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404A - 키 버튼 장치 - Google Patents

키 버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404A
KR20140028404A KR1020120094573A KR20120094573A KR20140028404A KR 20140028404 A KR20140028404 A KR 20140028404A KR 1020120094573 A KR1020120094573 A KR 1020120094573A KR 20120094573 A KR20120094573 A KR 20120094573A KR 20140028404 A KR20140028404 A KR 20140028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 button
case frame
protruding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1151B1 (ko
Inventor
김지훈
김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1151B1/ko
Priority to CN2012206211591U priority patent/CN202948844U/zh
Publication of KR20140028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1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1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키 버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 및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하는 키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돌출되는 키 탑과, 상기 키 탑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키 탑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플렌지부 및 상기 키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키 탑의 상, 하 유동에 따라 상기 걸림 수단에 걸려 상기 키 버튼의 유동각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키 버튼 가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수단을 포함하여, 키 버튼의 상, 하 유동시 이를 단속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동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우수한 클릭감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 버튼 장치{KEY BUTTON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위한 키버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는 데이터 입력, 커서의 이동, 볼륨의 조절 등 사용자에 의한 전자 장치의 조작을 위한 키 버튼이 설치된다. 대체적으로 이러한 키 버튼은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키 홀에 키 탑의 일부가 돌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키 탑에서 전자 장치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액추에이터에 의해 전자 장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칭 수단을 가압하는 기계적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스위칭 수단으로는 전자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술한 액추에이터의 가압 범위에 배치되어 액추에이터의 가압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스위칭 수단으로는 탄소 접점을 선택적으로 연결시켜주기 위한 메탈돔이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메탈돔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가압받을 때 스위칭 기능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일정 클릭감을 제공하기도 한다.
도 1은 키 버튼이 설치된 일반 전자 장치(1)의 사시도이다.
전자 장치(1)로는 스마트 폰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으며, 키 버튼(100)으로는 전자 장치(1)의 측면(3)에 돌출 설치되는 사이드 키 버튼을 도시하였다. 전자 장치(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가 설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4)의 상부에는 이어 피스(ear piece)(5)가 설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4)의 하측으로는 마이크로폰 장치(6)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키 버튼(10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 받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가압 동작시에 상, 하 방향으로 일정 각도 만큼 유동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종래의 구조에 의해 설치되는 키 버튼(100)은 이러한 유동각이 크기 때문에 오랜 사용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고 사용자에게 현저히 저하된 클릭감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1)의 신뢰성 저하를 유발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키 버튼(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의 키 버튼(100)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종래의 키 버튼(100)은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에 형성된 키 홀(21)에 돌출되는 키 탑(101)과, 키 탑(101)에서 연장 형성되고 키 탑(101)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케이스 프레임(20)의 내측에 배치되는 플렌지부(102, 103) 및 플렌지부(102, 103)에서 키 버튼(100)의 가압 방향으로 돌출되는 액추에이터(104)를 포함한다. 또한, 플렌지부(102, 103)의 양단에는 일정 길이로 지지편(105)이 형성되어 케이스 프레임(20)의 키 홀(21) 양측에 설치된 지지홈(미도시 됨)에 삽입되어 키 버튼(100)이 케이스 프레임(20)의 외측 또는 내측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키 탑(101)이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키 버튼(100)이 케이스 프레임(20)의 키 홀(21)에서 키 탑(101)만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플렌지부(102, 103)는 케이스 프레임(20)의 키 홀(21)의 내측면(213, 214)에 의해 간섭받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렌지부(102)는 키 홀(21)의 내측면 상부(213)에 의해 간섭을 받으며, 하부 플렌지부(103)는 키 홀(21)의 내측면 하부(214)에 의해 간섭을 받는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의 키 버튼(100)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로써, (a)는 키 탑(101)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된 상태이며, (b)는 키 탑(101)이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키 탑(101)이 상, 하측 방향으로 유동될 때 상부 플렌지부(102)와 하부 플렌지부(103)가 각각 키 홀(21)의 내측면 상, 하부(213, 214)에 의해 간섭받음과 동시에 키 탑(101)이 키 홀(21)의 도입부인 키 홀 상부(211)와 키 홀 하부(212)에 의해 간섭받는다.
즉,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탑(101)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경우 상부 플렌지부(102)는 키 홀(21)의 내측면 상부(213)에 의해 간섭받음과 동시에 키 탑(101)의 하측 부분이 키 홀(21)의 키 홀 하부(212)에 의해 간섭 받는다.
