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781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781B1
KR101357781B1 KR1020120005463A KR20120005463A KR101357781B1 KR 101357781 B1 KR101357781 B1 KR 101357781B1 KR 1020120005463 A KR1020120005463 A KR 1020120005463A KR 20120005463 A KR20120005463 A KR 20120005463A KR 101357781 B1 KR101357781 B1 KR 101357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food
strainer
food waste
stirring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713A (ko
Inventor
신행순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스타 filed Critical (주)바이오스타
Priority to KR102012000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781B1/ko
Priority to JP2012254794A priority patent/JP2013146725A/ja
Publication of KR20130084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7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에 관한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됨으로 발효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분사하는 물과, 그리고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음식물 찌꺼기가 거름망의 구멍으로 흘러나와 교반기 하단을 경유하여 배출통로를 지나 배수관으로 원활이 흘러갈 수 있는 관로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음식물이 교반되는 교반통(10)과, 상기 교반통(10) 내부에 가로로 설치되고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날개(41)를 갖는 교반축(40)을 갖되 상기 교반축 일측이 교반통(10)외부로 관통되어 감속모터(42)의 회전자(43)와 연결되고, 상기 교반통(10) 내부하단에는 음식물을 떠받처주는 거름망(30)과,
상기 교반통(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앙에 연결소켓(10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소켓(100)의 상단과 연결되는 씽크조연결부재(200)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씽크조연결부재(200)은 씽크조(1)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10)은, 음식물을 떠받처주는 거름망(30)과, 상기 교반통(10) 하단 바닥면사이에 상기 거름망(30)을 지지하는 보스(6,6')를 형성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거름망(30)을 이격시켜 음식물에서 발효된 음식물 찌꺼기 (이하 오물이라 칭함)와 노즐(23)에서 분사된 물을 받다내는 협소한 공간부(53)와, 상기 공간부(53) 하단인 바닥면(54)에 상기 바닥면에 해당하는 중앙부가 하단으로 오목한 오목부(55)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55)로 오물이 모이도록 하되 상기 오목부(55)의 끝단지점 위치는 거름망(30)의 중앙부분을 떠받치기 위해 중앙에 위치한 보스(6)의 측면으로부터 간격(D)이 떨어진진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55)에 모인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측(E)이 상기 오목부(55) 끝단지점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타측(F)은 교반통(10)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한 배출통로(10')을 갖도록하며, 상기 오목부(55)에 모인 오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름망(30)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교반통(10) 측벽에 고정된 물분사노즐(26)을 갖도록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Drain water system for food waste disposal equipmen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에 관한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됨으로 발효가 원할이 이루어지도록 분사하는 물과, 그리고 미생물에 의해 발효 분해된 잔류 미세입자가 거름망의 구멍으로 흘러나와 교반기 하단을 경유하여 배출통로를 지나 배수관으로 원할이 흘러갈 수 있는 관로를 제공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사료나 비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려는 시도가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는 그 양이 상당히 많고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패되고, 또한 유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토양에 매립하면
침출수가 발생되어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하천에 방류하면 부패로 인한 각종 가스와 악취로 심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소각시에는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소각능률이 떨어지게 되어 소각도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
