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09Y1 -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09Y1
KR200461309Y1 KR2020100006268U KR20100006268U KR200461309Y1 KR 200461309 Y1 KR200461309 Y1 KR 200461309Y1 KR 2020100006268 U KR2020100006268 U KR 2020100006268U KR 20100006268 U KR20100006268 U KR 20100006268U KR 200461309 Y1 KR200461309 Y1 KR 200461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food waste
sink
discharge
grind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750U (ko
Inventor
서경태
서우람
Original Assignee
서우람
서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우람, 서경태 filed Critical 서우람
Priority to KR2020100006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09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처리와 오존처리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원활한 분해가 유도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오존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한 오존처리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살균 및 악취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배출, 수거작업이 대기환경의 오염이나 인체에 대한 악영향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는 배수구(2)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고 배출관(5)과 접속하게 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기구(10),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외기(外氣)를 공급받아 오존(ozone:O₃)을 발생시키게 되고 배출구(12)를 포함하는 분쇄기구(10)의 내부와 배출구(12)와 접속하게 되는 배출관(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통되어 오존을 공급하게 되는 오존발생기구(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분쇄기구(10)를 통과하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오존처리되면서 분해, 살균, 악취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Description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FOOD WASTE DISPOSER BY OZONIZATION}
본 고안은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처리와 오존처리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함에 따라 오존의 강한 산화력을 이용한 오존처리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살균 및 악취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배출, 수거작업이 대기환경의 오염이나 인체에 대한 악영향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음식점의 주방에 배치되는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에 삽입고정되는 오물통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제거하는 종래 싱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작업의 불편함을 개선한 것으로, 필요시 음식물 쓰레기가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통과하면서 미세하게 분쇄되도록 한 후,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싱크대용 음식물 분쇄 처리장치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8-038188호 "씽크대 부착과 탈착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압착 분리 수거 장치 및 비료, 사료화장치",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1180호 "음식물 찌꺼기 분쇄분리기",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32129호 "씽크대 오물 (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292430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20-0192950호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41647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장치" 및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99423호 "음식물 처리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는 싱크대의 배수구상에 설치되어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분쇄날을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한 후, 배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를 편리하게 처리하도록 하고 있지만,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상태에서 그대로 외부로 배출되는 것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감소되는 것은 아니어서 수질오염과 같은 환경오염을 방지하는데 있어서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동시에, 미생물의 투입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10827호 "부엌쓰레기 처리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38258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36834호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491호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고, 본 고안자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491호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등록번호 제20-044051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3902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번호 제10-0838717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장치",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19539호 "음식물 쓰레기 분해처리장치", 공개번호 제10-2008-0065945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09-0079475호 "음식물 쓰레기 분해 처리장치" 등을 안출한 바 있다.
한편, 현재 가정이나 음식점 등의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대한 국내의 정책을 살펴보면, 장치에 투입되어 처리된 후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이 투입량에 대해 20% 미만이 될 것을 요구하고 있는데, 본 고안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장치들은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히 분해하여 액상의 상태로 최종 배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이와 같은 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고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관리와 관련한 정부기관의 정책 동향을 살펴보면, 각종 주택 정책과 관련된 정부기관에서는 주거환경의 개선 차원에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입에 적극적인 반면, 하폐수 처리와 같은 환경 정책과 관련된 정부기관에서는 하폐수 처리상의 어려움과 수질환경의 오염을 고려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입에 소극적이다. 즉, 김치와 같이 염분이 많이 함유된 한국 음식의 특성에 따라 높은 염분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도로 직접 유입되어 오폐수 처리시설에서 처리될 경우, 많은 양의 염분을 처리하기 위한 시설설비나 오폐수의 화학적 처리를 위한 화학약품, 오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미생물의 투여 등에 비용이 많이 들고,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염분에 의해 강이나 바다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어 하폐수 처리와 같은 환경 정책과 관련된 정부기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하지 않고 장치를 이용하여 분쇄/분해한 후 하수도로 배출시키는데 반대하는 입장이다.
