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023Y1 -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023Y1
KR0125023Y1 KR2019940038282U KR19940038282U KR0125023Y1 KR 0125023 Y1 KR0125023 Y1 KR 0125023Y1 KR 2019940038282 U KR2019940038282 U KR 2019940038282U KR 19940038282 U KR19940038282 U KR 19940038282U KR 0125023 Y1 KR0125023 Y1 KR 0125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se
hole
switch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063U (ko
Inventor
황진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38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023Y1/ko
Publication of KR9600250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0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기기의 푸쉬버튼이 케이스상의 버튼구멍과 필연적으로 생기게 되는 틈새가 일정한 방향을 이룰 수 있도록 버튼의 위치가 일방향성을 가지도록 하므로서 제품외관 미려성이 보다 향상되도륵 하는 한편 제품 설계시 완화된 공차관리와 품질관리를 보다 손쉽게 하여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려는 목적으로 안출된 전자기기의 스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누르게 되는 버튼(1)이 바닥판(2)과 연결된 스커트(3)의 탄성력, 또는 PCB 기판(6)상에 설치되는 탭스위치(8)의 탄성력에 의해 미리 예정된 동작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케이스(4)의 구멍(6)에 삽입되게 설치되는 것에 있어 상기 버튼(1)의 일측 하부와 PCB 기판(6) 사이에 버튼(1)의 일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10)를 설치하므로서 다수의 버튼(1)이 케이스(4) 구멍(5) 일측방향으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스위치 버튼 구조로서,
(a)도는 종단면도이고,
(b)도는 평면도이고,
(c)도는 종래기술이 적용된 LBP 조작판넬부의 평면도,
제 2 도의 (a), (b)도는 또 다른 종래 스위치 버튼의 종단면도 및 평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이 실시된 스위치 버튼의 종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LBP 조작판넬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튼 4 : 케이스
5 : 구멍 6 : PCB 기판
8 : 탭스위치 10 : 탄성편
본 고안은 LBP나 FAX 또는 전화기등과 같은 전자기기에서 기능키로 사용되는 푸쉬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튼이 삽입되도록 뚫린 케이스상의 버튼구멍과 버튼 자체 사이에 필연적으로 생기는 틈새가 일정한 방향을 이루도록 하므로서 제품 외관 미려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고안된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의 케이스 상에 뚫리게 되는 버튼 구멍 크기와 이에 삽입되는 버튼의 크기 차이로 생기게 되는 틈새는 유관으로 식별될 정도의 크기를 이루기 때문에 제품 외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기능키 버튼의 크기와 기능키가 삽입되는 케이스의 버튼 구멍의 크기가 최소한의 공차를 가지고 조립되므로서 버튼이 하나인 경우는 물론 버튼이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상기 공차로 인해 발생되는 케이의 구멍내에 위치하는 버튼이 일관성 없는 임의의 위치로 제각각 위치하게 되어 제품의 미려함을 해치는 경우가 있었고,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는 케이스의 버튼구멍 정 가운데에 버튼이 위치하게 하거나 상기 공차를 줄여서 일관성 없는 틈새를 최소한 줄이도록 설계하여야 하는 설계상의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제품생산에 있어서도 품질관리상의 어려운 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제품에 설치되는 기능키들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한국공개 실용신안공보 제 94-17447 호에 계시된 고무러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제 1 도는 그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버튼(1)과 바닥판(2), 그리고 상기 두요소를 탄성역할을 하는 스커트(3)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3)는 제 1 도 (a)도의 화살표 방향과 같은 버튼(1)의 예정된 동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탄성력의 백터의 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버튼(1)이 삽입되는 케이스의 구멍(6)과 케이스(4) 및 버튼의 저면측에 위치하는 PCB 기판(6)으로 구성되므로서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PCB 기판에 장착된 접점을 연결하여 스위치 기능을 하고 사용자가 손을 버튼에서 떼면 스커트(3)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고무재질로 된 각각의 버튼(1)은 바닥판(2)과 별개로 된 것과 여러개의 버튼(1)이 연결되는 일체형이 있으나 바닥판(2)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부(T)를 사용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제품제조시 PCB기판(6)과 케이스(4) 사이에 정확하게 고정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초래되는 한편 케이스의 구멍(6)과 버튼(1) 크기 차이로 인해 틈새(t)는 기본적으로 발생하여 재품제조시 항상 버튼(1)을 구멍(5)가운대로 셋팅시켜야 하는 고충이 야기되었다. 또한 이러한 방법도 완벽하게 버튼(1)을 구멍(6)의 올바른 위치에 장착하기에는 부족하였기 때문에 버튼이 장착된케이스를 보인 제 1 도 (b)도의 예와 같이 버튼(1)이 임의의 한쪽 방향으로 쏠리게 위치되게 되어 종래의 LBP 조작판넬을 보인 제 1 도 (c)도와 같이 버튼(1)들이 제각기 임의의 장소로 위치하게 되는 상태가 되므로서 외관상 보기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또한, 한국공개실용신안 제 94-17452에 제시된 기능과도 일반적으로 설계시 적용되는 것으로 종래 기술의 또 다른 기능키의 단면도로서 제 2 도 (a)도를 보면 버튼(1), 상기 버튼(1)이 삽입되는 구멍(5)이 있는 케이스(4), 탄성역할을 하는 텝스위치(8)가 고정된 PCB 기판(6)이 상기 버튼(1)의 하측에 위치되는 한편 버튼(1) 상부는 구멍(5)보다 크기가 작고 하부는 이탈방지 걸림턱부(9)가 있어 케이스(4) 외부로 빠지지 않게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저면부가 탭스위치(8)를 누르게되어 기능키를 동작시키고 사용자가 손을 떼면 탭스위치(8)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기존의 반성력을 가진 탭스위치(8)등의 탄성체는 버튼(1)의 예정된 이동방향에 대해 그 반성력의 백터의 합이 이루어지게 되어 앞서 언급된 고무러버 버튼 이용방식에서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존재하고 있는 문제점이 동일하게 발생되었다.
