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846Y1 - 방수 키보드 - Google Patents

방수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846Y1
KR200275846Y1 KR2020020004543U KR20020004543U KR200275846Y1 KR 200275846 Y1 KR200275846 Y1 KR 200275846Y1 KR 2020020004543 U KR2020020004543 U KR 2020020004543U KR 20020004543 U KR20020004543 U KR 20020004543U KR 200275846 Y1 KR200275846 Y1 KR 200275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keyboard
button
circuit board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보
Original Assignee
서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보 filed Critical 서영보
Priority to KR2020020004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846Y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수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보드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를 고정시키며,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한 본체와, 숫자 또는 문자가 기록되어 있는 다수개의 버튼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통공과, 상기 본체의 돌기에 삽입되는 삽입공과,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측막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와 이 본체에 고정되는 덮개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방수패드로 이루어져, 버튼의 누름동작시 본체와 버튼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상기 방수패드에 의해 외부에서 침투하는 습기, 이물질 및 물기 등을 차단하여 키보드의 오동작을 감소시키고, 키보드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킨다.

Description

방수 키보드{A waterproof keyboard}
본 고안은 방수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더 상세하게는 키보드 본체에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버튼과 방수패드를 결합하여 외부에서 침투하는 습기, 물기 또는 이물질 등을 차단하기 위한 방수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이나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전화기, 핸드폰 등과 같은 유무선 통신기기나 은행 등에 많이 사용되는 현금지급단말기 등은 문자 또는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키보드를 갖고 있으며, 이 키보드는 접점을 갖는 회로기판상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통신기기나 현금지급단말기 등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 장치는 상기 키보드의 작동에 의해 회로기판에 마련된 접점과 접촉하여 신호발생을 하도록 되어있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통신기기, 현금지급단말기 등의 스위치 장치로 사용되는 키보드는 문자 또는 숫자들이 기록되어 있는 다수개의 버튼(1)과, 상기 버튼(1)들과 접촉되어 있는 스위치(2)와, 상기 스위치(2)의 동작에 의해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회로기판(3)과, 상기 스위치(2)와 회로기판(3)이 볼트로 고정되고, 상기 다수개의 버튼(1)들을 삽입하는 본체(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키보드는 사용자가 입력하기를 원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선택하여 상기 본체(4)에 삽입되어 있는 버튼(1)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1)의 하부에 면 접촉되어 있는 스위치(2)를 동작시키고, 이 스위치(2)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회로기판(3)상에 형성되어 있는 접점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상기 본체(4)에 삽입되어 있는 버튼(1)을 누르게 되면, 본체(4)와 버튼(1)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 틈을 통해 습기, 이물질, 물기 등이 내부로 침투하게 된다.
따라서, 본체(4)로 침투된 습기, 이물질, 물기 등에 의해 버튼(1)과 스위치(2)의 접촉율이 떨어지고, 회로기판(3)의 단선, 단락에 의해 키보드가 오동작하거나 키보드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회로기판과 스위치가 고정되는 키보드 본체에 방수패드와 결합된 버튼을 삽입하여 상기 버튼의 누름동작시 본체와 버튼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외부에서 침투하는 습기, 이물질 및 물기 등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키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키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키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0 : 버튼 2, 20 : 스위치
3, 10 : 회로기판 4, 30 : 본체
21 : 융기 31 : 돌기
32 : 홈 41 : 상부면
42 : 하부면 50 : 방수패드
51 : 통공 52 : 삽입공
53 : 외측막 60 : 덮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보드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를 고정시키며,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돌기를 형성한 본체와;
숫자 또는 문자가 기록되어 있는 다수개의 버튼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통공과, 상기 본체의 돌기에 삽입되는 삽입공과,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측막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와 이 본체에 고정되는 덮개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방수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키보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키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키보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수 키보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방수 키보드는 회로기판(10)과, 상기 회로기판(1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20)와, 상기 회로기판(10)과 스위치가 볼트 결합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버튼(40)과, 상기 다수개의 버튼(40)의 상부에 결합되는 방수패드(50)와, 상기 본체(30)에 삽입되어 다수개의 버튼(40)을 고정시키는 덮개(60)로 이루어져 있다.
회로기판(10)은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접점들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20)는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융기(21)들이 형성되어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되며, 이 융기(21)들은 상기 회로기판(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접점들과 대칭되게 배열되어 있다.
예를들면, 상기 스위치(20)는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도전성 고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30)는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상부에 돌출되어 있는 돌기(31)와, 상기 스위치(20)의 융기(21)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홈(32)을 형성하여 상기 회로기판(10)과 스위치(20)를 볼트로 고정시킨다.
다수개의 버튼(40)은 문자 또는 숫자가 기록되어 있고, 사용자가 누를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면(41)과, 상기 스위치(20)와 접촉될 수 있도록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하부면(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버튼(30)은 상기 스위치(10)와 대칭되게 배열되어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스위치(10)와 면 접촉하게 된다.
방수패드(50)는 상기 버튼(40)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통공(51)과, 상기 본체(30)의 돌기(31)에 삽입되는 삽입공(52)과,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본체(30)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측막(53)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침투하는 습기, 이물질 및 물기 등을 차단한다.
예를들면, 상기 방수패드(50)는 실리콘 등과 같은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60)는 상기 본체(30)에 삽입되어 상기 방수패드(50)와 결합되어 있는 버튼(40)들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30)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홈(32)에 스위치(20)의 돌기(21)를 삽입하고, 이 스위치(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기판(10)을 볼트로 상기 본체(30)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버튼(40)을 상기 본체(30)의 홈(32)에 상기 스위치(20)와 면 대향되게 삽입한 다음, 방수패드(50)의 통공(51)을 상기 버튼(40)의 상부면(41)에 삽입하고, 이와동시에 상기 방수패드(50)의 삽입공(52)을 본체(30)의 돌기(31)에 삽입하여 상기 방수패드(50)와 버튼(40)을 결합시킨다.
이후, 덮개(60)를 상기 본체(30)에 삽입하여 상기 버튼(40)과 방수패드(50)를 본체(30)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 버튼(4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스위치(20)와, 회로기판(10)의 접접들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고안의 방수 키보드는 버튼(40)의 상부면(41)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 또는 문자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상기 상부면(41)을 누르게 되면, 상기 버튼(40)에 접착되어 있는 방수패드(50)과 함께 버튼(40)의 하부면(42)이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튼(40)의 하부면(42)와 면 대향되게 삽입되어 있는 스위치(20)의 돌기(21)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로기판(10)의 접점과 접촉하여 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버튼(40)의 누름동작시 상기 본체(30)와 버튼(40) 사이에 형성되는 틈이 상기 버튼(40)과 결합되어 있는 방수패드(50)에 의해 발생하지 않으므로 외부에서 침투하는 습기, 이물질 및 물기등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상기 방수패드(5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외측막(53)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본체(30)와 덮개(60)의 결합부분이 완전히 밀봉됨으로써 상기 본체(30)와 덮개(60)의 측면사이로 침투하는 습기, 이물질 및 물기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신호를 발생 시킨 후 상기 버튼(40)에서 사용자가 손을 떼면, 상기 스위치(20)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상기 버튼(40)을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 상부에 형성되는 스위치를 본체에 볼트로 결합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홈에 버튼의 하부면을 삽입한 다음, 상기 본체에 삽입되어 있는 버튼의 상부면에 방수패드를 결합하여 덮개로 상기 본체에 고정시킴으로써 버튼의 누름동작시 본체와 버튼 사이와, 본체와 덮개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게 하며, 상기 방수패드에 의해 외부에서 침투하는 습기, 이물질 및 물기 등을 차단함으로써 키보드의 오동작을 감소시키고, 키보드의 사용기간을 연장시킨다.

