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4924B1 -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4924B1
KR100774924B1 KR1020060104375A KR20060104375A KR100774924B1 KR 100774924 B1 KR100774924 B1 KR 100774924B1 KR 1020060104375 A KR1020060104375 A KR 1020060104375A KR 20060104375 A KR20060104375 A KR 20060104375A KR 100774924 B1 KR100774924 B1 KR 100774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signal terminal
contact
switch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선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4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4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4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4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버튼과;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형성되는 접촉신호단자와,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하면 중 상기 접촉신호단자의 근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신호단자와;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촉신호단자와 제1고정신호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사이드 키버튼, 고정신호단자, 접촉신호단자, 메인 인쇄회로기판, 사이드 스위치

Description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SIDE BUTTON}
도1은 택트 스위치를 갖는 종래의 이동단말기의 부분 단면도.
도2는 연성회로기판 솔더 방식의 종래의 이동단말기의 부분 단면도.
도3은 실시예1의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개략적 부분 사시도.
도4는 도3의 AA'의 단면도.
도5는 실시예1의 사이드 스위치의 사시도.
도6은 실시예1의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사이드 스위치의 결합도.
도7은 실시예2의 사이드 스위치의 사시도.
도8은 실시예3의 개략적 부분 평면도.
도9는 도8의 BB'의 개략적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메인 인쇄회로기판 110:제1고정신호단자
112:제1신호라인 120:접촉신호단자
122:접촉신호라인 130:제2고정신호단자
132:제2신호라인
200, 300:사이드 키버튼 210, 310:제1고정스위치
220, 320:접촉스위치 230, 330:고정단
1000:메인 인쇄호로기판 1100:제1고정신호단자
1110:제1신호라인 1120:제1연결부
1200:제2고정신호단자 1210:제2신호라인
1220:제2연결부 1300:고정판
1400:사이드 스위치
본 발명은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구비되는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신호라인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신호를 입력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종래의 이동단말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택트 스위치를 갖는 이동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택트스위치(tact s/w)를 갖는 이동단말기는 본체케이스(10); 본체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키버튼(20); 및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일측이 사이드 키버튼(20)에 접촉되도록 하고 타측이 메인 인쇄회로기판(30)에 표면 실장되는 택트스위치(4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1에 나타낸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사이드 키버튼(20)을 클릭할 때 의 클릭감이 떨어지고, 또한 사이드 키버튼(20)의 조립조건에 따라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2는 연성회로기판 솔더 방식의 이동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성회로기판 솔더 방식의 이동 단말기는 본체케이스(10); 본체케이스(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사이드 키버튼(20); 본체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사이드 키버튼(20)에 접촉되는 돔스위치(40); 일측이 돔스위치(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이 메인 인쇄회로기판(30)에 솔더링(soldering)되는 연성회로기판(50); 돔스위치(40)를 고정되게 지지하는 제1플레이트(60); 및 연성회로기판(50)을 지지하는 제2플레이트(7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도2에 도시된 종래의 이동단말기는 도1에 도시된 종래의 이동단말기에 비하여 사이드 버튼키를 클릭할 때의 클릭감은 좋으나, 조립되는 부품수가 많아서 작업공정이 많이 필요하고, 국제적으로 제한되는 솔더링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고, 사이드 키버튼의 클릭감이 좋은 사이드 키버튼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성호로기판을 구비하지 않고, 국제적으로 제한되는 솔더링이 필요하지 않는 사이드 버튼키를 갖는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버튼과;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형성되는 접촉신호단자와,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하면 중 상기 접촉신호단자의 근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신호단자와;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촉신호단자와 제1고정신호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끼워져 제1고정신호단자와 고정 접촉하는 "ㄷ"자형태의 제1고정스위치와; 일단이 상기 제1고정스위치의 "ㅣ"자 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접촉신호단자와 접촉하는 둥근 원호형상의 접촉스위치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끼워지는 "ㄷ"자형태의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고정단의 "ㅣ"자 부분에 연결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되어 제1고정신호단자와 고정 접촉하는 "ㄱ"자형태의 제1고정스위치와; 일단이 상기 제1고정스위치의 "ㅣ"자 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접촉신호단자와 접촉하는 둥근 원호형상의 접촉스위치를 포함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에 끼워지는 "ㄱ"자형태의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고정단의 "ㅣ"자 부분에 연결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하면 중 상기 제1고정신호단자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과 고정 접촉되는 제2고정신호단자와; 상기 제1고정신호단자에 연결되는 제1신호라인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고정신호단자에 연결되는 제2신호라인을 포함하기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버튼과;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신호단자와;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중 상기 제1접촉신호단자의 근부에 제2고정신호단자와; 소정부위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측단이 상기 제1고정신호단자와 고정 접촉하는 제1연결부와; 소정부위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측단이 상기 제2고정신호단자와 고정 접촉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의 타단 및 제2연결부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는 판형상의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는 상기 고정판의 측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ㄷ"자 형의 제1클립부 및 제2클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타단부와 탄성 접촉하는 둥근 원호형상의 접촉스위치이기도 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1
실시예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접촉신호단자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형성되고, 고정신호단자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3은 실시예1의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개략적 부분 사시도를, 도4는 도3의 AA'의 단면도를, 도5는 실시예1의 사이드 스위치의 사시도를, 도6은 실시예1의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사이드 스위치의 결합도를 나타낸다.
