341B (zh) | 用于控制至少一个机动车功能的方法和控制系统 | |
JP2017160761A (ja) | 車両制御装置 | |
CN113969711A (zh) | 用于控制车辆的系统和方法 | |
JP6235885B2 (ja) | 車両用制御装置 | |
KR20060117248A (ko) | 차량 엔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WO2020095534A1 (ja) |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および車載機 | |
KR100958746B1 (ko) | 수동 키 및 스마트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및 스마트 키 신호 처리기 | |
WO2014125768A1 (ja) | 車両システム、車両側ユニット、及び携帯機 | |
JP6016089B2 (ja) | スマートシステム | |
JP2016089589A (ja) | 車両用通信システム、車載機、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
KR101816414B1 (ko) | 모션 센서를 이용한 안테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
JP6471034B2 (ja) | ドア作動制御システム | |
JP2010222810A (ja) | 車両の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 |
WO2023228779A1 (ja) |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プログラム、位置確認装置 | |
WO2021039910A1 (ja) | 異常検出装置及び電子キー | |
JP7028719B2 (ja) | ドア作動制御システム | |
JP2016188538A (ja) | 車両の自動開制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