즉, 상기 버튼(1)이 삽입되는 케이스(4)의 구멍(5)과 버튼(1)크기의 차이로 인해 틈새(t)는 기븐적으로 발생하여 제품설계시 항상 버튼(1)을 구멍(6)의 가운데로 셋팅하기 위해 타이트한 공차관리를 하여야 하는 고충이 야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법 역시 버튼(1)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하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버튼(1)이 장착된 케이스를 보인 제 2 도 (b)도의 예와 같이 버튼(1)이 구멍(6)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어 종래의 LBP 조작판별을 보인 제 1 도 (c)도의 버튼들처럼 임의의 장소로 제각각 위치하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품 조립시 케이스의 구멍내에 버튼의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하고 사용자가 버튼을 눌러도 버튼의 동작이 완료된 후에도 항상 모든 버튼들이 일정한 장소에 위치되어 있게 하여 제품 외관의 미려성이 보다 향상되도륵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며, 다른 목적은 제품설계시 완화된 공차관리 및 제품의 품질관리를 보다 손쉽게 하므로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려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는 케이스의 구멍과 상기 구멍에 버튼이 미리 예정된 이동방향으로 복원력을 주는 탄성체와, 상기 버튼의 하부에 위치한 PCB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버튼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버튼이 비동작시 미리 예정된 버튼의 이동방향과 측면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는 탄성제로 이루어진 기능키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는 케이스의 구멍과, 상기 구멍에 버튼이 미리 예정된 이동방향으로 복원력을 주고 이에 직각인 힘의 방향성분을 지닌 탄성체와, 상기 버튼의 하부에 위치한 PCB 기판으로 구성된 기능키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 스위치의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일실시예로서, 버튼(1)과 바닥판(2), 그리고 상기 두요소를 탄성역할을 하는 스커트(3)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3)는 화살표 방향과 같은 버튼(1)의 예정된 동작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탄성력의 백터의 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버튼(1)이 케이스(4)에 뚫린 구멍(5)으로 돌출되도록 바닥판(2)이 상기 케이스(4)와 PCB 기판(6) 사이에 설치되는 공지구조를 이루게 되나 본 고안은 상기 버튼(1)의 저면 일측부에 버튼(1)을 케이스(4)의 구멍(5) 일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편(10)이 설치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탄성편(10)의 일측은 버튼(1) 저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PCB 기판(6)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제 4 도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버튼(1), 상기 버튼(1)이 삽입되는 구멍(5)이 있는 케이스(4), 탄성역할을 하는 탭스위치(8)가 고정된 PCB 기판(6)이 상기 버튼(1)의 하측에 위치하고 버튼(1) 상부는 상기 구멍(5)보다 크기가 작고 하부는 이탈방지 걸림턱부(9)를 구비하여 케이스(4)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구성된 공지구조를 이루는 것에 있어 버튼(1)의 저면 일측부애 탄성편(10)이 설치되어 버튼(1)을 케이스(4)의 구멍(5) 일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륵 한 것으로 상기 탄성면(10) 일측은 버튼(1)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PCB 기판(6)에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탄성편(10)의 힘(탄력)이 항상 버튼(1)의 일측방향으로 가하고 있는 상태가 되므로 버튼(1) 일측면부는 탄성편(10)의 힘작용 방향쪽의 구멍(5) 내면부와 접촉하게 되고, 아울러서 전자기기에서 다수의 버튼(1)을 집합적으로 구비하게 되는 경우 탄성편(10)의 힘 작용방향이 모두 같은 방향을 이루도록 설치하게 되면 본 고안이 실시된 LBP 조작판넬을 보인 제 5 도의 버튼(1)들처럼 그들의 위치가 일정하게 케이스(4)의 일측에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틈새(t)도 일정하게 보이게 되는 상태가 되어 제품 외관 미려성이 가일층 좋아지게 된다.
