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945A -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945A
KR20080065945A KR1020080003213A KR20080003213A KR20080065945A KR 20080065945 A KR20080065945 A KR 20080065945A KR 1020080003213 A KR1020080003213 A KR 1020080003213A KR 20080003213 A KR20080003213 A KR 20080003213A KR 20080065945 A KR20080065945 A KR 2008006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ood waste
housing
sink
de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태
서우람
Original Assignee
서경태
서우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태, 서우람 filed Critical 서경태
Publication of KR2008006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9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가정, 음식점,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해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미생물 접종분사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해시키는 동시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을 반복 수행하여 액상으로 분해소멸시켜 배출시키는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처리시스템은 바닥면(22)과 측면(24) 및 커버(26)를 구비하여 내측에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분쇄조(12)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도록 하여 침전조(18)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우징(20)을 구비하고, 분쇄조(12)내에 장입된 회전날(46)를 모터(42)로 회전시키므로써, 분쇄조(12)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고,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로 흐르도록 하는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분쇄유니트(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FOODWASTE DISPOSING SYSTEM}
본 발명은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가정, 음식점,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해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미생물 접종분사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해시키는 동시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을 반복 수행하여 액상으로 소멸시켜 배출시키는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주방의 싱크대 하부에 설치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필요시 작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미세하게 분해시킨 다음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38188호 " 씽 크대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압착 분리 수거 장치 및 비료, 사료화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1180호 "음식물 찌꺼기 분쇄분리기",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32129호 "씽크대 오물 (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92430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192950호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1647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장치"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9423호 "음식물 처리장치" 등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관상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상태에서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쓰레기의 량을 감소시킬 수 없는 문제점과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을 분쇄하고 여기에 미생물을 투입하므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효과를 높이고자 하는 기술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8258호,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36834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491호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등이 제안되 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에 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시 미생물을 투입하여 배출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효과적인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한 분쇄장치는 분쇄된 음식물이 완벽하게 처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2-0002186호의 "부엌쓰레기 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 부엌쓰레기 처리장치는 개수대의 배수구멍과 연결되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디스포저와, 상기 디스포저에 연결파이프 및 변환밸브를 통해 설치된 분해장치부와, 상기 분해장치부로부터 나오는 배출액을 배출시키는 배출파이프와, 상기 분해장치부 내의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파이프를 상기 변환밸브를 통해 배출파이프와 연결시키는 동시에 상기 변환밸브는 디스포저를 구동조작했을 때에만 디스포저로부터 배출되는 배출액이 분해장치부에 공급되며, 디스포저가 구동되지 않을 때에는 배출파이프에 직접 배출되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분해장치부는 미생물의 콜로니가 되는 착상재군과, 상기 착상재군을 유지하는 동시에 분쇄된 부엌쓰레기 이외의 것을 배출시키는 회전드럼과, 상기 회전드럼을 밀폐상태로 유지하는 