또한,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 탑(101)이 상측 방향으로 유동되었을 경우 하부 플렌지부(103)는 키 홀(21)의 내측면 하부(214)에 의해 간섭받음과 동시에 키 탑(101)의 상측 부분이 키 홀(21)의 키 홀 상부(211)에 의해 간섭 받는다.
따라서, 키 버튼의 플렌지부(102, 103)와 케이스 프레임(20)에 형성된 키 홀(21)의 자체 구조만으로 상호 간섭되는 체결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탑(101)이 하측 방향으로는 7도, 상측 방향으로는 9도 이상의 유동각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큰 유동각은 잦은 키 버튼(100)의 눌림 동작에 의해 파손을 유발하게 되며, 사용자에게 원활한 클릭감을 제공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키 버튼(100)의 오동작은 전자 장치(1) 전체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키 버튼의 유동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키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랜 기간 동안 반복적인 가압 동작이 수행되더라도 항상 일정한 클릭감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키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버튼의 상, 하 방향으로의 유동각을 최소화하여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향상이 이바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키 버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랜 기간 사용하더라도 항상 신뢰성 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키 버튼 장치가 마련된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키 버튼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 및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하는 키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돌출되는 키 탑과, 상기 키 탑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키 탑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플렌지부 및 상기 키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키 탑의 상, 하 유동에 따라 상기 걸림 수단에 걸려 상기 키 버튼의 유동각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키 버튼 가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돌출 수단으로는 상기 플렌지부에서 가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칭 수단을 가압하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플렌지부에서 가압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일 수 있고,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릴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상기 플렌지부 자체일 수 있다.
또한,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키 버튼의 상, 하 유동에 따라 상기 돌출 수단의 상, 하 단부가 걸리도록 배치되는 일정 간격을 갖는 한 쌍의 걸림편일 수 있으며, 상기 키 버튼의 상, 하 유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시에 상기 돌출 수단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하나가 걸릴 수 있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키 버튼의 상, 하 유동시 이를 단속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유동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고 우수한 클릭감을 제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자 장치의 신뢰성 향상에 일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키 버튼이 설치된 일반 전자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키 버튼의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의 키 버튼이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도 2의 키 버튼이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버튼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키 버튼이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키 버튼이 전자 장치의 케이스 프레임 내부에 에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및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버튼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키 버튼이 설치된 일반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나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도 5의 10)이 적용될 수 있다.
전자 장치(1)로는 스마트 폰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또한, 키 버튼으로는 전자 장치(1)의 측면(3)에 돌출 설치되는 사이드 키 버튼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 설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일반 숫자/문자 키 버튼, 전원 버튼, 웨이크 업 버튼 등 다양한 버튼에 적용가능할 것이다.
한편, 전자 장치(1)의 전면(2)에는 디스플레이 장치(4)가 설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4)의 상부에는 이어 피스(ear piece)(5)가 설치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4)의 하측으로는 마이크로폰 장치(6)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키 버튼(10)은 사용자에 의해 가압 받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가압 동작시에 상, 하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유동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치 구조에 의해 설치되는 키 버튼(10)은 이러한 유동각을 최소화시켰기 때문에 작동 신뢰성이 보장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은 제조자의 케이스 프레임 프레임 설계에 따라 유동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키 버튼(1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키 버튼(10)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은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에 형성된 키 홀(21)에 돌출되는 키 탑(11)과, 키 탑(11)에서 연장 형성되고 키 탑(11)보다 넓은 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되며 케이스 프레임(21)의 내측에 배치되는 플렌지부(12) 및 플렌지부(12)에서 키 버튼(10)의 가압 방향으로 돌출되는 액추에이터(13)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13)는 미도시된 전자 장치(1)의 내부에 설치되는 스위칭 수단을 접촉에 의해 스위칭시키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스위칭 수단으로는 메탈돔(metal dome)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추에이터(13)는 도 5의 X축 방향으로 종래 기술의 그것보다 상대적으로 더 긴 길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또한, 플렌지부(12)의 양단에는 일정 길이로 지지편(14)이 형성되어 케이스 프레임(20)의 키 홀(21) 양측에 설치된 지지홈(미도시 됨)에 삽입되어 키 버튼(10)이 케이스 프레임(20)의 외측 또는 내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키 탑(11)이 항상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는 상술한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를 지지하기 위한 걸림편(215)이 형성되며,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는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의 간섭을 받도록 설치된다.
