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4347B1 -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4347B1
KR102334347B1 KR1020210097921A KR20210097921A KR102334347B1 KR 102334347 B1 KR102334347 B1 KR 102334347B1 KR 1020210097921 A KR1020210097921 A KR 1020210097921A KR 20210097921 A KR20210097921 A KR 20210097921A KR 102334347 B1 KR102334347 B1 KR 102334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septic tank
sewage
members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기홍
김은식
Original Assignee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김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김은식 filed Critical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9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는 단지 내 각 세대의 오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관으로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정화조 몸체와, 상기 정화조 몸체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에는, 분쇄 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분쇄 장치는, 일단에 상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일정 크기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 몸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SEWAGE DISPOSAL TANK}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악취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부로 유동시키면서 유동되는 오염공기를 분사되는 세척수에 노출시켜 악취를 저감시킨 이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수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두통이나 구토를 유발하거나 불쾌감 또는 혐오감을 유발하여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방해한다. 이러한 악취는 합류식 하수처리 구역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화조와 같은 개인하수처리시설에서 생성되어 하수관거로 유입되며, 맨홀과 받이 등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중으로 나와 사람들에게 전달된다(도 5의 하수도에서의 악취발생원, 발산원, 배출원 참조). 악취 유발의 주요 물질로는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암모니아 등의 물질들이며, 일반적으로 부패 방식의 정화조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악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는 두 가지 이 상의 악취물질이 함께 작용하여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주는 냄새인 복합 악취도 문제될 수 있다.
하수처리구역 내에 정화조나 오수처리 시설을 설치하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하수처리구역 내에 정화조를 설치하는 이유는 하수관거의 매설 상태가 불량하기 때문에 분뇨를 하수관거에 직투입할 경우 분뇨의 유출로 인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유로 설치한 정화조에서는 악취 물질의 생성이라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하수관거의 매설상태가 양호하여 정화조를 폐쇄하고 분뇨를 하수관거에 직투입할 수 있다면, 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화조에서 생성되는 악취에 의한 문제는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정화조가 설치되어 있는 합류식 하수처리구역 내에서는 하수관거의 매설 상태가 분뇨를 직투입할 수 있을 만큼 양호한 상태가 아니므로 정화조에서의 악취 물질 생성은 계속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물질이 공공하수도 유입 및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화조에 하수 악취 방지 장치의 설치가 제도화(하수도법, 악취방지법) 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정화조에 공기주입장치를 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정화조 내에 공기 주입을 위해 정화조 하부에 별도의 산기관 및 송풍기를 설치하고 악취 저감을 위해 송풍기를 연속적으로 운전할 경우, 송풍기의 연속운전으로 인한 송풍기의 급속한 마모 및 송풍기에서의 소음 및 열 발생, 전기 사용량의 증가 등이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산기관의 파손시 악취 물질 및 유독 가스가 발생하는 정화조 내부에 인력이 투입되어 산기관을 교체해야 하는 위험 부담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기존에 노후화된 정화조의 경우 스컴 발생으로 인해 정화조 상부에 두꺼운 스컴층이 쌓이게 되고, 그로 인해 정화조 내의 공기 확산 및 악취 물질 저감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신설 정화조의 경우에도 산기관의 기포가 닿지 않는 사구간이 발생할 경우 스컴 발생 등으로 인한 악취 저감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악취 저감을 위해 공기를 과다투입할 경우 과다 투입된 공기량만큼 정화조의 외부로 공기 및 악취 물질이 유출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186호(등록일: 2009.08.05)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화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악취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부로 유동시키면서 유동되는 오염공기를 분사되는 세척수에 노출시켜 악취를 저감시킨 이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화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염찌꺼기를 분쇄하되, 외기를 제공하면서 분쇄 위치를 가변적으로 이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정화조의 내벽에 형성되는 찌꺼기를 주기적으로 와이핑하여 제거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를 제공한다.
