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8448B1 -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8448B1
KR101768448B1 KR1020150173943A KR20150173943A KR101768448B1 KR 101768448 B1 KR101768448 B1 KR 101768448B1 KR 1020150173943 A KR1020150173943 A KR 1020150173943A KR 20150173943 A KR20150173943 A KR 20150173943A KR 101768448 B1 KR101768448 B1 KR 101768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lepidoptera
fermentation
herbs
plant nutr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929A (ko
Inventor
조재철
염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염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염영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Priority to KR102015017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8448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8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8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3/04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물 영양제는 과일류, 화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의 발효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은 과일류, 화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를 1차 발효하여 각각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발효물을 혼합하고 고액 분리하여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발효액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2차 발효하는 단계; 상기 2차 발효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Plant Nutrient Substanc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야채, 과일, 약초, 해조류 및 버섯 등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충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농약을 사용하며,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하기 위하여 비료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농약을 사용하면 잔류 농약으로 말미암아 소비자의 섭취에 문제가 있다. 또한, 비료로 널리 사용되는 무기질 비료는 과잉사용하면 토양을 산성화시키고 유기물 함량을 감소시켜 지력을 떨어뜨리며 토양의 단립을 파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농지의 체질을 개선함으로써 농약이나 비료의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다양한 식물 영양제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76596호에서는 라이신 발효 부산물액과 수용성 복합 아미노산 분말, 키토산 수용액, 미량원소용액을 포함하는 친환경 식물 영양제를 개시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60035호에서는 효모 배양액, 사탕수수 당밀 발효액, 복합비료를 포함하는 식물 영양제를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19133호에서는 새우 껍질 등의 칼슘 공급원, 귤피 등의 보충제, 및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 영양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식물 영양제는 복잡한 제조공정을 거쳐 제조되며, 원료 물질의 영양 성분을 충분히 추출해낼 수 없어 농작물의 생장 촉진에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며, 많은 양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7659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6003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0191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야채, 과일, 약초, 해조류 및 버섯 등의 1차 발효물을 미생물로 2차 발효하여 제조되는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는 과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의 발효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과일류는 사과, 감, 개복숭아, 매실, 블루베리, 바나나, 배, 모과, 파인애플, 딸기, 오디, 무화과, 머루, 포도, 여름밀감, 감귤, 유자, 키위, 자두, 아로니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물류는 쑥, 미나리, 곰취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소류는 오이, 토마토, 호박, 피망, 배추, 무, 양배추, 브로콜리, 가지, 샐러리, 알로에, 손바닥 선인장, 돼지감자, 우엉, 당근, 마늘, 토란, 연근, 도라지, 부추, 양파로 이루어지며, 상기 약초류는 다래, 구기자, 개다래, 마카, 명아주, 질경이, 초석잠, 녹미채, 쇠뜨기, 삼붕냐와, 바위솔, 소엽, 삼백초, 하수오, 인삼, 잔대, 강황, 으름덩굴, 두충나무, 가시오갈피, 홍삼, 삼채, 복분자, 민들레, 백합뿌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류는 밀싹, 보리새싹, 고구마, 조, 옥수수, 검정콩, 검정깨, 참깨, 현미, 수수, 밀, 보리, 호두로 이루어지며, 상기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파래, 김, 스피루리나, 톳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섯류는 목이버섯, 표고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자실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은 과일류, 화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를 1차 발효하여 각각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발효물을 혼합하고 고액 분리하여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발효액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2차 발효하는 단계; 상기 2차 발효물을 숙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1차 발효는 장기자연발효를 통해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 발효는 과일류, 화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의 혼합물 설탕 및/또는 벌꿀을 혼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 효모균 또는 유산균과 효모균의 조합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영양제는 높은 식물 생장 효율을 나타내므로 농약이나 비료의 사용을 대폭 줄여도 양질의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의 토양 병원균에 대한 항균실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시비하지 않았을 때(a)와 시비했을 때(b)의 벼의 생장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시비하지 않았을 때(a)와 시비했을 때(b)의 인삼의 생장 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는 과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의 발효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물은 1차 및 2차 발효를 거쳐 얻어지는 것으로, 특히 1차 발효에서 장기자연발효를 통해 발효액을 얻는 것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공업적 발효는 1일 내지 1개월 정도 수행하므로 발효가 충분하지 못하다. 따라서 미생물의 선택, 발효조건을 관리함으로써 발효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원료의 충분한 발효를 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에서는 장기자연발효를 통해 발효액을 제조하는데, 상기 장기자연발효는 자연발효 조건에서 6개월 내지 3년 동안 발효를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 영양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러한 장기자연발효법을 적용하는데, 도 1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은 과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를 1차 발효하여 각각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발효물을 혼합하고 고액 분리하여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발효액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2차 발효하는 단계; 상기 2차 발효물을 숙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1차 발효는 장기자연발효에 의해 수행된다. 발효시 발효 온도는 20 내지 40℃이며, 6개월 내지 3년 간 발효함으로써 1차 발효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각각의 원료를 세척, 절단하여 용기에 투입하고 설탕, 벌꿀 등을 혼합하여 발효함으로써 발효액을 제조한다.
