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761Y1 -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761Y1
KR200297761Y1 KR2020020025555U KR20020025555U KR200297761Y1 KR 200297761 Y1 KR200297761 Y1 KR 200297761Y1 KR 2020020025555 U KR2020020025555 U KR 2020020025555U KR 20020025555 U KR20020025555 U KR 20020025555U KR 200297761 Y1 KR200297761 Y1 KR 200297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force
conductive elastic
elastic member
contac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55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의철
Original Assignee
신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의철 filed Critical 신의철
Priority to KR20200200255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761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단이 상기 각 접속단자에 항상 접촉되고,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각 접속단자와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탄성작용하는 도전성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덮여지는 커버와;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앙상부에 해당되는 커버의 중심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심부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얇은 금속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부에는 누름힘의 인가여부에 따라 탄성작용하도록 위쪽으로 향하는 일정 곡률반경의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양단의 좌우 끝부분에는 접속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누름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통상적인 택트스위치의 스위칭동작과 반대되는 스위칭동작이 요구되는 제품에 긴요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TACTSWITCH FOR ELECTRONIC PRODUCTS}
본 고안은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조작노브에 가해진 누름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만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통상적인 스위칭동작과 반대되는 스위칭동작이 요구되는 제품에 긴요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전화기나 텔레비전 같은 각종 전자제품에는 회로기판과의 전기적 신호를 스위칭시켜주므로써 각각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택트스위치가 설치된다.
도 1은 일반적인 택트스위치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택트스위치(10)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내부에 일정 깊이의 공간부(Cavity:12)가 형성된 하우징(14)과, 상기 하우징(14)의 공간부(12) 바닥면상에 설치되며, 인쇄회로기판상에 연결되는 접속단자(16)와, 상기 공간부(12)내에서 접속단자(16)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접점편(18)과, 상기 접점편의 상면 중심부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우징(14)의 상부 외측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게 설치되는 조작노브(20)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을 덮어주는 커버(22)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일반적인 택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택트스위치(10)에서는 하우징(14)상의 공간부(12) 바닥면 중심부에 접속단자(16)가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16)의 위쪽에 해당되는 공간부(12)에는 접점편(18)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며, 그 접점편(18)의 상부에는 별도의 조작노브(20)가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도 1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택트스위치(10)를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하우징(14)의 위쪽(또는 외측) 상방으로 돌출된 조작노브(20)를 누르면, 그 작용힘에 의해 조작노브(20)의 하단이 일정 거리 범위에서 아래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접점편(18)이 접속단자(16)와 접촉되면서 택트스위치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스위칭 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위칭 작용에 의하여 LED의 ON/OFF, 볼륨의 조절 같은 원하는 기능이 수행되고, 상기 조작노브(20)는 자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어 다음 조작의 대기상태에 놓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택트스위치는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로서 이동전화기에서 플립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LED가 OFF되고, 플립이 개방되면 LED가 발광되는 경우와 같이 통상적인 스위칭동작과는 반대로 조작되는 제품에서는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조작노브에 가해진 누름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만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통상적인 스위칭동작과는 반대되는 스위칭동작이 요구되는 제품에 긴요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택트스위치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택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택트스위치의 확대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택트스위치 32 : 하우징
34 : 접속단자 36 : 도전성 탄성부재
40 : 조작노브 44 : 만곡부
46 : 돌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일정 크기의 공간부(Cavity)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서로 마주하는 지점에서 회로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접속단자와;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단이 상기 각 접속단자에 항상 접촉되고,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각 접속단자와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탄성작용하는 도전성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덮여지는 커버와;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앙상부에 해당되는 커버의 중심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심부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얇은 금속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부에는 누름힘의 인가여부에 따라 탄성작용하도록 위쪽으로 향하는 일정 곡률반경의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양단의 좌우 끝부분에는 접속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의 확대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우치의 결합상태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3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우징(32)과, 그 하우징(3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접속단자(34와, 누름힘의 인가여부에 따라 상기 각 접속단자(34) 사이의 전기적 접속상태를 유지 또는 해제시켜주는 도전성 탄성부재(36)와, 하우징(32)의 상부를 덮어주는 커버(38) 및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36)에 작용힘을 부여하는 조작노브로(40)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32)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일정한 크기의 공간부(42)가 형성된다.
하우징(32)상에 형성된 공간부(42)의 바닥면 좌우 양쪽단에는 회로기판과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한쌍의 접속단자(34)가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설치된다.
상기 접속단자(34)의 상부에 해당되는 공간부(42)에는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단이 상기 각 접속단자(34)에 항상 접촉되고,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각 접속단자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도록 탄성작용하는 도전성 탄성부재(36)가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2)의 상부에는 커버(38)가 덮여지며,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36)의 중앙상부에 해당되는 커버(38)의 중심부에는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36)의 중심부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작노브(40)가 끼워져 결합된다.
한편,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36)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얇은 금속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부에는 누름힘의 인가여부에 따라 탄성작용하도록 위쪽으로 향하는 일정 곡률반경의 만곡부(44)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34)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양단의 좌우 끝부분에는 접속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되는 돌출부(46)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택트스위치(30)가 작동되기 전의 초기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42)의 바닥면 양쪽단에 회로기판과 연결되는 접속단자(34)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도전성 탄성부재(36)가 위치되며, 그 도전성 탄성부재(36)의 중심부 상면에는 조작노브(40)가 항상 접촉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조작노브(40)에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전성 탄성부재(36)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46)가 도 4에서와 같이 각 접속단자(34)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양쪽 접속단자(34)간에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노브(40)의 위쪽(또는 외측)으로부터 누름힘이 인가되면, 그 작용힘에 의하여 조작노브(40)가 아래쪽(또는 내측)으로 눌려지면서 도전성 탄성부재(36)의 만곡부(44)가 눌려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34)와 접촉되어 있던 도전성 탄성부재(36)상의 돌출부(46)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져 양쪽 접속단자(34)간의 전기적 접속상태가 해제된다.
예로서, 본 고안에 따른 택트스위치(30)가 이동전화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내장된 LED의 ON/OFF 동작을 제어하는데 적용된다고 가정하고 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이동전화기의 플립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그 플립의 내측에 형성된 돌기가 조작노브를 누르게 되고, 그 결과 도전성 탄성부재(36)의 만곡부(44)가 아래쪽(또는 내측)으로 눌리는 반작용에 의하여 접속단자(34)와 접촉되어 있던 양쪽 끝부분의 돌출부(46)가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기 때문에 양쪽 접속단자(34)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므로 LED는 OFF된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플립이 개방되면 조작노브(40)를 누르던 힘이 소거되기 때문에 도전성탄성부재(36)의 자체 탄성에 의한 복원력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눌려 있던 만곡부(44)가 위쪽으로 들리고, 그 반작용에 의하여 도전성 탄성부재(36)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46)가 다시 접속단자(34)에 접촉되므로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되면서 LED가 발광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조작노브에 누름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해제되고, 누름힘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접속단자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통상적인 택트스위치의 스위칭동작과 반대되는 스위칭동작이 요구되는 제품에 긴요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