어,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소모되 면서도 그에 비하여 효과는 미미하므로 적당한 처리방법이 없는 실정인 것이다.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음식물을 분해하는 미샐물과 교반하여 발효시키고, 발효과정에서 분해된 음식물은 미생물과 함께 교반통 하단에 위치한 거름망을 경우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종래중에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12054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으로 발효되면 그 발효된 찌거기를 별도의 인출구를 통해 인출하므로 그 인출구의 인출구를 개폐하는 기능이 있어 구조상 번거럽고, 또 다수의 교반익 설치된 교반축를 회동시키는 회동장치의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
종래와 같은 경우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이하 음식물이라 칭함)가 발효됨으로 발효가 원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후술에서 밝허지는 본원과 같이 교반통에 주기적으로 물을 분사한다 그 물사분사로 인해 음식물이 더욱 활발하게 분해되는되 그 물에 홉합된 미생물과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찌꺼기를 교반통으로부터 신속히 외부로 배출해야만 발효로 인한 악취가 제거된다
상기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됨으로 발효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분사하는 물과, 그리고 미생물에 의해 발효 분해된 잔류 미세입자가 거름망의 구멍으로 흘러나와 교반기 하단을 경우하여 배출통로를 지나 배수관으로 원활이 흘러갈 수 있는 배수관로를 갖도록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첨부한 도시에 의거 설명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이 교반되는 교반통(10)과, 상기 교반통(10) 내부에 가로로 설치되고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날개(41)를 갖는 교반축(40)을 갖되 상기 교반축 일측이 교반통(10)외부로 관통되어 감속모터(42)의 회전자(43)와 연결되고, 상기 교반통(10) 내부하단에는 음식물을 떠받처주는 거름망(30)과,
상기 교반통(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앙에 연결소켓(10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소켓(100)의 상단과 연결되는 씽크조연결부재(200)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씽크조연결부재(200)은 씽크조(1)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10)은, 음식물을 떠받처주는 거름망(30)과, 상기 교반통(10) 하단 바닥면사이에 상기 거름망(30)을 지지하는 보스(6,6')를 형성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거름망(30)을 이격시켜 음식물에서 발효된 음식물 찌꺼기 (이하 오물이라 칭함)와 노즐(23)에서 분사된 물을 받다내는 협소한 공간부(53)와, 상기 공간부(53) 하단인 바닥면(54)에 상기 바닥면에 해당하는 중앙부가 하단으로 오목한 오목부(55)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55)로 오물이 모이도록 하되 상기 오목부(55)의 끝단지점 위치는 거름망(30)의 중앙부분을 떠받치기 위해 중앙에 위치한 보스(6)의 측면으로부터 간격(D)이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55)에 모인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측(E)이 상기 오목부(55) 끝단지점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타측(F)은 교반통(10)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한 배출통로(10')을 갖도록하며, 상기 오목부(55)에 모인 오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름망(30)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교반통(10) 측벽에 고정된 물분사노즐(26)을 갖도록 한다
상기 배출통로(10')에 상기 배출통로(10')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통로(10')의 오물이 흘러나가는 배출관(56)과, 상기 배출관(56)과 연결되어 미도시한 배수구와 연결시키는 직각으로 절곡된 ㄱ"자형 연결용소켓(57)으로 구성한다
상기 배출관 끝단은 씽크조와 연결되어 배수관부(56")에 연결된 U관(5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U관(56')은 하수구로부터 역류되는 냄새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상기에서 지적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됨으로 발효가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분사하는 물과, 그리고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음식물 찌꺼기가 거름망의 구멍으로 흘러나와 교반기 하단을 경우하여 배출통로를 지나 배수관으로 원활이 흘러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좀 더 구체적인 효과는 실시예에서 참고하기 바란다.