따라서, 주거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수질환경도 개선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처리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하는 염분도 효과적으로 분해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한편, 오존(ozone:O₃)은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어 산화반응을 이용하는 각종 처리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오존을 활용한 오존처리(ozonization)는 산화에 의한 분해처리, 살균처리, 표백처리, 탈취처리 등에 적용되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오존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에도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179418호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등록번호 제10-0421187호 "음식물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 장치"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오존을 활용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오존이 공기정화장치나 탈취장치에 적용되어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여 주변 대기환경을 개선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어서 수질환경의 개선을 위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분해 처리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오존이 가지는 다양한 산화작용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오존발생기구를 구비하여 생성된 오존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게 되는 분쇄기구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와 오존의 산화작용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동시에 진행되도록 하므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와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염분의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줄어들고 수질환경이 개선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는 분쇄기구 뿐만 아니라, 분쇄기구와 결합되어 배출수가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관, 싱크대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상수도관과 연결되는 수도꼭지에도 오존발생기구로부터 생성되는 오존이 공급되도록 하므로써 오존수에 의한 각종 음식물의 세정, 배출관 내벽에 점착되는 오물질의 제거도 동시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를 위한 분쇄기구, 오존을 생성시키기 위한 오존발생기구, 분쇄/분해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strainer)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함에 따라 장치의 제조, 분해,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싱크대(1)의 배수구(2)에 결합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2)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고, 배출관(5)과 접속하게 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기구(10)와;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외기(外氣)를 공급받아 오존(ozone:O₃)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배출구(12)를 포함하는 상기 분쇄기구(10)의 내부와 상기 배출구(12)와 접속하게 되는 상기 배출관(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통되어 오존을 공급하게 되는 오존발생기구(20)를 포함하여, 상기 분쇄기구(10)를 통과하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오존처리되면서 분해, 살균, 악취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상기 오존발생기구(20)는 상수도관(3)과 연결되는 수도꼭지(4)에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수도꼭지(4)를 통과하는 수돗물에 오존이 용해되면서 생성되는 오존수가 상기 싱크대(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상기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어 분쇄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함유한 배출수를 공급받게 되고, 상기 배출관(5)과 연통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제외한 배출수를 상기 배출관(5)으로 배출하게 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30)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스트레이너(30)는 개방된 일측면과 연통되는 수용공간(311)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는 입구(312)와 상기 배출관(5)과 연통되는 출구(313)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몸체프레임(31)과; 상기 몸체프레임(31)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프레임(31)의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시키게 되는 덮개(32) 및; 상기 몸체프레임(31)의 수용공간(3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수집하게 되고,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탈리되면서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는 거름망(3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와 상기 스트레이너(30)의 입구(312)는 서로 직렬로 직접 결합되어 상기 분쇄기구(10)와 스트레이너(3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의하면, 오존처리의 적용으로 음식물 쓰레기 자체의 분해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염분의 분해/제거도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가 별도의 오물통에 수거되어 제거되지 않고 곧바로 분해된 후 하수도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더라도 수질오염이 야기시키지 않고, 하폐수 처리시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추가적인 시설확충이나 화학물질/미생물의 투여가 최소화되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고안은 오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살균, 악취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배출, 수거작업이 대기환경의 오염이나 인체에 대한 악영향없이 진행될 수 있어 주거환경이 개선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오존발생기구로부터 생성되는 오존이 배출관과 수도꼭지에도 공급됨에 따라 배출관 내벽에 점착되는 오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기름진 음식물 쓰레기 등에 의해 배출관이 막히는 현상이 방지되어 배출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싱크대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음식물이나 식기 세정시 음식물이나 식기에 침투한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의 유해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한편, 채소나 과일 등에 잔류하고 있는 농약 등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음식물과 식기의 위생이 향상되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를 위한 분쇄기구, 오존을 생성시키기 위한 오존발생기구, 분쇄/분해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스트레이너(strainer)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일체를 이루는 구성임에 따라 장치의 제조, 분해,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도 동시에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결합도;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오존발생기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의 (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1 오존배출호스가 분쇄기구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의 (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1 오존배출호스가 분쇄기구와 배출관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2 오존배출호스가 상수도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분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결합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이루는 스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0)는 싱크대(1)의 배수구(2)에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분해한 후 배출관(5)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되 음식물 쓰레기가 오존처리되도록 하고, 별도로 구비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에서 분쇄/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0)는 오존발생기구(20)가 구비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분쇄기구(10)나 분쇄기구(10)와 연통되는 배출구(12)에 오존(ozone:O₃)이 공급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오존처리가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작업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해, 살균, 악취제거 효율이 증대되고 위생환경이 향상된다.