더욱 바람직게도, 종래의 기술과 다르게, 플렌지부(12)는 단순히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서 키 탑(11)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 키 탑(11)의 상, 하 방향의 유동을 간섭하지는 않는다. 즉, 플렌지부(12)가 키 홀(21)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간섭 동작 이전에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가 케이스 프레임(20)에 마련된 걸림편(215)에 간섭을 받거나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가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에 의해 간섭을 미리 받도록 하여 키 탑(11)의 상, 하 방향으로의 유동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키 버튼(10)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로써, (a)는 키 탑(11)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된 상태이며, (b)는 키 탑(11)이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탑(11)이 하측 방향으로 유동될 때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가 케이스 프레임(20)의 내측에 마련된 걸림편(131)에 의해 간섭을 받으며 이와 동시에 키 탑(11)의 하부는 키 홀(21)의 도입부인 키홀 하부(212)의 간섭을 받도록 구현된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탑(11)이 상측 방향으로 유동될 때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가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에 의해 간섭을 받으며 이와 동시에 키 탑(11)의 상부는 키 홀(21)의 도입부인 키 홀 상부(211)의 간섭을 받도록 구현된다. 즉, 종래의 키 탑(11)의 유동각을 크게 유도했던 플렌지부(12)의 간섭 구조를 미연에 배제시킨 것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버튼(10)의 키 탑(11)은 종래의 그것보다 X축 방향으로 좀더 연장된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가 케이스 프레임(20)의 내측에 마련된 걸림편(215)에 걸림으로써 키 탑(11)은 하측 방향으로 5도의 유동각을 가지며,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가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에 걸림으로써 상측 방향으로는 약 5.5도의 유동각을 갖는 것이다. 이는 종래의 키 버튼 보다 현저히 적은 유동각을 갖도록 구현되는 것이다.
더욱이, 플렌지부(12)와 키 홀(21)의 정해진 간섭에 의한 매우 큰 유동각을 가질 수 밖에 없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액추에이터(13)의 상, 하부 형상을 변경하거나, 케이스 프레임(20)의 걸림편(215) 및 하측면(216)의 형상을 변경한다면 제조자는 상술한 유동각보다 더욱 작은 키 탑(11)의 유동각을 갖도록 설계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상술한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를 간섭하는 구조로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을 예로 들었으나, 상술한 액추에이터(13)의 상부(131)을 간섭하는 걸림편(215)과 마찬가지로 별도의 또 다른 걸림편에 의해 액추에이터(13)의 하부(132)를 간섭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버튼(30)의 사시도이다.
공히, 각 도면에서 키 탑(31, 41)과 플렌지부(32, 42, 52) 및 플렌지부(32, 42, 52)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에 마련된 지지홈에 장착되기 위한 지지편(35, 45, 55)은 공통으로 구현된다.
우선, 도 8의 키 버튼(30)은 전자 장치(1)의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편(215) 및 하측면(216)에 걸릴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33)와 별도의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34)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러한 걸림 돌기(34)가 상술한 케이스 프레임(20)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편(215) 및 하측면(216)에 키 탑(31)의 유동에 따라 걸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경우처럼 액추에이터(43)가 배치되는 플렌지부(42)의 중앙 부분이 아닌 플렌지부(42)의 테두리 영역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걸림 돌기(42)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걸림 돌기(42)가 상술한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편(215) 및 하측면(216)에 키 탑의 유동에 따라 걸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역시, 도 10의 경우는 기존 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D)를 갖는 플렌지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걸림 돌기를 형성할 필요없이 플렌지부(52) 자체가 키 홀(21)의 내측면에 걸리기 전에 케이스 프레임(20)의 내부에 배치되는 걸림편(215) 및 케이스 프레임(20)의 하측면(216)에 먼저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렌지부가 키 홀의 내측면에 간섭 받는 구조에 의해 키 버튼의 유동각이 결정되는 것이 아닌, 키 버튼의 구성 요소로써 케이스 프레임 내측에 배치되며 X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구현되는 액추에이터, 별도의 걸림 돌기 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플렌지부에 의해 케이스 프레임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걸림편 및 케이스 프레임 하측면에 먼저 간섭받도록 하여 유동각이 최소화될 수 있게 설계가 가능한 것이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1: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10: 키 버튼(key button)
11: 키 탑(key top) 12: 플렌지부(flange portion)
13: 액추에이터(actuator) 14: 지지편(support member)
20: 케이스 프레임(case frame) 21: 키 홀(key hole)
211: 키 홀 상부(key hole upper portion)
212: 키 홀 하부(key hole lower portion)
215: 걸림편 216: 케이스 프레임 하측면

Claims (10)

  1.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시키기 위한 키 버튼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걸림 수단이 형성되는 케이스 프레임; 및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가압 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칭 수단을 스위칭하는 키 버튼을 포함하되,
