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590B1 -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590B1
KR102335590B1 KR1020200015783A KR20200015783A KR102335590B1 KR 102335590 B1 KR102335590 B1 KR 102335590B1 KR 1020200015783 A KR1020200015783 A KR 1020200015783A KR 20200015783 A KR20200015783 A KR 20200015783A KR 102335590 B1 KR102335590 B1 KR 102335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ucchini
fermented
plum
prepared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1613A (ko
Inventor
박성호
Original Assignee
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호 filed Critical 박성호
Priority to KR1020200015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590B1/ko
Publication of KR20210101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5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05Fruit crops, e.g. strawberries, tomatoes or cucumb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2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using specific microorganisms or substances, e.g. enzymes, for activating or stimulating the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Abstract

본 발명은 (1) 매실 열매와 매실나무 가지를 혼합한 매실 혼합물에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매실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애호박 순과 애호박 가지를 혼합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애호박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매실 발효물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애호박 발효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영양액에 물을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관주 및 엽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호박의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애호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Method for cultivating Cucurbita moschata with increased functionality using fermented Prunus mume and Cucurbita moschata mixture}
본 발명은 매실 발효물과 애호박 발효물을 혼합한 영양액을 이용하여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호박의 재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애호박에 관한 것이다.
호박(Cucurbita spp.)은 박과에 속하는 일년생 덩굴성 초본식물로서 동양계 호박인 늙은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과 서양계 호박인 단호박(Cucurbita maxima Duch.)이 있으며 동양계호박은 청둥호박이라 하여 청과와 완숙과를 모두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 재배종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늙은호박은 전통적으로 위장이 약한 사람, 회복기 환자, 산후 부종제거 등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건강식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 최근 연구를 통하여 호박의 베타카로틴은 비타민 A의 전구물질이며 항비만, 항암 및 항산화 활성 등의 생리활성기능이 알려지면서 건강식품 원료로도 재조명되고 있다. 그 밖에 늙은 호박에는 식이섬유, 비타민류, 무기성분, 펙틴, 아미노산, 불포화지방산 등의 영양성분이 풍부하여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애호박은 일반적으로는 덜 여문 어린 호박을 말하지만 근래에는 한식에서 주로 활용되는 길죽한 형태의 호박을 일컫는다. 애호박은 노지에서는 여름 호박으로, 봄에 심어 늦봄~가을에 수확하지만 요즘은 수요증가와 농업기술의 발달에 따라 시설원예작물로서 사계절 재배한다. 서양요리에서 쓰는 주키니호박은 페포호박(Cucurbita pepo)의 재배종인데 비해, 우리나라에서 이용하는 애호박은 호박(Cucurbita moschata)의 재배종이며, 품종으로 서울마디호박, 불암사철애호박, 미소호박 등이 있다.
매실(Prunus mume Sieb. et Zucc)은 도이속(Prunus Linn)에 속하는 핵과류로 우리나라와 중국 등에서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매실의 약리적 특성으로는 항균작용과 항알러지, 정혈작용으로 체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혈압, 당뇨, 설사 그리고 식이섬유가 많아 변비 등에 효과가 탁월하여 숙취제거에 효과가 알려져 있다. 또한, 매실 열수추출물은 피로개선 기능으로 기능성식품원료로 등재되어 있다. 최근에는 매실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가공음료, 쨈, 젤리 및 주류 등 다양한 식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비상품과나 부산물을 활용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92428호에는 고칼슘 단호박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668777호에는 청정 호박 재배용 봉투 및 이를 이용한 호박 재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리 식생활에서 찬류의 제조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애호박의 재배과정에서 매실의 비상품과 및 부산물과 애호박 부산물을 활용한 영양액을 제조하고 적정시기에 시비하여 유효성분 및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을 생산함으로써 생산된 애호박의 이미지와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매실 열매와 매실나무 가지를 혼합한 매실 혼합물에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매실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애호박 순과 애호박 가지를 혼합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애호박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매실 발효물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애호박 발효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영양액에 물을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관주 및 엽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호박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애호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재배된 애호박은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되어 품질이 우수한 애호박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매실 열매와 매실나무 가지를 혼합한 매실 혼합물에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매실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애호박 순과 애호박 가지를 혼합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혼합한 후 발효하여 애호박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매실 발효물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애호박 발효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영양액에 물을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관주 및 