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043B1 -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043B1
KR101620043B1 KR1020090112512A KR20090112512A KR101620043B1 KR 101620043 B1 KR101620043 B1 KR 101620043B1 KR 1020090112512 A KR1020090112512 A KR 1020090112512A KR 20090112512 A KR20090112512 A KR 20090112512A KR 101620043 B1 KR101620043 B1 KR 101620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key
circuit board
row
key
mai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5896A (ko
Inventor
김준태
이민철
박희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043B1/ko
Priority to US12/925,990 priority patent/US8730655B2/en
Publication of KR2011005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5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키와 메인회로기판과의 연결구조를 단순화시킨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사이드키와 메인회로기판에 형성된 사이드키의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사이드키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이드키의 연결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키의 단품가격, 조립공정 및 표면실장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메인회로기판,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 사이드키, 연결장치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SIDE KEY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키 연결구조를 단순화 시킨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Side Key)는 휴대 단말기의 본체의 양 측면 중 하나 이상 설치되며 조작을 통해 휴대 단말기에서 신호를 보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의 일종이다.
요즘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는 크게 돔(Dome) 스위치 방식과 택트(Tact) 스위치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돔 스위치 방식은 돔 스위치가 내장된 돔 쉬트를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에 부착하여 메인회로기판에 형성된 접속 단자 즉, 로우(Row) 및 컬럼(Column) 단자패드에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납땜 연결하는 방식이다. 돔 스위치는 러버(Rubber) 돔 스위치 또는 메탈(Metal) 돔 스위치가 사용된다.
택트 스위치 방식은 택트 스위치 소자를 메인회로기판에 형성된 로우(Row) 및 컬럼(Column) 단자 패드에 납땜 연결하는 방식이다.
요즘 택트 스위치는 표면실장기술(SMT;Surface Mount Technology)이 적용된 표면실장소자(SMD;Surface Mount Devices)를 사용한다.
그런데 돔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돔 쉬트를 부착하기 위한 연성회로기판을 제작해야 하며, 연성회로기판을 메인회로기판에 납땜해야 한다. 그리고 연성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해 메인회로기판의 측면에 고정 지지대를 세워야 하며, 양면 테이프로 고정해 줘야 한다.
택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택트 스위치는 사이드 키의 숫자에 맞춰 메인회로기판에 표면실장 해줘야 한다.
이와 같이, 돔 스위치 방식은 연성회로기판의 단품가격이 비싸며 조립 공정이 많으며, 메인회로기판은 연성회로기판을 위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그리고 택트 스위치 방식은 택트 스위치 단품 가격이 비싸고 표면실장 비용 또한 많이 들며 메인회로기판은 택트 스위치의 두께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슬림 추세에 역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돔 스위치 또는 택트 스위치를 사용하지 않고 사이드키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사이드키 구조를 단순화 시킨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의 단품가격, 조립공정 및 표면실장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장 공간을 늘려 슬림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와 상기 사이드키의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사이드키 연결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상기 사이드키 연결장치는, 상기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들로부터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와 상기 측면 로우 및 컬럼 패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사이드키에 형성된 수용홈에 수용되는 도전성 접속부재 및 상기 사이드키가 탄성 유동 되도록 일단은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사이드키의 측면의 양 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측면과 결합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이드키의 연결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키의 단품가격, 조립공정 및 표면실장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메인회로기판의 다른 부품을 위한 실장공간을 늘릴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전체의 두께를 줄여 슬림(Slim)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선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키의 작동 전 후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100)는 폴더 타입 단말기 및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 설명의 편의를 의하여 슬라이드 타입의 단말기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00)는 메인회로기판(10), 본체(20), 슬라이드부(30), 사이드키(50) 및 사이드키 연결장치(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이드키 연결장치(70)는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와 도전성 접속부재(73) 및 한 쌍의 탄성부재(75)를 포함한다.
그리고 사이드키 연결장치(70)는 메인회로기판(10) 및 사이드키(50) 사이에 설치되며 이들은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20)는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3)로 분리된다.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는 후술되는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13)로부터 메인회로기판(10)의 측면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즉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장 패드이며, 바람직하게는 증착에 의한 형성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착은 물리적 증기 증착(Physical Vapor Deposition; PVD) 또는 화학적 증기 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13)는 메인회로기판(10)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하나 이상에 복수개 형성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이드키 구동회로(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패드이다. 그리고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13)는 기존의 택트(Tact) 스위치(미도시) 또는 사이드키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의 접속단자와 납땜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13)를 이용하여 후술되는 사이드키(50)와 연결되는 사이드키 연결장치(70)에 의해 기존의 복잡한 사이드키 구조를 단순화 시킴에 있다.
