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9304Y1 -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 Google Patents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9304Y1
KR200319304Y1 KR20-2003-0010800U KR20030010800U KR200319304Y1 KR 200319304 Y1 KR200319304 Y1 KR 200319304Y1 KR 20030010800 U KR20030010800 U KR 20030010800U KR 200319304 Y1 KR200319304 Y1 KR 200319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ubstrate member
contact portion
tact switch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0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호
Original Assignee
이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호 filed Critical 이수호
Priority to KR20-2003-0010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93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9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93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7/00Dimensions; Characteristics
    • H01H2227/02Vent ope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몸체 일측에는 스루홀(11)이 관통되게 형성된 기판부재(10)와, 상기 기판부재(1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며, 스루홀(11)을 통하여 기판부재(10)의 저면에 구비된 연결도체부(21a)를 갖는 도체의 중앙접점부(21)와, 이 중앙접점부(21)의 일측에 형성된 구획공간부(22)에 의해 단락된 상태로 구비되는 도체의 가변접점부(23)로 이루어진 패턴부(20)와, 상기 패턴부(20)와 단락된 상태로 기판부재(10)에 구비되어 연결도체부(21a)에 상호 연결된 터미널부(24)와, 상기 기판부재(10)의 저면에 결합된 솔더마스크(25)와, 상기 중앙접점부(21)를 가변접점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중앙접점부(21)를 덮은 상태로 외측단이 상기 가변점점부(23)에 안착된 콘택트부재(30)와, 상기 콘택트부재(30)를 패턴부(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레이어(31)와, 상기 커버레이어(31)의 상면에 구비된 접착부(40)와, 상기 접착부(40)를 통하여 기판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내부에 공간부(51)가 형성되도록 상부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부(5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52)에는 이동홀(53)이 뚫어지게 형성된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에 결합되어 공간부(51)를 따라 상, 하로 이동되며, 그 저면에는 콘택트부재(30)를 가압하기 위한 누름부(61)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부재(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중앙접점부(21)와 가변접점부(22)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콘택트부재(30)를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버튼부재(60)가 결합된 케이스(50)가 커버레이어(31)의 상면에 구비된 접착부(40)를 통하여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써, 상기 버튼부재(60)의 반복적인 동작에도 그 결합상태가 쉽게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이물질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이러한 접착부(40)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므로써,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PCB-typed Tact Switch}
본 고안은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가 장기간 반복적인 동작에도 쉽게 파손되거나,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이동전화기 및 휴대용 카세트 등과 같은 각종 전자제품에는 회로의 개폐를 통하여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초기의 스위치는 가정용 전자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관계로 소량만이 생산되어 사용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전자, 통신 등과 같은 산업전반의 발달에 의해 대량생산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소형이면서도 다양한 기능을 갖춘 택트 스위치는 가벼운 접촉만으로도 회로를 개방시켜 각각의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그 개폐동작이 정확 및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다는 장점 등이 있어 각종 전자제품의 조작용 스위치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택트 스위치는 미소전류만으로도 작동이 가능하여 한정된 전류만으로 운용되는 휴대용 전자제품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즉, 이러한 택트 스위치를 적용한 제품으로는 셀룰러폰 등의 이동전화기, 각종 소형화된 노트북, 휴대용 카세트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제품이 있으며, 이 외에도 가정용 전자제품 및 산업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대형의 전자 기기에도 조작용스위치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갈수록 첨단화, 소형화되는 전자제품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중량과 크기가 작은 경량박소형의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도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어 그 사용범위가 점차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택트 스위치를 통하여 첨단화 및 소형화된 전자제품을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는 미소전류만으로 작동되어 전자제품의 회로를 개폐시킬 수는 있었으나, 장기간 사용이 이루어질 경우 각각의 구성품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지거나, 분리되어 원활한 작동수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택트 스위치의 작동은 상부에 결합된 버튼부재의 동작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택트 스위치를 작동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버튼부재는 케이스를 통하여 택트 스위치에 고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버튼부재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장기간 이루어질 경우 이 버튼부재를 택트 스위치에 고정시키는 케이스가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될 수 있어 상기 버튼부재의 분리 또는 결합상태의 헐거워짐에 의한 원활한 작동수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택트 스위치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질 경우 이물질 등이 내부에침투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택트 스위치가 결합되는 전자제품의 불량발생률을 높이게 되는 등의 폐단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반복적인 동작에도 그 결합상태가 쉽게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및 작동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저면 형상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판부재 11 - 스루홀
