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338B1 -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8338B1 KR101868338B1 KR1020170164086A KR20170164086A KR101868338B1 KR 101868338 B1 KR101868338 B1 KR 101868338B1 KR 1020170164086 A KR1020170164086 A KR 1020170164086A KR 20170164086 A KR20170164086 A KR 20170164086A KR 101868338 B1 KR101868338 B1 KR 1018683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pple
- cultivation
- fermented
- mushroom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05—Cultivation method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사과나무에 관수하여 사과의 달콤한 맛과 향 및 색깔이 우수한 고품질의 사과를 재배할 수 있는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사과나무에 관수하여 사과의 달콤한 맛과 향 및 색깔이 우수한 고품질의 사과를 재배할 수 있는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과는 우리나라에서 널리 재배되는 과일로서, 장미과(Rosaceae)에 속하며 25종으로 이루어진 사과나무속(Malus) 식물의 열매로서, 품종은 수확 시기에 따라 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나뉘며, 단백질과 지방이 적고 비타민 C, 칼륨, 나트륨 등의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날로 먹거나 잼, 주스, 사이다, 술 등의 가공식품 원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사과의 중요 성분으로는 유기산, 펙틴, 항산화물질인 프라보노이드, 파이토 뉴트리언트 등이 있다. 이 중에서 펙틴은 1~1.5% 가량 들어 있고 세포와 세포 사이를 접착시켜 주는 시멘트와 같은 역할을 하고, 식물성 섬유로서 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하여 배변을 원활하게 하며, 혈액속의 콜레스테롤 증가를 방지하여 심장병, 고혈압, 동맥경화 등을 예방하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사과를 재배하는데 있어서, 재배 효율을 높이거나 보다 품질이 우수한 사과를 생산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 10-1014330(2011년02월07일)에 세리사이트를 포함하는 제1 물질을 밑거름을 주는 시기에 토양에 살포하는 단계, 세리사이트, 숯, 방해석(석회석) 및 페그마타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2 물질을 5회에 걸쳐 엽면 살포하는 단계, 세리사이트, 물, 방해석(석회석), 페그마타이트, 목초액 및 현미식초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3 물질을 3회에 걸쳐 엽면 살포하는 단계 및 목초액을 침전시켜 상온 17 ℃ ~ 25℃에서 2년간 1차 숙성을 시키는 제1 단계, 제1 단계를 거쳐 생성된 물질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제2 단계 및 제2 단계를 거쳐 생성된 물질을 상온 17 ℃ ~ 25℃에서 6개월간 2차 숙성을 시키고 숙성을 시작하는 시점에 상기 세리사이트를 상기 목초액 1톤당 15kg ~ 20kg을 투입하는 제3 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제4 물질을 4회에 걸쳐 엽면 살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물질은, SiO2 69.6 중량%, Fe2O3 2.51 중량%, Al2O3 13.4 중량%, CaO 0.04 중량%, SO3 0.18 중량%, MgO 0.52 중량%, Na2O 0.18 중량%, K2O 4.31 중량% 및 B2O3 0.15 중량%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물질을 구성하는 성분 중, 상기 세리사이트가 제2 물질의 전체 비중의 15%를 차지하며, 상기 숯 분말이 제2 물질의 전체 비중의 2.5%를 차지하고, 상기 페그마타이트가 제2 물질의 전체 비중의 15%를 차지하며, 상기 방해석(석회석)이 제2 물질의 전체비중의 67.5%를 차지하며, 상기 제3 물질은, 전체 비중에 있어서 전체 비중의 74%가 물, 16.6%가 현미식초, 3.7%가 방해석(석회석), 3.7%가 세리사이트, 1%가 페그마타이트 및 1%가 목초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석을 원재료로 하는 비료 또는 영양제를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0565901(2006년03월23일)에는 고칼슘 사과 재배방법으로서: 패각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천연이온화칼슘제를 물에 희석하여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을 시비하되, 개화 7일 전부터 개화할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을 엽면 살포하는 과정, 낙화 후부터 14일 이내에 상기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을 엽면 살포하는 과정, 및 열매 성장 중 1회 이상 상기 천연이온화칼슘용액을 엽면 살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고칼슘 사과 재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235745(2013년02월15일)에는 무기 바나듐을 무기 콜로이달 바나듐으로 가공하여 무기 콜로이달 바나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무기 콜로이달 바나듐을 액비화 또는 퇴비화하여 무기 