하우징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기술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디스포저에 의해 분쇄하고 분해장치부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청결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채소와 같이 섬유질로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는 디스포저와 같은 분쇄장치에 의해 쉽게 분쇄되지 않으므로 잔류되는 섬유질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를 완벽하게 처리할 수 없거나, 미생물에 의한 분해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과정이 회전드럼의 내부에서만 수행되므로 완벽한 분해를 위해서는 장시간의 분해시간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장시간 동안 모터를 구동시켜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미생물의 번식이 용이한 온도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처리효율이 저하되고, 미생물이 활동할 수 없는 동절기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하여 회전드럼을 쉽게 분리할 수 없으므로 회전드럼의 내부 청소나 유지보수가 어렵고,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안정적인 처리와 위생적인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가정, 음식점,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해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장치에 의해 미생물 접종분사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해시키는 동시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을 반복 수행하여 액상으로 소멸시키므로써 음식물 발생원지에서 바로 처리하되 완전 액상으로 미생물분해시켜 수질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액상만을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유입구측의 배관구조와 배출구측의 배관구조를 시스템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써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 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바닥면(22)과 측면(24) 및 커버(26)를 구비하여 내측에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조(12)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도록 하여 상기 침전조(18)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우징(20) 및; 상기 분쇄조(12)내에 장입된 회전날(46)를 모터(42)로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분쇄조(12)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고, 상기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로 흐르도록 하는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분쇄유니트(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분쇄조(12)와 분해조(14)는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22)측에 제 1 타공판(32)이 설치되는 제 1 칸막이(30)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분해조(14)와 상기 정화조(16) 및 침전조(18)는 상측에 제 2 타공판(36)이 설치되는 제 2 칸막이(34)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정화조(16)와 침전조(18)는 상기 침전조(18)가 상기 정화조(16)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칸막이(34)와 상기 하우징(20)의 측면(24)에 결합되고, 타공이 형성되는 제 3 타공판(38)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하우징(20)은 내측에서 상기 분쇄조(12), 분해조(14) 및 정화 조(16)의 상측을 덮고, 상기 커버(26)의 하측에 서비스 공간(19)이 형성되도록 하는 서비스 플레이트(28)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42)는 상기 서비스 공간(19)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서비스 공간(19)상에 설치되어 상기 분해조(14)에 미생물을 공급시키기 위한 미생물 공급기(50)와; 상기 서비스 공간(19)상에서 상기 분해조(14)로 연장되어 상기 분해조(14)내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처리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60) 및; 상기 분해조(14)의 하측에 설치되는 산기관(76)과 연결관(74)에 의해 연결되는 공기 공급기(72)가 상기 서비스 공간(19)에 설치되어 상기 분해조(14)내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 유니트(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은 바닥면(22)과 측면(24) 및 커버(26)를 구비하여 내측에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쇄조(12)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도록 하여 상기 침전조(18)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우징(20)과;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 장치(200)와 접속되고, 상기 분쇄장치(200)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분쇄조(12)로 유입되도록 상기 분쇄조(12)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유입관(102)과; 상기 침전조(18)의 상측에 배출구(106)가 형성되어 외부로 연결되되, 유트랩(108)이 상기 배출구(106)보다 높도록 설치되는 제 1 배출관(104) 및; 상기 분쇄조(12)내에 장입된 회전날(46)를 모터(42)로 회전시키므로써, 상기 분쇄조(12)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고, 상기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로 흐르도록 하는 흐름을 형성하기 위한 분쇄유니트(4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분쇄조(12)와 분해조(14)는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22)측에 제 1 타공판(32)이 설치되는 제 1 칸막이(30)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분해조(14)와 상기 정화조(16) 