상기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는 단지 내 각 세대의 오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관으로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정화조 몸체와, 상기 정화조 몸체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에는,
분쇄 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분쇄 장치는,
일단에 상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일정 크기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 몸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가변기는,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축의 단부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그 끝단은 상기 장치 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회전 모터와,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장치 몸체에는,
상기 분쇄기를 통해 상기 이물질을 분쇄하는 경우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압력을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압력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압력이 설정된 기준 압력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와,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장치 몸체의 상하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가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치 몸체는 외기 유입 튜브와 연결되되,
상기 외기 유입 튜브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에 의해 상기 분쇄기가 설치된 공간으로 상기 외기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화조의 내부에는,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상기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수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수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입구가 측정된 상기 수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정화조는 악취제거부와 연결된다.
상기 악취제거부는 상기 악취제거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클리닝 본체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보조 클리닝 본체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에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필터링층;
상기 다수의 필터링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수를 공급 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 및,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상기 다수의 필터링층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급기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기부는, 상기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여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급기부는,
상기 세척수 저장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류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류 분사부는,
유입홀들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유입홀들에 연결되는 분사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타단을 따라 절곡되며,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 부재들은,
상기 고정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상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각각에서 비스듬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하단 몸체와,
상기 하단 몸체와 연결되며, ㄱ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 몸체와,
상기 절곡 몸체의 단부에 연결되는 토출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토출 몸체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의 내경 보다 일정 내경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 몸체와 상기 토출 몸체의 사이에는 연결 몸체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 몸체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에서 상기 토출 몸체를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류 분사부의 상부에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이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분사 부재들의 내부로 공급하는 연결관들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들 각각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도록 원형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들 각각의 하단 일부는,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다수 위치에는 하단이 상기 세척수에 함침되는 드레인 파이프들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고정판의 상부로 낙하되는 세척수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을 통해 상기 세척수 저장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의 상단부 주변 영역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서 회전각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단 레벨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위치에서 고정판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의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를 따라 다단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의 사이에는 다단을 이루는 다수의 단차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차 영역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이 수평을 이루는 평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하 길이는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해 아래와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정화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염찌꺼기를 분쇄하되, 외기를 제공하면서 분쇄 위치를 가변적으로 이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정화조의 내벽에 형성되는 찌꺼기를 주기적으로 와이핑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악취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부로 유동시키면서 유동되는 오염공기를 분사되는 세척수에 노출시켜 악취를 저감시킨 이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효과들과 아울러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들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의 분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몸체에 악취제거부가 연결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 및 연결관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들을 기초하여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의 분쇄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는 단지 내 각 세대의 오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관으로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정화조 몸체(100)와, 상기 정화조 몸체(100)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관(10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정화조는 정화조 몸체(100)와, 격판 몸체(120)와, 필터 몸체(130)를 가진다. 상기 정화조 몸체(100)와, 격판 몸체(120)와, 필터 몸체(130)는 서로 유통된다. 상기 필터 몸체(130)의 상단에는 배관(101)이 연결된다.
상기 정화조 몸체(100)의 내부에는 분쇄 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분쇄 장치(200)는, 일단에 상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211)가 형성되며, 타단에 유출구(212)가 형성되는 장치 몸체(210)와, 상기 장치 몸체(2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211)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일정 크기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220)와, 상기 정화조 몸체(10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 몸체(2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기(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위치 가변기(230)는, 상기 정화조 몸체(100)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회전축(231a)을 갖는 회전 모터(231)와, 상기 회전축(231a)의 상단에 설치되는 승강축(232a)을 갖는 승강 실린더(232)와, 상기 승강축(232a)의 단부에 연결되고, 그 끝단은 상기 장치 몸체(210)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미도시)와, 상기 회전 모터(231)와, 상기 승강 실린더(23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33)를 구비한다.
상기 장치 몸체(210)에는 상기 분쇄기(220)를 통해 상기 이물질을 분쇄하는 경우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압력을 상기 제어기(233)로 전송하는 압력 센서(224)가 설치된다.