엽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호박의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애호박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1)단계의 매실 발효물은 바람직하게는 매실 열매와 매실나무 가지를 80~90:10~20 중량비율로 혼합한 매실 혼합물에 설탕을 50~60:40~5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90~150일 발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실 열매와 매실나무 가지를 85:15 중량비율로 혼합한 매실 혼합물에 설탕을 55:4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90~150일 발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호박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2)단계의 애호박 발효물은 바람직하게는 애호박 순과 애호박 가지를 45~55:45~55 중량비율로 혼합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50~60:40~5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120~250일 동안 발효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애호박 순과 애호박 가지를 50:50 중량비율로 혼합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55:4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120~250일 동안 발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호박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3)단계의 영양 희석액은 바람직하게는 매실 발효물과 애호박 발효물을 55~65:35~45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70~80℃에서 5~10분간 가열한 영양액에 물을 800~1200배(v/v)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매실 발효물과 애호박 발효물을 60:40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70~80℃에서 5~10분간 가열한 영양액에 물을 1000배(v/v)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애호박의 재배방법에서, 상기 (4)단계는 바람직하게는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식재한 후 10~15일 후부터 5~7일에 한번씩 영양 희석액을 관주 및 엽면처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재배된 애호박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진되고 항산화 활성도 더욱 우수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애호박의 재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1) 매실 열매와 매실나무 가지를 80~90:10~20 중량비율로 혼합한 매실 혼합물에 설탕을 50~60:40~5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90~150일 발효하여 매실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애호박 순과 애호박 가지를 45~55:45~55 중량비율로 혼합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50~60:40~5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120~250일 동안 발효하여 애호박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매실 발효물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애호박 발효물을 55~65:35~45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70~80℃에서 5~10분간 가열한 영양액에 물을 800~1200배(v/v)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식재한 후 10~15일 후부터 5~7일에 한번씩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관주 및 엽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1) 매실 열매와 매실나무 가지를 85:15 중량비율로 혼합한 매실 혼합물에 설탕을 55:4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90~150일 발효하여 매실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애호박 순과 애호박 가지를 50:50 중량비율로 혼합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55:4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120~250일 동안 발효하여 애호박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매실 발효물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애호박 발효물을 60:40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70~80℃에서 5~10분간 가열한 영양액에 물을 1000배(v/v)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식재한 후 10~15일 후부터 5~7일에 한번씩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관주 및 엽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재배된 애호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재배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재배예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재배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배예 1. 애호박 재배(매실 열매+매실 가지+애호박 순+애호박 곁가지)
(1) 먼저 상품성이 없는 매실 열매를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하고, 매실나무 부산물은 매실나무 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실나무 가지를 세척하여 건조하고 1~2 ㎝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상기 준비한 매실 열매와 분쇄한 매실나무 가지를 85:1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매실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매실 혼합물과 설탕을 55:4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조에 넣고 20~25℃에서 90~150일 발효하여 매실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3) 애호박 재배과정 중에 발생하는 애호박 순과 곁가지 등의 애호박 부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2~3 ㎝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애호박 순과 곁가지를 50:50 중량비율로 혼합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55:45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조에 넣고 20~25℃에서 120~250일 동안 발효한 후 침전 및 여과하여 애호박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4)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매실 발효물과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애호박 발효물을 60:40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70~80℃에서 5~10분간 가열한 영양액에 정제수를 1000배(v/v)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5)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식재한 후 10~15일 후부터 5~7일에 한번씩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10~20분 동안 관주처리하였다. 또한, 애호박이 결실된 이후에 애호박 잎에 5~7일에 한번씩 상기 (4)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잎에 분무살포하였다. 식재한지 약 한달뒤에 애호박을 수확하였다.
비교예 1. 애호박 재배(물)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식재한 후 10~15일 후부터 5~7일에 한번씩 물을 10~20분 동안 관주처리하였다. 또한, 애호박이 결실된 이후에 애호박 잎에 5~7일에 한번씩 물을 잎에 분무살포하였다. 식재한지 약 한달뒤에 애호박을 수확하였다.