및 침전조(18)는 상측에서 상기 제 1 배출관(104)의 유트랩(108)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제 2 타공판(36)이 설치되는 제 2 칸막이(34)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정화조(16)와 침전조(18)는 상기 침전조(18)가 상기 정화조(16)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출관(104)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2 칸막이(34)와 상기 하우징(20)의 측면(24)에 결합되고, 타공이 형성되는 제 3 타공판(38)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일단이 상기 유입관(102)에 접속되고, 타단이 싱크대의 배수구(202) 와 접속되며, 상기 유입관(102)과의 접속 부분에 망체(111)가 설치되는 제 2 배출관(110)과; 상기 제 2 타공판(36)보다 높은 위치에서 상기 분쇄조(12)의 측면(24)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배출관(110)과 분쇄조(12)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 1 서비스 배출관(112)과; 상기 분쇄조(12)의 하측에서 상기 분쇄조(12)의 측면(24)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배출관(110)과 분쇄조(12)가 연통되도록 하는 제 2 서비스 배출관(114) 및; 상기 분쇄조(12)의 내측에서 상기 제 2 서비스 배출관(114)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마개(122)를 갖고, 상기 분쇄조(1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로드(124)에 의해 상기 마개(12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서비스 개폐유니트(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어 체류된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처리되도록 하여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우징(20)과;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하우징(20)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유입관(102) 및; 상기 하우징(20)의 하측에 배출구(106)가 형성되어 외부로 연결되되, 유트랩(108)이 상기 배출구(106)보다 높도록 설치되는 제 1 배출관(104)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20)내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유트랩(108)의 높이까지 체류하도록 하고, 상기 유트랩(108)의 높이를 넘었을 때 사이펀 원리에 의해 상기 하우징(20)내에 체류되어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하우징(20)은 바닥면(22)과 측면(24) 및 커버(26)를 구비하여 내측에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102)은 상기 분쇄조(12)의 상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106)는 상기 침전조(18)의 상측에 형성되므로써, 상기 분쇄조(12)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처리되도록 하여 상기 침전조(18)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상기 분쇄조(12)와 분해조(14)는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22)측에 제 1 타공판(32)이 설치되는 제 1 칸막이(30)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분해조(14)와 상기 정화조(16) 및 침전조(18)는 상측에서 상기 제 1 배출관(104)의 유트랩(108)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제 2 타공판(36)이 설치되는 제 2 칸막이(34)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정화조(16)와 침전조(18)는 상기 침전조(18)가 상기 정화조(16)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출관(104)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2 칸막이(34)와 상기 하우징(20)의 측면(24)에 결합되고, 타공이 형성되는 제 3 타공판(38)에 의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10, 이하, '처리시스템(10)'이라 한다}은 내측에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특별히 설계된 하우징(20)과, 분쇄조(12)에 설치되는 분쇄유니트(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하우징(20)은 바닥면(22)과 측면(24) 및 커버(26)를 구비하여 내측에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하우징(20)은 분쇄조(12)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도록 한 후, 침전조(18)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분쇄유니트(40)는 분쇄조(12)내에 장입된 회전날(46)를 모터(42)로 회전시키므로써, 분쇄조(12)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고,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로 흐르도록 하는 흐름을 형성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에서 분쇄조(12)와 분해 조(14)는 하우징(20)의 바닥면(22)측에 제 1 타공판(32)이 설치되는 제 1 칸막이(30)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분해조(14)와 정화조(16) 및 침전조(18)는 상측에 제 2 타공판(36)이 설치되는 제 2 칸막이(34)에 의해 분리된다. 또한, 정화조(16)와 침전조(18)는 침전조(18)가 정화조(16)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 2 칸막이(34)와 하우징(20)의 측면(24)에 결합되고, 타공이 형성되는 제 3 타공판(38)에 의해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따른 처리시스템(10)은 하우징(20)내에 설치되는 제 1 칸막이(30), 제 2 칸막이(34), 제 1 타공판(32), 제 2 타공판(36) 및 제 3 타공판(38)에 의해 각각 처리기능이 구별되는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때, 처리수와 음식물 쓰레기의 흐름은 제 1 타공판(32), 제 2 타공판(36) 및 제 3 타공판(38)을 통해 이루어지고, 이들의 공극 크기를 조절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입자가 작아지면서 침전조(18)까지 흐르도록 하고, 궁극적으로 분해되어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을 보면, 분쇄조(12)에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유니트(40)의 회전날(46)에 의해 제 1 타공판(32)을 통과하는 정도까지 분쇄되는 과정을 통해 입자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분쇄조(12)에서 어느 정도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해조(14)에서 정체시간을 가지면서 분해된다. 