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9898A - 오수 재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수 재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9898A
KR20080089898A KR1020070032652A KR20070032652A KR20080089898A KR 20080089898 A KR20080089898 A KR 20080089898A KR 1020070032652 A KR1020070032652 A KR 1020070032652A KR 20070032652 A KR20070032652 A KR 20070032652A KR 20080089898 A KR20080089898 A KR 20080089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wage
pipe
tank
recycl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480B1 (ko
Inventor
강호철
Original Assignee
강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철 filed Critical 강호철
Priority to KR102007003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480B1/ko
Publication of KR20080089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9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5Black water originating from toil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1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household appliances such as dishwashers, laundry washing machines or vacuum clean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변기, 싱크대, 세탁기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시켜서 생활용수로 다시 반복 사용하게 함으로써 수자원을 보호할 목적으로, 옥내 시설물로부터 배출된 오수 찌꺼기를 분쇄 및 교반하여 배출하는 분쇄부; 분쇄부로부터 송기된 오수를 찌꺼기와 물로 분리하는 경사진 진동판; 진동판에서 분리된 오수 찌꺼기를 수집하여 발효시키는 발효조; 상기 진동판에서 분리된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된 정수부; 정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집하여 약품으로 소독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부에서 배출된 정화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및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화수를 상기 옥내 시설물의 상수관으로 공급하는 배관으로 구성된 오수 재활용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오수 재활용 시스템{Sewage disposal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시스템의 구조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정수부의 요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시스템의 구조 개념도.
도 4는 도 2의 배수판의 구조를 보인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변기 2 : 저수조
10, 100 : 분쇄부 11, 103 : 분쇄익
20 : 진동판 30 : 발효조
31 : 가스배출관 40 : 정수부
41 : 서랍식 필터 43 : 종이필터
44 : 모래층 45 : 숯층
45 : 종이층 50 : 집수조
51 : 집수모터 54 : 교반기
60 : 정수탱크 61 : 배수관
62 : 배수밸브 63 : 오버플로우(Over-flow)관
80 : 제어부 101 : 싱크대
102 : 배수판
본 발명은 변기, 싱크대, 세탁기 등에서 배출되는 오수를 정화시켜서 생활용수로 다시 반복 사용하게 함으로써 수자원을 보호하도록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UN으로부터 물부족국가로 분류되어 있고, 우리나라 정부 역시 강수량 대비 물 사용량이 현저히 많은 점을 인식하여 수자원을 절약하기 위한 각종 캠페인을 벌임으로써 국민에게 물을 아껴쓰도록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의 국민들은 비누보다 물 사용량이 현저히 많은 샴푸를 그대로 쓰거나, 기름 끼가 있는 음식물을 휴지 등으로 먼저 닦지 않은 채 그대로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함으로써 물 사용량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환경오염 측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하고는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를 일일이 분리하여 배출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거니와,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률이 저조하여 대부분의 음식물 쓰레기가 그대로 땅에 매립되고 있어, 폐수나 가스 발생으로 인한 악취의 증가는 물론, 토양까지 오염시키는 환경오염의 심각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인식 하에 이를 효과적으로 대체하기 위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 싱크대, 세탁기 등의 사용 후 발생하는 생활 하수를 가정 내에서 자동으로 정화시킴은 물론, 정화수를 다시 상수도관과 연결시켜 재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물 소비량을 감소시키고, 수자원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나 변기 사용 후 발생하는 오물 등을 수집, 발효시켜서 퇴비와 같은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과 매립량을 줄임으로써 토양오염과 수질오염 등의 환경오염의 주된 요인을 저감시킬 수 있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시스템은, 옥내 시설물로부터 배출된 오수 찌꺼기를 분쇄 및 교반하는 분쇄익과 분쇄된 오수를 배출하기 위해 제1배관과 연결된 펌프를 포함하는 분쇄부; 상기 펌프로 송기된 오수를 찌꺼기와 물로 분리하도록 복수개의 배수구가 구비된 경사진 진동판; 상기 진동판에서 분리된 오수 찌꺼기를 수집하여 발효시키고 발효된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폐구가 구비된 발효조; 상기 진동판에서 분리된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된 정수부; 상기 정수부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집하여 약품으로 소독하는 집수부; 상기 집수모터로 송기된 정화수를 저장하고, 상부에 하수관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관이 구비된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화수를 상기 옥내 시설물로 공급하기 위한 제3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수부, 집수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각각 충진 물의 과충진을 검출하도록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의 작동에 따라 펌프, 집수모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수부는, 내부에 정화물질이 충진되고 상/하단에 복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랍식 필터와, 상하 방향으로 병렬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종이필터가 상호 교번하여 배치되고, 상기 서랍식 필터 내부의 정화물질은 모래층, 숯층 및 종이층이 차례로 적층된다.