비교예 2. 애호박 재배(매실 열매+매실 가지)
(1) 먼저 상품성이 없는 매실을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하고, 매실나무 부산물은 매실나무 전정과정에서 발생하는 매실나무 가지를 세척하여 건조하고 1~2 ㎝ 정도의 크기로 분쇄하였다. 상기 준비한 매실과 분쇄한 매실나무 가지를 85:15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매실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매실 혼합물과 설탕을 55:4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조에 넣고 20~25℃에서 90~150일 발효하여 매실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2)단계의 제조한 매실 발효물을 70~80℃에서 5~10분간 가열한 영양액에 정제수를 1000배(v/v)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4)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식재한 후 10~15일 후부터 5~7일에 한번씩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10~20분 동안 관주처리하였다. 또한, 애호박이 결실된 이후에 애호박 잎에 5~7일에 한번씩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잎에 분무살포하였다. 식재한지 약 한달뒤에 애호박을 수확하였다.
비교예 3. 애호박 재배(애호박 순+애호박 곁가지)
(1) 애호박 재배과정 중에 발생하는 애호박 순과 곁가지 등의 애호박 부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2~3 ㎝ 정도의 길이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55:45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조에 넣고 20~25℃에서 120~250일 동안 발효한 후 침전 및 여과하여 애호박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2) 상기 (1)단계의 제조한 애호박 발효물을 70~80℃에서 5~10분간 가열한 영양액에 정제수를 1000배(v/v)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3)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식재한 후 10~15일 후부터 5~7일에 한번씩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10~20분 동안 관주처리하였다. 또한, 애호박이 결실된 이후에 애호박 잎에 5~7일에 한번씩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잎에 분무살포하였다. 식재한지 약 한달뒤에 애호박을 수확하였다.
비교예 4. 애호박 재배(매실 열매+애호박 순)
(1) 먼저 상품성이 없는 매실 열매를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설탕을 55:4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발효조에 넣고 20~25℃에서 90~150일 발효하여 매실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2) 애호박 재배과정 중에 발생하는 애호박 순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하였다. 상기 준비한 애호박 순에 설탕을 55:45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발효조에 넣고 20~25℃에서 120~250일 동안 발효한 후 침전 및 여과하여 애호박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3)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매실 발효물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애호박 발효물을 60:40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70~80℃에서 5~10분간 가열한 영양액에 정제수를 1000배(v/v)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4)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식재한 후 10~15일 후부터 5~7일에 한번씩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10~20분 동안 관주처리하였다. 또한, 애호박이 결실된 이후에 애호박 잎에 5~7일에 한번씩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잎에 분무살포하였다. 식재한지 약 한달뒤에 애호박을 수확하였다.
영양액 재료 비교
재료 종류 재배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매실 열매 × ×
매실 가지 × × ×
애호박 순 × ×
애호박 곁가지 × × ×
실시예 1. 애호박의 총 페놀 함량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폴린-데니스(Folin-Denis) 방법(Singleton & Rossi, 1965)에 따라 분석하였다. 제배예 1과 비교예들의 시료를 각각 열수 추출하여 1 ㎎/㎖로 조제한 후, 이 시료액 1 ㎖에 증류수 3 ㎖를 넣고 Folin & Ciocalteau's phenol reagent 1 ㎖를 첨가한 후 27℃ 쉐이킹배스(Shaking bath)에서 혼합하였다. 5분 후 Na2CO3 포화용액 1 ㎖를 넣고 혼합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640 nm에서 분광광도계(UV-1650PC, SHIMADZU)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페놀화합물 함량은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카테킨(catechin), 탄닌산(tannic acid)의 농도를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정량하였다.
