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527B1 -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527B1
KR102335527B1 KR1020170080973A KR20170080973A KR102335527B1 KR 102335527 B1 KR102335527 B1 KR 102335527B1 KR 1020170080973 A KR1020170080973 A KR 1020170080973A KR 20170080973 A KR20170080973 A KR 20170080973A KR 102335527 B1 KR102335527 B1 KR 102335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cover
leaf spring
airbag modu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267A (ko
Inventor
정언재
박준모
정태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0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527B1/ko
Priority to US15/813,555 priority patent/US10493942B2/en
Priority to CN201711163945.5A priority patent/CN109131151A/zh
Priority to DE102017220806.6A priority patent/DE102017220806A1/de
Publication of KR20190001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60R21/21658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with integrated switches, e.g. horn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에어백 모듈과 함께 장착되는 혼의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혼 작동시 에어백 모듈이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백 모듈은 고정된 상태에서 혼 작동용 커버만이 하강하여 접점스위치의 스위칭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혼 작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이 작동하는 시점에서의 운전자가 혼 작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DEVICE FOR OPERATING HORN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휠에 에어백 모듈과 함께 장착되는 혼의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운전석용 에어백 모듈은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에 내설되어 있고, 스티어링 휠의 중앙부 전면에는 에어백 모듈의 커버이면서 동시에 혼 작동을 위한 혼 커버가 형성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을 참조하면, 스티어링 휠(10)의 중앙부에 에어백 모듈(20)이 배치되어 있고, 이 에어백 모듈(20)의 전체 표면은 에어백 모듈의 커버이면서 혼 작동을 위한 커버(22)로 둘러싸여 있다.
참고로,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폭발시 상기 커버(22)가 찢어지면서 에어백이 전개된다.
특히, 상기 스티어링 휠(10)의 프레임부(12)와 상기 커버(22)로 둘러싸인 에어백 모듈(20)의 저부 간에는 복수개의 코일스프링(30)이 압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첨부한 도 2를 참조하면, 혼 작동을 위한 회로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22)로 둘러싸인 에어백 모듈(20)의 저부와 스티어링 휠(10)의 프레임부(12) 간에는 접점 스위치(24)가 장착되어 있고, 이 접점스위치(24)는 릴레이(26)를 통해 경적음을 발생시키는 혼(28)과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혼 작동을 위하여 상기 커버(22)를 누르면 커버(22) 및 에어백 모듈(20) 전체가 코일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커버(22)에서 손을 떼면 다시 혼 커버(22) 및 에어백 모듈(20)은 코일스프링(3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혼 작동을 위하여 상기 커버(22)를 눌러서 커버(22) 및 에어백 모듈(20) 전체가 코일스프링(30)을 압축시키면서 일정 길이 이상 하강하면, 상기 접점 스위치(24)가 접촉하여 통전되는 스위칭 온 상태가 되어 혼(28)이 경적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혼 작동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첨부한 도 3에서 보듯이 혼 작동을 위하여 스프링의 반발력을 저하시키면 래틀 현상이 발생하고, 반면 래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의 반발력을 올리면 운전자가 혼을 작동시키기 위한 혼 작동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운전자에 의한 혼 작동력 즉, 운전자가 커버를 눌렀을 때 에어백 모듈이 코일스프링의 반발력을 이기고 하강하기 위하여 필요한 힘이 3Kgf 이상으로 설정됨에 따라, 운전자가 커버를 누르는 작동감을 무겁게 느끼게 되고, 반면 상기 혼 작동력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을 반발력이 작은 사양으로 채택하면 혼 작동력이 저감되어 운전자가 작은 힘으로도 혼을 작동시킬 수 있지만, 에어백 모듈에 대한 코일스프링의 지지력이 약화되어 주행 진동 등에 의하여 에어백 모듈 전체가 떨리게 되는 