실시예1은 본체 케이스(도면 미도시)와, 상기 본체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을 갖는다.
도3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을 갖는다.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은 본체 케이스(도면 미도시) 내부에 구비된다.
도3을 참조하면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에는 제1고정신호단자(110)와 접촉신호단자(120)와 제2고정신호단자(130)가 형성된다.
도3을 참조하면 제1고정신호단자(110) 및 제2고정신호단자(13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우측단에 형성된다. 제1고정신호단자(110)에는 제1신호라인(112)이 연결되고, 제2고정신호단자(130)에는 제2신호라인(132)이 연결된다. 제2신호라인(132)은 일측이 제1신호라인(112)에 병렬로 연결되고, 타측이 제2고정신호단자(130)에 연결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접촉신호단자(120)는 제1고정신호단자(110)와 제2고 정신호단자(130) 사이에 형성되는데,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상하면을 관통하되 측면부가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접촉신호단자(12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부로부터 안쪽으로 형성되는 홈부에 도체가 삽입 고정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접촉신호단자(120)에 접촉신호라인(122)이 연결된다. 접촉신호라인(122)은 제1신호라인(112) 및 제2신호라인(132)이 분기되는 원신호라인(도면 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실시예1은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제1고정신호단자(110) 및 제2고정신호단자(130)와 접촉신호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스위치(200)를 갖는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사이드 스위치(200)는 제1고정스위치(210)와, 접촉스위치(220)와, 고정단(230)을 갖는다.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제1고정스위치(210)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에 끼워져 제1고정신호단자(110)와 고정 접촉하도록 형성되고, 고정단(230)은 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에 끼워져 제2고정신호단자(130)와 고정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5 및 도6을 참조하면 접촉스위치(220)는 일단이 제1고정스위치의 "ㅣ"자 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단(230)의 "ㅣ"자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과 접촉함으로써 탄성 변형되어 접촉신호단자(120)와 접촉하도록 둥근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스위치(220)의 내면에는 접촉신호단자(120)와 접촉을 용이하게 하 기 위하여 접촉돌기(도면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을 참조하면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의 미작동시 제1고정스위치(210)는 제1고정신호단자(110)와 고정 접촉되어 있고, 고정단(230)은 제2고정신호단자(130)와 고정 접촉되어 있고, 접촉스위치(220)는 접촉신호단자(120)와 소정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을 클릭하면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이 접촉스위치(220)를 압박하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접촉스위치(220)가 접촉신호단자(120)의 측면부와 접촉하게 된다.
도6을 참조하면 접촉신호단자(120)가 접촉스위치(220)의 측면부와 접촉됨으로써, 접촉신호라인(122)이 회로적으로 상기한 원신호라인(도면 미도시)과 연결되어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6을 참조하면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접촉스위치(220)가 탄성 복원되어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과 접촉스위치(220)의 접촉이 해제되고, 이어서 접촉스위치(220)와 접촉신호단자(120)의 접촉이 해제되어, 접촉신호라인(122)과 상기한 원신호라인(도면 미도시)과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이다.
