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370Y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95370Y1 KR200295370Y1 KR2020020023933U KR20020023933U KR200295370Y1 KR 200295370 Y1 KR200295370 Y1 KR 200295370Y1 KR 2020020023933 U KR2020020023933 U KR 2020020023933U KR 20020023933 U KR20020023933 U KR 20020023933U KR 200295370 Y1 KR200295370 Y1 KR 20029537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eypad
- front case
- key button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패드와 프론트 케이스의 대향면에 각각 수분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을 상호교합되도록 구비하여 키패드와 프론트 케이스의 접촉면 사이를 통하여 단말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다수의 키버튼용 구멍이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키버튼용 구멍을 통하여 키버튼의 선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프론트 케이스의 내부면에 조립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와 프론트 케이스의 대향면에는 각각 상호교합되어 하방향으로 수분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제 1 차단부 및 2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키패드와 프론트 케이스의 대향면에 각각 수분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부를 상호교합되도록 구비하여 키패드와 프론트 케이스의 접촉면 사이를 통하여 단말기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신호발생을 선택적으로 하기위한 다수의 키버튼(2)이 형성된 고무 및 실리콘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키패드(1)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같이 휴대폰의 프론트 케이스(4)에 형성한 구멍(5)에 키버튼(2)이 삽입되도록 상기 프론트 케이스(4)의 내면부에 조립되었다.
상기한 키패드(1)의 후측에는 인쇄회로기판(7)이 위치하는데, 이 인쇄회로기판(7)의 하단부는 프론트 케이스(4)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8)에 걸리도록 위치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7)의 상측 면은 프론트 케이스(4)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9)가 접촉되어 인쇄회로기판(7)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또한, 키패드(1)에 형성된 고정홀(3)에 상기한 지지대(9) 끼워져 키패드(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각각의 키버튼(2)에 형성된 접촉돌기(10)는 인쇄회로기판(7)상에 설치되는 돔 스위치(6)와 면 접촉되며, 키버튼(2)와 키버튼(2) 사이는 프론트케이스(22)의 구멍(5)과 상기 구멍(5) 사이의 저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키패드(1)가 프론트 케이스(4) 내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었다.
상기한 돔 스위치(6)는 키버튼(2)의 저면에 형성된 접촉돌기(10)의 압력을 받아 인쇄회로기판(7)상에 돌출 형성된 접점(미도시)과 접촉되도록 하여주는 부재이며, 이러한 돔 스위치(6)는 탄성력과 복원력이 구비된 재질로 제작되었다.
이와 같이 단말기에 조립된 키패드(1)는, 키버튼(2)를 누르게 되면 이 키버튼(2)의 저면에 형성된 접촉돌기(10)가 돔 스위치(6)의 자체 탄력을 극복하고 아래쪽으로 탄력 이동하여 인쇄회로기판(7)상에 형성된 접점(미도시)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신호를 발생시킨 후 누르고 있던 키버튼(2)에서 손을 떼면, 상기한 돔 스위치(6)와 키버튼(2)는 지체탄력으로 상승하여 원래위치로 돌아온다.
이와같이 상하로 완충이동되는 키버튼(2)은 상기 구멍(5)에 삽설된 상태로 상기 키버튼(2)의 외주면과 구멍(5)의 내주면 사이에는 적게나마 일정한 틈"C"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틈을 통하여 단말기를 사용중에 적은 양이나마 단말기를 잡고있는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한 땀 및 대화중 사용자의 입에서 나오는 침 등의 수분이 단말기 내부로 유입되었다.
이와같이 단말기로 유입된 수분은 키패드(1)와 프론트 케이스(4)의 내면 사이를 따고 상기 키패드(1)의 하단 아래쪽으로 흘러내려서, 그 밑에있는 인쇄회로기판(7)상의 부품(미도시)을 부식시켰다.
그로인하여 키버튼(2)의 조작에 따른 신호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습기를 제거한 후 재조립하더라도 단말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가 있으며, 이렇게 될 경우 고가의 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키패드와 프론트 케이스의 대향면에는 각각 상호교합되도록 제 1, 2차단부를 형성하여 단말기의 사용중 적은 양이나마 키패드의 키버튼과 프론트 케이스의 구멍 사이의 틈새로 유입된 수분이 키패드의 하단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다수의 키버튼용 구멍이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키버튼용 구멍을 통하여 키버튼의 선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프론트 케이스의 내부면에 조립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와 프론트 케이스의 대향면에는 각각 상호결합되어 하방향으로 수분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2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키패드의 사시도.
도 2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와 키패드 및 피씨비의 분해 사시도.
도 3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와 키패드 및 피씨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와 키패드의 평면도.
도 5는 도 5의 A-A'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B'의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하측 종단면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상세한 설명 ***
100 : 프론트 케이스(FRONT CASE) 101 : 키버튼용 구멍
102 : 제 1차단부 103, 113 : 장턱 104, 114 : 장홈
110 : 제 2 차단부 110 : 키패드(KEY PAD)
111 : 키버튼(KEY BUTTON)
본 고안의 구성 및 실시예를 첨부된 도 4,5,6,7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4은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의 프론트 케이스와 키패드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5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의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단말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하측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4, 5, 6, 7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수의 키버튼용 구멍(101)이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100)와, 상기 키버튼용 구멍(101)을 통하여 키버튼(111)의 선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프론트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조립되는 키패드(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게이스(100)와 키패드(110)의 대향면에는 각각 하방향으로 수분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제 1차단부(102)와 제 2차단부(11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 1차단부(102)와 제 2차단부(102)는 상호교합되도록 각각 횡방향의 장턱(103,113)과 장홈(104,114)을 상하로 연속교차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2 차단부(112)는 키패드(110)의 하측단에 형성하고, 상기 제 1 차단부(102)는 제 2 차단부(112)에 대응하여 프론트 케이스(100)의 내면부에 형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키버튼용 구멍(101)을 통하여 키버튼(111)의 선부가 외부로 돌출되고, 제 1차단부(102)와 제 2차단부(112)가 상호교합되도록 프론트 케이스(100)의 내부면에 키패드(11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 1 차단부(102)의 장턱(103)은 제 2 차단부(112)의 장홈(114)에, 그리고 상기 제 2 차단부(112)의 장턱(113)은 제 1 차단부(102)의 장홈(104)에 일정한 힘으로 압입하여 상호교합된 상태이다.