현상(래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둘째,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프레임부 간에는 코일스프링의 높이만큼 간극이 발생된 상태이므로, 이 간극에 각종 배선 중 일부가 끼이게 되면, 혼 작동력이 더 증가할 수 있고, 아예 에어백 모듈의 하강 작동에 대한 간섭을 일으켜 혼 작동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혼 작동시 에어백 모듈이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백 모듈은 고정된 상태에서 혼 작동용 커버만이 하강하여 접점스위치의 스위칭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혼 작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혼이 작동하는 시점에서의 운전자가 혼 작동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의 프레임에 고정 장착된 에어백 모듈의 상부 및 둘레부를 커버하며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혼 작동용 커버;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혼 작동용 커버에 의하여 눌림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전성의 판스프링; 및 상기 판스프링의 아래쪽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전성의 접촉단; 를 포함하고, 상기 혼 작동용 커버만이 하강하여 판스프링의 타단부를 가압하면, 혼 작동을 위한 판스프링과 접촉단 간의 통전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에는 판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장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에서 장착홀의 인접 위치에는 혼 작동용 배선라인이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위치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 부분에는 혼이 작동되는 시점에서 혼 작동감을 제공하기 위한 벤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단에는 각각 혼 작동용 배선라인이 연결되고, 혼 작동용 배선라인은 프레임에 구비된 커넥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혼 작동용 커버의 둘레부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둘레부에는 혼 작동용 커버의 승하강 직선안내를 위하여 슬롯에 끼워지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 작동용 커버의 저면과 에어백 모듈의 상면 간에는 혼 작동용 커버의 하강을 위한 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운전자가 혼 작동용 커버를 누르면, 에어백 모듈은 고정된 상태에서 혼 작동용 커버만이 하강하여 접점스위치의 스위칭 접촉이 이루어져 혼이 작동되돌고 함으로써, 기존에 에어백 모듈까지 하강하여 접점스위치가 스위칭 접촉되던 방식에 비하여 혼 작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운전자가 혼을 작동시킬 때 느끼던 무게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원활하게 혼을 작동시킬 수 있다.
둘째, 판스프링에 벤딩 구조를 형성하여 판 스프링의 눌림시 프리-로드(Pre-load)구간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실제 혼이 작동하는 시점에서의 혼 작동감을 운전자가 느낄 수 있고, 그에 따라 운전자의 혼 작동감을 만족시킬 수 있다.
셋째, 에어백 모듈은 고정된 상태에서 혼 작동용 커버만이 승하강하게 되므로, 기존에 에어백 모듈과 스티어링 휠의 프레임 사이에 각종 배선이 끼여서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혼이 작동하기 위한 전기적 회로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혼 작동을 위한 혼 작동력과 래틀 발생율이 반비례 관계임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의 판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의 혼 작동용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의 작동 중 프리-로드 유무에 따른 혼 작동감을 비교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면부호 40은 혼 작동용 커버를 지시한다.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는 저부가 개방된 구조로서, 스티어링 휠(10)의 프레임(12)에 고정 장착되는 에어백 모듈(20)을 커버하는 에어백 커버 역할도 겸하게 된다.
상기 에어백 모듈(20)이 스티어링 휠(10)의 프레임(12)에 고정 장착됨에 따라, 에어백 모듈(20)의 상부 및 둘레부를 커버하는 혼 작동용 커버(40)는 승하강 가능한 상태가 된다.
특히, 상기 스티어링 휠(10)의 프레임(12)에는 혼 작동용 커버(40)의 하강시 눌려지게 되는 도전성의 판스프링(50)이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판스프링(50)의 일단부(내측단부)는 상기 프레임(12)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부(외측단부)는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에 의하여 눌림 가능하게 자유단 상태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50)의 아래쪽에는 판스프링(50)의 타단부와 접촉 가능한 도전성의 접촉단(60)이 배치된다.