상기 사이드키 구동회로(12)는 사이드키(50)의 입력신호를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에 전달하는 회로로서 메인회로기판(10)의 상부면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13)와 함께 메인회로기판(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13)는 행과 열 단위로 키값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사이드키(50)가 눌려졌을 때 상기 키값에 해당하는 신호입력이 사이드키 구동회로(12)에 의해 중앙처리장치로 전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13)가 하나이지만 한정하지 않고 메인회로기판(10)의 상부면의 일측 또는 타측에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13)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사이드키(5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조작할 수 있는 사이드키 버튼(50a)과 사이드키 버튼(50a)의 하단 둘레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날개(50b)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키(50)는 상부 케이스(21)와 하부 케이스(23)의 측면에 각각 마주보며 형성된 한 쌍의 케이스 홈(25)과 측면 부위가 결합되어 사이드키 버튼(50a)의 전면부분이 일부 돌출되며, 사이드키(5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사이드키 홈(25) 뒤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턱(27)에 날개(50b)가 걸려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이드키(50)가 하나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13)의 개수에 대응되어 양쪽 측면 중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도전성 접속부재(73)는 부피를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와 접촉되어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와 마주보는 사이드키(50)의 후면에 형성된 수용홈(50c)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이 때 도전성 접속부재(73)는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와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도록 수용홈(50c)에 일부 수용되고 나머지는 노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전성 접속부재(73)는 전기가 통하는 금, 은, 구리 및 철 등의 전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도전성 접속부재(73)가 사이드키(50)에 삽입되었으나 판재 형상으로 가공하여 접착제로 붙이거나 전도성 도료 또는 전도성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도전성 접속부재(73)를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이드키 버튼(50a)의 누림에 의해 사이드키(50)의 도전성 접속부재(73)가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에 동시에 접촉시 사이드키 구동회로(12)가 도통된다.
한 쌍의 탄성부재(75)는 사이드키(50)가 탄성 유동 되도록 일단은 메인회로기판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사이드키(50)의 날개(50b) 후면의 양 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메인회로기판(10)의 측면과 탄성 접촉된다. 사이드키(50)의 날개(50b) 후면의 양단과 한 쌍의 탄성부재(75)의 일단 사이에는 한 쌍의 양면 테이프(60)를 사용하여 이들을 결합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회로기판(10)의 측면과 대응되는 한 쌍의 탄성부재(75)의 타단은 메인회로기판(10)의 측면에 탄성 접촉하였으나 미도시되었지만 한 쌍의 양면 테이프(60)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양면 테이프(60)를 사용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탄성부재(75)는 사이드키(50)를 외부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 하기 위해 어느 정도 압축한 상태로 메인회로기판(10)의 측면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탄성부재(75)는 Z자형 판 스프링이며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탄성부재(75)가 판 스프링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메인회로기판(10) 및 사이드키(50)가 설치되는 본체(20)에 사이드키 연결장치(70)를 적용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에 디스플레이부(33)가 설치되는 슬라이드부(30)에도 상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70)를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사이드키 연결장치(70)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사이드키(50)와 메인회로기판(10)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전성 접속부재(73)가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에 동시에 접촉됨을 알리도록 진동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진동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된 진동 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즉 사이드키(50)의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진동으로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전성 접속부재(73)가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에 동시에 접촉됨을 알리도록 램프(Lamp)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사이드키(50) 또는 본체(20) 및 슬라이드부(30)의 전면부에 각각 위치한 키패드들(28,35)의 발광 장치와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즉 사이드키(50)의 신호가 입력되었음을 램프의 켜짐으로써 알려줄 수 있다. 상기 램프는 LED(Light Emitted Diode;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이외에도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배터리부, 터치패드, 카메라 모듈, 슬라이드 힌지모듈 등 기존의 휴대 단말기에 포함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는 사이드키의 동작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사이드키(50)에 외력이 가하지 않으면 한 쌍의 탄성부재(75)에 의해 도전성 접속부재(73)와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는 서로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이다. 이 때에는 사이드키(50)의 신호 입력이 차단된 상태이다. 여기서 본체(20)로부터 노출된 사이드키 버튼(50a)의 정면 부위를 눌러 가압하면, 도 5에서와 같이, 한 쌍의 탄성부재(75)가 압축되면서 사이드키(50)의 후면에 삽입된 도전성 접속부재(73)가 측면의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에 동시에 접촉된다. 즉 사이드키(50)의 입력 신호가 사이드키 구동회로(12)에 입력된다. 이 때 키 신호가 입력됨을 진동 또는 램프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드키 버튼(50a)의 누름을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한 쌍의 탄성부재(75)가 탄성 복원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원래의 위치로 사이드키 버튼(50a)을 되돌린다. 이로써 측면의 로우 및 컬럼단자패드(71)와 접촉된 도전성 접속부재(73) 또한 접촉이 분리되며 사이드키(50)의 입력 신호가 차단된다.
제2 실시예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키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사이드키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이드키 연결장치(70)는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71)와 도전성 접속부재(73) 및 한 쌍의 탄성부재(75)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사이드키(50)와 메인회로기판(10)에 각각 한 쌍의 키홈(50d)과 돌출구(15)가 형성된 것 이외에는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사이드키(50)와 메인회로기판(10) 및 한 쌍의 탄성부재(75)와의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상기 사이드키(50)의 양 단에는 한 쌍의 탄성부재(75)의 일단과 결합할 수 있는 한 쌍의 키홈(50d)이 형성된다.