상기 분쇄기(220)는 분쇄축(221)과, 분쇄축(221)을 회전시키는 분쇄 회전기(222)와, 상기 분쇄축(221)에 형성된 분쇄날(223)을 갖는다. 상기 분쇄축(221)에는 상기 압력 센서(22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33)는 상기 압력 센서(224)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압력이 설정된 기준 압력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231)와, 상기 승강 실린더(232)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장치 몸체(210)의 상하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가변시킨다.
그리고 상기 장치 몸체(210)는 외기 유입 튜브(250)와 연결된다.
상기 외기 유입 튜브(250)는, 상기 제어기(233)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251)에 의해 상기 분쇄기(220)가 설치된 공간으로 상기 외기를 주입한다.
또한 상기 정화조 몸체(100)의 내부에는 상기 정화조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상기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수위를 상기 제어기(233)로 전송하는 수위 센서(11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기(233)는 상기 유입구(211)가 측정된 상기 수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232)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몸체에 악취제거부가 연결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악취 제거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클리닝 본체부(300)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3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보조 클리닝 본체부(400)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300)의 하부에 형성되며, 클린액이 저장되는 클린액 저장부(500)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300)에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필터링층(600)과, 상기 다수의 필터링층(6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클린액을 공급 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700)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300)의 측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상기 다수의 필터링층(600)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급기부(800)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부(800)는 보조 클리닝 본체부(300)의 측부에 연결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관(810)을 갖는다. 상기 급기부(800)는 상기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여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급기부(800)는, 상기 세척수 저장부(5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류 분사부(900)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관(810)은 상술한 정화조 몸체(1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악취 배출관(310)과 연결되며, 유입관(810)에는 악취 공기를 흡입하는 별도의 펌프(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와류 분사부(900)는 유입홀들(911)이 형성되는 고정판(910)과, 일단이 상기 유입홀들(911)에 연결되는 분사 부재들(92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 부재들(820) 각각은, 상기 분사 부재들(820)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분사 부재들(820) 각각의 타단을 따라 절곡된다.
상기 분사 부재들(820)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 및 연결관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고정판(91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보조 클리닝 본체부의 내주 일정 위치에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분사 부재들(920)은 상기 고정판(910)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상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다.
상기 분사 부재들(920)은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각각에서 비스듬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사 부재들(920) 각각은, 하단 몸체(921)와, 상기 하단 몸체(921)와 연결되며, ㄱ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 몸체(922)와, 상기 절곡 몸체(922)의 단부에 연결되는 토출 몸체(923)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 몸체(923)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922)의 내경 보다 일정 내경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 몸체(922)와 상기 토출 몸체(923)의 사이에는 연결 몸체(92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몸체(924)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922)에서 상기 토출 몸체(923)를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류 분사부(900)의 상부에는, 클린액이 공급되는 공급관(910)이 배치된다.
상기 공급관(910)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920) 각각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클린액을 상기 분사 부재들(9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연결관들(92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910)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910)의 다수 위치에는 하단이 상기 클린액에 함침되는 드레인 파이프들(930)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에는 드레인 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 홀들(912)은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930) 각각의 상단과 연결된다.