특히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분해조(14)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같은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미생물이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미생물에 의한 분해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물론, 본 발명에서는 통상 유기물(특히, 음식물 쓰레기)을 처리하기 위해 제안된 미생물을 그대로 적용하지만,, 특히 유지방 분해, 단백질 분해, 녹말 및 염분 등 기타 유해 물질의 분해제거에 탁월한 미생물을 선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분쇄조(12)와 분해조(14)는 하측에서 제 1 타공판(32)에 의해 연통되어 있으므로, 같은 수위를 가지게 된다. 분해조(14)의 정체시간이 흐르면서 수위가 제 2 타공판(36)에 이르면, 분해조(14)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와 처리수는 제 2 타공판(36)을 통해 정화조(16)로 흐르게 된다. 이때 분해조(14)에서 정화조(16)로 처리수와 함께 이동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제 2 타공판(36)의 타공을 통과할 수 있는 입자의 크기가 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 1 타공판(32)의 타공의 크기는 5mm 정도로 하고, 제 2 타공판(36)의 타공의 크기는 3mm 정도로 하며, 제 3 타공판(38)의 타공의 크기는 0.2mm에서 1mm 정도로 형성하여 일정한 입경의 음식물 쓰레기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여 처리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물론, 이와 같은 각 타공판의 크기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아래 다양하게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정화조(16)의 하부에 제 3 타공판(38)에 의해 격리되는 침전조(18)를 배치하므로써 분해조(14)에서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에서 제 3 타공판(38)을 통과하는 크기의 입자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가 자연히 침적되도록 하므로써 적은 공간을 사용하여 처리효과를 극대화시켰다. 이때, 제 3 타공판(38)을 통과하지 못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정화조(16)에서 체류되면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을 계속 유지하게 되고, 또한 침전조(18)에 침적된 음식물 쓰레기는 침적과정을 통해 액상화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침전조(18)를 통한 4단계의 처리과정을 통해 최종 액상만을 방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유입구측의 배관구조와 배출구측의 배관구조를 시스템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써 하우징(20)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흐름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우회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하우징(20)내에 서비스 공간(19)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 공간(19)은 분쇄유니트(40)의 모터(42) 등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이 싱크대내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이 서비스 공간(19)은 하우징(20) 내측에서 분쇄조(12), 분해조(14) 및 정화조(16)의 상측을 덮고, 커버(26)의 하측에 설치되는 서비스 플레이트(28)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태에 공간활용을 극대화하여 액상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 조(18)를 구성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가정, 음식점,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해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해시키는 동시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을 반복 수행하여 액상으로 소멸시키므로써 음식물 발생원지에서 바로 처리하되 완전 액상으로 미생물분해시켜 수질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액상만을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 의하면, 박스형태에 공간활용을 극대화하여 액상으로 처리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구성하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그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구성되어 가정, 음식점, 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해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분쇄장치에 의해 1차적으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기계적인 방법으로 분해시키는 동시에 미생물에 의한 분해작용을 반복 수행하여 액상으로 소멸시키므로써 음식물 발생원지에서 바로 처리하되 완전 액상으로 미생물분해시켜 수질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상태에서 액상만을 배수관을 통해 배출하여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또는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 미생물을 사용한 음식물 쓰레기(유기물) 처리방법 및 그의 작용효과 등 통상 이 분야의 관련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진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유입구측의 상측 배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유입구측의 하측 배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배출구측의 배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면(22)과 측면(24) 및 커버(26)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20)내에 제 1 칸막이(30), 제 2 칸막이(34), 제 1 타공판(32), 제 2 타공판(36) 및 제 3 타공판(38)에 의해 구분되는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일정한 크기의 입자가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타공판으로 명칭하였지만, 통상 스크린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이때, 분쇄조(12)와 분해조(14)는 하우징(20)의 바닥면(22)측에 제 1 타공판(32)이 설치되는 제 1 칸막이(30)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분해조(14)와 정화조(16) 및 침전조(18)는 상측에 제 2 타공판(36)이 설치되는 제 2 칸막이(34)에 의해 분리된다. 