여기서, 오존발생기구(20)는 싱크대(1)의 내부공간 조건이나 사용자의 요구나 작동 편의성 여부에 따라 분쇄기구(10)에 일체로 결합되게 설치될 수도 있고, 분쇄기구(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분쇄기구(10)와 접속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오존발생기구(20)가 적용되는 분쇄기구(10)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분쇄/분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의 것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분쇄기구(10)는 본 고안자에 의해 안출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491호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등록번호 제20-044051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3902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번호 제10-0838717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장치",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19539호 "음식물 쓰레기 분해처리장치", 공개번호 제10-2008-0065945호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09-0079475호 "음식물 쓰레기 분해 처리장치"에서 개시되고 있는 것이 적용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자에 의해 안출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491호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자에 의해 안출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관련 기술이 분쇄기구(10)에 적용될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분쇄기구(10)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와 오존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효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1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분쇄기구, 오존발생기구, 스트레이너(strainer)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0)는 싱크대(1)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수구(2)와 연통되는 것으로, 분쇄기구(10)와 오존발생기구(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분쇄기구(10)는 배수구(2)의 하측에 설치되어 배수구(2)와 연통되는 것으로, 배수구(2)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분쇄기구(10)는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분쇄기구(10)의 내부공간으로 미생물이 투입되어 음식물 쓰레기가 생물학적으로 분해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분쇄기구(10)는 도 2에서와 같이 배출구(12)가 형성되어 배출관(5)이 접속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분쇄/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는 배출구(12)과 결합된 배출관(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배출구(12)는 분쇄기구(10)의 하우징(11) 외주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배출관(5)이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오존발생기구(20)는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분쇄기구(10)의 외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분쇄기구(10)와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 이와 같은 오존발생기구(20)는 오존을 생성시켜 분쇄기구(10)의 내부나 분쇄기구(10)와 배출관(5)의 연결부위에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오존발생기구(20)는 배출구(12)를 포함하는 분쇄기구(10)의 내부나 배출구(12)와 접속하게 되는 배출관(5)과 연통되게 설치된다. 또한 오존발생기구(20)는 싱크대(1) 상에 설치되어 상수도관(3)으로부터 수돗물을 공급받게 되는 수도꼭지(4)로도 오존을 공급하여 수도꼭지(4)로부터 오존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오존발생기구(20)가 구비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기구(10)를 통과하면서 분쇄/분해처리되는 동시에 오존처리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살균, 악취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0)는 오존을 발생(생성)시켜, 분쇄와 동시에 벤츄리(venturi)관을 이용해 흐르는 물속에 용존시키도록 하므로써, 오존이 발생되어 기체상태로 투입되어 사용되지 않고 벤츄리 관을 이용해 발생 즉시 물속에 용존시키므로써 물속에서 산화가 이루어지고, 이후 시간이 흐르면 산소(O2)로 환원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인 오존처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4의 (a)와 (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오존발생기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a)와 (b)를 참조하면, 오존발생기구(20)는 몸체(21)의 일측면에 공기유입구(22)가 형성되어 공기유입호스(26)가 연결되도록 하고, 몸체(21)의 타측면에 한쌍의 오존배출구(23a)(23b)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제 1 오존배출호스(27a)와 제 2 오존배출호스(27b)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호스(26)를 통해 오존발생기구(20)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 중의 산소가 오존발생기구(20)의 내부에서 화학반응에 의해 오존으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오존은 제 1 오존배출호스(27a)와 제 2 오존배출호스(27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오존발생기구(20)는 몸체(21)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볼트공(26)을 가진 플랜지(25)가 형성되도록 하여 분쇄기구(10)의 외주면 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분쇄기구(10)와 일체를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은 오존발생기구(20)는 별도로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5의 (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1 오존배출호스가 분쇄기구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의 (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1 오존배출호스가 분쇄기구와 배출관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을 참조하면, 오존발생기구(20)는 제 1 오존배출호스(27a)가 분쇄기구(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호스결합구(14)에 고정되도록 하여 분쇄기구(10)의 내부로 오존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의 (b)에서와 같이 오존발생기구(20)는 제 1 오존배출호스(27a)가 배출관(5)의 끝단부를 이루는 관이음구(6)에 형성된 호스결합구(7)에 고정되도록 하여 분쇄기구(10)와 배출관(5)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오존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쇄기구(10)와 배출관(5)이 서로 연결되는 부위에 오존이 공급되면 분쇄기구(10)의 내부와 배출관(5)의 내부로 오존이 동시에 유입되는데, 이 경우 분쇄기구(10)의 내부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오존처리가 수행하는 한편, 배출관(5)의 내부에서는 배출관(5)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추가적인 오존처리와 함께 배출관(5)의 내벽에 점착되는 오물질의 오존에 의한 제거도 수행되게 된다. 이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효율이 증대됨과 아울러 배출관(5)의 내벽에 기름진 음식물 쓰레기가 점착되면서 발생되는 배출관(5)의 막힘 현상이나 배출수의 유동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서 오존발생기구의 제 2 오존배출호스가 상수도관에 연결되는 수도꼭지에 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오존발생기구(20)는 제 2 오존배출호스(27b)가 상수도관(3)과 연결되는 수도꼭지(4)에 고정되도록 하므로써 수도꼭지(4)와도 연통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수도꼭지(4)를 통과하는 수돗물에 오존이 용해되면서 생성되는 오존수가 싱크대(1)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수도꼭지(4)로 공급되는 오존은 반드시 수돗물에 용해되도록 하므로써 오존이 기체상태로 누출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싱크대(1)로 공급되는 오존수는 싱크대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음식물이나 식기 세정시 음식물이나 식기에 침투한 대장균, 살모넬라균 등의 유해 미생물을 제거되는 한편, 채소나 과일 등에 잔류하고 있는 농약 등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음식물과 식기의 위생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결합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0)는 분쇄기구(10)와 결합되는 스트레이너(30)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때, 스트레이너(30)는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어 분쇄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함유한 배출수를 공급받아 배출수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만을 수거하게 되고, 배출관(5)과 연통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제외한 배출수를 배출관(5)으로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분쇄기구(10)와 스트레이너(30)는 서로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도 8과 도 9에서와 같이 싱크대(1)의 저면에 고정되는 브래킷(40)에 분쇄기구(10)와 스트레이너(30)가 각각 고정되어 지지되도록 하므로써 서로 결합된 분쇄기구(10)와 스트레이너(30)가 자체 중량에 의해 결합력이 약화되거나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이루는 스트레이너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트레이너(30)는 몸체프레임(31), 덮개(32), 거름망(3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프레임(31)은 개방된 일측면과 연통되는 수용공간(311)이 형성는 것으로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는 입구(312)와 배출관(5)과 연통되는 출구(313)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덮개(32)는 몸체프레임(31)과 결합되어 몸체프레임(31)의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덮개(32)는 몸체프레임(31)의 힌지결합되어 회전하면서 몸체프레임(31)의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시키게 된다. 거름망(33)은 몸체프레임(31)의 수용공간(3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수집하게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거름망(33)은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탈리되면서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제거하게 된다. 여기서, 거름망(33)을 몸체프레임(31)의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탈리시킬 경우 덮개(32)을 회전시켜 몸체프레임(31)의 일측면이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와 스트레이너(30)의 입구(312)는 서로 직렬로 직접 결합되어 분쇄기구(10)와 스트레이너(3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데, 이를 위하여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는 끝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면서 일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여 스트레이너(30)의 입구(312)에 삽입된 후 고정너트(34)에 의해 조여지면서 스트레이너(30)와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100)는 분쇄기구(10), 오존발생기구(20), 스트레이너(30)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일체를 이루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의 제조, 분해, 유지보수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싱크대 2 : 배수구
3 : 상수도관 4 : 수도꼭지
5 : 배출관 6 : 관이음구
7, 14 : 호스결합구 10 : 분쇄기구
11 : 하우징 12 : 배출구
13 : 전원선 15 : 전기모터
16 : 분쇄날 161 : 로드
20 : 오존발생기구 21 : 몸체
22 : 공기유입구 23a, 23b : 오존배출구
24 : 전원선 25 : 플랜지
26 : 볼트공 26 : 공기유입호스
27a : 제 1 오존배출호스 27b : 제 2 오존배출호스
30 : 스트레이너 31 : 몸체프레임
311 : 수용공간 311 : 입구
312 : 출구 32 : 덮개
33 : 거름망 34 : 고정너트