한편, 버튼(1)을 누르면 탄성편(10)도 눌림되므로 버튼동작에 지장이 없으며 손을 버튼(1)에서 떼면 본래 상태로 복귀되는데 이때 탄성편(10)의 탄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버튼(1) 위치가 이동되면서 일정하게 케이스(4)의 구멍(5) 일측에 접측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면 어떠한 기능키라도 그 버튼(1)이 삽입되는 케이스(4) 상의 구멍(6) 내의 위치를 설계상 어떤 방향으로 할 것인가가 정해지면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으며 비륵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버튼(1)의 미리 예정된 이동방향에 대한 탄성력을 주고 버튼(1)을 케이스(4) 구멍(5)의 일측으로 가하는 힘을 주는 탄성체(10)를 만드는 것을 상기 탄성체(10)를 버튼(1)의 미리 예정된 방향과 사선으로 설치하면 가능하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기기의 기능키에 의하면 사용자가 버튼(1)을 눌러도 버튼이 원위치의 높이로 복원되었을 경우 버튼이 미리 설계자가 의도한 케이스(4)의 구멍(5) 일측면에 항상 접촉되어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외관상의 미려함을 더하게 되고 제품설계의 용이 및 제조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여 원가절감을 이루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는 버튼(1)이 미리 예정된 동작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케이스(4)의 구멍(6)에 삽입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1) 하부에 PCB 기판(6)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버튼(1)과 PCB 기판(6) 사이에 미리 예정된 버튼(1)의 등작방향과 직교방향의 일측으로 버튼(1)이 위치되어지게 하는 탄성체(10)가 설치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바닥판(2)과 연결되는 스커트(3)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는 버튼(1)의 하부 일측과 PCB 기판(6)에 탄성체(10)가 연결되게 설치되도록 한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 걸림턱부(9)를 하부에 구비하고 탭스위치(8)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력을 가지게 되는 버튼(1)의 하부 일측과 PCB 기판(6)사이에 탄성체(10)가 연결되게 설치되도록 한 전자 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제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4)에 1개 이상의 N개를 구비하게 되는 구멍(5)으로 각각 설치되는 버튼(1)이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위치되도록 탄성체(10)가 설치되게 하여서 된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 장치.
KR2019940038282U 1994-12-30 1994-12-30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KR0125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282U KR0125023Y1 (ko) 1994-12-30 1994-12-30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282U KR0125023Y1 (ko) 1994-12-30 1994-12-30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63U KR960025063U (ko) 1996-07-22
KR0125023Y1 true KR0125023Y1 (ko) 1998-09-15

Family

ID=1940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282U KR0125023Y1 (ko) 1994-12-30 1994-12-30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02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063U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7522A (en) Keyswitch of multiple-width key
KR100298920B1 (ko) 키보드장치
US4129763A (en) Push button switch assembly
KR0125023Y1 (ko) 전자기기의 스위치 버튼 위치 제어장치
US6713701B2 (en) Switch apparatus
US7009127B2 (en) Switch comprising an operating rocker button
JP2003510715A (ja) 電子機器のためのキーボード
JPH05128938A (ja) キースイツチの構造
KR930008163Y1 (ko) 키버튼 간의 간섭현상 방지 장치
JPH0193015A (ja) キートップ付ラバースイッチ
KR0126437Y1 (ko) 접점스위치 작동용 노브 스테이션
US4337382A (en)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simultaneous locking of push buttons in a push-button switch device
JPH0119297Y2 (ko)
JPH04329228A (ja) 防滴構造の押釦スイッチ
KR930003868Y1 (ko) 노브의 설치구조
JPH07245038A (ja) シーソーボタン装置
JP2592161Y2 (ja) タクトスイッチ用ノブ
KR0140103Y1 (ko) 영상표시기기에서의 부착형 스위치 구조
JPH05101742A (ja) キーボード
KR950004943Y1 (ko) 누름버튼형 스위치의 구조
JPH0414713A (ja) キーボード
JPH09120747A (ja) スイッチ装置
JPH0414820Y2 (ko)
KR200172463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장치
KR0125742Y1 (ko) 서브 텐션핀을 갖는 택트 스위치용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