그리고, 정화조(16)와 침전조(18)는 침전조(18)가 정화조(16)의 하측에 형성되고, 제 2 칸막이(34)와 하우징(20)의 측면(24)에 결합되고, 타공이 형성되는 제 3 타공판(38)에 의해 분리된다. 이때, 제 1 타공판(32)의 타공의 크기는 5mm 정도로 하고, 제 2 타공판(36)의 타공의 크기는 3mm 정도로 하며, 제 3 타공판(38)의 타공의 크기는 0.2mm에서 1mm 정도로 하여 일정한 입경의 음식물 쓰레기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여 처리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분쇄조(12)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고,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순차적으로 통과 하면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도록 하여 침전조(18)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처리시스템(10)은 하우징(20)의 내측 상부에 서비스 공간(19)이 형성된다. 즉, 분쇄조(12), 분해조(14) 및 정화조(16)의 상측을 덮고, 커버(26)의 하측에 서비스 공간(19)이 형성되도록 하는 서비스 플레이트(28)를 구비하여, 처리시스템(10)의 각 공정에 설치되는 구성들이 서비스 공간(19)상에 설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 공간에는 분쇄유니트(40)의 모터(42), 분해조(14)에 미생물을 공급시키기 위한 미생물 공급기(50), 분해조(14)로 연장되어 분해조(14)내에서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처리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60), 공기공급 유니트(70)의 공기 공급기(72)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서비스 공간(19)에는 모터(42), 미생물 공급기(50), 히터(60) 및 공기 공급기(72)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80)가 설치되어 작동 시간 및 조건 등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한다. 이때, 분쇄유니트(40)는 분쇄조(12)내에 장입된 회전날(46)를 모터(42)로 회전시키므로써, 분쇄조(12)에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고,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로 흐르도록 하는 흐름을 형성한다. 그리고 공기공급 유니트(70)는 분해조(14)의 하측에 설치되는 산기관(76)과 연결관(74)에 의해 연결되는 공기 공급기(72)를 작동시켜 분해조(14)내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미생물의 생존을 위한 산소가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에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산기관(76) 및 연결관(74)은 분해조(14)와 정화조(16) 및 침전조(18)에 각각 설치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구성의 단순화를 위해 산기관(76)이 분해조(14)의 하측에서 제 2 칸막이(34)를 통해 침전조(18)로 연장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처리시스템(10)은 분해조(14)에 미생물 착상재인 바이오링(90)을 넣고, 정화조(16)에 토르마린(92)과 같은 수질 정화제가 채워 미생물 활성화 및 수질정화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바이오링(90)은 "고려특수화학"에서 제조하고 있는 제품을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바이오링은 여과능력, 균의 착상능력 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유기물이 썩여 있는 탁수나 오수를 여과하여 정화처리능력이 높은 수준으로 안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미생물 착상재 및 수질 정화제는 이미 제안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분쇄조(12)는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유기물)을 미쇄 분쇄하여, 제 1 타공판(32, 5mm 이하)을 통해 분해조(14)로 유입되도록 한다. 분해조(14)는 하부 바닥에 설치되어 있는 산기관(76)을 통해 산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기공급 유니트(70)와 미생물의 활동을 돕기 위해 분해조(14) 내부의 온도를 30도 정도로 유지하기 위한 히터(60)가 설치되고, 미생물 착상재인 바이오링(90)이 채워진다. 이 분해조(14)에서 유입된 유기물(음식물 찌꺼기)은 착상재인 바이오링(90)과 혼합되어 분해조(14) 바닥으로부터 공급되는 산소 방울에 의해 버불링 현상으로 서서히 유기물 분해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분해 입자가 3mm 이하로 되면, 제 2 타공판(36)을 통해 정화조(16)로 유입된다. 이때, 정화조(16)에는 토르마린(92)과 같은 수질 정화제가 채워져 있고, 하부에는 제 3 타공판(38)을 경계로 침전조(18)가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정화조(16)는 침전조(18)에서 올라오는 산소 물방울이 유입된 유기물과 토르마린(92), 그리고 미생물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환경이 조성된 것이다. 이때, 정화조(16) 자체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별도의 히터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인 정화조(16)에서 처리된 작은 입자의 유기물 및 액상은 정화조(16) 하부에 이루어진 침전조(18)에 유입된다. 