실시예1의 경우 고정단(230)은 제2고정신호단자(130)와 고정 접촉되어 있어, 제1고정스위치(210)를 보조하는 제2고정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1고정수위치(210)의 미작동시에도 신호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실시예1의 경우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에 제1고정신호단자(110)를 형성하고,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상면 측면부에 접촉신호단자(120)를 형성하며, 제1고정신호단자(110) 및 접촉신호단자(120)에 접촉되는 사이드 스위치를 구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한 사이드 키버튼을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게 된다. 즉, 실시예1의 경우 사이드 키버튼용 연성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게 된다.
실시예1의 경우 제1고정스위치(210)와 고정단(230)을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부에 끼워 사이드 스위치(20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는 택트(tact) 스위치를 메인 인쇄회로기판에 SMT 하거나 사이드 스위치와 접촉하는 별도의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를 부착하였다. 그러나, 택트(tact) 스위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에의 실장 위치의 편차 때문에 사용자가 눌렀을 경우에 클릭감이 문제가 되며, 연성인쇄회로기판(FPCB)를 부착하는 경우는 솔더링(Soldering)을 해 주어야 하는데 솔더(Solder)를 쓰지 않는 Pb-Free가 국제적인 흐름으로 대두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실시예1의 경우 제1고정스위치(210)와 고정단(230)을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부에 끼워 사이드 스위치(200)를 고정하고 탄성 재질의 접촉스위치를 구비함으로 위치편차가 없고 클릭감이 좋은 장점과 솔더링을 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제2고정신호단자(130)를 갖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2고정신호단자(130)를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제2신호라인(132)도 갖지 않는다. 단 이 경우에도 사이드 스위치(200)를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단(2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 경우 고정단(230)은 도체일 필요는 없다.
상기한 실시예의 경우 접촉신호단자(12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부로부터 안쪽으로 형성되는 홈부에 도체가 삽입 고정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접촉신호단자(12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부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신호라인(122)이 메인 인쇄회로기판(100)의 측면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접촉신호단자(120)에 연결된다.
상기한 실시예1의 경우 접촉스위치(220)는 둥근 원호형상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ㄷ"자 형태일 수도 있다.
실시예2
실시예2는 사이드 스위치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도7은 실시예2의 사이드 스위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7을 참조하면 실시예2는 실시예1에서 설명한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제1고정신호단자(110) 및 제2고정신호단자(130)와 접촉신호단자(1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스위치(300)를 갖는다.
도7을 참조하면 사이드 스위치(300)는 제1고정스위치(310)와, 접촉스위 치(320)와, 고정단(330)을 갖는다.
도7을 참조하면 제1고정스위치(310)은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00)에 탑재되어 제1고정신호단자(110)와 고정 접촉되고, 고정단(330)은 단면이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00)에 탑재되어 제2고정신호단자(130)와 고정 접촉된다. 고정 접촉수단은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접촉스위치(320)는 일단이 제1고정스위치(310)의 "ㅣ"자 부분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단(330)의 "ㅣ"자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과 접촉함으로써 탄성 변형되어 접촉신호단자(120)와 접촉하도록 둥근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촉스위치(320)의 내면에는 접촉신호단자(120)와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접촉돌기(도면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2의 작동 및 변형 실시예는 실시예1의 작동 및 변형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3
실시예3은 제1고정신호단자 및 제2고정신호단자가 메인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8은 실시예3의 개략적 부분 평면도를, 도9는 도8의 BB'의 개략적 단면도를 나타낸다.
실시예3은 본체 케이스(도면 미도시)와, 상기 본체 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을 갖는다.
도8을 참조하면 실시예3은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을 갖는다.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은 본체 케이스(도면 미도시) 내부에 구비된다.