상기 고정판(910)의 상부로 낙하되는 클린액은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930)을 통해 상기 클린액 저장부(500)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930)의 상단부 주변 영역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사 부재들(920) 각각은 상기 고정판(710)의 상단에서 회전각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본체의 하부 영역에서 급기되는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 형성이 가능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여 토출되도록 하여 다수 층을 이루는 세정층으로 균일한 급기를 이루어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세정층을 통과하도록 토출되는 공기에 클린액을 추가로 공급하여 줌으로서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부재들(920)의 상단 레벨은 고정판(910)의 중심위치에서 고정판(910’)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910)은 상기 고정판(910)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910)의 에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910’)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910)의 에지의 사이에는 경사면(S)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910)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 부재들(920)의 상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분사 부재들(920) 각각은 해당 설치 위치에서 경사면(S)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판(910)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급기되는 공기는 고정판(910)의 하부에서 각각의 분사 부재들(92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분사 부재들(920)의 공기 토출 방향 및 고정판(910) 상에서 서로 다른 반경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는 고정판(910)의 중앙에서 에지를 따라 중심 상부에서 외측 하부를 따라 와류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파이프들(930) 상단은 상기 고정판(910)의 경사면(S) 하단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부에서 세정 후 클린액은 고정판(910)의 경사면(S)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930)의 상단을 통해 유입되어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부재들(920)의 상단 레벨은 고정판(910)의 중심위치에서 고정판(910)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910)은 상기 고정판(910)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910)의 에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다단의 단차 영역들(910a)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910)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910)의 에지의 사이에는 다수의 단차 영역들(910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차 영역(910a) 각각은 고정판(910) 상에서 서로 다른 반경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차 영역(910a) 상에는 분사 부재들(920)이 반경 방향을 따라 균등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 부재들(920)의 상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분사 부재들(920) 각각은 해당 단차 영역(910a)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판(910)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급기되는 공기는 고정판(910)의 하부에서 각각의 분사 부재들(92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분사 부재들(920)의 공기 토출 방향 및 고정판 상에서 서로 다른 반경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는 고정판(910)의 상부 공간에서 와류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910)이 수평을 이루는 평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분사 부재들(920)의 상하 길이는 상기 고정판(910)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구성에 따라 분사 부재들(920)은 해당 반경 위치에서 고정판(910)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하단 몸체(921)의 길이가 일정 길이로 짧게 형성된다.
이에 분사 부재들(920)의 토출 몸체(923)의 레벨은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낮은 레벨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의 구성에 따라 분사 부재들(720)은 해당 반경 위치에서 고정판(710)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하단 몸체(721)의 길이가 일정 길이로 짧게 형성된다.
이에 분사 부재들(720)의 토출 몸체(723)의 레벨은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낮은 레벨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정화조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악취를 포함하는 오염공기를 강제 흡입하여 상부로 유동시키면서 유동되는 오염공기를 분사되는 세척수에 노출시켜 악취를 저감시킨 이후에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조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염찌꺼기를 분쇄하되, 외기를 제공하면서 분쇄 위치를 가변적으로 이동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정화조의 내벽에 형성되는 찌꺼기를 주기적으로 와이핑하여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정화조 몸체
200 : 분쇄 장치

Claims (4)

  1. 단지 내 각 세대의 오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관으로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정화조 몸체와, 상기 정화조 몸체에 저장되는 오수를 배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에는,
    분쇄 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분쇄 장치는,
    일단에 상기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며, 타단에 유출구가 형성되는 장치 몸체와,
    상기 장치 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일정 크기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분쇄기와,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장치 몸체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위치 가변기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 가변기는,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는 회전축을 갖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설치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와,
    상기 승강축의 단부에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연결되고, 그 끝단은 상기 장치 몸체의 하단에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회전 모터와,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장치 몸체에는,
    상기 분쇄기를 통해 상기 이물질을 분쇄하는 경우 발생되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압력을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압력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압력이 설정된 기준 압력 이하를 이루는 경우, 상기 회전 모터와,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장치 몸체의 상하 위치 및 수평 위치를 가변시키고,
    상기 장치 몸체는 외기 유입 튜브와 연결되되,
    상기 외기 유입 튜브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에 의해 상기 분쇄기가 설치된 공간으로 상기 외기를 주입하고,
    상기 정화조의 내부에는,
    상기 정화조 몸체의 내부 공간에 저장되는 상기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수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수위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유입구가 측정된 상기 수위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승강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정화조는 악취제거부와 연결되고,