한편, 혼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의 하단부가 판스프링(50)의 타단부 상면에 단순히 접촉 지지되고, 판스프링(50)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탄성복원력을 갖지 않는 중립 상태)를 유지하며, 또한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의 저면과 에어백 모듈(20)의 상면 간에는 혼 작동용 커버(40)의 하강거리 확보를 위한 갭(42)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혼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를 눌러주면 혼 작동용 커버(40) 만이 하강하게 되고, 연이어 혼 작동용 커버(40)가 판스프링(50)의 타단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에 가압된 판스프링(50)의 타단부가 도전성의 접촉단(60)에 닿아 판스프링(50)과 접촉단(60) 간의 통전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써, 혼이 경적음을 발생시키는 작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혼 작동 과정은 하기에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의 판스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판스프링(50)의 일단부(내측단부)에는 판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장착홀(52)이 형성되며, 이 장착홀(52)을 통해 볼트와 너트(54)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프레임(12)에 대하여 판스프링(50)의 고정 장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50)의 일단부에서 장착홀이 형성된 위치로부터 안쪽 인접 위치에는 혼 작동용 배선라인(62)이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위치고정홀(56)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판스프링(50)의 위치고정홀(56)에 혼 작동용 배선라인(62 : 예, (+)용 라인)이 연결됨과 함께 상기 접촉단(60)에도 혼 작동용 배선라인(62 : 예 (-)용 라인)이 연결되며, 각 혼 작동용 배선라인(62)의 말단부는 프레임(12)에 구비된 커넥터(14)에 함께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커넥터(14)는 경적음을 발생시키는 혼에 전원 공급 가능하게 연결된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의 혼 작동용 커버를 나타낸다.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가 눌리며 하강하거나 본래 위치로 승강할 때 직진성이 보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도 8에서 보듯이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의 둘레부에 상하방향의 슬롯(44)이 관통 형성되고, 프레임(12)의 둘레부에는 혼 작동용 커버(40)의 승하강 직선안내를 위하여 슬롯(44)에 끼워지는 안내돌기(16)가 돌출 형성된다.
이에,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의 승하강시 프레임(12)의 안내돌기(16)가 마치 슬롯(44)을 따라 위치 이동하면서 혼 작동용 커버(40)의 승하강 방향을 직선으로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혼 작동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혼 작동을 위하여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를 누르면, 혼 작동용 커버(40)는 최대 에어백 모듈(20)과의 거리인 갭(42) 만큼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에어백 모듈(20)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혼 작동용 커버(40)만이 하강하면, 혼 작동용 커버(40)의 하단부가 판스프링(50)의 타단부(외측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판스프링(50)의 타단부가 일단부의 고정점을 중심으로 하강하여 도전성의 접촉단(60)에 닿게 됨으로서, 판스프링(50)과 접촉단(60) 간의 통전 접촉이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운전자가 혼 작동을 위해 에어백 커버 즉, 혼 작동용 커버(40)를 누르면, 도전성의 판스프링(50)과 접촉단(60) 간의 통전 접촉에 의한 스위칭과 함께 혼이 작동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판스프링(50)의 위치고정홀(56)에 혼 작동용 배선라인(62 : 예, (+)용 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접촉단(60)에는 혼 작동용 배선라인(62 : 예 (-)용 라인)이 연결되며, 각 혼 작동용 배선라인(62)의 말단부는 프레임(12)에 구비된 커넥터(14)에 함께 연결된 상태이므로, 커넥터(14)를 통하여 혼에 전원이 공급되어 혼이 경적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혼 작동시 에어백 모듈은 고정된 상태에서 혼 작동용 커버(40) 만이 움직이므로, 기존에 에어백 모듈 전체가 움직이는 것에 비하여 움직이는 부분의 질량이 1/5로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래틀 방지는 물론 혼 작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3kgf의 혼 작동력보다 작은 약 2kgf까지 혼 작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혼 작동용 커버(40)를 누를 때 판스프링(50)이 접촉단(60)을 향하여 일정한 힘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운전자는 혼이 작동되는 시점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을 수 있다.
이에, 실제 혼이 작동하는 시점에서의 혼 작동감을 운전자가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판스프링(50)에 벤딩 구조를 적용하여 판 스프링의 눌림시 프리-로드(Pre-load) 구간이 발생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판스프링(50)의 중간부분 즉,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 구간에서 장착홀(52)과 인접된 부분에 소정 각도로 절곡된 벤딩부(58)를 형성함으로써, 판 스프링(50)의 눌림시 벤딩부(58)로 인하여 프리-로드(Pre-load) 구간이 발생되도록 한다.