도8을 참조하면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에는 제1고정신호단자(1100)와 제2고정신호단자(1200)가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제1고정신호단자(1100) 및 제2고정신호단자(120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의 상면 우측단에 형성된다. 제1고정신호단자(1100) 및 제2고정신호단자(120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의 상하면을 관통하되 측면부가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의 측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고정신호단자(1100) 및 제2고정신호단자(120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의 측면부로부터 안쪽으로 형성되는 홈부에 도체가 삽입 고정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8을 참조하면 제1고정신호단자(1100)에는 제1신호라인(1110)이 연결되고, 제2고정신호단자(1200)에는 제2신호라인(1210)이 연결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실시예3은 제1연결부(1120)와 제2연결부(1220)와 고정판(1300)을 갖는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고정판(130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본체 케이스(도면 미도시)의 측면에 고정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제1연결부(1120)는 고정판(1300)의 측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ㄷ"자 형의 제1클립부(도면부호 미부여)를 갖는다. 제1클립부(도면 부호 미부여)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연결부(1120)의 일측단은 제1고정신호단 자(1100)의 측면부와 접촉하고, 제1클립부(도면 부호 미부여)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1연결부(1120)의 타측단은 고정판(1300)과 밀착 접촉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제2연결부(1220)는 고정판(1300)의 측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ㄷ"자 형의 제2클립부(도면부호 미부여)를 갖는다. 제2클립부(도면 부호 미부여)의 일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연결부(1220)의 일측단은 제2고정신호단자(1200)의 측면부와 접촉하고, 제2클립부(도면 부호 미부여)의 타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2연결부(1220)의 타측단은 고정판(1300)과 밀착 접촉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실시예3은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제1연결부(1120)의 타단 및 제2연결부(1220)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스위치(1400)를 갖는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사이드 스위치(1400)는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여 양단이 제1연결부(1120)의 타단 및 제2연결부(1220)의 타단과 접촉하는 둥근 원호형상의 접촉스위치이다. 따라서, 사이드 스위치(1400)는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1연결부(1120)의 타단 및 제2연결부(1220)의 타단과 접촉하도록, 사이드 스위치(1400)의 외면이 상기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이드 스위치(1400)의 양단과 제1연결부(1120)의 타단 및 제2연결부(1220)의 타단과 접촉 및 이격을 용이하게 하고, 사이드 스위치(1400)의 영구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이드 스위치(1400)는 탄성 변형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예3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8 및 도9를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의 미작동시 사이드 스위치(1400)는 제1연결부(1120)의 타단 및 제2연결부(1220)의 타단과 소정 거리 만큼 이격되어 있고, 제1연결부(1120)의 일단 및 제2연결부(1220)의 일단은 각각 제1고정신호단자(1100)의 측면 및 제2고정신호단자(1200)의 측면과 접촉하고 있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 클릭하면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이 사이드 스위치(1400)를 이동시켜 사이드 스위치(1400)의 양단이 제1연결부(1120)의 타단 및 제2연결부(1220)의 타단과 접촉하게 된다.
도8을 참조하면 사이드 스위치(1400)의 양단이 제1연결부(1120)의 타단 및 제2연결부(1220)의 타단과 접촉함으로써, 제1신호라인(1110)이 제2신호라인(1210)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신호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사이드 키버튼(도면 미도시)이 원 상태로 복귀하고, 이어서 사이드 스위치(1400)의 양단과 제1연결부(1120)의 타단 및 제2연결부(1220)의 타단과의 접촉이 해제되어 제1신호라인(1110)과 제2신호라인(1210)과 회로적으로 연결이 해제되는 것이다.
실시예3의 경우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의 측면에 제1고정신호단자(1100)와 제2고정신호단자(1200)를 형성하고, 제1연결부(1120) 및 제2연결부(1220)의 제1클립부(도면부호 미부여) 및 제2클립부(도면부호 미부여)를 고정판(1300)에 끼우면 되므로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한 사이드 키버튼을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실시예3의 경우 사이드 키버튼용 연성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이 간단한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3의 경우 제1고정신호단자(1100) 및 제2고정신호단자(1200)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의 측면부로부터 안쪽으로 형성되는 홈부에 도체가 삽입 고정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제1고정신호단자(1100)와 제2고정신호단자(1200)의 모두 또는 어느 하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의 측면부에만 형성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신호라인(1110)과 제2신호라인(1210)의 모두 또는 어느 하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1000)의 측면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제1고정신호단자(1100)와 제2고정신호단자(1200)의 모두 또는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상기한 실시예3의 경우 사이드 스위치(1400)는 둥근 원호형상인 것으로 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의 경우 "ㄷ"자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고정단이 제1고정스위치를 보조하는 제2고정스위치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제1고정수위치의 미작동시에도 신호입력이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제1고정스위치와 고정단을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부에 끼우거나 제1, 2연결부의 제1, 2클립부를 고정판에 끼워 고정할 수 있으므로 구조 및 조립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탄성 재질의 접촉스위치 및 사이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제1 고정스위치와 고정단을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부에 끼우거나 제1, 2연결부의 제1, 2클립부를 고정판에 끼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위치편차가 없고 클릭감이 좋은 장점과 솔더링을 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호 형태의 접촉스위를 사용함으로써, 돔형태의 스위치보다 클릭감이 좋은 장점이 있게 된다.

