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526Y1 -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 Google Patents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526Y1
KR200356526Y1 KR20-2004-0010167U KR20040010167U KR200356526Y1 KR 200356526 Y1 KR200356526 Y1 KR 200356526Y1 KR 20040010167 U KR20040010167 U KR 20040010167U KR 200356526 Y1 KR200356526 Y1 KR 200356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key button
key
interference
l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20-2004-0010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5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패드의 구조적인 개선을 통해 키버튼들에 해당하는 키패드 부분이 서로 연동하여 하강되지 않도록 하고, 이 개선된 키패드에 의하여 키버튼간에 간섭없이 독립된 하강이 이루어져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하며, 나아가 오작동으로 인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손상과 저장된 데이터의 상실됨을 막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키패드의 저면에 키버튼과 키버튼의 경계부분을 따라 키패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여 하강력이 주변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리브가 하향 돌출된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키패드의 누름돌기와 리브 사이에는 살빼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키패드의 하강시에 신축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Interference Prevention Structure for Key Pad}
본 고안은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붙은 듯한 키버튼들이 서로 연동하여 하강되지 않도록 키패드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 개선된 키패드에 의하여 키버튼간에 간섭없이 독립된 하강이 이루어져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비롯하여 각종 통신기기에 구비된 키패드는,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로 사출형성된다. 그리고 키패드에는 각종 기능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사출된 다수개의 키버튼이 서로 간격을 가지며 적절히 배치고정되는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면서 그에 해당하는 키버튼의 갯수가 증가되는데, 이때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키버튼을 구비시키기 위해 키버튼간에 간격이 거의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배치구조가 추세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에는 키버튼간에 서로 연결된 듯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키패드(1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키버튼(12) 중 일부의 키버튼(12)과 키버튼(12)간에는 간격이 거의 존재하지 않도록 놓여져 배치되며, 이러한 키버튼(12))들은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기 키패드(10)의 저면에는 누름돌기(14)가 키버튼(12)의 해당위치 마다 하향 돌출되고, 이 키패드(10)의 누름돌기(14)는 그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인쇄회로기판(16)의 도전체(18)(메탈돔:Metaldome)에 서로 맞닿도록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해 키버튼(12)을 눌러 해당하는 누름돌기(14)가 하강하게 되면, 이 누름돌기(14)의 누름력에 의하여 도전체(18)가 변형되면서 하강하여 인쇄회로기판(16)의 도시되지 아니한 패턴에 접촉되고, 그와 동시에 전기적 신호가 패턴을 따라 통전되어 해당기능이 동작된다.
그런데, 상기 연속적으로 배치된 키버튼(12) 중 어느 하나를 눌렀을때, 상기 키버튼(12)에 해당하는 키패드(10) 부분이 내려가게 되는데, 이때 키패드(10)가 하강하면서 주변부분을 당기게 되고, 그에 따라 하강하는 키패드(10) 부분 이외에 주변 부분이 함께 하강하여 다른 키버튼(12)에 해당하는 도전체(18)를 누르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오동작에 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손상과 자칫 입력된 데이터가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연속적으로 붙어 있는 듯한 키버튼들이 서로 연동하여 하강되지 않도록 키패드의 구조를 개선하고, 이 개선된 키패드에 의하여 키버튼간에 간섭없이 독립된 하강이 이루어져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는 점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키패드에 키버튼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패드 12 : 키버튼
14 : 누름돌기 16 : 인쇄회로기판
18 : 도전체 30 : 리브
32 : 살빼기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키패드의 저면에 키버튼과 키버튼의 경계부분을 따라 키패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여 하강력이 주변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리브가 하향 돌출된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키패드의 누름돌기과 리브 사이에는 살빼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키패드의 하강시에 신축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을 참조하면, 키패드(10)의 상면에는 키버튼(12)간에 간격이 거의 존재하지 않도록 놓여져 배치되는데, 이때 키패드(10)의 저면에는 키버튼(12)과 키버튼(12)간에 경계를 따라 리브(30)가 하향돌출되어 이 부분에 소정의 두께(d)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키버튼(12)의 누름돌기(14)는 도전체(18)와의 거리가 최소화되도록 지름과 수직 높이를 더 높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지며, 특히 상기 키패드(10)의 누름돌기(14)와 리브(30) 사이에는 소정의 면적과 깊이를 가지는 살빼기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살빼기홈(32)이 형성된 부분에는 키패드(10)의 두께(d')가 최대한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대한 키패드(1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연속적으로 배치된 키버튼(12)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게 되면, 상기 키버튼(12)에 해당하는 키패드(10)의 일부분이 내려가게 된다.
