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433Y1 -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433Y1
KR0115433Y1 KR2019940034898U KR19940034898U KR0115433Y1 KR 0115433 Y1 KR0115433 Y1 KR 0115433Y1 KR 2019940034898 U KR2019940034898 U KR 2019940034898U KR 19940034898 U KR19940034898 U KR 19940034898U KR 0115433 Y1 KR0115433 Y1 KR 0115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keypad
key pad
keypad rubber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48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981U (ko
Inventor
강덕형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20199400348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433Y1/ko
Publication of KR960025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9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4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7Hygienic or sanitary devices on telephone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먼저 이물질이 키 패드 러버의 가장자리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으로 유입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키 패드 러버(50)의 가장자리에 하우징(10)의 외곽 지지편(12)을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3)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키 패드 러버의 조립구조

Description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제1도는 종래 키 패드 러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키 패드 러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키 패드 러버의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12 : 지지편
20 : 버튼 30 : 인쇄회로기판
50 : 키 패드 러버 51 : 받침부
52 : 탄성지지부 53 : 고정부
본 고안은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튼과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버튼의 접지를 탄력있게 지지하는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나 휴대용 전화기 등은 버튼식으로 반신번호나 수신기능을 선택하는 것으로, 그러한 전화기에는 다수로 배열되는 버튼과 인쇄회로기판의 사이에 실리콘을 재질로한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가 설치되어 버튼의 접지동작을 지지한다.
이러한 전화기에 사용되는 종래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는 제1도에서와 같이 송수화기 하우징(10)의 일면에 통공된 다수의 안내공을 통하여 동작이 안내되도록 배열된 버튼(20)과 인쇄회로기판(30)의 사이에 소정높이의 탄성공간이 형성되도록 키 패드 러버(40)가 탄력있게 개재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키 패드 러버(40)는 버튼(20)에 밀착되고 그 저면에 인쇄회로기판(30)에 접지되는 접지편(41a)을 구비한 받침부(41)가 구성되고, 이 받침부(41)들의 사이에는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된 지지편(11)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바닥의 지지면(421)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탄성면(422)으로 연결한 탄성지지부(42)가 구성된다.
이 탄성지지부(42)는 버튼(20)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한 받침부(41)에 가압력이 해재되면 받침부(41)를 탄력있게 복원시킴으로서 이에 안착된 버튼(20)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키 패드 러버(40)의 조립구조는 키 패드 러버(40)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지지면(421)이 수평으로 형성됨으로써 하우징(10)과 버튼(20)의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유입된 먼지나 이물질이 테두리에 형성된 지지면(421)을 눌러 위치를 고정시키는 외곽 지지편(12)의 바닥을 통하여 인쇄회기판(30)으로 유입되어 접지 기능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키 패드 러버의 밀폐성을 극대화하여 먼지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는 키 패드 러버의 가장자리 상향으로 입설되어 하우징의 지지편을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일시예를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키 패드 러버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키 패드 러버(50)는 통상에서와 같이 송수화기 하우징(10)의 일면에 통공된 다수의 안내공을 통하여 동작이 안내되도록 배열된 버튼(20)과 인쇄회로기판(30)의 사이에 소정높이의 탄성공간이 형성되도록 개재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 키 패드 러버(50)는 버튼(20)에 밀착되고 그 저면에 인쇄회로기판(30)에 접지되는 접지편(51a)을 구비한 받침부(51)가 구성되고, 이 받침부(51)들의 사이에는 하우징(10)으로부터 연장된 지지편(11)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바닥의 지지면(51)으로부터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탄성면(522)으로 연결한 탄성지지부(52)가 구성된다.
이러한 키 패드 러버(50)의 조립구조에 있어 본 고안은 키 패드 러버(50)의 가장자리에 하우징(10)의 외곽 지지편(12)을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3)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53)는 제2도의 상세도와 제3도에서와 같이 키 패드 러버(50) 지지면(521)의 가장자리에 삽입홈(531)이 형성되도록 내,외측을 소정높이로 입설하며, 이러한 삽입홈(531)의 입구(532)측을 외향으로 경사지게 면처리하여 하우징(10)의 외곽 지지편(12)이 자유로이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과 그에 따르는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송수화기의 하우징(10)에 배열된 버튼(20)을 선택하여 누르게 되면 그 가압력에 의해 버튼(20)에 밀착된 키 패드 러버(50)의 받침부(51)가 하강하여 접지편(51a)을 인쇄회로기판(30)에 접지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접지동작이 완료된후 버튼(20)으로부터 사용자의 손을 떼어 받침부(51)에 가압력을 해재시키게 되면 받침부(51)가 탄력있게 복원됨과 동시에 이에 안착된 버튼(20)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키 패드 러버(50)의 가장자리에 구성되어 하우징(10) 외곽의 지지편(12)을 고정시킨 고정부(53)는 키 패드 러버(50)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시키고, 지지편(12)과 지지면(521)사이의 틈을 차단하는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키 패드 러버의 가장자리에 상향으로 입설된 고정부에 하우징의 지지편을 삽입시켜 키 패드 러버의 밀폐성을 극대화함으로써 먼지나 이물질이 인쇄회로기판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3)