Claims (8)

  1.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버튼과;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형성되는 접촉신호단자와,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하면 중 상기 접촉신호단자의 근부에 형성되는 제1고정신호단자와;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접촉신호단자와 제1고정신호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끼워져 제1고정신호단자와 고정 접촉하는 "ㄷ"자형태의 제1고정스위치와;
    일단이 상기 제1고정스위치의 "ㅣ"자 부분에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접촉신호단자와 접촉하는 둥근 원호형상의 접촉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끼워지는 "ㄷ"자형태의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고정단의 "ㅣ"자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되어 제1고정신호단자와 고정 접촉하는 "ㄱ"자형태의 제1고정스위치와;
    일단이 상기 제1고정스위치의 "ㅣ"자 부분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접촉신호단자와 접촉하는 둥근 원호형상의 접촉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메인인쇄회로기판에 끼워지는 "ㄱ"자형태의 고정단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스위치의 타단은 상기 고정단의 "ㅣ"자 부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6. 제3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상하면 중 상기 제1고정신호단자가 형성된 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과 고정 접촉되는 제2고정신호단자와;
    상기 제1고정신호단자에 연결되는 제1신호라인과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2고정신호단자에 연결되는 제2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7.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형성되는 사이드 키버튼과;
    본체 케이스에 구비되는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에 형성되는 제1고정신호단자와;
    상기 메인 인쇄회로기판의 측면 중 상기 제1접촉신호단자의 근부에 제2고정신호단자와;
    소정부위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측단이 상기 제1고정신호단자와 고정 접촉하는 제1연결부와;
    소정부위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고정되어 일측단이 상기 제2고정신호 단자와 고정 접촉하는 제2연결부와;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의 타단 및 제2연결부의 타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사이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는 판형상의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는 상기 고정판의 측면에 끼워져 고정되는 "ㄷ"자 형의 제1클립부 및 제2클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스위치는 상기 사이드 키버튼의 조작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의 타단부와 탄성 접촉하는 둥근 원호형상의 접촉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020060104375A 2006-10-26 2006-10-26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KR100774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75A KR100774924B1 (ko) 2006-10-26 2006-10-26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375A KR100774924B1 (ko) 2006-10-26 2006-10-26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4924B1 true KR100774924B1 (ko) 2007-11-09

Family

ID=3906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375A KR100774924B1 (ko) 2006-10-26 2006-10-26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4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4963B2 (en) 2013-09-13 2017-08-1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side actuator arran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252A (ko) * 2005-02-03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키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252A (ko) * 2005-02-03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키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4963B2 (en) 2013-09-13 2017-08-1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side actuator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54415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US8022326B2 (en) Push switch
JP4557043B2 (ja) 押し込み操作型電子部品
JP2005353563A (ja) 携帯電話用スイッチモジュール
US20040256211A1 (en) Resilient switch contact for a key switch device
JP4862697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9193770A (ja) 押釦スイッチ
US9691570B1 (en) Modular tactile switch
KR101652872B1 (ko) 커넥터
KR101620043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KR100774924B1 (ko)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US20070215450A1 (en) Slide switch
JP2001015226A (ja) 同軸コネクタスイッチ
US5743382A (en) Switch having a displaying function
JP5428890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0109737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DE69927941D1 (de) Schalter zur Montage auf einer Schaltplatte
KR20170112307A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
JP2006196356A (ja) コネクタ
JP2003173831A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6156031A (ja) 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子機器
JP5228901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960005877Y1 (ko) 주회로 기판과 스위치의 연결장치
JP569642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10080840A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