20 - 패턴부 21 - 중앙접점부
21a - 연결도체부 22 - 구획공간부
23 - 가변접점부 24 - 터미널부
25 - 솔더마스크 30 - 콘택트부재
31 - 커버레이어 40 - 접착부
50 - 케이스 51 - 공간부
52 - 가이드부 53 - 이동홀
60 - 버튼부재 61 - 누름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몸체 일측에는 스루홀이 관통되게 형성된 기판부재와;
상기 기판부재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며, 스루홀을 통하여 기판부재의 저면에 구비된 연결도체부를 갖는 도체의 중앙접점부와, 이 중앙접점부의 일측에 형성된 구획공간부에 의해 단락된 상태로 구비되는 도체의 가변접점부로 이루어진 패턴부와;
상기 패턴부와 단락된 상태로 기판부재에 구비되어 연결도체부에 상호 연결된 터미널부와;
상기 기판부재의 저면에 결합된 솔더마스크와;
상기 중앙접점부를 가변접점부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중앙접점부를 덮은 상태로 외측단이 상기 가변점점부에 안착된 콘택트부재와;
상기 콘택트부재를 패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레이어와;
상기 커버레이어의 상면에 구비된 접착부와;
상기 접착부를 통하여 기판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며, 중앙부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부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중앙에는 이동홀이 뚫어지게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공간부를 따라 상, 하로 이동되며, 그 저면에는 콘택트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누름부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부재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중앙접점부와 가변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콘택트부재를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버튼부재가 결합된 케이스가 커버레이어의 상면에 구비된 접착부를 통하여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써, 상기 버튼부재의 반복적인 동작에도 그 결합상태가 쉽게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를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의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상면에는 도체의 패턴이 구비된 기판부재의 상부에 상기 패턴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키기 위한 콘택트부재 및 이 콘택트부재를 가압하기 위한 버튼부재가 각각 커버레이어와 케이스에 의해 기판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레이어의 상면에는 이러한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부가 구비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및 작동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나타낸 것으로, 커버레이어에 의해 기판부재에 고정된 콘택트부재를 접착부를 통하여 고정된 케이스에 의해 기판부재에 결합되는 버튼부재를 통하여 가압하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저면 형상을 저면 사시도로 나타낸 것으로, 기판부재의 저면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부가 중앙접점부로부터 연장되어 스루홀을 통하여 상기 기판부재의 저면에 구비된 연결도체부에 연결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기판부재(10)는 얇은 판 형상의 피씨비형태로 형성되며, 몸체 일측에는 스루홀(11)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스루홀(11)이 형성된 기판부재(10)의 상면에는 후술될 콘택부재(30)의 작동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는 패턴부(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패턴부(20)는 전기가 통하는 도체로 기판부재(1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며, 스루홀(11)을 통하여 기판부재(10)의 저면에 구비된 연결도체부(21a)를 갖는 중앙접점부(21)와, 그 일측에 형성된 구획공간부(22)에 의해 단락된 상태로 구비되는 가변접점부(23)로 구성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패턴부(20)가 상면에 구비된 기판부재(10)의 저면에는 상기 연결도체부(21a)와 상호 연결된 터미널부(24)가 패턴부(20)와 단락된 상태로 일측 모서리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부(24)는 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본 고안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를 상기 회로기판과의 접촉에 의해 회로를 전기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하여 기판부재(10)의 저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기판부재(10)의 상면에 구비된 패턴부(20)를 상기 기판부재(10)의 저면까지 연장한 후 에칭공정을 통하여 일정부위를 상기 패턴부(20)로부터 단락시키는 것으로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패턴부(20)의 상면에는 중앙접점부(21)를 가변접점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는 콘택트부재(30)가 도 1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중앙접점부(21)를 덮은 상태로 외측단이 가변접점부(23)의 상면에 안착되며, 이러한 콘택트부재(30)는 중앙부에 노출구멍(32)이 형성된 커버레이어(31)에 의해 패턴부(20)에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콘택트부재(30)는 중앙 상부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탄성적으로 휘면서 그 저면이 중앙접점부(21)와 접촉되어 상기 중앙접점부(21)와 그 일측에 형성된 구획공간부(22)에 의해 단락된 상태로 구비되는 가변접점부(23)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돔형태로 형성되며, 가압하고 있던 압력을 해제할 경우에는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자체 탄성력을 갖는 도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판부재(10)의 저면에는 스루홀(11)을 통하여 중앙접점부(21)에서 연장되어 기판부재(10)의 저면에 구비된 연결도체부(21a) 및 상기 연결도체부(21a)와 연결된 터미널부(240의 연결부위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터미널부(24)의 일부분만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부도체의 솔더마스크(25)가 결합된다.