상기 원료는 과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이며 그 구체 성분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과일류는 사과, 감, 개복숭아, 매실, 블루베리, 바나나, 배, 모과, 파인애플, 딸기, 오디, 무화과, 머루, 포도, 여름밀감, 감귤, 유자, 키위, 자두, 아로니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물류는 쑥, 미나리, 곰취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소류는 오이, 토마토, 호박, 피망, 배추, 무, 양배추, 브로콜리, 가지, 샐러리, 알로에, 손바닥 선인장, 돼지감자, 우엉, 당근, 마늘, 토란, 연근, 도라지, 부추, 양파로 이루어지며, 상기 약초류는 다래, 구기자, 개다래, 마카, 명아주, 질경이, 초석잠, 녹미채, 쇠뜨기, 삼붕냐와, 바위솔, 소엽, 삼백초, 하수오, 인삼, 잔대, 강황, 으름덩굴, 두충나무, 가시오갈피, 홍삼, 삼채, 복분자, 민들레, 백합뿌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류는 밀싹, 보리새싹, 고구마, 조, 옥수수, 검정콩, 검정깨, 참깨, 현미, 수수, 밀, 보리, 호두로 이루어지며, 상기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파래, 김, 스피루리나, 톳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섯류는 목이버섯, 표고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자실체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원료 성분을 아래 표 1 내지 7과 같은 함량으로 혼합하여 1차 발효액을 얻는다. 표 1은 과일류의 구성성분, 표 2는 나물류의 구성성분, 표 3은 채소류의 구성성분, 표 4는 약초류의 구성성분, 표 5는 곡물류의 구성성분, 표 6은 해조류의 구성성분이며 및 표 7은 버섯류의 구성성분이다.
과일류 함량(중량%) 과일류 함량(중량%) 과일류 함량(중량%)
사과 2 3 개복숭아 1
매실 1 블루베리 1 바나나 2
2 모과 0.5 파인애플 0.2
딸기 4 오디 2 무화과 1
머루 0.2 포도 0.2 여름밀감 3
감귤 5 유자 3 키위 2
자두 6.1 아로니아 1
나물류 함량(중량%) 나물류 함량(중량%) 나물류 함량(중량%)
0.1 미나리 0.1 곰취 0.2
채소류 함량(중량%) 채소류 함량(중량%) 채소류 함량(중량%)
오이 0.1 토마토 0.1 호박 0.1
피망 0.1 배추 0.2 0.2
양배추 0.1 브로콜리 0.5 가지 0.1
샐러리 0.3 알로에 0.2 손바닥선인장 0.2
돼지감자 0.5 우엉 0.1 당근 0.1
마늘 0.1 토란 1 연근 0.1
도라지 0.1 부추 0.2 양파 0.1
약초류 함량(중량%) 약초류 함량(중량%) 약초류 함량(중량%)
다래 0.6 구기자 0.5 개다래 0.1
마카 0.1 명아주 0.1 질경이 0.1
초석잠 0.3 녹미채 0.1 쇠뜨기 0.2
삼붕냐와 0.1 바위솔 0.2 소엽 0.2
삼백초 0.1 하수오 0.3 인삼 0.2
잔대 0.1 강황 0.5 으름덩굴 0.1
두충나무 0.1 가시오갈피 0.1 홍삼 0.1
삼채 0.5 복분자 2 민들레 0.1
백합뿌리 0.1
곡물류 함량(중량%) 곡물류 함량(중량%) 곡물류 함량(중량%)
밀싹 0.3 보리새싹 0.3 고구마 0.5
0.5 옥수수 0.5 검정콩 5
검정깨 0.5 참깨 0.5 현미 1
수수 0.5 0.5 보리 3
호두 0.1
해조류 함량(중량%) 해조류 함량(중량%) 해조류 함량(중량%)
다시마 0.6 미역 0.3 파래 0.3
0.1 스피루리나 0.3 0.3
버섯류 함량(중량%) 버섯류 함량(중량%) 버섯류 함량(중량%)
목이버섯 0.3 표고버섯 0.6 잎새버섯 0.3
영지버섯 0.2 능이버섯 0.2
상기 원료 성분과 흑설탕 30.3 중량%, 벌꿀 1 중량%를 배합하여 3년 간 발효함으로써 본 발명의 1차 발효물을 얻었다.