첨부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판스프링(50)에 벤딩부(58)가 없는 경우 판스프링(50)이 눌리는 힘이 일정하게 변하여 운전자가 혼이 작동되는 시점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게 되지만, 반면 상기 판스프링(50)에 벤딩부(58)가 있는 경우에는 판스프링(50)이 눌리는 힘이 급격한 기울기로 변하는 프리-로드 구간이 발생하게 되어 운전자가 혼이 작동되는 시점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판스프링(50)이 눌리는 힘이 급격한 기울기로 변하는 프리-로드 구간에서 다시 완만한 기울기로 변하는 순간을 운전자가 혼 작동용 커버(40)를 누를 때 느끼게 되므로, 혼이 작동하는 시점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운전자의 혼 작동감을 만족시킬 수 있다.
10 : 스티어링 휠
12 : 프레임
14 : 커넥터
16 : 안내돌기
20 : 에어백 모듈
22 : 커버
24 : 접점 스위치
26 : 릴레이
28 : 혼
30 : 코일스프링
40 : 혼 작동용 커버
42 : 갭
44 : 슬롯
50 : 판스프링
52 : 장착홀
54 : 볼트와 너트
56 : 위치고정홀
58 : 벤딩부
60 : 접촉단
62 : 혼 작동용 배선라인

Claims (7)

  1. 스티어링 휠의 프레임에 고정 장착된 에어백 모듈의 상부 및 둘레부를 커버하며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는 혼 작동용 커버;
    일단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부는 상기 혼 작동용 커버에 의하여 눌림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전성의 판스프링;
    상기 판스프링의 아래쪽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전성의 접촉단;
    를 포함하고,
    상기 혼 작동용 커버만이 하강하여 판스프링의 타단부를 가압하면, 혼 작동을 위한 판스프링과 접촉단 간의 통전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판스프링의 중간 부분에는 혼이 작동되는 시점에서 혼 작동감을 제공하기 위한 벤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에는 판스프링의 고정을 위한 장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에서 장착홀의 인접 위치에는 혼 작동용 배선라인이 도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위치고정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단에는 각각 혼 작동용 배선라인이 연결되고, 혼 작동용 배선라인은 프레임에 구비된 커넥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 작동용 커버의 둘레부에는 슬롯이 형성되고, 프레임의 둘레부에는 혼 작동용 커버의 승하강 직선안내를 위하여 슬롯에 끼워지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 작동용 커버의 저면과 에어백 모듈의 상면 간에는 혼 작동용 커버의 하강을 위한 갭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KR1020170080973A 2017-06-27 2017-06-27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KR10233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73A KR102335527B1 (ko) 2017-06-27 2017-06-27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US15/813,555 US10493942B2 (en) 2017-06-27 2017-11-15 Device for operating horn of vehicle
CN201711163945.5A CN109131151A (zh) 2017-06-27 2017-11-21 用于操作车辆的喇叭的装置
DE102017220806.6A DE102017220806A1 (de) 2017-06-27 2017-11-22 Einrichtung zum Betreiben eines Horns eines Fahrzeu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973A KR102335527B1 (ko) 2017-06-27 2017-06-27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67A KR20190001267A (ko) 2019-01-04
KR102335527B1 true KR102335527B1 (ko) 2021-12-03

Family

ID=6456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973A KR102335527B1 (ko) 2017-06-27 2017-06-27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93942B2 (ko)
KR (1) KR102335527B1 (ko)
CN (1) CN109131151A (ko)
DE (1) DE102017220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2613B (zh) * 2019-10-31 2020-07-21 进顺汽车零部件如皋有限公司 一种基于汽车扬声器用装饰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4809A1 (en) * 2000-05-31 2001-12-27 Tadahiro Igawa Airbag module with horn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9100B2 (ja) * 1990-08-28 1999-04-05 東海通信工業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US5327796A (en) * 1992-12-28 1994-07-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Horn switch actuated by rocking air bag module
JP3005934B2 (ja) * 1994-10-24 2000-02-07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ホーンスイッチ
JPH08207783A (ja) * 1994-12-07 1996-08-13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8230682A (ja) * 1995-03-01 1996-09-10 Toyoda Gosei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パッドのホーンスイッチ機構