콜로이달 바나듐 비료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무기 콜로이달 바나듐 비료를 사과나무에 시비하여 바나듐이 함유된 사과를 수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무기 콜로이달 바나듐 제조단계는 바나듐이 포함된 오산화바나듐, 삼사화바나듐, 메타바나드산 나트륨, 사염화바나듐, 옥시염화 바나듐, 바나드산 암모늄 중의 어느 하나의 광물을 100 메쉬 이하로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광물을 자석 또는 원심분리에 의해서 1차 분리하는 단계; 바나듐 흡착 컬럼을 이용하여 바나듐 이외의 광물을 제거하는 단계; 분리된 바나듐 흡착 컬럼의 충진제를 회수하여 바나듐 원소만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 콜로이달 바나듐을 액비화하는 단계는 pH 3 이하의 수용액 1L에 전체 부피의 8%에 해당하는 바나듐 원소 광물을 혼합하여 30~40의 온도에서 교반하는 단계; 전단계에서 수득된 바나듐 원소 광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전체 부피의 0.2%에 해당하는 글리세롤을 첨가하는 단계; 덩어리진 부분을 100 메쉬 이하로 곱게 분쇄하여 콜로이달 상태로 만드는 단계; 및 콜로이달 상태의 바나듐의 수소이온동도를 pH 5~7 사이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나듐 함유 고기능성 사과의 재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0922689(2009년10월13일)에는 패각을 이용한 이온화 칼슘제의 0.05 ∼ 0.20중량% 수용액을 꽃눈분화기, 착과 15일 ∼ 20일 후, 수확 40일 ∼45일 전, 수확 20일 전 중 적어도 3회 이상 엽면살포하고, 5 ∼ 10나노미터 크기의 규산입자를 함유하는 액상규산졸을 400 ∼ 500rpm으로 교반하면서 온도를 20℃로 유지하고, 액상규산 졸 중량에 대하여 0.01 ∼ 0.1중량%의 분산제를 첨가한 다음, 15 ∼ 20중량% 농도의 염화칼슘수용액을 액상규산졸 중량에 대하여 2 ∼ 3배량 첨가하여 3시간 이상 교반한 후, 0.1 ∼ 5중량% 농도의 베타인 수용액을 액상규산 졸 중량에 대하여 3 ∼ 8중량% 첨가하고 1시간 이상동안 교반하여 제조한 나노 칼슘 베타인 용액을 물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수확 40일 전과 수확 20일 전에 각각 엽면 살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슘의 함량이 높은 사과의 재배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에 의한 사과의 재배방법들은 대부분 비료를 통해 사과의 생산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제공하는 방법으로, 사과의 품질을 높이거나 기능성 성분이 함유된 사과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이기는 하지만,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재배한 것이 아니라 이온화 칼슘제, 액상규산졸, 염화칼슘과 같은 화학재료들을 사용함에 따라 사과를 재배하는 토양의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과의 성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천연재료들을 사용하여 재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대표적으로는 한국등록특허 10-0974426(2010년07월30일)에 톳에 있는 염분을 제거하고 건조한 후 300~500mesh로 파쇄하는 톳분말 제조공정(제1공정)과; 14~26중량%의 상기 제1공정의 톳분말, 1~3중량%의 글루코오스, 1~3중량%의 이스트 엑스트랙트, 68~84중량%의 물을 혼합하는 톳분말 용액 제조공정(제2공정)과; 물에 불린 대두를 증숙하고 300~500mesh로 파쇄한 후 파쇄된 대두에 물을 중량대비 1:4~6으로 첨가하는 대두용액 제조공정(제3공정)과; 액체배지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각각 중량대비 1:0.01~0.03으로 접종한 후 26~32℃에서 140~180rpm으로 조절된 진탕배양기에서 24~72시간 동안 배양하는 배양공정(제4공정)과; 상기 제2공정의 톳분말 용액과 상기 제4공정에서 액체배지에 배양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를 중량대비 1:0.1~0.3으로 혼합한 후 발효하는 톳분말 용액 발효공정(제5공정)과; 상기 제3공정의 대두용액과 상기 제4공정에서 액체배지에 배양된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를 중량대비 1:0.1~0.3으로 혼합한 후 발효하는 대두용액 발효공정(제6공정)과; 상기 제5공정에서 발효된 톳분말 용액과 상기 제6공정에서 발효된 대두용액을 중량대비 1:0.3~0.7로 혼합하고, 300~500mesh의 여과망에서 여과하는 혼합 및 여과공정(제7공정);으로, 제조된 사과재배용 천연발효 조성물을 450~550배의 물로 희석시켜 사과가 착과된 후 25~30일 간격으로 4~5회 엽면살포함으로써 사과의 콜린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콜린 함량을 높힌 사과의 재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34391(2015년06월30일)에는 불가사리 분말 1,000 중량부 및 사과 추출액을 혼합하되, 혼합물의 수분 함량이 60 내지 80%(w/w)가 되도록 사과 추출액을 혼합하는 단계; 불가사리 분말 및 사과 추출액의 혼합물에 빙초산을 혼합하되, 빙초산을 포함하는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5 내지 15 중량%의 빙초산을 혼합한 후, 40 내지 60℃에서 12시간 내지 3일간 교반하는 단계; 불가사리 분말, 사과 추출액 및 빙초산의 혼합물에 효모 배양액을 혼합하되, 불가사리 분말 1,0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 내지 10 중량부의 효모 배양액을 혼합하는 단계; 불가사리 분말, 