그리고 사이드키(50)와 마주보는 상기 메인회로기판(10)의 측면에는 상기 한 쌍의 탄성부재(75)의 타단과 결합할 수 있는 한 쌍의 돌출구(1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돌출구(15)는 메인회로기판(10)과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부착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돌출구(15)의 마주보는 일측에는 한 쌍의 탄성부재(75)의 타단이 결합되는 삽입홈(15a)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사이드키(50)의 한 쌍의 키홈(50d)과 메인회로기판(10)의 한 쌍의 삽입홈(15a)에 한 쌍의 탄성부재(75)의 양단을 각각 끼움 결합함으로써 더욱 견고하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하여 전술한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선 A-A′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키의 작동 전 후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
도 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키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이드키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메인회로기판 13: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
20:본체 30:슬라이드부
50:사이드키 70:사이드키 연결장치
71: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 73:도전성 접속부재
75:한 쌍의 탄성부재 100:휴대 단말기

Claims (11)

  1.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와;
    메인회로기판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설치되는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 및
    상기 사이드키와 상기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사이드키 연결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키 연결장치는,
    상기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로부터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측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와;
    상기 사이드키에 설치되는 도전성 접속부재; 및
    상기 사이드키와 상기 메인회로기판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키가 눌리면,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와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메인회로기판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가 상기 측면 로우 및 컬럼 단자패드에 접촉 시 상기 사이드키 구동회로가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로우 및 컬럼 패드는 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연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는 상기 측면 로우 및 컬럼 패드에 접촉 시 진동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의 램프는 상기 측면 로우 및 컬럼 패드에 접촉 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키의 양 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각각 대응되어 결합되는 키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회로기판의 측면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각각 대응되어 결합되도록 삽입홈이 구비된 돌출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11. 제 3 항, 제 6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접속부재는 금, 은, 구리 및 철 등의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KR1020090112512A 2009-11-20 2009-11-20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KR101620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12A KR101620043B1 (ko) 2009-11-20 2009-11-20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US12/925,990 US8730655B2 (en) 2009-11-20 2010-11-04 Side key connection device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512A KR101620043B1 (ko) 2009-11-20 2009-11-20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5896A KR20110055896A (ko) 2011-05-26
KR101620043B1 true KR101620043B1 (ko) 2016-05-12

Family

ID=4406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512A KR101620043B1 (ko) 2009-11-20 2009-11-20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30655B2 (ko)
KR (1) KR101620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072B1 (ko) * 2011-10-04 2018-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키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984578B1 (ko) * 2012-08-21 2019-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KR101984087B1 (ko) * 2012-09-12 2019-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332329B2 (en) * 2012-09-28 2016-05-03 Htc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GB2518200A (en) 2013-09-13 2015-03-18 Nokia Corp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a side actuator arrange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0162A1 (en) 2003-03-21 2004-12-02 Chih-Neng Hsu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with a side key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48183A (en) * 1997-12-31 2000-11-14 Motorola, Inc. Switch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JP3959916B2 (ja) * 2000-01-25 2007-08-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その装着方法
KR200362288Y1 (ko) * 2004-06-07 2004-09-21 전배경 휴대용 전화기의 스위치 모듈
TWM261822U (en) * 2004-09-03 2005-04-11 Molex Taiwan Ltd Structure of side-mounted switch
KR100810314B1 (ko) * 2006-10-11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0162A1 (en) 2003-03-21 2004-12-02 Chih-Neng Hsu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with a side key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0655B2 (en) 2014-05-20
US20110122586A1 (en) 2011-05-26
KR20110055896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85355B2 (en) Device having snaps with soldered snap members
US20050029084A1 (en) Push-on switch
KR101620043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키 연결장치
JP2009252519A (ja) 基板実装用コネクタ
JP2005353563A (ja) 携帯電話用スイッチモジュール
US20050001822A1 (en) Resilient switch contact for a key switch device
JP2013152819A (ja) 電池ホルダ
US7564004B2 (en) Switch device
US6568943B2 (en) Electric connection device, battery having electric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battery
US20110124246A1 (en) Electronic device with grounding mechanism
US6506059B2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display devices
US925724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switch
US71442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board
US5743382A (en) Switch having a displaying function
EP1662530A1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operation button
KR20170112307A (ko)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
US20190035572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de Button Structure
US20080102658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a multitude of terminals
US8841568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ower switch
KR201000663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100774924B1 (ko) 사이드 키버튼을 갖는 이동단말기
CN215955140U (zh) 按键结构及电子设备
JP2010020911A (ja) 押釦スイッチの取付構造
KR10065378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프피씨비 고정구조 및 그 방법
KR20130080112A (ko) Pcb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과 pcb 어셈블리를 이용한 초소형 택트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