상기 1차 발효물은 고액분리를 통해 액체 부분을 수득함으로써 1차 발효액을 얻게 된다.
상기 1차 발효액에 발효 균주인 미생물을 접종하여 2차 발효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발효 균주(미생물)은 유산균, 효모균 또는 유산균과 효모균의 조합 균주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산균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스트렙토코커스, 류코노스톡, 페디오코커스, 락토코커스, 비피도박테리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효모균은 쉬조사카로마이세스, 리포마이세스, 데바요마이세스, 한세눌라, 이사첸키아, 클루이베로마이세스, 피키아, 사카로마이세스, 지고사카로마이세스, 칸디다, 크립토코커스, 클로에케라, 로도토룰라, 트리고놉시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발효 균주 중 유산균과 효모균의 조합 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락토 바실러스 플랜타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락토바실러스 콘푸사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과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피카아 아노말라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 균주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이사첸키아 오리엔탈리스 및 피카아 아노말라의 조합 균주를 접종하여 2차 발효를 수행하였다. 또한, 2차 발효는 10개월간 자연발효를 통해 수행하였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식물영양제는 고점도의 액상물로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희석액을 정기적으로 엽면에 살포하거나 관주하는 방법으로 식물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에 포함된 성분분석 결과는 아래 표 8과 같다. 표 8에서 함량은 중량%이며, 측정되지 않은 기타 성분은 발효효소, 미생물, 식물 내재 영양소 등이다.
무기물 함량 유기물 함량 식물성아미노산 함량
질소 전량 0.12 수분 28.81 아르기닌 0.11
수용성인산 0.10 단백질 3.72 라이신 0.13
수용성칼륨 0.32 지질 1.33 히스티딘 0.07
수용성규산 0.004 탄수화물 64.01 페닐알라닌 0.14
수용성칼슘 0.18 비타민B1 0.00003 티로신 0.10
수용성고토 0.072 비타민B2 0.00012 류신 0.23
수용성철 0.002 이소류신 0.13
수용성망간 0.0015 메티오닌 0.04
수용성붕소 0.001 발린 0.15
수용성나트륨 0.137 알라닌 0.16
수용성몰리브덴 미량 글리신 0.14
프롤린 0.19
글루탐산 0.53
세린 0.15
트레오닌 0.13
아스파라긴산 0.43
트립토판 0.04
시스틴 0.04
표 8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는 식물의 생장에 필요한 다양한 무기물, 유기물 및 식물성 아미노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식물 영양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토양 병원균에 대한 항균실험을 실시하였다.
뿌리썩음을 유발하는 토양 병원균인 후사리움, 문우병을 유발하는 자문우균, 백문우균에 대한 무처리, 살균제 처리 및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 처리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접종한 토양 병원균에 대하여 살균제 처리와 유사한 정도의 항균 특성을 나타내었다. 다만, 희석 배율이 낮고 실험실에서 시험한 결과이므로 실제 작물 생장 환경에서 치료적 효과를 얻을 수는 없다. 다만,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가 작물의 내병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식물 영양제를 시비한 경우 토양의 이화학적 변화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9와 같다. 본 실험은 5,000배 희석액을 시비하여 토양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이다. 표에서 OM은 토양내 유기물 함량, EC는 토양의 전기전도도이며, 치환성은 토양의 치환성 양이온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토양 pH OM(%) 유효인산
(mg/kg)
치환성(Cmol+/kg) EC
(dS/m)
질산태질소
(mg/kg)
K Ca Mg
무처리 5.87 2.83 517.72 1.06 9.59 3.17 2.11 59.09
처리전 6.33 2.26 523.53 1.48 11.75 2.20 4.52 148.56
처리후 6.08 4.17 449.32 1.25 8.42 2.22 3.63 111.12
표 9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토양에 시비한 결과 토양의 유기물 및 무기물 함량이 증가하여 토양 개량 효과 및 이에 따른 작물의 생장 촉진을 유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의 5,000배 희석액을 시비했을 때 촉성부추의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표 10에 기재하였다. 상기 결과는 부추 100포기에 대한 평균값을 계산한 것이다.