사과 추출액, 빙초산 및 효모 배양액의 혼합물을 40 내지 60℃에서 1 내지 5일간 교반하여 발효하되, 발효가 완료된 발효물의 수분 함량이 30 내지 40%(w/w)가 되도록 발효하는 단계; 및 밀기울 및 설탕을 물에 녹여 발효 혼합물에 섞어주고 후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과 재배용 퇴비형 영양제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418222(2014년07월03일)에는 (a) 아로니아 추출물 추출단계, (b) 아로니아 추출물 발효단계, (c) 엽면비료 조제단계 및 (d) 엽면비료살포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아로니아 추출액 발효단계에서는 주정을 희석하여 35% 정도의 희석된 주정을 만들어 아로니아 추출물 10kg 당 희석된 주정 30리터를 혼합하여, 상온에서 6개월 동안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로니아 열매추출물을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45431(2015년08월11일)에는 편백나무 가지를 채취하여 편백나무 10kg당 물 20리터에 넣고, 40℃정도의 온도로 30분 동안 가열하여 중탕한 후, 고형물을 제거하여 편백 추출물을 얻는 편백 추출물 추출단계와; 상기 편백 추출물 20리터당 주정(에틸알콜 95%) 10리터를 혼합하여 밀봉상태에서 6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편백추출물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기간을 거친 편백 추출물을 농축기에 넣고 40℃로 가열하여 에틸알코올을 제거하여 얻은 편백 정유에 물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엽면비료를 제조하는 엽면비료 제조단계; 및 상기 엽면비료를 사과나무에 엽면살포하는 엽면비료 살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백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은 여러가지 재료들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추출물들을 사용하는 것들로서 그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사과를 효과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천연발효액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사과나무에 관수하면 사과의 달콤한 맛과 향 및 색깔이 우수한 고품질의 사과를 재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한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사과나무에 관수하여 사과의 달콤한 맛과 향 및 색깔이 우수한 고품질의 사과를 재배할 수 있는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은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관수 파이프를 통해 사과나무에 관수공급하되, 관수공급시기는 7월말, 8월말 및 9월에 각각 관수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이용한 사과재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은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한 것으로 사과나무에 관수하면 사과의 달콤한 맛과 향 및 색깔이 우수한 고품질의 사과를 재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 본 발명의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에 의한 사과비교사진
도 1 본 발명의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관수장치 사진
도 1 본 발명의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관수장치 사진
본 발명은,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은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관수 파이프를 통해 사과나무에 관수공급하되, 관수공급시기는 7월말, 8월말 및 9월말에 각각 관수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이용한 사과재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수천 년 전부터 인류가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해온 생물자원으로, 버섯에는 대사산물인 다당체 및 다당체-펩타이트 복합체,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 단백질이 포함되어 다양한 생리반응 조절능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약리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버섯 중에서 특히, 능이버섯은 생체기능조절에 효과가 높고 암, 뇌졸증, 심장병 등 성인병에 대한 예방과 개선 효과가 좋다고 보고됨에 따라 능이버섯의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능이버섯은 참나무의 뿌리와 외생균근을 형성하며 활엽수림의 지상에서 군생 혹은 단생하는 버섯으로, 아직까지 인공재배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연상태에서의 채취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능이버섯의 자실체는 높이 10~20cm이고, 나팔꽃과 같이 퍼진 깔때기 모양이며, 길이 1cm 이상이 되는 많은 침이 돋아나 있다. 능이버섯의 갓은 지름 7~25cm, 높이 7~25cm로 갓 표면이 거칠고 큰 인편이 있으며, 초기에는 담홍갈색~담갈흑색이나 차차 홍갈색~흑갈색이 되고, 조직은 담홍백색이다. 능이버섯은 건조하면 강한 향기가 나서 일명 향버섯이라고도 일컫는다.