    상기 키 버튼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일부가 돌출되는 키 탑;
    상기 키 탑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내부에서 상기 키 탑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편을 포함하는 플렌지부; 및
    상기 키 버튼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키 탑의 상, 하 유동에 따라 상기 걸림 수단에 걸려 상기 키 버튼의 유동각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키 버튼 가압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 수단을 포함하는 키 버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수단은 상기 플렌지부에서 가압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위칭 수단을 가압하는 액추에이터인 키 버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수단은 상기 플렌지부에서 가압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 돌기인 키 버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수단은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릴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는 상기 플렌지부 자체인 키 버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키 버튼의 상, 하 유동에 따라 상기 돌출 수단의 상, 하 단부가 걸리도록 배치되는 일정 간격을 갖는 한 쌍의 걸림편인 키 버튼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수단은 상기 키 버튼의 상, 하 유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시에 상기 돌출 수단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어느 하나가 걸릴 수 있는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인 키 버튼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은 상, 하 유동각이 5 ~ 5.5도의 범위에서 상기 돌출 수단이 상기 걸림 수단에 걸리도록 결정되는 키 버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버튼이 유동될 때 상기 플렌지부가 상기 케이스 프레임의 키 홀에 걸리기 전에 상기 돌출 수단이 상기 걸림 수단에 먼저 걸리도록 구성되는 키 버튼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키버튼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전자 장치.
KR1020120094573A 2012-08-28 2012-08-28 키 버튼 장치 KR101891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573A KR101891151B1 (ko) 2012-08-28 2012-08-28 키 버튼 장치
CN2012206211591U CN202948844U (zh) 2012-08-28 2012-11-21 按键装置及应用此的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573A KR101891151B1 (ko) 2012-08-28 2012-08-28 키 버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404A true KR20140028404A (ko) 2014-03-10
KR101891151B1 KR101891151B1 (ko) 2018-08-23

Family

ID=4842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573A KR101891151B1 (ko) 2012-08-28 2012-08-28 키 버튼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1151B1 (ko)
CN (1) CN20294884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97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1173B (zh) * 2014-04-15 2015-12-01 Wistron Corp 按鍵機構及其電子裝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614B1 (ko) * 2002-08-14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유동방지장치
KR100747032B1 (ko) * 2006-05-25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드 버튼의 유동방지구조
KR100927835B1 (ko) * 2002-08-02 2009-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835B1 (ko) * 2002-08-02 2009-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
KR100487614B1 (ko) * 2002-08-14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버튼 유동방지장치
KR100747032B1 (ko) * 2006-05-25 2007-08-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드 버튼의 유동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97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이드 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2948844U (zh) 2013-05-22
KR101891151B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2669B2 (en) Key device
KR102279365B1 (ko) 인쇄회로기판 위에 배치되는 실드캔
JP2014099398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US9536683B2 (en) Touch module
US20160205801A1 (en) Electric device system
JP2009294944A (ja) 電子機器
KR100955133B1 (ko) 하우징 일체의 키버튼을 구비한 단말기
KR20140028404A (ko) 키 버튼 장치
US20140043785A1 (en) Shiel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8450626B2 (en) Press key
TWI607472B (zh) 按鍵結構及輸入裝置
CN103681052A (zh) 按键及键盘
JP2015015164A (ja) キー構造
US8563886B2 (en) Key structure with scissors-type connecting member
TWI697923B (zh) 微開關以及操作裝置
US9086744B2 (en) Computer mouse with dust-proof block
JP2008305694A (ja) 携帯電子機器のスイッチ作動用ゴムキーの保持構造
KR101443525B1 (ko) 표면 실장용 접속장치
KR20150095371A (ko) 표면 실장형 이중 접속단자
JP5459233B2 (ja) 電子装置
JP6444187B2 (ja) キー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73317B2 (ja) 情報端末の基板保持構造
KR200189900Y1 (ko)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KR20210106819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6214231B2 (ja) 多方向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