정화조(16)와 침전조(18)의 경계는 1mm 정도의 타공을 갖는 제 3 타공판(38)으로 이루어져 있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미세입자와 액상만이 침전조(18)로 내려오게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유입구측의 배관구조와 배출구측의 배관구조를 시스템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므로써 시스템의 유지 및 보수시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유입관(102)과 제 1 배출관(104)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유입관(102)은,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는 분쇄장치(200)와 접속되고, 분쇄장치(200)로부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조(12)로 유입되도록 분쇄조(12)의 상측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배출관(104)은,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전조(18)의 상측에 배출구(106)가 형성되어 외부로 연결되되, 유트랩(108)이 배출구(106)보다 높도록 설치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 2 타공판(36)은 상측에서 제 1 배출관(104)의 유트랩(108)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제 3 타공판(38)은 제 1 배출관(104)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침전조(18)에서 액상이 배수구(202)로 배출될 때, 유트랩(108) 이상 정화조(16)에 처리수 및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사이펀 원리에 의해 침전조(18)의 바닥까지 남아 있던 액상을 한번에 배출되므로, 처리되어 액상형태로 된 음식물 쓰레기가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배출관(110), 제 1 서비스 배출관(112), 제 2 서비스 배출관(114) 및 서비스 개폐유니트(120)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때, 제 1 서비스 배출관112)은 제 1 타공판(32), 제 2 타공판(36), 제 3 타공판(38) 또는 제 1 배출관(104)의 문제로 인해 하우징(20) 내부에서 처리수 및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분쇄조(12)에서 배출구(202, 도 4 참조)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한 구성이고, 서비스 개폐유니트(120)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서비스 배출관(114)은 필요시 열어서 분쇄조(12) 내부를 청소하고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해 구성된다. 즉, 통상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기본적으로 유기물에 속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만, 실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에는 다양한 형태의 무기물질이 포함되어 처리될 수 있고, 이들로 인해 다양한 막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이를 고려하여 제 1 서비스 배출관(112)과 제 2 서비스 배출관(114)을 설치하고, 이들과 접속되어 배수구(202)에 접속되는 제 2 배출관(110)을 구성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 2 배출관(110)은 일단이 유입관(102)에 접속되고, 타단이 싱크대의 배수구(202)와 접속되며, 유입관(102)과의 접속 부분에 망체(111)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처리시스템(10)을 작동시키기 않은 상태{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해장치(20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220)와 연계되어 작동되도록 하여, 스위치(220)의 동작 후, 일정시간 동안 분쇄유니트(40)의 모터(42)가 작동되도록 하였다. 물론, 이때 미생물 활동 및 성장을 위한 히터(60), 공기 공급기(72)의 작동 등은 별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에서 흐르는 물은 제 2 배출관(110)을 통해 배수구(202)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써 불필요한 작동을 방지하도록 한다. 물론, 망체(111)에 걸러지는 음식물 쓰레기 등은 처리시스템(10)의 분쇄조(12)로 유입되고, 처리시스템(10)의 작동시 분쇄유니트(40)가 작동하게 되면, 분쇄조(12) 방향으로 흡입력이 작용하므로 유입관(102)으로 유입되는 처리수 및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조(12)로 급격히 흡입되는 형태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 1 서비스 배출관(112)은 제 2 타공판(36)보다 높은 위치에서 분 쇄조(12)의 측면(24)에 결합되어 제 2 배출관(110)과 분쇄조(12)가 연통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 1 타공판(32), 제 2 타공판(36), 제 3 타공판(38) 또는 제 1 배출관(104)의 문제로 인해 하우징(20) 내부에서 처리수 및 처리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분쇄조(12)에서 배출구(202, 도 4 참조)로 바이패스되도록 한다.
한편, 도 2, 도 4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서비스 배출관(114)은 분쇄조(12)의 하측에서 분쇄조(12)의 측면(24)에 결합되어 제 2 배출관(110)과 분쇄조(12)가 연통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 제 2 배출관(110)에는 서비스 개폐유니트(120)가 설치된다. 서비스 개폐유니트(120)는 분쇄조(12)의 내측에서 제 2 서비스 배출관(114)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마개(122)를 갖고, 분쇄조(12)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로드(124)에 의해 마개(12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서비스 개폐유니트(120)는 로드(124)의 상단이 서비스 공간(19)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끝단에 손잡이(126)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서비스 개폐유니트(120)에 의해 개폐되는 제 2 서비스 배출관(114)은 필요시 열어서 분쇄조(12) 내부를 청소하고 슬러지를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방용 싱크대 하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단순 간결한 구조로 구성되어 싱크대 하부 서랍장에 삽입설치될 수 있으므로 대규모 정화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가정용 부 엌 쓰레기 처리에 적합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관(102)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분쇄장치(200)와 연결되어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분해되어 배수구(202)로 