또한, 능이버섯에는 아미노산, 지방산, 유리당, 균당이 포함되어 있고, 식용하거나 한약재로 쓰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민간에서나 한방에서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높아서 고기를 먹고 체했을 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능이버섯을 이용하여 사과를 재배하기 위한 것으로,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고,이를 관수 파이프를 통해 사과나무에 관수공급하되, 관수공급시기는 7월말, 8월말 및 9월말에 각각 관수공급하여 사과를 재배하는 것을 핵심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은 원액 그대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물에 적정량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과를 재배하게 되면, 사과의 달콤한 맛과 향 및 색깔이 우수한 고품질의 사과를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의 제조 및 사과나무 관수]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10kg : 20리터 : 10Kg)으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도 2]와 같이 관수 파이프를 통해 7월말, 8월말 및 9월말에 각각 관수공급하였다.
[사과재배 비교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관수한 경우(시험구)와 관수하지 않은 경우(대조구)의 사과당도(당질함량), 크기 및 색깔을 비교분석하고 다음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항목 | 시험구 | 대조구 |
당질(%) | 16.4 | 15.6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관수한 경우는 관수하기 않은 경우에 비하여 당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당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의 다당체로 인한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관수한 경우(좌측 사과 사진)는 관수하기 않은 경우(우측 사과 사진)에 비하여 크기가 훨씬 크고 색깔이 더욱 빨간색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사용하게 되면, 종래 사과재배에 있어 사과 아랫부분을 익게 하게 위해 보통은 은박지를 깔고 은박지에 반사된 햇빛이 사과에 반사되도록 나뭇잎을 따내지만 전혀 그럴 필요가 없어졌고 따라서 사과 색깔을 위해 약을 사용할 필요도 없어졌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사용하게 되면, 부란병(사고암/질병)이 생기지 절대 생기지 않는 등 질병이 완전히 예방되고 없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 삭제
- 삭제
- 능이버섯 : 물 : 설탕을 1 : 2: 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1년 동안 숙성, 발효시켜 여과하고 물에 희석한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관수 파이프를 통해 사과나무에 관수공급하되, 관수공급시기는 7월말, 8월말 및 9월말에 각각 관수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을 이용한 사과재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4086A KR101868338B1 (ko) | 2017-12-01 | 2017-12-01 |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4086A KR101868338B1 (ko) | 2017-12-01 | 2017-12-01 |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8338B1 true KR101868338B1 (ko) | 2018-06-18 |
Family
ID=6276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4086A KR101868338B1 (ko) | 2017-12-01 | 2017-12-01 |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8338B1 (ko)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5901B1 (ko) | 2005-08-30 | 2006-03-29 | 김재인 | 고칼슘 사과 재배방법 |
KR100922689B1 (ko) | 2009-05-26 | 2009-10-19 | 김영열 | 칼슘의 함량이 높은 사과의 재배 방법 |
KR100974426B1 (ko) | 2010-01-26 | 2010-08-05 | 김대환 | 사과재배용 천연발효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콜린 함량이 높은 사과의 재배방법 |
KR101014330B1 (ko) | 2010-06-22 | 2011-02-14 | 신동수 | 세리사이트 및 페그마타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료 또는 영양제를 이용한 약돌사과의 재배방법 |