US5650600A (en) * 1995-06-01 1997-07-22 Trw Inc. Horn switch for air bag module
US5738369A (en) * 1996-10-09 1998-04-1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Snap-on air bag and horn switch module
JPH11297155A (ja) * 1998-04-07 1999-10-29 Takata Kk ステアリングデバイス
DE29901286U1 (de) * 1999-01-26 1999-05-12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Biegehaken
DE20213908U1 (de) * 2002-09-09 2003-01-30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Airbagmodul sowie Baugruppe aus einem Lenkrad und einem Airbagmodul
JP2004168284A (ja) * 2002-11-01 2004-06-17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
DE20307096U1 (de) * 2003-05-07 2003-10-09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Baugruppe aus einem Lenkrad und einem Gassackmodul
JP4322080B2 (ja) * 2003-09-22 2009-08-26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7159898B2 (en) * 2004-04-20 2007-01-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air bag module retention system
JP2005313713A (ja) * 2004-04-27 2005-11-10 Takata Corp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7035609A (ja) * 2004-12-10 2007-02-08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4889254B2 (ja) * 2005-07-20 2012-03-07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WO2007013635A1 (ja) * 2005-07-28 2007-02-01 Autoliv Development Ab エアバッグ装置
DE202005013383U1 (de) * 2005-08-24 2006-02-09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Fahrzeuglenkrad mit Gassackmodul
DE102008046382A1 (de) * 2008-09-09 2010-03-1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Hupenmodul für ein Fahrzeuglenkrad und Fahrzeuglenkrad
DE102008062421A1 (de) * 2008-12-17 2010-07-08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einheit
JP2010146947A (ja) * 2008-12-22 2010-07-01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US9195257B2 (en) * 2010-11-19 2015-11-24 Honda Motor Co., Ltd. Steering wheel
JP5790311B2 (ja) * 2011-08-24 2015-10-07 タカタ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EP2907700B1 (en) * 2014-02-17 2021-07-21 Dalphi Metal España, S.A. Hor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54809A1 (en) * 2000-05-31 2001-12-27 Tadahiro Igawa Airbag module with horn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220806A1 (de) 2018-12-27
US20180370477A1 (en) 2018-12-27
CN109131151A (zh) 2019-01-04
US10493942B2 (en) 2019-12-03
KR20190001267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61308A1 (en) Vehicle steering wheel
KR102394806B1 (ko) 자동차의 혼 작동 장치
KR102335527B1 (ko) 자동차용 혼 작동 장치
CN109690716B (zh) 按压开关
US7397004B2 (en) Push-switch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40004344A1 (en) Horn switch integrated with airbag module
JP2013201131A (ja) 電流のためのホイルスイッチ
US20050023117A1 (en) Stoplight switch and mounting method
US3517145A (en) Padded steering wheel horn switch
CN209071185U (zh) 一种实现按压手感的按键开关
KR20210006316A (ko) 차량용 핸들장치
JP2009043524A (ja) レバースイッチ
JP2006518537A (ja) 自浄接点を有するスイッチ
KR200461997Y1 (ko) 방수형 누름 버튼 스위치
EP1475816A1 (en) Operating switch
KR100784186B1 (ko) 스위치
JP4295599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273832B1 (ko) 혼 스위치
JP4617229B2 (ja) 押釦スイッチ
US11001216B2 (en) Driver seat airbag
KR20140028404A (ko) 키 버튼 장치
JP4844372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KR20190044741A (ko)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20180092524A (ko) 접지 스프링 장치
KR102199346B1 (ko) 차량용 핸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