이때, 상기 키패드(10)에 형성된 살빼기홈(32)으로 인하여 두께(d')가 최대한 얇게 이루져 있어, 향상된 신축성에 의하여 하강하는 키패드(10) 부분 이외에 주변부분의 당겨짐이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주변부분이 연동하여 하강되지 않게 된다.
예컨데, 당겨짐이 있더라도, 키버튼(12)과 키버튼(12)간의 경계지점에 돌출되는 리브(30)에 의하여 경계지점의 두께(d)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신축이 이루어지지 않아 당겨짐의 전달로 인한 오동작을 전혀 일으키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의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는, 상기 키버튼(12)에 해당되는 키패드(10)의 두께(d)가 최대한 얇게 형성되어 향상된 신축성에 의하여 하강에 따른 주변부분의 당겨짐이 완화되면서, 동시에 상기 키버튼(12)과 키버튼(12)간의 경계지점에 대한 두께(d')가 두꺼워 주변으로 하강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한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키버튼에 해당되는 키패드의 두께를 최대한 얇게 하여 신축성의 향상에 의해 당겨짐을 완화시키고, 또한 상기 키버튼과 키버튼간의 경계지점에 대한 두께를 두껍게 하여 당겨짐에 대한 주변의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키버튼간에 간섭없이 독립된 하강이 이루어져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오동작으로 인한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손상과 저장된 데이터의 상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키패드의 상면에는 서로 밀착된 다수개의 키버튼들이 놓여져 고정되고, 상기 키패드의 저면에는 키버튼의 해당 위치마다 누름돌기가 돌출되는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저면에는 키버튼과 키버튼의 경계부분을 따라 키패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하여 하강력이 주변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리브가 하향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의 누름돌기과 리브 사이에는 살빼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키패드의 하강시에 신축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KR20-2004-0010167U 2004-04-13 2004-04-13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KR200356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167U KR200356526Y1 (ko) 2004-04-13 2004-04-13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167U KR200356526Y1 (ko) 2004-04-13 2004-04-13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526Y1 true KR200356526Y1 (ko) 2004-07-15

Family

ID=4934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167U KR200356526Y1 (ko) 2004-04-13 2004-04-13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5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2236A (en) Push and rocker action switch
EP2889888B1 (en) Sliding-type signal input device
JP2010135319A (ja) 多段動作スイッチ
KR200356526Y1 (ko) 키패드의 간섭방지구조
KR100898669B1 (ko) 디스플레이 버튼 장치
KR100528794B1 (ko) 키입력장치의 키패드 구조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JP3296798B2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KR101891151B1 (ko) 키 버튼 장치
KR100647981B1 (ko) 전화기의 키 패드 러버 성형구조
KR2007001046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더블 클릭방지구조
CN210325590U (zh) 一种智能座便器及其防止误操作的按键结构
KR200393913Y1 (ko) 커버 일체형 사이드 스위치 버튼
KR200189900Y1 (ko) 피씨비의 스위치 패턴 형성 구조
KR200156556Y1 (ko) 전화기 및 각종 버튼의 끼임방지 구조
KR20050109184A (ko) 키패드의 유동방지구조
KR10108516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입력장치
KR100917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0128434Y1 (ko) 전화기 오동작방지 버튼
KR100508121B1 (ko) 이동통신 단말기 키입력장치
KR200205039Y1 (ko) 전자제품의 택트스위치
KR200295081Y1 (ko) 내비게이션 장치
KR19980023257U (ko) 비에스티브이용 방향성 버튼스위치
KR100520194B1 (ko) 키패드용 키버튼구조
KR200275846Y1 (ko) 방수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