제 1도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종래의 씽크조에 설치된 사시도,
제 2도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본원의 교반통이 설치된 분해사시도,
제 3도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본원의 교반통이 설치된 내부를 보기 위한 요부 단면도,
제 4도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본원의 교반통이 설치된 내부를 보인 또 다른실시의 설명도,
제 5도는 본원의 교반통의 가),나)는 각각의 측면을 단면한 설명도,
제 5도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본원의 교반통이 설치된 내부를 보기 위한 요부 단면도,
제 6도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본원의 교반통이 설치된 내부전체를 보위기 위해 절개한 참고도
먼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씽크조(1)에 고정하는 씽크조연결부재(200)를 요약하면, 상기 씽크조(1) 연결부재(200)는 씽크조(1)에 형성한 배출구에 연결되고, 그 내부는 음식물이 배수관로부(203)로 배출되지 안도록 결려주는 거름망통(201)이 있으며,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부분(204)이 있다 그리고 씽크조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수단(202)들이 있다
1-1) 그리고, 상기 씽크조연결부재(200)와 교반통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소캣(100)은 상기 연결소켓(100)상단은 씽크조연결부재(200)와 연결되고 하단은 교반통(10)상단을 커버되어있는 상부커버(20)와 연결된다 즉 씽크조연결부재(200과,교반통(10)연결해주는 역활을 한다
2) 그리고, 교반통(10)과, 상부커버(20)를 요약하면, 상기 교반통(10)은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용기이고, 상기 상부커버(20)는 개방된 교반통(10) 상단을 커버하기 위함이다
3) 그리고 거름망(30)을 요약하면, 상기 거름망(30)은 교반통(10) 내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교반통(10)에서 음식물을 떠받처주는 역할과 동시에 발효되어 분해된 찌꺼기가 교반통 바닥으로 낙하되도록 하는 거름망이다
4) 그리고, 교반축(40)을 요약하면, 교반통 내부에 가로로 설치되되 양단이 교반통 양단을 관통한 일측은 배어링하우징과 타측은 교반통(10)외부의 지지된 감속모터(42)의 회전자(43)와 연결되어 있어 상기 모터에 의해 회동한다 상기 교반축(40)에는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날개(41)가 설치되어 있다
5) 그리고 부품실(50) 및 컨트롤제어부(60)를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부품실은 교반통(10) 정면에 부품통(51)을 연결시켜 전자부품(미도시)이 수용되는 부품실(50)을 확보하고, 상기 커트롤박스(60)은 상기 부품통 상부 선단에 설치되어 각종 부품들을 제저한다
6) 그리고, 교반통(10)을 커버하는 상부커버(20) 상단에서 발효되는 음식물에 주기적으로 물을 분사하고, 교반통(10)하단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찌꺼기가 거름망 하단으로 낙하하여 교반통 하단 바닥면에 싸위게 되면 그 싸인 찌꺼기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7) 배수통로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음식물 찌꺼기와 그 음식물 찌꺼기에 포함된 미생물이 교반통내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하수구로 배수되는되 그 배수되는 관로이다
본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을 첨부한 도시에 의해 설명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물이 교반되는 교반통(10)과, 상기 교반통(10) 내부에 가로로 설치되고 음식물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날개(41)를 갖는 교반축(40)을 갖되 상기 교반축 일측이 교반통(10)외부로 관통되어 감속모터(42)의 회전자(43)와 연결되고, 상기 교반통(10) 내부하단에는 음식물을 떠받처주는 거름망(30)과,
상기 교반통(10)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커버(20)와,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앙에 연결소켓(10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연결소켓(100)의 상단과 연결되는 씽크조연결부재(200)의 하단과 연결되며, 상기 씽크조연결부재(200)은 씽크조(1)의 배수구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10)은 음식물을 떠받처주는 거름망(30)과, 상기 교반통(10) 하단 바닥면사이에 상기 거름망(30)을 지지하는 보스(6,6')를 형성하여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거름망(30)을 이격시켜 음식물에서 발효된 음식물 찌꺼기 (이하 오물이라 칭함)와 노즐(23)에서 분사된 물을 받다내는 협소한 공간부(53)을 갖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협소한 공간부(53)를 갖도록 할수 밖게 없는 이유로는 이미 규격하되어버렸고, 이미 설치되 씽크대(58) 내부 높이(R)을 감안하여 교반통(10)을 생산해야 함으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최대한 크게 해야한다 그러기 때문에 공간부(53)을 협소하게 하였다 좀 더 상세한 설명은 후술에서 설명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53) 하단인 바닥면(54)에 상기 바닥면에 해당하는 중앙부가 하단으로 오목한 오목부(55)를 형성하여 상기 오목부(54)로 오물이 모이도록 하되 상기 오목부(55)의 끝단지점 위치는 거름망(30)의 중앙부분을 떠받치기 위해 중앙에 위치한 보스(6)의 측면으로부터 간격(D)이 떠러진 위치에 형성하였다