  1. 송수화기 하우징(10)의 일면에 배열된 버튼(20)과 인쇄회로기판(30)의 사이에 소정높이의 탄성공간이 형성되도록 키 패드 러버(40)가 탄력있게 개재되는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 러버(50)의 가장자리에 하우징(10)의 외곽 지지편(12)을 삽입하여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53)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53)는, 지지면(521)의 가장자리를 소정높이로 입설하여 그 중앙에 상부로 개구된 삽입홈(5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삽입홀(531)의 입구(532)측을 외향으로 경사지게 면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KR2019940034898U 1994-12-21 1994-12-21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KR0115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898U KR0115433Y1 (ko) 1994-12-21 1994-12-21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4898U KR0115433Y1 (ko) 1994-12-21 1994-12-21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81U KR960025981U (ko) 1996-07-22
KR0115433Y1 true KR0115433Y1 (ko) 1998-04-18

Family

ID=19402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4898U KR0115433Y1 (ko) 1994-12-21 1994-12-21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4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3069C2 (sv) * 1997-03-03 2000-07-03 Ericsson Telefon Ab L M Skydd mot elektrostatisk urladdning i en portabel kommunikationsappar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81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016A (en) Identity card reader device
US6307537B1 (en) Multifunction key for use with portable device
JP2001057127A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の防滴・防塵構造
CN107851177B (zh) 指纹模组及电子设备
KR920002801B1 (ko) 전화기 키이 패드의 조립방법
KR0115433Y1 (ko) 전화기용 키 패드 러버(key pad rubber)의 조립구조
KR100400598B1 (ko)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플렉시블 시트의 부착구조
JP2000149701A (ja) 押し釦装置及び携帯電話無線機
JP2002132418A (ja) 折畳式携帯型電子機器
US7515947B2 (en) Folder type mobile terminal
KR200192686Y1 (ko) 휴대용 전화기의 키패드 러버 조립구조
KR200275846Y1 (ko) 방수 키보드
KR900008044Y1 (ko) 전화기용 다이얼 버튼의 접속지지구
KR100647981B1 (ko)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20000003654A (ko) 러버컨택을 구비한 키패드 구조
KR200210172Y1 (ko) 슬라이딩 타입 키 다이얼링장치를 갖는 휴대폰
KR200280101Y1 (ko) 휴대폰의 키버튼 장치
KR101305284B1 (ko) 휴대 단말기
KR200239813Y1 (ko) 돔접점방식버튼구조
KR19980060664U (ko) 조작부의 러버컨택 장치
KR970005755Y1 (ko)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슬림화 구조
KR910014792A (ko) 키 입력장치
KR100232792B1 (ko) 일체형 키탑구조
KR200184079Y1 (ko) 방수구조를 갖는 키버튼 어셈블리
KR10065158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이드 키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