초장(cm) 엽수(매) 주경장(cm) 경경(cm) 엽폭(mm)
무처리 38.0 228.2 11.8 2.9 5.5
처리후 43.6 298.8 14.8 3.6 6.6
또한, 지하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표 11에 기재하였다.
분얼수(개) 포기당무게(g) 뿌리길이(cm) 뿌리무게(g)
무처리 59.8 150.5 17.0 102.6
처리후 68.3 276.0 21.1 114.9
표 10 및 표 11의 결과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는 식물의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을 모두 촉진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작물의 생산량 증대에 큰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시비했을 때와 시비하지 않았을 때의 벼의 생장 정도를 나타내는 비교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는 벼의 재배 전 과정에 걸쳐 일정한 배율로 희석하여 시비하였다.
우선 모판에서는 파종기에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10㎖/말의 비율로 시비하였고, 육모기에 5,000배 희석액을 시비하였다.
본답에서는 분얼기(15일후 ~ 물떼기 3일 전)에 5,000배 희석액을 시비하였고, 유수 형성기로부터 배동기 및 출수기(이삭 꽃 종료후부터 호숙기까지)에 2,500~5,000배 희석액을 시비하였다.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시비한 벼에 있어서 일반 벼에 비해 잎의 수나 낱알의 수가 평균 30~40%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도정을 해 보면 도정률이 6~12%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뿌리에 있어서도 식물 영양제를 시비한 벼에 있어서 뿌리의 밀도가 일반 벼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벼의 뿌리의 발근이 일반 벼보다 10~20% 증가되었고, 벼의 절간이 일반 벼보다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인삼의 생장율을 시험하기 위하여 인삼재배 3~6년차에서 5,000배 희석한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봄철에 15일 간격으로 엽면살포하고, 하지~처서에는 사용하지 않고 낙엽 오기 전에 2~3회 엽면살포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삼의 굵기와 잔뿌리의 수가 대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 영양제를 농작물 재배시 시비함으로써 작물의 영양공급 및 내병성을 향상시키고 작물 생산량 및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그러한 변형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Claims (7)

  1. 과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의 발효물로 이루어진 식물 영양제로서,
    상기 과일류는 사과, 감, 개복숭아, 매실, 블루베리, 바나나, 배, 모과, 파인애플, 딸기, 오디, 무화과, 머루, 포도, 여름밀감, 감귤, 유자, 키위, 자두, 아로니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물류는 쑥, 미나리, 곰취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소류는 오이, 토마토, 호박, 피망, 배추, 무, 양배추, 브로콜리, 가지, 샐러리, 알로에, 손바닥 선인장, 돼지감자, 우엉, 당근, 마늘, 토란, 연근, 도라지, 부추, 양파로 이루어지며,
    상기 약초류는 다래, 구기자, 개다래, 마카, 명아주, 질경이, 초석잠, 녹미채, 쇠뜨기, 삼붕냐와, 바위솔, 소엽, 삼백초, 하수오, 인삼, 잔대, 강황, 으름덩굴, 두충나무, 가시오갈피, 홍삼, 삼채, 복분자, 민들레, 백합뿌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류는 밀싹, 보리새싹, 고구마, 조, 옥수수, 검정콩, 검정깨, 참깨, 현미, 수수, 밀, 보리, 호두로 이루어지며,
    상기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파래, 김, 스피루리나, 톳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섯류는 목이버섯, 표고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자실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영양제.