즉 오목부를 바닥면 중앙에 형성하지 않고 중앙부로부터 도시한 바와같이 편심되는 위치에 형성한 것이다 그 이유에 대에서는 후술에서 밝혀진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55)에 모인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측(E)이 상기 오목부(55) 끝단지점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타측(F)은 교반통(10)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한 배출통로(10')을 갖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술에서 설명이 미흡한 부분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협소한 공간부를 갖도록하였으며, 또 도시에서 알수 있는와 같이 오목부의 깊이 또한 그다지 깊지않다
즉, 음식물이 수용되는 교반통(10)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크게 해야함으로 상기와 같이 협소하게 한것이다
여기서 참고로, 음식물을 분해하는 교반통은, 그 크기가 적어도 용량이 음식물 2kg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 이상일 경우 교반통이 너무커 교반통 하단에 배수관로을 형성하지 못한다 즉 이미 설치된 씽크대는 내부공간 높이가 한정되어 있기에 그렸다, 반대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교반통(10)의 용량이 2kg이하일 경우 4인가족에서 1일 발생된 2kg 음식물을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음식물을 교반통에 투워하지못하고 별도로 보관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다, 통상 4인 가족 1일발생하기 음식물 쓰레기는 약 2kg이다
그레서 본원은 4인가족을 기준으로 하여 교반통의 내부 용량이 음식물이 2kg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게되었다
그리고, 상기 오목부(55)에 모인 오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상기 거름망(30)과 바닥면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교반통(10) 측벽에 고정된 물분사노즐(26)을 같도록 하였다
상기 물분사노즐(26)은, 외부와 연결되고 물분사노즐(26)에 물을 공급하거나 그 공급된 물을 차단하는 전자밸브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물은 물분사노즐(26)은 물을 분사하여 교반통(10)내부 바닥면으로 물을 분사한다 그러므로 거름망(30)으로부터 흘러나온 음식물 찌거기가 배출통로(10')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전자밸브는 콘트롤제어부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된다
만약, 물분사노즐(26)이 없게되면 음식물 찌꺼기는 배출통로(10')로 배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통로(10')에 상기 배출통로(10')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통로(10')의 오물이 흘러나가는 배출관(56)과, 상기 배출관(56)과 연결되어 미도시한 배수구와 연결시키는 직각으로 절곡된 ㄱ"자형 연결용소켓(57)으로 구성하였다
아와같이 직각으로 절곡된 ㄱ"자형 연결용소켓(57)을 이용한 것은 배출통로(10') 씽크대(58)의 바닥판(58')에 가까이 위치됨으로 도시한 도 4와 같이 ㄱ"자형 연결용소켓을 이용하지 않고 배출관(56)의 끝단을 하수배관(미도시)에 삽입하면 오물이 흘러갈 수 있는 경사로를 갖지못한다 그러므로 반드시 ㄱ"자형 연결용소켓(57)을 이용하여 미도시한 하수배관과 연결해야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음식물이 걸러진 거름망통(201)의 음식물을 투입하면 연결소켓(100)을 경우하여 교반통(10)에 유입된다 그 유입으로 교반통(10)에 음식물이 충전되면 사용자는 전류를 컨트롤제어부(60)에 인가 한다 그 인가로 인해 컨트롤제어부(6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이해 전류를 감속모터(42)를 조작하고 그 감속모터(42)는 교반축(40)을 회전시켜 교반부재(41)를 회전시켜 음식물을 교반하는 것이다
그 교반되는 음식물에는 음식물을 분해하는 별도의 미생물이 투입되므로 그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그 분해된 음식물 찌꺼기는 거름망(30)을 통해 교반 내부 바닥면으로 흘러나와 배출통로(10')를 경우하여 배출관(56)지나 하수배관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교반통(10)하단의 측벽에 설치되고, 거름망(30)하단에 위치된 물분사노즐(26)이 물을 분사하여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통로(10')로 흘러보내는 것이다
5 ; 고정볼트 6, 8 ; 보스
6' ; 제2보스 9 ; 지지부
10 ; 교반통 10' ; 배출통로
26 ; 물분사노즐
53 ; 공간부 54 : 바닥면
55 ; 오목부 56 ; 배출관
57 ; 연결용소켓

Claims (2)

  1. 버려진 음식물이 수용되는 교반통과, 상기 교반통을 밀폐하는 상부커버와, 상기 교반통으로 음식물이 버려지도록 씽크대의 배수구에 결합되는 씽크조연결부재와, 상기 씽크조연결부재를 상기 상부커버에 결합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은
    상기 교반통의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날개를 갖는 교반축,
    상기 교반축을 회전시키는 감속모터,
    상기 교반통의 바닥에서 상부로 이격되어 음식물을 받치는 거름망,
    상기 교반통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상기 거름망의 중앙부분 및 둘레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보스,
    상기 교반통에서 상기 거름망이 위치되는 하부 측면으로 관통되어 상기 교반통의 바닥으로 떨어진 발효된 음식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 및