한편, 콘택트부재(30)를 패턴부(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레이어(31)의 상면에는 접착성을 갖는 접착부(4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접착부(40)로는 양방향으로 접착성을 갖는 양면테이프, 접착시트,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양면테이프 및 접착시트는 도 1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원형의 띠 형상을 갖고 커버레이어(31)의 상면에 부착되게 되며, 접착제는 커버레이어(31)의 상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사용하게 되나,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짓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의 접착부(40)에는 내부에 공간부(51)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공간부(51)가 형성되도록 가이드부(52)가 상부로 절곡 형성된 케이스(50)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부(52)의 중앙에는 이동홀(53)이 뚫어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0)에는 공간부(51)를 따라 상, 하로 이동되어 커버레이어(31)에 고정된 콘택트부재(30)의 중앙 상부를 가압하기 위한 누름부(61)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부재(60)가 케이스(50)의 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버튼부재(60)의 상부는 가이드부(52)에 형성된 이동홀(53)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의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를 전자제품의 회로기판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케이스(50)에 형성된 이동홀(53)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버튼부재(6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버튼부재(60)는 도 2의 가상선으로 나타낸것과 같이, 공간부(51)를 통하여 하부로 이동되면서 그 저면에 형성된 누름부(61)를 통하여 커버레이어(31)의 노출구멍(32)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콘택트부재(30)의 중앙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이 가압에 의해 상기 콘택트부재(30)는 도 2의 가상선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탄성적으로 휘면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되게 되고, 이 중앙 상부가 함몰되는 것을 통해 상기 콘택트부재(30)의 내측면이 중앙접점부(21)에 접촉되게 되며, 이 접촉에 의해 구획공간부(22)에 의해 상기 중앙접점부(21)와 단락된 상태의 가변접점부(2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중앙접점부(21)와 가변접점부(23)의 연결에 의해 기판부재(10)의 저면 일측 모서리의 구비된 터미널부(24)도 상기 중앙접점부(23)로부터 연장된 연결도체부(21a)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가 모두 접촉된 '온' 상태가 된다.
