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039Y1 -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039Y1
KR200205039Y1 KR2020000020443U KR20000020443U KR200205039Y1 KR 200205039 Y1 KR200205039 Y1 KR 200205039Y1 KR 2020000020443 U KR2020000020443 U KR 2020000020443U KR 20000020443 U KR20000020443 U KR 20000020443U KR 200205039 Y1 KR200205039 Y1 KR 200205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force
state
elastic member
conductive elastic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4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의철
Original Assignee
신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의철 filed Critical 신의철
Priority to KR20200000204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조작노브에 가해진 누름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만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통상적인 스위칭동작과는 반대되는 스위칭동작이 요구되는 제품에 긴요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서로 마주하는 지점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접속단자와;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단이 상기 각 접속단자에 항상 접촉되고,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각 접속단자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탄성작용하는 도전성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덮여지는 커버와;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앙상부에 해당되는 커버의 중심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심부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누름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만 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통상적인 택트스위치의 스위칭동작과 반대되는 스위칭동작이 요구되는 제품에 긴요하게 적용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TACT SWITCH FOR ELECTRONIC APPLIANCES}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조작노브에 가해진 누름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만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통상적인 스위칭동작과는 반대되는 스위칭동작이 요구되는 제품에 긴요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이동전화기나 텔레비전 같은 각종 전자제품에는 회로기판과의 전기적인 신호를 스위칭시켜주므로써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택트스위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택트스위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택트스위치의 확대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택트스위치는(10)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일정 깊이의 공간부(12)가 형성된 하우징(14)과, 상기 하우징의 공간부 바닥면상에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상에 연결되는 접속단자(16)와, 상기 공간부(12)내에서 접속단자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접점편(18)과, 상기 접점편(18)의 상면 중심부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우징(14)의 상부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설치되는 조작노브(20)와,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커버(22)로 이루어진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일반적인 택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택트스위치(10)에서는 하우징(14)상의 공간부(12) 바닥면 중심부에는 접속단자(16)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16)의 위쪽에 해당되는 공간부에는 접점편(18)이 일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며, 그 접점편(18)의 상부에는 별도의 조작노브(20)가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택트스위치(10)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하우징(14)의 위쪽 상방으로 돌출된 조작노브(20)를 누르면, 그 작용힘에 의하여 조작노브(20)의 하단이 일정 거리 범위에서 아래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접점편(18)이 접속단자(16)와 접촉되면서 택트스위치(10)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스위칭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위칭작용에 의하여 원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조작노브(20)는 자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다음 조작의 대기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택트스위치(10)는 조작노브(20)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로서 이동전화기에서 플립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LED가 OFF되고, 플립이 개방되면 LED가 발광되는 경우와 같이 통상적인 스위칭동작과는 반대로 조작되는 제품에서는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조작노브에 가해진 누름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만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통상적인 스위칭동작과는 반대되는 스위칭동작이 요구되는 제품에 긴요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택트스위치의 확대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택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의 확대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 하우징 70 : 접속단자
80 : 도전성 탄성부재 82 : 만곡부
84 : 절개공 90 : 커버
100 : 조작노브.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일정 크기의 공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서로 마주하는 지점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접속단자와;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단이 상기 각 접속단자에 항상 접촉되고,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각 접속단자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탄성작용하는 도전성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덮여지는 커버와;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앙상부에 해당되는 커버의 중심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심부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작노브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는 얇은 플레이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누름힘의 작용여부에 따라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조작노브와 접 촉되는 중심부에는 위쪽으로 향하는 만곡부가 형성되고, 그 만곡부의 길이방향 양쪽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절개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의 확대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5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60)과, 그 하우징(60)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접속단자(70)와, 누름힘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기 각 접속단자(70) 사이의 전기적 접속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켜주는 도전성 탄성부재(80)와, 하우징(60)의 상부를 덮어주는 커버(90) 및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80)에 작용힘을 부여하는 조작노브(1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6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62)가 형성된다.
하우징(60)상에 형성된 공간부(62)의 바닥면 좌우 양쪽단에는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한쌍의 접속단자(70)가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상기 접속단자(70)의 상부에 해당되는 공간부(62)에는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단이 상기 각 접속단자(70)에 항상 접촉되고,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각 접속단자(70)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탄성작용하는 도전성 탄성부재(80)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60)의 상부에는 커버(90)가 덮여지며,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80)의 중앙상부에 해당되는 커버(90)의 중심부에는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80)의 중심부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작노브(100)가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80)는 얇은 플레이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데,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80)가 누름힘의 작용여부에 따라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조작노브(100)와 접촉되는 중심부에는 위쪽으로 향하는 만곡부(82)가 형성되며, 그 만곡부(82)의 길이방향 양쪽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절개공(84)이 형성된다.