한편, 상기 집수조 내부에 수집된 정화수와 소독약을 고르게 혼합시키기 위해 모터로 구동하는 교반기가 내장될 수 있고, 상기 정수탱크 하단에 개폐 가능한 배수밸브가 형성된 배수관이 더 구비되어 탱크 내 청소시 저장된 물이 하수관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배관에는 옥내 시설물로의 정화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옥내 시설물은 저수조가 구비된 변기이거나, 상수도관을 포함하는 싱크대 또는 세탁기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구조 설명을 위해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이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시스템의 구조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수부의 요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오수처리 시스템의 제1실시예는, 옥내 시설물을 변기(1)로 한 실시예로서, 상기 변기(1)는 후방 상부에 물을 저장하는 저수조(2)를 구비하고 있으며, 변기(1) 하부에는 분쇄부(10)가 위치한다.
상기 분쇄부(1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익(11)과, 상기 분쇄익(11)에 의해서 분쇄 교반된 물과 오물의 혼합물을 저장함과 동시에 이를 후술하는 진동판(20)으로 송기하기 위해 제1배관(L1)과 연결된 펌프(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부가적으로 분쇄부(10) 소정 높이에 제1센서(13)가 설치되어서, 혼합물이 분쇄부(10) 내에 과다하게 쌓일 경우 펌프(12)를 가동시켜서 혼합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이들의 일련의 과정은 제어부(80)에서 제어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한 리모컨(미도시) 작동과 같이 수동 작업에 의해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변기(1)에서 배출되는 물과 오물은 분쇄익(11)에 의해, 교반, 혼합되어 분쇄부(10)에 쌓이게 되고, 교반, 분쇄된 혼합물은 펌프(12)의 작동에 의해서 제1배관(L1)을 통해 진동판(20) 상부로 송기된다.
진동판(20)은, 진동모터(22)에 의해 진동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것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고, 진동판(20) 자체에는 복수개의 배수구(21)가 구비되며, 하향 경사진 단부에는 발효조(30)가 위치하는 한편, 진동판(20)의 하부에는 정수부(40)가 위치한다.
제1배관(L1)을 통해 송기되어 진동판(20) 상부로 도달한 혼합물은 진동판(20)의 진동 작용에 의해서 진동이 가해지는 상태로 점차 진동판(20)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며, 이때 물은 배수구(21)를 통해 정수부(40)로 낙하하고, 배수구(21)를 통과하지 않은 오물은 발효조(30)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발효조(30)는, 상기 배수구(21)로 배출되지 아니한 오물이 퇴적되는 곳으로서, 소정 위치에 가스배출관(31)이 구비되어 퇴적된 오물이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내부 소정 높이에는 제2센서(32)가 구비되어서 오물의 퇴적량이 과다하게 쌓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소리를 발생하는 스피커(미도시)나 빛을 발생하는 램프(미도시)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발효조(30)의 오물 퇴적량이 적정 수준 이상임을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부호 33은 개폐구로서, 사용자는 상기 제2센서(32)의 감지에 의한 표시를 통해서 발효조(30)의 청소를 실시하게 되며, 이때 개폐구(33)를 열어서 발효조(30)의 퇴적물을 제거하게 되는데, 발효조(30)에서 반출된 퇴적물은 퇴비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수부(40)는 진동판(20)의 배수구(21)를 통해 배출된 물을 정화시키는 곳으로, 배구수(21)는 미세한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물이 포함되지 않은, 어느 정도의 부유물이 걸러진 물이다.
이를 정화시키기 위한 정수부(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데, 상기 필터의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서랍식 필터(41)가 구비되고, 또한 세로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이어 설치된 종이필터(43)가 구비되는데, 정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랍식 필터(41)와 종이필터(43)를 반복적으로 교번하여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한 서랍식 필터(41)의 구체적인 형태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단에 복수개의 배수구(42)가 구비되고, 내부에는 모래층(44), 숯층(45), 종이 층(46)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를 취한다. 물론, 상기 서립식 필터(41) 내부에 충진되는 정화물질은 다른 종류의 정화물질, 예컨대 전기석인 토루마린, 맥반석 등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적층물과 그 순서의 변경 및 정화물질의 적층 수 역시 예시된 것과 달리 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서립식 필터(41)는 필터 교환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서 슬라이드 가능한 서랍식으로 하여 착탈이 용이하게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으며, 필터링으로 사용된 정화물질에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이 서랍식 필터(41) 및 종이필터(43)에 의해서 정화된 물은, 경사진 받침판(47)을 통해서 집수조(50)에 저장된다.