결국, 이러한 버튼부재(60)의 가압에 의해 콘택트부재(30)가 탄성적으로 함몰되어 패턴부(20)와 터미널부(24)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게 되므로, 기판부재(10)의 저면 일측 모서리에 구비된 상기 터미널부(24)를 통하여 회로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기판부재(10)에는 상기 콘택트부재(30)가 가압되면서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것에 대응하는 내부의 압축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배출공이 뚫어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콘택트부재(30)를 가압하던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중앙접점부(21)에 접촉된 콘택트부재(30)의 중앙 상부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중앙접점부(21)에서 떨어지게 되고, 이를 통해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가 '오프' 상태가 되어 회로의 연결을 단절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본 고안인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의 작동은 케이스(50)에 의해 결합된 버튼부재(6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버튼부재(60)를 상기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에 결합시키기 위한 케이스(50)가 양면테이프, 접착시트, 접착제 등의 요소로 이루어진 접착부(40)를 통하여 견고하게 결합되게 되어 장기간 반복적으로 버튼부재(60)를 작동시키더라도 쉽게 그 결합상태가 헐거워지거나,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회기판에 형성된 회로를 전기적으로 개폐시키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회로기판에 결합되므로, 이러한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1)가 결합된 전자제품을 장기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중앙접점부와 가변접점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콘택트부재를 상부로부터 가압하는 버튼부재가 결합된 케이스가 커버레이어의 상면에 구비된 접착부를 통하여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써, 상기 버튼부재의 반복적인 동작에도 그 결합상태가 쉽게 헐거워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의 이물질이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이러한 접착부를 통하여 효과적으로 차단하게 되므로써,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제품의 신뢰도를 향상시켜 생산자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몸체 일측에는 스루홀(11)이 관통되게 형성된 기판부재(10)와;
    상기 기판부재(10)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되며, 스루홀(11)을 통하여 기판부재(10)의 저면에 구비된 연결도체부(21a)를 갖는 도체의 중앙접점부(21)와, 이 중앙접점부(21)의 일측에 형성된 구획공간부(22)에 의해 단락된 상태로 구비되는 도체의 가변접점부(23)로 이루어진 패턴부(20)와;
    상기 패턴부(20)와 단락된 상태로 기판부재(10)에 구비되어 연결도체부(21a)에 상호 연결된 터미널부(24)와;
    상기 기판부재(10)의 저면에 결합된 솔더마스크(25)와;
    상기 중앙접점부(21)를 가변접점부(23)에 전기적으로 연결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중앙접점부(21)를 덮은 상태로 외측단이 상기 가변점점부(23)에 안착된 콘택트부재(30)와;
    상기 콘택트부재(30)를 패턴부(20)에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레이어(31)와;
    상기 커버레이어(31)의 상면에 구비된 접착부(40)와;
    상기 접착부(40)를 통하여 기판부재(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중앙부에는 내부에 공간부(51)가 형성되도록 상부로 절곡 형성된 가이드부(5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52)에는 이동홀(53)이 뚫어지게 형성된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에 결합되어 공간부(51)를 따라 상, 하로 이동되며, 그 저면에는 콘택트부재(30)를 가압하기 위한 누름부(61)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버튼부재(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40)는 양면테이프, 접착시트, 접착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2003-0010800U 2003-04-09 2003-04-09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3193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800U KR200319304Y1 (ko) 2003-04-09 2003-04-09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0800U KR200319304Y1 (ko) 2003-04-09 2003-04-09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9304Y1 true KR200319304Y1 (ko) 2003-07-10

Family

ID=4933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0800U KR200319304Y1 (ko) 2003-04-09 2003-04-09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93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93B1 (ko) * 2009-07-29 2009-12-31 권순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방법
WO2011013924A2 (ko) * 2009-07-29 2011-02-03 Keown Soon Gil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 및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693B1 (ko) * 2009-07-29 2009-12-31 권순길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방법
WO2011013924A2 (ko) * 2009-07-29 2011-02-03 Keown Soon Gil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 및 제조방법
WO2011013924A3 (ko) * 2009-07-29 2011-04-21 주식회사 삼일테크놀리지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와 그의 조립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6713B2 (en) Waterproof butt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20067711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waterproof button
JP5566536B2 (ja) Pcbタクトスイッチ
US8022326B2 (en) Push switch
CA1105971A (en) Dome switch actuating apparatus
US20140034474A1 (en) Multi-pole single-throw dome switch assemblies
KR10083789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101112211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200319304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10103862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200284437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100585298B1 (ko) 누름버튼 스위치
KR20120041065A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KR200319306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20083710A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263754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241402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449770Y1 (ko) 메탈 돔 스위치
JP2010020911A (ja) 押釦スイッチの取付構造
CN219017475U (zh) 一种与pcb板互为一整体的开关
KR200205039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200319303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100607042B1 (ko) 피씨비 택트 스위치
KR100458968B1 (ko) 플랙시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297761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