액상만을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하우징(20)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유입시키고, 일정시간 체류시켜 처리된 후 배출시키는 가정용 음식물 처리장치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통상 용기{본 발명에서 하우징(20)}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수와 함께 체류시키고, 미생물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처리하는 경우, 적절한 체류시간이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통상 가정용 음식물 처리를 위해 제공되고 있는 시스템들은 하우징의 하측에 배출관(구)를 형성하여 지속적으로 처리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르면, 계속 배출되는 처리수를 통해 미생물이 빠져나가므로 처리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처리수와 미생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므로 처리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유트랩(108)을 적용하여 처리수 및 처리된(배출가능한) 음식물 쓰레기가 유트랩(108)을 넘었을 때 처리된 처리수와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므로, 미생물에 의한 분해처리에 필요한 지 체시간을 확보하여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고, 처리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은 하우징(20), 유입관(102) 및 유트랩(108)을 갖는 제 1 배출관(104)의 구성만으로도 가정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처리시스템(10)에서 하우징(20)은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어 체류된 상태에서 처리되도록 하여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유입관(102)은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하우징(20)내로 유입되도록 하우징(20)의 상측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배출관(104)은 하우징(20)의 하측에 배출구(106)가 형성되어 외부로 연결되되, 유트랩(108)이 배출구(106)보다 높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처리리스템(10)은 하우징(20)내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트랩(108)의 높이까지 체류하도록 하고, 유트랩(108)의 높이를 넘었을 때 사이펀 원리에 의해 하우징(20)내에 체류되어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적용하여 처리효율 및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은 바닥면(22)과 측면(24) 및 커버(26)를 구비하여 내측에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유입관(102)은 분쇄조(12)의 상측으로 연결되고, 배출구(106)는 침전조(18)의 상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분쇄조(12)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여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도록 하여 침전조(18)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처리시스템(10)은 제 1 타공판(32)이 설치되는 제 1 칸막이(30), 제 1 배출관(104)의 유트랩(108)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제 2 타공판(36)이 설치되는 제 2 칸막이(34) 및 제 1 배출관(104)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2 칸막이(34)와 상기 하우징(20)의 측면(24)에 결합되는 제 3 타공판(38)을 적용하여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처리시스템(10)에 따르면, 정화조(16)에서 유기물은 토르말린(92)에 착상되고, 0.2mm에서 1mm 정도의 타공이 형성된 제 3 타공판(38)을 통해 액상만이 침전조(18)를 채우게 되며, 침전조(18)의 바닥에는 산기관(76)에 의해 산소(공기)공급을 활발해 주입하므로 공기방울에 의한 버블링 현상이 진행되면서 더욱 분해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된다. 이때, 지속적으로 침전조(18)에 유입되는 오수가 쌓일 때 바로 배출하게 되면, 정화조(16)와 침전조(18) 의 호기성 미생물과 혐기성 미생물이 활발한 활동을 할 수가 없으며, 미생물의 개체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침전조(18)와 정화조(16)에 일정한 수분을 남겨 주는 기능이 유트랩(108)에 의한 사이펀 원리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유트랩(108)은 수위 센서나 개폐작용을 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장치가 불필요하게 되어, 경제적인 면과 공간적인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진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진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유입구측의 상측 배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유입구측의 하측 배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에서 배출구측의 배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12 : 분쇄조 14 : 분해조
16 : 정화조 18 : 침전조
19 : 서비스 공간 20 : 하우징
22 : (하우징) 바닥면 24 : (하우징) 측면
26 : (하우징) 커버 28 : 서비스 플레이트
30 : 제 1 칸막이 32 : 제 1 타공판
34 : 제 2 칸막이 36 : 제 2 타공판
38 : 제 3 타공판 40 : 분쇄유니트
42 : 모터 46 : 회전날
50 : 미생물 공급기 60 : 히터
70 : 공기공급 유니트 72 : 공기 공급기
74 : 연결관 76 : 산기관
102 : 유입관 104 : 제 1 배출관
106 : 배출구 108 : 유트랩
110 : 제 2 배출관 111 : 망체
112 : 제 1 서비스 배출관 114 : 제 2 서비스 배출관
120 : 서비스 개폐유니트 122 : 마개
124 : 로드 200 : 분쇄장치
202 : 배수구

Claims (3)

  1.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께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어 체류된 상태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처리되도록 하여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우징(20)과;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하우징(20)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상측으로 연결되는 유입관(102) 및;