도 7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하우징(6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62)의 바닥면 양쪽단에는 접속단자(70)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도전성 탄성부재(80)가 위치되며, 그 도전성 탄성부재(80)의 중심부 상면에는 조작노브(100)가 항상 접촉된 상태로 놓여진다.
상기 조작노브(100)에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전성 탄성부재(80)의 양단이 각 접속단자(70)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각 접속단자간에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100)의 위쪽(또는 외측)으로부터 누름힘이 인가되면, 그 작용힘에 의하여 조작노브(100)가 눌려 아래쪽(또는 내측)으로 이동되고, 그 작용힘은 도전성 탄성부재(80)의 만곡부(82)를 누르게 되면서 접속단자(70)와 접촉되어 있던 도전성 탄성부재(80)의 양쪽 끝부분이 위쪽으로 들어 올려져 접속단자(70)간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는 것이다.
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50)가 이동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내장된 LED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는 데 적용된다고 가정하고 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이동전화기의 플립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그 플립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가 조작노브(100)를 누르게 되고, 그 결과 도전성 탄성부재(80)의 만곡부(82)가 아래쪽(또는 내측)으로 이동되는 반작용에 의하여 접속단자(70)와 접촉되어 있던 양쪽 끝부분이 위쪽으로 들려지기 때문에 접속단자(7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므로 LED는 OFF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에, 플립이 개방되면 조작노브(100)를 누르던 힘이 소거되기 때문에 도전성 탄성부재(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눌려 있던 만곡부(82)가 위쪽으로 들리게 되고, 그 반작용에 의하여 도전성 탄성부재(80)의 양쪽 끝부분이 다시 접속단자(70)에 접촉되므로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면서 LED가 발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누름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만 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통상적인 택트스위치의 스위칭동작과 반대되는 스위칭동작이 요구되는 제품에 긴요하게 적용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일정 크기의 공간부(62)가 형성된 하우징(60)과;
    상기 하우징(60)의 하단에 결합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서로 마주하는 지점에서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접속단자(70)와;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단이 상기 각 접속단자(70)에 항상 접촉되고,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각 접속단자(70)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탄성작용하는 도전성 탄성부재(80)와;
    상기 하우징(60)의 상부에 덮여지는 커버(90)와;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80)의 중앙상부에 해당되는 커버(90)의 중심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80)의 중심부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작노브(100)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80)는 얇은 플레이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누름힘의 작용여부에 따라 자체 탄성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조작노브(100)와 접촉되는 중심부에는 위쪽으로 향하는 만곡부(82)가 형성되고, 그 만곡부(82)의 길이방향 양쪽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절개공(84)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2020000020443U 2000-07-18 2000-07-18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200205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443U KR200205039Y1 (ko) 2000-07-18 2000-07-18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443U KR200205039Y1 (ko) 2000-07-18 2000-07-18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5039Y1 true KR200205039Y1 (ko) 2000-12-01

Family

ID=1966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443U KR200205039Y1 (ko) 2000-07-18 2000-07-18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0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92A (ko)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택트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92A (ko)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택트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6106B1 (en) Push button switch including dome-shaped movable contact having reverse function
CA1272236A (en) Push and rocker action switch
KR200362288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스위치 모듈
US20010047926A1 (en) Multidirectional switch whose stem can be tilted and pushed
CA1105971A (en) Dome switch actuating apparatus
JP2010135319A (ja) 多段動作スイッチ
KR200205039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JP2001210178A (ja) 電気スイッチ
KR200297761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JP3936852B2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KR100406937B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JP2006510245A (ja) 特に移動電話のための入力装置、入力装置を備えたモジュール、移動電話及びこれらを製造する方法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KR100463909B1 (ko) 소형 택트 스위치
KR200319304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700719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구조
JP4844372B2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KR200310155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100353327B1 (ko) 다접점 스위치
KR200162075Y1 (ko) 원터치방식의 휴대폰
KR20029537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수구조
KR200377133Y1 (ko) 다단 돔 스위치
KR100766044B1 (ko) 스위치구조
KR200368770Y1 (ko) 택트 스위치 구조
JP2007103285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