상기 집수조(50)는, 정화된 물을 소독하기 위한 곳으로, 집수조(50) 소정부에는 약제를 투입할 수 있는 약제투입구(52)가 구비되고, 집수조(50)에 저장된 물을 저장조(6)로 송기하기 위한 집수모터(51)가 더 구비되며, 또한 정화된 물이 집수조(50)에 과다하게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센서(53)가 집수조(50)의 소정 높이 위치에 내장되어서 제3센서(53)가 정화된 물의 양을 측정하여 과다하다고 판단안 경우, 전술한 제어부(80)로 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라 제어부(8)는 집수모터(51)의 가동명령 신호를 송출하여 집수조(50) 내의 물을 정수탱크(60)로 송기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약품투입구(52)를 통해서 정기적으로 집수조(50) 내부로 물 소독약품을 투입할 수 있고, 이때 소독약품과 물을 고르게 혼합시킴과 동시에 물을 효과적으로 혼합하기 위해서는 집수조(50) 내부에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교반 기(5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집수조(50) 내에서 정화 및 소독된 물은 집수모터(51)의 구동으로 제2배관(L2)을 통해 정수탱크(6)로 송기된다.
상기 정수탱크(60)는, 상부에 하수관(70)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관(63)이 구비되고 하부에도 역시 하수관(70)과 연결된 배수관(61)이 구비되며, 상기 배수관(61)에는 배수관의 개폐를 담당하는 배수밸브(6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버플로우관(63)은 정수탱크(60) 내에 저장된 물이 과다하게 저장될 경우, 오버플로우관(63)을 통해 과자하게 충진된 물이 넘쳐서 하수관(70)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밸브(62)는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정수탱크(60) 내부를 청소할 필요가 있을 경우, 배수밸브(62)가 개방되며, 이 상태에서 청소를 하면, 정수탱크(60) 내부를 세척한 물이 배수관(61)을 통해서 하수관(70)으로 배출되고, 청소가 종료되면, 다시 폐쇄된다.
정수탱크(60) 내에 저장된 물은 제3배관(L3)을 통해서 변기(1)의 저수조(2)로 송기되고, 저수조(2)에 저장된 물른 사용자의 용변 후 내리는 물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배관(L3)에는 공급밸브(64)가 구비되어서 정수탱크(60)에 저장된 물을 필요에 따라 저수조(2)로 배출되게 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탱크(60) 내부를 청소할 경우에는, 상기 공급밸브(64)는 닫혀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오수 재활용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용변을 본 후, 저수조(2)에 설치된 물 내림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80)가 이를 감지하여, 분쇄부(10) 내의 분쇄익(11)을 작동시켜서 변기(1)로부터 내려지는 물과 오물을 분쇄, 혼합하게 한다.