애호박의 총 페놀 함량
시료 총 페놀 함량(ppm)
클로로겐산 카테킨 탄닌산
재배예 1 421.8±11.8 268.2±7.9 280.2±7.9
비교예 1 334.2±5.4 223.1±3.6 235.1±3.6
비교예 2 376.2±12.7 236.6±8.4 251.6±8.4
비교예 3 368.8±14.9 230.2±9.9 240.2±9.9
비교예 4 392.0±8.7 241.3±7.0 258.2±3.8
그 결과, 애호박 재배 조건에 따라서는 비교예들에 비해 재배예 1의 방법으로 재배된 애호박의 총 페놀 함량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애호박 재배용 영양액 제조 시 매실 열매, 매실 가지, 애호박 순 및 애호박 곁가지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애호박의 총 페놀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애호박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은 Lister 등 변법(1994)에 따라 각 시료 추출물 시료 1 ㎖를 시험관에 취하고 10 ㎖의 디에틸렌 글리콜(diethylen glycol)을 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다시 여기에 1N NaOH 0.1 ㎖를 잘 혼합시켜 37℃의 항온수조(water bath)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공시험은 시료 용액 대신 50% 메탄올(methanol) 용액을 동일하게 처리하였으며, 표준곡선은 나린진(naringin)(Sigma Co., USA)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이로부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구하였다.
애호박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시료 총 플라보노이드(ppm)
재배예 1 63.1±4.1
비교예 1 50.2±3.7
비교예 2 54.9±4.5
비교예 3 53.3±2.5
비교예 4 58.2±3.0
그 결과,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재배된 애호박이 가장 낮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고 재배예 1의 방법으로 재배된 애호박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애호박의 DPPH 라디칼 소거능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추출물을 Blois 방법(1958)에 의한 수소전자공여능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여러 농도의 시료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900 ㎕의 DPPH 용액(100 μM)과 각 시료 100 ㎕를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이 혼합 시료를 암소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수소전자공여능은 각 실험을 3회 반복하여 평균을 낸 다음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한 것을 대조구로 하여 흡광도의 감소정도를 다음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An = (A0-A)/A0 ×100
An: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 활성(%)
A0: 시료가 첨가되지 않은 DPPH 용액의 흡광도
A: 반응용액 중의 DPPH와 시료의 반응한 흡광도
애호박의 DPPH 라디칼 소거능
시료명 DPPH 라디칼 소거능(% of control)
25,000 12,500 6,250 3,125
재배예 1 67.7±1.5 55.1±1.1 40.5±1.5 20.6±1.1
비교예 1 51.5±2.3 37.1±2.8 22.3±1.5 13.0±1.1
비교예 2 58.0±0.4 47.0±0.9 32.8±0.2 15.9±0.4
비교예 3 56.0±1.1 41.9±0.6 26.2±0.9 13.9±0.3
비교예 4 60.5±2.1 50.1±1.2 35.3±1.0 17.1±0.7
그 결과, 재배예 1과 비교예들의 애호박의 재배조건에 따라서는 25,000 ppm 농도에서 재배예 1의 방법으로 재배된 애호박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67.7%로 가장 높게 나타나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애호박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
아질산염 소거작용의 측정(Gray and Dugan, 1975)은 1 mM NaNO2 20 ㎕에 시료 40 ㎕와 0.1N HCl(pH 1.2) 또는 0.2M citrate buffer(pH 4.2) 또는 0.2M citrate buffer(pH 6.0)을 140 ㎕ 사용하여 부피를 200 ㎕로 맞추었다. 이 반응액을 37℃ 항온수조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2% 아세트산 1000 ㎕, Griess 시약(30% 아세트산으로 조제한 1% 설파닐산(sulfanilic acid)과 1% 나프틸아민(naphthylamine)을 1:1 비율로 혼합한 것, 사용 직전에 조제) 80 ㎕를 가하여 잘 혼합하고 빛을 차단한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이 아질산염 소거능을 구하였다. 대조구는 시료 대신 증류수를 첨가하여 측정하였다.