즉, 상기 제 1, 2차단부(102,112)에서 각각 대응하는 장턱(103,113)과 장홈(104,114)이 상하로 연속 교차되여 상호교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0)의 하단부와 그와 대응되는 프론트 케이스(100)의 내부면사이에는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된다.
이와같이 키패드(110)가 프론트 케이스(100)에 결합되므로서, 키버튼(111)과 키버튼용 구멍(101) 사이의 틈새"D"를 통하여 키패드(110)와 프론트 케이스(100)의 내면 사이로 유입된 수분(미도시)은 상호교합된 상기 제 1, 2차단부(102,112)의 하측방향 즉 키패드(110)의 하단부 아래로 흘러내리지 않게된다.
이를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단말기를 사용중 상기 단말기를 잡고있는 사용자의 손에서 발생된 땀 및 대화중 사용자의 입에서 방출된 침 등(미도시)의 수분이 키패드(110)의 버턴부(111)와 프론트 케이스(100)의 키버튼용 구멍(101) 사이의 틈새"D"로 유입되어 키패드(110)와 프론트케이스(100)의 대향면 사이 틈새(미도시)를 따라 단말기의 하방향으로 흘러내린다.
이와같이 흘러내리는 수분은 키패드(110)의 하단부에서 상호교합된 제 1, 2차단부(102,112)에 의하여 더이상 단말기의 내부 아래쪽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그 상측면에 고이게된다.
이후, 상기 교합된 제 1, 2차단부(102,112)의 상측면에 고인 수분은 일반적으로 그 양이 매우 적으므로 자연증발되어 키버튼(111)과 키버튼용 구멍(101) 사이의 틈새"D"를 통하여 단말기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호교합되는 제 1, 2차단부를 각각 키패드의 하단부와 그에 대응하여 프론트케이스에 형성하므로서, 키패드의 버턴부와 프론트케이스의 구멍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단말기내부로 유입된 수분을 키패드의 하단부 아래로 흘러내리지 못하도록 하여 단말기에 내설된 전자부품 즉, 피씨비에 설치된 전자부품이 수분에 의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다수의 키버튼용 구멍이 형성된 프론트 케이스와, 상기 키버튼용 구멍을 통하여 키버튼의 선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프론트 케이스의 내부면에 조립되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상기 키패드와 프론트 케이스의 대향면에는 각각 하방향으로 수분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한 제 1 차단부 및 제 2 차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차단부와 제 2차단부는 상호교합되도록 각각 횡방향의 장턱과 장홈을 상하로 연속교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제 1차단부는 키패드의 하측단에 형성하고,상기 제 2 차단부는 제 1차단부에 대응하여 프론트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3933U KR200295370Y1 (ko) | 2002-08-10 | 2002-08-10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23933U KR200295370Y1 (ko) | 2002-08-10 | 2002-08-10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95370Y1 true KR200295370Y1 (ko) | 2002-11-18 |
Family
ID=7312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23933U KR200295370Y1 (ko) | 2002-08-10 | 2002-08-10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9537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08024A3 (ko) * | 2009-07-14 | 2011-04-07 | 주식회사 블루버드소프트 | 모바일 단말기 |
-
2002
- 2002-08-10 KR KR2020020023933U patent/KR20029537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08024A3 (ko) * | 2009-07-14 | 2011-04-07 | 주식회사 블루버드소프트 | 모바일 단말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54415B2 (ja)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
KR10107190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 |
KR200295370Y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 |
KR101097374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 |
KR200317058Y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수구조 | |
KR100597875B1 (ko) | 실리콘 박막을 가지는 택트 스위치 | |
KR200180269Y1 (ko) | 셀룰라폰의 키패드 | |
KR100647981B1 (ko) |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 |
KR0135731B1 (ko) | 전자기기의 키 버튼 | |
KR101452970B1 (ko) |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 |
KR100617107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키 구조 | |
KR200205039Y1 (ko) |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 |
KR100774924B1 (ko) |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 |
JPH07245038A (ja) | シーソーボタン装置 | |
KR20070071932A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구조 | |
KR100596302B1 (ko) |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 |
KR200263754Y1 (ko) |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 |
KR890006871Y1 (ko) | 병렬 스위치 | |
KR200295081Y1 (ko) | 내비게이션 장치 | |
KR200199758Y1 (ko) | 이동성 이어피스부를 갖는 플립타입 휴대폰 | |
KR100520194B1 (ko) | 키패드용 키버튼구조 | |
KR200275846Y1 (ko) | 방수 키보드 | |
KR200210173Y1 (ko) | 방수수단을 갖는 키 입력장치 | |
KR200319348Y1 (ko) | 택트 스위치 구조 | |
KR19990021506U (ko) | 키 버튼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