  1.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일정 크기의 공간부(Cavity)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결합되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해당되는 서로 마주하는 지점에서 회로기판과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하여 설치되는 한쌍의 접속단자와; 누름힘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는 양단이 상기 각 접속단자에 항상 접촉되고, 누름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각 접속단자와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도록 탄성작용하는 도전성 탄성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덮여지는 커버와;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앙상부에 해당되는 커버의 중심부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의 중심부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탄성부재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얇은 금속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부에는 누름힘의 인가여부에 따라 탄성작용하도록 위쪽으로 향하는 일정 곡률반경의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양단의 좌우 끝부분에는 접속단자와 접촉 또는 분리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2020020025555U 2002-08-27 2002-08-27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200297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555U KR200297761Y1 (ko) 2002-08-27 2002-08-27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5555U KR200297761Y1 (ko) 2002-08-27 2002-08-27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761Y1 true KR200297761Y1 (ko) 2002-12-13

Family

ID=7312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555U KR200297761Y1 (ko) 2002-08-27 2002-08-27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7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255A1 (ko) * 2012-01-04 2013-07-11 Lee Soo-Ho 피씨비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과 피씨비 어셈블리를 이용한 초소형 택트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255A1 (ko) * 2012-01-04 2013-07-11 Lee Soo-Ho 피씨비 어셈블리 및 이의 제조방법과 피씨비 어셈블리를 이용한 초소형 택트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2288Y1 (ko) 휴대용 전화기의 스위치 모듈
EP1056106B1 (en) Push button switch including dome-shaped movable contact having reverse function
JP2000182474A (ja) キ―パッド組立機構
US20040240162A1 (en)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with a side key assembly
US8124902B2 (en) Push button switch
JP2010135319A (ja) 多段動作スイッチ
JP2011243476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0297761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200205039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100406937B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JP4900068B2 (ja) 押圧操作装置
KR100276497B1 (ko) 모듈화된 키패널과 그것이 적용된 휴대용 전화기
US7629900B2 (en) Remote control transmitter
KR10059630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
KR100458968B1 (ko) 플랙시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1009465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200263754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CN216818148U (zh) 一种半球形按钮及带有半球形按钮的微动开关
KR101452970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이드 키 모듈
KR100459772B1 (ko) 키버튼 어셈블리
KR200241402Y1 (ko)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KR200310155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200377133Y1 (ko) 다단 돔 스위치
KR200700719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구조
JP2007103285A (ja) 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リモコン送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