KR101235745B1 (ko) | 2012-10-04 | 2013-02-21 | 권재만 | 바나듐 함유 고기능성 사과의 재배방법 |
KR101418222B1 (ko) | 2013-12-04 | 2014-07-10 | 박규원 |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의 재배방법 |
KR101534391B1 (ko) | 2013-06-24 | 2015-07-09 | 김재홍 | 사과 재배용 퇴비형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
KR101545431B1 (ko) | 2014-01-10 | 2015-08-18 | 박규원 | 편백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 |
KR20170067929A (ko) * | 2015-12-08 | 2017-06-19 |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
-
2017
- 2017-12-01 KR KR1020170164086A patent/KR1018683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5901B1 (ko) | 2005-08-30 | 2006-03-29 | 김재인 | 고칼슘 사과 재배방법 |
KR100922689B1 (ko) | 2009-05-26 | 2009-10-19 | 김영열 | 칼슘의 함량이 높은 사과의 재배 방법 |
KR100974426B1 (ko) | 2010-01-26 | 2010-08-05 | 김대환 | 사과재배용 천연발효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하여 콜린 함량이 높은 사과의 재배방법 |
KR101014330B1 (ko) | 2010-06-22 | 2011-02-14 | 신동수 | 세리사이트 및 페그마타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비료 또는 영양제를 이용한 약돌사과의 재배방법 |
KR101235745B1 (ko) | 2012-10-04 | 2013-02-21 | 권재만 | 바나듐 함유 고기능성 사과의 재배방법 |
KR101534391B1 (ko) | 2013-06-24 | 2015-07-09 | 김재홍 | 사과 재배용 퇴비형 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
KR101418222B1 (ko) | 2013-12-04 | 2014-07-10 | 박규원 | 아로니아 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의 재배방법 |
KR101545431B1 (ko) | 2014-01-10 | 2015-08-18 | 박규원 | 편백 추출물을 이용한 사과 재배방법 |
KR20170067929A (ko) * | 2015-12-08 | 2017-06-19 | 주식회사 한국에프에프씨 | 식물 영양제 및 이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897273A (zh) | 一种鸡腿菇栽培方法及栽培基质 | |
KR101337391B1 (ko) | 세리사이트가 함유된 비료를 이용하여 사과, 배 또는 감귤을 재배하는 방법 | |
CN104987156B (zh) | 一种利用菌糠的宾王菇培养基及栽培宾王菇的方法 | |
CN103343104B (zh) | 一种植源益生菌液的制备工艺 | |
CN104945166A (zh) | 一种食用菌培养基 | |
CN102273377A (zh) | 一种牛肝菌或红菌的栽培方法 | |
CN108157059A (zh) | 一种鸡腿菇生产方法 | |
CN110885266A (zh) | 含硒氨基酸植物营养液的制备及其应用 | |
KR20020084970A (ko) | 천연약용식물을 주재로 하는 건강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 |
CN104211494A (zh) | 一种猴头菇培养料及其制作方法 | |
CN106007854A (zh) | 猕猴桃专用肥及其生产方法 | |
CN109006185A (zh) | 一种富硒金针菇培养基质及其栽培方法 | |
CN109122042A (zh) | 一种抗病菌金针菇培养基质及其栽培方法 | |
CN109168957A (zh) | 一种高产金针菇培养基质及其栽培方法 | |
CN104844285A (zh) | 一种提高樱桃番茄免疫力的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 |
CN108373378A (zh) | 一种光合加速剂的制备方法 | |
CN112772285A (zh) | 一种大球盖菇培养料及其栽培大球盖菇的方法 | |
CN107522542A (zh) | 一种豇豆种植液体肥及其制备方法 | |
CN112514734A (zh) | 一种桑黄菌室内栽培方法 | |
CN1557121A (zh) | 毛木耳北方栽培方法 | |
KR100862992B1 (ko) | 채소 재배용 한방영양제의 제조방법 및 그 영양제를 이용한채소 재배방법 | |
KR101868338B1 (ko) | 사과재배용 능이버섯 발효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과재배방법 | |
KR100555086B1 (ko) | 천연폐기물을 발효시킨 유기질 비료 및 그 제조방법 | |
CN107746319A (zh) | 一种水溶有机肥及其在五彩辣椒种植中的应用 | |
CN107198226A (zh) | 一种辣木芽苗自发酵冷干粉及其制备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