  2. 삭제
  3. 과일류, 화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를 1차 발효하여 각각의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발효물을 혼합하고 고액 분리하여 발효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발효액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2차 발효하는 단계;
    상기 2차 발효물을 숙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과일류는 사과, 감, 개복숭아, 매실, 블루베리, 바나나, 배, 모과, 파인애플, 딸기, 오디, 무화과, 머루, 포도, 여름밀감, 감귤, 유자, 키위, 자두, 아로니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물류는 쑥, 미나리, 곰취로 이루어지며,
    상기 채소류는 오이, 토마토, 호박, 피망, 배추, 무, 양배추, 브로콜리, 가지, 샐러리, 알로에, 손바닥 선인장, 돼지감자, 우엉, 당근, 마늘, 토란, 연근, 도라지, 부추, 양파로 이루어지며,
    상기 약초류는 다래, 구기자, 개다래, 마카, 명아주, 질경이, 초석잠, 녹미채, 쇠뜨기, 삼붕냐와, 바위솔, 소엽, 삼백초, 하수오, 인삼, 잔대, 강황, 으름덩굴, 두충나무, 가시오갈피, 홍삼, 삼채, 복분자, 민들레, 백합뿌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곡물류는 밀싹, 보리새싹, 고구마, 조, 옥수수, 검정콩, 검정깨, 참깨, 현미, 수수, 밀, 보리, 호두로 이루어지며,
    상기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파래, 김, 스피루리나, 톳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섯류는 목이버섯, 표고버섯, 잎새버섯, 영지버섯, 능이버섯자실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차 발효는 과일류, 화훼류, 나물류, 채소류, 약초류, 곡물류, 해조류 및 버섯류의 혼합물에 설탕 및/또는 벌꿀을 혼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유산균, 효모균 또는 유산균과 효모균의 조합 균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1차 발효는 장기자연발효를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영양제의 제조방법.
KR1020150173943A 2015-12-08 2015-12-08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8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943A KR101768448B1 (ko) 2015-12-08 2015-12-08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943A KR101768448B1 (ko) 2015-12-08 2015-12-08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29A KR20170067929A (ko) 2017-06-19
KR101768448B1 true KR101768448B1 (ko) 2017-08-22

Family

ID=5927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943A KR101768448B1 (ko) 2015-12-08 2015-12-08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84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338B1 (ko) * 2017-12-01 2018-06-18 김종광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
CN110679613A (zh) * 2018-07-06 2020-01-14 黄仁云 一种防虫剂配方及其制备方法
KR102314066B1 (ko) * 2019-10-30 2021-10-18 김명환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기능성 콩의 재배방법
KR102335590B1 (ko) * 2020-02-10 2021-12-03 박성호 매실 및 애호박 혼합 발효물을 이용한 기능성이 향상된 애호박의 재배방법
KR102345317B1 (ko) * 2020-07-10 2021-12-29 문홍기 퇴비 부숙제 또는 식물 영양제로 사용하기 위한 액상 조성물
KR102644090B1 (ko) * 2021-11-29 2024-03-05 이성범 마늘껍질 발효액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29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448B1 (ko)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67927A (ko) 가축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38057A (ko) 복합 미생물에 의한 생약재 발효액을 이용한 생리활성 물질 함유 작물 재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재배된 생리활성 물질 함유 작물
KR20170067928A (ko) 미꾸라지 양식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145461A (zh) 具有防病促生增产功能的复合微生物菌肥及其应用
KR101645802B1 (ko) 톱밥배지를 이용한 버섯의 재배방법
CN104488545A (zh) 循环利用秸秆栽培白灵菇、海鲜菇、鸡腿菇的方法
CN105439725A (zh) 一种用于农场现场发酵的多粘类芽孢杆菌药肥及其应用
KR101565035B1 (ko) 신규한 식물 성장촉진용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식물 재배방법
CN104844314A (zh) 一种提高樱桃番茄采后贮藏品质的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BR102013020160A2 (pt) Processo de cultivo sólido de fungos comestíveis e/ou medicinais em substratos vegetais para a obtenção de preparo vegetal miceliado
KR101812850B1 (ko) 미생물을 활용한 친환경 농산물 재배방법
EP3131866B1 (en) New soil activator containing ammonium lignosulfonate, and uses thereof
TWI660672B (zh) 利用芽孢桿菌屬細菌之農作物的栽培方法
CN104871819A (zh) 食用菌的栽培方法
CN105565915A (zh) 一种防蛴螬土壤调理生物肥及其生产方法
CN101928158A (zh) 有机生态活性营养液
KR101238338B1 (ko) 다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포도 및 그 시비방법
CN108314568A (zh) 一种可防治番茄灰霉病与根腐病的缓释长效混合肥
KR101687890B1 (ko) 느타리버섯의 재배방법 및 배지조성물
KR101872494B1 (ko) 작물 생육 촉진용 영양제 및 이를 이용한 작물재배방법
CN106688839A (zh) 一种鸡蛋花栽培基质
CN107827653B (zh) 一种高浓度有机碳酸发酵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DONINI et al. Cultivation of shimejii on elephant grass substrate supplemented with different kinds of bran
CN105732217A (zh) 一种果树专用生态营养保护膜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