40 : 브래킷 100 :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Claims (4)

  1. 삭제
  2. 싱크대(1)의 배수구(2)에 결합되는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2)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고, 배출관(5)과 접속하게 되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분쇄된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분쇄기구(10)와;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어 외기(外氣)를 공급받아 오존(ozone:O₃)을 발생시키게 되고, 상기 배출구(12)를 포함하는 상기 분쇄기구(10)의 내부와 상기 배출구(12)와 접속하게 되는 상기 배출관(5)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와 연통되어 오존을 공급하게 되는 오존발생기구(20)를 포함하여,
    상기 분쇄기구(10)를 통과하게 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오존처리되면서 살균, 악취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오존발생기구(20)는 상수도관(3)과 연결되는 수도꼭지(4)에 연통되도록 하여, 상기 수도꼭지(4)를 통과하는 수돗물에 오존이 용해되면서 생성되는 오존수가 상기 싱크대(1)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어 분쇄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함유한 배출수를 공급받게 되고, 상기 배출관(5)과 연통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제외한 배출수를 상기 배출관(5)으로 배출하게 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트레이너(30)는 개방된 일측면과 연통되는 수용공간(311)이 형성되고, 상기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는 입구(312)와 상기 배출관(5)과 연통되는 출구(313)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몸체프레임(31)과,
    상기 몸체프레임(31)과 결합되어 상기 몸체프레임(31)의 개방된 일측면을 개폐시키게 되는 덮개(32) 및,
    상기 몸체프레임(31)의 수용공간(31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내어 수집하게 되고,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탈리되면서 수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제거하게 되는 거름망(3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구(10)의 배출구(12)와 상기 스트레이너(30)의 입구(312)는 서로 직렬로 직접 결합되어 상기 분쇄기구(10)와 스트레이너(3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20100006268U 2010-06-15 2010-06-15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04613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268U KR200461309Y1 (ko) 2010-06-15 2010-06-15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268U KR200461309Y1 (ko) 2010-06-15 2010-06-15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50U KR20110011750U (ko) 2011-12-21
KR200461309Y1 true KR200461309Y1 (ko) 2012-07-05

Family

ID=4556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268U KR200461309Y1 (ko) 2010-06-15 2010-06-15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06B1 (ko) * 2013-06-19 2014-10-14 서경태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753Y1 (ko) 2001-07-28 2001-12-13 김성환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기
KR200365001Y1 (ko) 2004-06-15 2004-10-16 황종현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753Y1 (ko) 2001-07-28 2001-12-13 김성환 음식물 쓰레기 분쇄 건조기
KR200365001Y1 (ko) 2004-06-15 2004-10-16 황종현 음식물찌꺼기 처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06B1 (ko) * 2013-06-19 2014-10-14 서경태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WO2014204045A1 (ko) * 2013-06-19 2014-12-24 Seo Kyoung Tae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50U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K124399A3 (en) A system for purification of domestic household effluent
KR2010000459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09046095A (zh) 防堵塞加药消毒式污水净化装置
KR101202272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50206B1 (ko)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0440415Y1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분쇄처리장치
JP2006231329A (ja) 生ごみ処理器
KR101183878B1 (ko) 바이오 볼을 이용한 교반식 음식물 처리기
KR101445111B1 (ko) 양변기 음식물처리장치
KR200461309Y1 (ko) 오존을 활용한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KR20080065945A (ko) 배수정화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KR101136849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음폐수 및 잔존물 처리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처리기
JP2002331276A (ja) 排水利用の湿式有機廃棄物発酵分解処理機
JP2002331276A5 (ko)
JP3250175B2 (ja) 戸建て用排水再利用装置
JP3092052B2 (ja) 塵芥処理装置を有する流し台
KR100294364B1 (ko) 씽크대오물(음식물쓰레기)자동처리기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CN212315806U (zh) 一种用于厨房废水处理装置
CN112159058A (zh) 一种离心式医院污泥分离处理装置
CN208533648U (zh) 一种厨房生活垃圾回收处理设备
JP200315433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35778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KR2012005695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50047887A (ko) 오수관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