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9900Y1 -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 Google Patents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9900Y1
KR200189900Y1 KR2020000004647U KR20000004647U KR200189900Y1 KR 200189900 Y1 KR200189900 Y1 KR 200189900Y1 KR 2020000004647 U KR2020000004647 U KR 2020000004647U KR 20000004647 U KR20000004647 U KR 20000004647U KR 200189900 Y1 KR200189900 Y1 KR 200189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witch pattern
pcb
carbon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4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호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04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9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9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99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H05K7/023Stackable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act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피씨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튼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피씨비 상면에 형성되는 스위치 패턴의 형상을 상기 스위치 패턴상에 형성되는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스위치 접점부의 전면적에 대하여 스위치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씨비의 사용환경에 따라 카본의 접촉저항이 변하더라도 오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스위치 패턴과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접촉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공정 관리도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CONSTUCTION FOR SWITCH PATTERN FORMATION OF PCB}
본 고안은 전화기 등에 사용되는 피씨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씨비상의 스위치 패턴의 형상을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도록 한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 등과 같은 통신기기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버튼(1)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화기의 내부에는 상기 버튼 즉, 키패드가 배치되는 스위치 접점부가 형성되는 스위치 패턴(2a)들이 형성되어 있는 피씨비(2)가 구비되어 있다.
피씨비의 스위치 접점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키패드의 구성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돌출되는 누름부(1a)와, 누름부(1a)의 하면에 형성되어 스위치 접점부(2b)와 대응되는 카본 접점부(1b)로 구성되어 있고, 누름부(1a)가 승강되어 카본 접점부(1b)가 피씨비의 스위치 접점부(2b)와 접촉 및 분리되도록 하는 소정의 공간부가 키패드(1)와 피씨비(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씨비에 카본인 스위치 접점부(10b)가 형성되는 스위치 패턴(10a)이 스위치 접점부의 형상과는 관계없이 양단부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본의 접촉 저항이 피씨비의 사용환경에 따라 증가하는 경우에는 작동불량 또는 오작동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양단에 형성된 스위치 패턴(10a)에 스위치 접점부(10b)를 정확하게 형성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상 매우 엄격하게 관리를 실시해야 하므로 제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피씨비의 사용환경에 따라 카본의 접촉저항이 가변되더라도 버튼의 작동불량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피씨비 제조시 공정 관리가 용이하게 실시가능하도록 한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는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피씨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튼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피씨비 상면에 형성되는 스위치 패턴의 형상을 상기 스위치 패턴상에 형성되는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스위치 패턴의 형상을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접점부의 전면적에 대하여 스위치 패턴이 형성되기 때문에 피씨비의 사용환경에 따라 카본의 접촉저항이 변하더라도 오작동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스위치 패턴과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접촉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공정 관리도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전화기의 키패드 및 스위치 접점 패턴을 갖는 피씨비의 분해사시도.
도 2는 키패드와 피씨비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종래 피씨비에 형성된 스위치 패턴의 형상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 패턴의 형상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버튼 2 ; 피씨비
10a,20a ; 스위치 패턴 10b,20b ; 스위치 접점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스위치 패턴의 형상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실시예는 피씨비 상에 스위치 접점부(20b)인 카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스위치 패턴(20a)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와 같이, 피씨비의 형성되는 스위치 접점부(20b)인 카본의 형상이 'E'자형인 경우에 스위치 패턴(20a)의 형상도 'E'자형으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전화기의 키패드 형성전에 피씨비 상에 형성되는 스위치 패턴의 형성 구조에 관한 것으로, 스위치 패턴의 형상을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스위치 접점부의 전면적에 대하여 스위치 패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씨비의 사용환경에 따라 카본의 접촉저항이 변하더라도 오작동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스위치 패턴과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접촉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공정 관리도 용이해지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형상이 'E'자 형상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되고 있어 스위치 패턴의 형상도 'E'자 형상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러한 형상은 한정된 것이 아니라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형상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에 의하면 피씨비의 제조 공정 관리가 용이해지므로 생산성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고, 장시간 피씨비를 사용하더라도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과 스위치 패턴인 카본 패드의 접촉 저항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다수의 버튼을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피씨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버튼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피씨비 상면에 형성되는 스위치 패턴의 형상을 상기 스위치 패턴상에 형성되는 스위치 접점부인 카본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KR2020000004647U 2000-02-21 2000-02-21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KR200189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47U KR200189900Y1 (ko) 2000-02-21 2000-02-21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4647U KR200189900Y1 (ko) 2000-02-21 2000-02-21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9900Y1 true KR200189900Y1 (ko) 2000-07-15

Family

ID=1964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4647U KR200189900Y1 (ko) 2000-02-21 2000-02-21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99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31673A1 (en) Keyboard structure
KR200189900Y1 (ko)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US7183634B2 (en) Printed circuit board tact switch
KR20140028404A (ko) 키 버튼 장치
KR10060704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200356526Y1 (ko)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KR200368751Y1 (ko) 이동통신기기용 돔 스위치 조립체
KR100570826B1 (ko) 전화기의 키패드구조
KR200295081Y1 (ko) 내비게이션 장치
KR20029537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KR200161897Y1 (ko) 사무용기기의 일체형 키이버튼 장치
KR200205039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200333956Y1 (ko) 키의 접촉감을 개선한 키패드 조립장치
KR950003013Y1 (ko) 푸시버튼장치
KR100618268B1 (ko) 이물 처리를 위한 키이 도옴 접점부를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KR1005081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키입력장치
KR0125023Y1 (ko)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KR200371189Y1 (ko) 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
KR200226952Y1 (ko) 양면 버튼 장치
WO2002045474A3 (en) Board integrated resilient contact elements array and method of fabrication
KR20090089058A (ko) 컨트롤 패널유닛
KR200314283Y1 (ko) Pdp의 노브-택트 스위치의 결합구조
KR100275322B1 (ko) 인쇄회로기판 집적화구조
KR20040056582A (ko) 키패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