    상기 악취제거부는 상기 악취제거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보조 클리닝 본체부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보조 클리닝 본체부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 저장부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에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필터링층과, 상기 다수의 필터링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척수를 공급 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와, 상기 보조 클리닝 본체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상기 다수의 필터링층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급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부는, 상기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여 분사하고,
    상기 급기부는,
    상기 세척수 저장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류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류 분사부는,
    유입홀들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유입홀들에 연결되는 분사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타단을 따라 절곡되며,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 부재들은,
    상기 고정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상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각각에서 비스듬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하단 몸체와,
    상기 하단 몸체와 연결되며, ㄱ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 몸체와,
    상기 절곡 몸체의 단부에 연결되는 토출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토출 몸체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의 내경 보다 일정 내경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 몸체와 상기 토출 몸체의 사이에는 연결 몸체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 몸체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에서 상기 토출 몸체를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와류 분사부의 상부에는, 세척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이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분사 부재들의 내부로 공급하는 연결관들이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들 각각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도록 원형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들 각각의 하단 일부는,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의 다수 위치에는 하단이 상기 세척수에 함침되는 드레인 파이프들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고정판의 상부로 낙하되는 세척수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을 통해 상기 세척수 저장부로 배출되고,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의 상단부 주변 영역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서 회전각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단 레벨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위치에서 고정판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의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를 따라 다단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의 사이에는 다단을 이루는 다수의 단차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차 영역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이 수평을 이루는 평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하 길이는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3. 삭제
  4. 삭제
KR1020210097921A 2021-07-26 2021-07-26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102334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21A KR102334347B1 (ko) 2021-07-26 2021-07-26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7921A KR102334347B1 (ko) 2021-07-26 2021-07-26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4347B1 true KR102334347B1 (ko) 2021-12-03

Family

ID=7886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7921A KR102334347B1 (ko) 2021-07-26 2021-07-26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43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33B1 (ko) * 2023-06-20 2023-08-2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102619872B1 (ko) 2023-09-12 2024-01-02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588A (ja) * 1995-02-24 1996-09-10 Ishigaki Mech Ind Co 汚水の撹拌曝気装置
KR101091186B1 (ko) 2009-12-29 2011-12-09 한국전기연구원 저전압 구동용 탄소나노튜브 전자 방출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전자 방출원
KR101790307B1 (ko) * 2016-10-25 2017-10-25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9588A (ja) * 1995-02-24 1996-09-10 Ishigaki Mech Ind Co 汚水の撹拌曝気装置
KR101091186B1 (ko) 2009-12-29 2011-12-09 한국전기연구원 저전압 구동용 탄소나노튜브 전자 방출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탄소나노튜브 전자 방출원
KR101790307B1 (ko) * 2016-10-25 2017-10-25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233B1 (ko) * 2023-06-20 2023-08-2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102619872B1 (ko) 2023-09-12 2024-01-02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347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US6868857B2 (en) Rotary cleaning apparatus
JP2007098313A (ja) 廃プラスチックシート破砕片用洗浄装置
KR102010573B1 (ko) 오수 배출 촉진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오수 배출장치
KR101790307B1 (ko)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KR102379348B1 (ko) 증발유도장치를 이용한 스마트 하수도 악취 저감 시스템
KR101732378B1 (ko) 사이폰과 세척볼을 활용한 역세 기능이 있는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2069379B1 (ko) 오염공기 탈취장치
KR102571233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101545182B1 (ko) 유기성폐기물 처리시설의 대기 오염물질 처리장치
KR10141736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자동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471373B1 (ko) 음식물 쓰레기 용기 세척차
CN107429508B (zh) 移动式冲水厕所系统
KR1006820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KR100692367B1 (ko) 화장실 분뇨 건조장치
JP3172987U (ja) 汚水浄化装置
KR101308906B1 (ko) 악취 탈취장치가 구비된 맨홀
KR20080089898A (ko) 오수 재활용 시스템
KR101937611B1 (ko) 하수도 악취 제거 시스템
KR102649373B1 (ko)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KR100819771B1 (ko) 간이 화장실용 오물배출장치
CN219449396U (zh) 一种地上箱式雨水处理一体机
KR102619872B1 (ko) 공동주택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구조물
KR101318801B1 (ko) 부양식 악취 정화 배출 장치
US20030222033A1 (en) Sanit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