N(%) = [1-(A-C)/B]×100
N: 아질산염 소거능(nitrite scavenging ability)
A: 시료에 1mM NaNO2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흡광도
B: 1 mM NaNO2 흡광도
C: 대조구 흡광도
애호박의 아질산염 소거능
시료명 아질산염 소거능 (% of control)
재배예 1 36.2±0.3
비교예 1 25.8±1.1
비교예 2 30.0±2.0
비교예 3 28.8±2.9
비교예 4 32.0±1.8
애호박의 아질산염 소거능 결과는 상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들의 재배조건으로 재배된 애호박에 비해 재배예 1의 조건으로 재배된 애호박이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1) 매실 열매와 매실나무 가지를 80~90:10~20 중량비율로 혼합한 매실 혼합물에 설탕을 50~60:40~5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90~150일 발효하여 매실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애호박 순과 애호박 가지를 45~55:45~55 중량비율로 혼합한 애호박 부산물에 설탕을 50~60:40~50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20~25℃에서 120~250일 동안 발효하여 애호박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1)단계의 제조한 매실 발효물과 상기 (2)단계의 제조한 애호박 발효물을 55~65:35~45 중량비율로 혼합한 후 70~80℃에서 5~10분간 가열한 영양액에 물을 800~1200배(v/v) 첨가하여 영양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4) 애호박 유묘를 식재하고, 식재한 후 10~15일 후부터 5~7일에 한번씩 상기 (3)단계의 제조한 영양 희석액을 관주 및 엽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애호박의 재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15783A 2020-02-10 2020-02-10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 KR1023355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783A KR102335590B1 (ko) 2020-02-10 2020-02-10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783A KR102335590B1 (ko) 2020-02-10 2020-02-10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613A KR20210101613A (ko) 2021-08-19
KR102335590B1 true KR102335590B1 (ko) 2021-12-03

Family

ID=7749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783A KR102335590B1 (ko) 2020-02-10 2020-02-10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55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496A (ja) * 2003-01-14 2004-08-05 Masaru Kawai 植物栽培時の成長促進醗酵液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4868A (ko) * 2008-12-24 2010-07-02 양대윤 식물 수경재배용 영양액의 제조방법
KR101768448B1 (ko) * 2015-12-08 2017-08-22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7496A (ja) * 2003-01-14 2004-08-05 Masaru Kawai 植物栽培時の成長促進醗酵液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613A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466B1 (ko) 감국식초의 제조방법
KR20200094392A (ko) 녹차 및 머위를 이용한 콤부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콤부차
KR102387371B1 (ko) 항산화 활성이 증대된 멀꿀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1913004B1 (ko) 차가버섯 균사체 발효를 이용한 오디음료의 제조방법
KR101346015B1 (ko) 셀레늄 원액이 첨가된 방사성 스트론튬 배출 및 항산화 활성이 향상된 기능성 막걸리 및 그 제조 방법
CN112841353A (zh) 一种具有止咳与降血糖功效的金花橘红养生红茶的制作工艺
KR101788783B1 (ko) 수수조청 및 사과 농축물을 포함하는 베리 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35590B1 (ko)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
KR20230129136A (ko) 발효 작두콩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00077374A (ko) 노니 주스의 이취억제 및 유효성분이 강화된 발효농축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735B1 (ko) 두릅나무과 관목의 과실을 주재료로 하는 발효 과실주 및그 제조방법
KR101042276B1 (ko) 흑마늘 막걸리 제조방법
KR100676771B1 (ko) 대나무 수액과 유사한 성분조성의 대나무 줄기 추출물 및그 제조방법
KR102030902B1 (ko) 벚나무속 식물의 열매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 방법 및 이의 용도
KR100925892B1 (ko) 보리수 발효주 제조방법
KR101385757B1 (ko) 천년초 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년초 식초
KR101336215B1 (ko) 활성형 산삼 추출물을 이용한 막걸리 제조방법
KR100464704B1 (ko) 유기게르마늄이 다량 함유된 약용 및 식용식물체를 이용한기능성 발효주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발효주
KR20090098577A (ko) 산딸기 식초의 제조방법
KR101754248B1 (ko) 오미자를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CN112120126A (zh) 一种黑果腺肋花楸与北枳椇复合饮料
KR101731463B1 (ko) 대잎 조청의 제조 방법
KR20180062473A (ko) 아로니아 열매를 이용한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20120130535A (ko) 산수유를 이용한 건강 음료 제조 방법
KR102444816B1 (ko) 뽕잎, 오디 및 찹쌀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기능성 쌀 앙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