분쇄부(10)에 물과 오물이 혼합된 혼합물이 쌓이면, 펌프(12)가 작동함과 동시에 진동판(20)이 가동을 하며, 혼합물은 진동판(20)에서 물과 오물로 분리되고, 분리된 물과 오물은 각각 정수부(40)와 발효조(30)로 보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필터가 내장된 정수부(40)에서 정화된 물은 집수조(50)에서 소독약품에 의해 소독된 후, 정수탱크(60)로 송기되어 저장되며, 상기 저수조(2)의 물이 변기(1)로 내려가면, 공급밸브(64)가 개방되어 정수탱크(60)에 저장된 물이 제3배관(L3)을 통해 저수조(2)로 공급되어 변기(1) 사용후 언제든지 물을 내릴 수 있도록 준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인련의 과정에서, 분쇄부(10), 집수조(50)에 부착된 각 센서(13)(53)는 분쇄부(10) 및 집수조(50)에 물이 과다하게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잉여된 물은 정수탱크(60)의 오버플로우관(62)을 통해 하수관(70)으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시스템의 구조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수판의 구조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한 본 발명의 오수처리 시스템의 제2실시예는, 옥내 시설물을 싱크대(101)로 한 실시예로서, 상기 싱크대(101) 하부에는 분쇄부(100)가 위치하며, 상부에는 통상 상수도관(L4)과 온수관(L5)이 연결되어서 찬물과 더운물을 공급하도 록 구성되고, 이들이 조절기(90)를 통해서 적정한 온도, 즉 사용자가 선택한 온도로 조절되어 싱크대(101) 상부로 토출되도록 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부(100)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판(102)과 상기 배수판(102) 저부에 형성된 분쇄익(103)과 분쇄된 오수를 이송시키는 펌프(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판(102)은 싱크대(101)를 통해 배출되는 물과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곳으로, 물은 배수판(102)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을 통해서 배출되고, 음식물쓰레기는 배수판(102) 저부에 구비된 분쇄익(103)을 통해서 분쇄, 교반되며, 이들 물과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는 경사진 유도판(104)을 통해 분쇄부(10) 내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쌓인 물과 음식물 찌꺼기 혼합물은 펌프(112)에 의해서 제1배관(L1)을 통해 진동판(20)으로 낙하되며, 진동판(20)에서 분리된 물과 오물 혼합물은 각각 정수부(40)와 발효조(30)로 보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필터가 내장된 정수부(40)에서 정화된 물은 집수조(50)에서 소독약품에 의해 소독된 후, 정수탱크(60)로 송기되어 저장되며, 저장탱크(60)에서 제3배관(L3)을 통해 송기되는 물은 상기 상수관(L4)에 연결되어 싱크대(101)로 공급되는 구조이다.
이때 사용자가 싱크대(101)를 사용할 때 찬물은 정수탱크(60)로부터 공급받으므로, 상수관(L4)으로부터의 물 사용을 절약할 수 있게 되므로, 물 소비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실시예의 진동판(20), 발효조(30), 정수부(40), 집수조(50) 및 정수탱크(60)이 각 구조의 제1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서라면, 상기 옥내 시설물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변기(1)나 싱크대(101) 외에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세탁기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세탁기(미도시)에서 탈수된 물은 분쇄부(10)(100)로 배출되고, 정수탱크(60)에서 공급된 물은 세탁기로 공급되는 상수도관(L4)으로 공급되게 하여 세탁기의 찬물 공급을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서 정화된 물로 대체할 수 있는 바, 따라서 본 발명의 오수 재활용 시스템은 가정 내에서 상수도관(L4)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사용하는 장치라면 어떠한 시설물이라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오폐수 재활용 시스템에 의하면, 변기, 싱크대, 세탁기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 하수 또는 오물을 그대로 배출하지 않고 정화시킴은 물론, 이를 재활용하여 사용하므로, 상수도관으로 유입되는 물 소비량을 현저히 감소시켜서 경제적 이윤을 획득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는 수자원을 보호할 수 있게 되며, 물부족 국가라는 심각한 문제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나 변기 사용 후 발생하는 오물 등을 수집, 발효시켜서 퇴비 등으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되므로, 화학적 비료의 사용량을 감소시켜서 화학적 비료에 의한 토양오염을 방지하게 되고, 나아가 인체에 무해한 채소난 곡류를 얻을 수 있게 되어 국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상 예시된 도면과 그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구성요소의 배치 및 배관의 배열 등은 필요에 따라 쉽게 변경이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이 본 발명에 내재된 기술사상과 동일, 유사, 균등 관계에 있는 것이라면, 하기 기재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있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1)

  1. 오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옥내 시설물로부터 배출된 오수 찌꺼기를 분쇄 및 교반하는 분쇄익(11)과 분쇄된 오수를 저장하는 분쇄부(10);
    상기 분쇄부에서 송기된 오수를 찌꺼기와 물로 분리하도록 복수개의 배수구(21)가 구비된 경사진 진동판(20);
    상기 진동판(20)에서 분리된 오수 찌꺼기를 수집하여 발효시키고 발효된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폐구(33)가 구비된 발효조(30);
    상기 진동판(20)에서 분리된 물을 정화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가 구비된 정수부(40);
    상기 정수부(40)를 통해 배출된 물을 수집하여 약품으로 소독하는 집수부(50);
    상기 집수부에서 소독된 물을 저장하고, 상부에 하수관과 연결된 오버플로우관(63)이 구비된 정수탱크(60);