Claims (1)

  1. 사용자가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하는 키보드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회로기판(10)과 이 회로기판(10)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20)를 고정시키며,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돌기(31)를 형성한 본체(30)와;
    숫자 또는 문자가 기록되어 있는 다수개의 버튼(40)에 밀착되도록 삽입되는 통공(51)과, 상기 본체(30)의 돌기(31)에 삽입되는 삽입공(52)과,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본체(30)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측막(53)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30)와 이 본체(30)에 고정되는 덮개(60)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방수패드(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키보드.
KR2020020004543U 2002-02-15 2002-02-15 방수 키보드 KR200275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43U KR200275846Y1 (ko) 2002-02-15 2002-02-15 방수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43U KR200275846Y1 (ko) 2002-02-15 2002-02-15 방수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846Y1 true KR200275846Y1 (ko) 2002-05-17

Family

ID=7307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543U KR200275846Y1 (ko) 2002-02-15 2002-02-15 방수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8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9270B2 (en) Secured keypad devices
TWI227902B (en) Switch integrated type housing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US20100051434A1 (en) Keypad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466306B1 (ko) 접촉식 스위치
KR200275846Y1 (ko) 방수 키보드
KR100528794B1 (ko) 키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조
KR200180269Y1 (ko) 셀룰라폰의 키패드
US20130206562A1 (en) Keyboard with water-draining function
KR100917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JP2006510245A (ja) 特に移動電話のための入力装置、入力装置を備えたモジュール、移動電話及びこれらを製造する方法
KR100647981B1 (ko)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0182042B1 (ko) 방수되는 키패드
CN110571080A (zh) 按键防水结构
KR100751214B1 (ko) 휴대 단말기
KR10059512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KR101100403B1 (ko) 다단동작 스위치
KR0115433Y1 (ko)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CN112038143B (zh) 按键帽支撑结构、按键和电子设备
KR20029537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JPH1069834A (ja) 携帯電話機のキーボタン構造
KR200317058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방수구조
KR200700719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구조
KR100545084B1 (ko) 키입력장치
US20070051590A1 (en) Keypad device
JPS5931520A (ja) キ−ボ−ドスイツ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