    상기 하우징(20)의 하측에 배출구(106)가 형성되어 외부로 연결되되, 유트랩(108)이 상기 배출구(106)보다 높도록 설치되는 제 1 배출관(104)을 포함하여, 상기 하우징(20)내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유트랩(108)의 높이까지 체류하도록 하고, 상기 유트랩(108)의 높이를 넘었을 때 사이펀 원리에 의해 상기 하우징(20)내에 체류되어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바닥면(22)과 측면(24) 및 커버(26)를 구비하여 내측에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102)은 상기 분쇄조(12)의 상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106)는 상기 침전조(18)의 상측에 형성되므로써, 상기 분쇄조(12)에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수와 함 께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분쇄조(12), 분해조(14), 정화조(16) 및 침전조(18)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처리되도록 하여 상기 침전조(18)에서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12)와 분해조(14)는 상기 하우징(20)의 바닥면(22)측에 제 1 타공판(32)이 설치되는 제 1 칸막이(30)에 의해 분리되고,
    상기 분해조(14)와 상기 정화조(16) 및 침전조(18)는 상측에서 상기 제 1 배출관(104)의 유트랩(108)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제 2 타공판(36)이 설치되는 제 2 칸막이(34)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정화조(16)와 침전조(18)는 상기 침전조(18)가 상기 정화조(16)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출관(104)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 2 칸막이(34)와 상기 하우징(20)의 측면(24)에 결합되고, 타공이 형성되는 제 3 타공판(38)에 의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20080003213A 2007-01-10 2008-01-10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200800659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2778 2007-01-10
KR1020070002778 2007-0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945A true KR20080065945A (ko) 2008-07-15

Family

ID=3981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213A KR20080065945A (ko) 2007-01-10 2008-01-10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594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1099B1 (ko) * 2009-09-28 2012-03-19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1134677B1 (ko) * 2009-09-05 2012-04-09 배영득 음식쓰레기 하수처리 시스템
KR200459877Y1 (ko) * 2009-07-17 2012-04-20 (주)수도금속 식용기름 및 음식찌꺼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오수처리트랩
KR101308905B1 (ko) * 2013-03-12 2013-09-23 주식회사 퍼휴먼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20200093319A (ko) * 2019-01-28 2020-08-0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877Y1 (ko) * 2009-07-17 2012-04-20 (주)수도금속 식용기름 및 음식찌꺼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오수처리트랩
KR101134677B1 (ko) * 2009-09-05 2012-04-09 배영득 음식쓰레기 하수처리 시스템
KR101121099B1 (ko) * 2009-09-28 2012-03-19 주식회사 세인이엔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1308905B1 (ko) * 2013-03-12 2013-09-23 주식회사 퍼휴먼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20200093319A (ko) * 2019-01-28 2020-08-0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459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SK124399A3 (en) A system for purification of domestic household effluent
KR100838717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장치
KR20130129611A (ko) 폐수 응집 처리장치
CN103159367A (zh) 餐厨垃圾废水处理一体化设备和方法
KR20110034232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JP2008246373A (ja) 厨芥処理システム
KR20080065945A (ko)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308905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10091577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
KR101134677B1 (ko) 음식쓰레기 하수처리 시스템
KR102046833B1 (ko) 사계절 다목적 중수도 정화장치
KR20080089898A (ko) 오수 재활용 시스템
CN212988997U (zh) 一种废水检测固液分离装置
JP4183845B2 (ja) 厨芥処理システム
JPH0824891A (ja) 生ゴミの生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858670B1 (ko)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CN110374173A (zh) 一种多功能厨余垃圾处理器及其实现方法
JP3429787B2 (ja) 高濃度有機廃水の処理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廃水処理装置
KR200166520Y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
KR20140004299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분쇄 감량기
KR10140754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559752B1 (ko) 다단 여과방식의 고형물 회수 분리장치
KR100813476B1 (ko) 정화조가 구비된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0461309Y1 (ko)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