    상기 교반통의 바닥으로 물을 분사하여 발효된 음식물을 상기 배출통로로 배출시키는 물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통의 바닥은
    발효된 음식물이 모이는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의 가장 오목한 하단부분이 상기 배출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거름망의 중앙부분을 지지하는 상기 보스를 피해 상기 본체의 바닥에서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위치되며,
    상기 배출통로에는 하수도의 배수구와 연결되는 배출관이 설치되고,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배수구는 "ㄱ"자형 연결용소켓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시스템.








  2. 삭제
KR1020120005463A 2012-01-18 2012-01-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KR101357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63A KR101357781B1 (ko) 2012-01-18 2012-01-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JP2012254794A JP2013146725A (ja) 2012-01-18 2012-11-20 生ごみ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63A KR101357781B1 (ko) 2012-01-18 2012-01-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13A KR20130084713A (ko) 2013-07-26
KR101357781B1 true KR101357781B1 (ko) 2014-02-03

Family

ID=4899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463A KR101357781B1 (ko) 2012-01-18 2012-01-1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7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1894A (zh) * 2017-12-25 2018-06-29 何玉静 一种市政污水处理用药液添加混合装置
CN109261702A (zh) * 2018-11-27 2019-01-25 上海洁鹿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中央处理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622A (ko) * 2000-03-16 2001-10-23 박재하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KR100865161B1 (ko) 2008-04-22 2008-10-24 박현린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처리장치
KR20100041606A (ko) * 2008-10-14 2010-04-22 (주)제이디옵틱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622A (ko) * 2000-03-16 2001-10-23 박재하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KR100865161B1 (ko) 2008-04-22 2008-10-24 박현린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처리장치
KR20100041606A (ko) * 2008-10-14 2010-04-22 (주)제이디옵틱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13A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427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27077B1 (ko) 오수받이 겸 맨홀
KR101343535B1 (ko) 물분사 시스템을 갖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35778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수 시스템
US4224155A (en) Sewage treatment apparatus
KR20160022616A (ko) 싱크대용 음식물 처리기
KR10148584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710061B1 (ko) 기름 및 음식찌꺼기의 제거가 용이한 오수받이
CN211813786U (zh) 一种环保型厨房污水处理装置
JP3250175B2 (ja) 戸建て用排水再利用装置
KR101357079B1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용 연결소켓
JP2007325998A (ja) ディスポーザ
JP2006095467A (ja) 生ごみの切断処理装置
KR20080089898A (ko) 오수 재활용 시스템
KR200420647Y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0730591B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20050080155A (ko) 악취차단과 이물질 수거가 용이한 생활하수용 배수조
KR1013700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0380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3154339A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13146725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2530475B1 (ko) 슬러지분리관을 갖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9784090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污水处理用多级过滤装置
US20220266177A1 (en) Septic tank automatic effluent filter clea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