    상기 정수탱크(60)에 저장된 정화수를 상기 옥내 시설물로 공급하기 위한 제3배관(L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10), 집수조(50) 중 어느 하나 또는 각각의 위치에 충진물의 과 충진을 검출하도록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센서의 작동에 따라 배수부(10)의 펌프(12), 집수조(50)의 집수모터(51)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부(40)는, 내부에 정화물질이 충진되고 상/하단에 복수개의 배수구(42)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서랍식 필터(41)와, 상하 방향으로 병렬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종이필터(43)가 상호 교번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식 필터(41) 내부의 정화물질은 모래층(44), 숯층(45) 및 종이층(46)이 차례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50) 내부에 수집된 정화수와 소독약을 고르게 혼합시키기 위해 모터로 구동하는 교반기(54)가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60) 하단에 개폐 가능한 배수밸브(62)가 형성된 배수관(61)이 더 구비되어 탱크 내 청소시 저장된 물이 하수관(70)으로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배관(L3)에 옥내 시설물로의 정화수 공급을 제어하는 공급밸브(6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 시설물은 저수조(2)가 구비된 변기(1)이고, 상기 제3배관(L3)의 말단은 저수조(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 시설물은 상수도관(L4)을 포함하는 싱크대(101)이고, 상기 제3배관(L3)의 말단은 싱크대의 상수도관(L4)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하부에 마련된 분쇄부(100)는,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수판(102)과 상기 배수판 저부에 형성된 분쇄익(103)과 분쇄된 오수를 이송시키는 펌프(1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옥내 시설물은 상수도관을 포함하는 세탁기이고, 상기 제3배수관(L3)의 말단은 세탁기의 상수도관(L4)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 재활용 시스템.
KR1020070032652A 2007-04-03 2007-04-03 오수 재활용 장치 KR10090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52A KR100907480B1 (ko) 2007-04-03 2007-04-03 오수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2652A KR100907480B1 (ko) 2007-04-03 2007-04-03 오수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9898A true KR20080089898A (ko) 2008-10-08
KR100907480B1 KR100907480B1 (ko) 2009-07-13

Family

ID=4015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2652A KR100907480B1 (ko) 2007-04-03 2007-04-03 오수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4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01B1 (ko) * 2016-03-28 2017-03-27 주식회사 동남이엔씨 정체층 형성을 방지하는 무동력 저장탱크
CN112517181A (zh) * 2020-11-16 2021-03-19 何兴昭 一种园林污水处理装置
KR102352762B1 (ko) * 2021-08-20 2022-01-17 민병직 옥습기용 슬러지 및 냄새 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855B1 (ko) * 2018-07-27 2020-04-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변색 양액 재처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30A (ja) 1997-07-25 1999-02-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KR20000067061A (ko) 1999-04-22 2000-11-15 신동국 오폐수 정화 시스템
KR20000054588A (ko) * 2000-06-13 2000-09-05 김세창 분뇨, 음식물쓰레기 및 생활하수 처리 장치 및 이를이용한 분뇨, 음식물쓰레기 및 생활하수 처리 방법
KR200321862Y1 (ko) * 2003-02-18 2003-07-31 유한복 바이어스 테이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01B1 (ko) * 2016-03-28 2017-03-27 주식회사 동남이엔씨 정체층 형성을 방지하는 무동력 저장탱크
CN112517181A (zh) * 2020-11-16 2021-03-19 何兴昭 一种园林污水处理装置
KR102352762B1 (ko) * 2021-08-20 2022-01-17 민병직 옥습기용 슬러지 및 냄새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480B1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82896A (ja) 生ごみ処理装置
CN107399851A (zh) 一种实用方便的家用厨房污水处理装置
JP2008246373A (ja) 厨芥処理システム
KR100907480B1 (ko) 오수 재활용 장치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201596564U (zh) 城市生活垃圾资源化分选装置
KR10091577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
JP2006231329A (ja) 生ごみ処理器
KR101308905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1134677B1 (ko) 음식쓰레기 하수처리 시스템
CN109052856A (zh) 卫生间生活污水再利用装置
KR10070187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분해 여과장치
KR20080065945A (ko)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NZ530182A (en) Toilet system
CN209520190U (zh) 带有水洗功能的餐厨垃圾处理机
CN210765039U (zh) 一种协同处理餐厨垃圾的洗菜池装置
US20130118969A1 (en)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cluding BOD reduction apparatus
KR100730591B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CN107540155A (zh) 一种厨房生活污水处理装置
KR200420647Y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JP4341850B1 (ja) 集合住宅用生ごみ処理活用システム
CN102276114B (zh) 一种水处理设备
CN102603130A (zh) 生活垃圾及污水处理系统
JP4183845B2 (ja) 厨芥処理システム
KR101858670B1 (ko)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