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591B1 -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591B1
KR100730591B1 KR1020060021358A KR20060021358A KR100730591B1 KR 100730591 B1 KR100730591 B1 KR 100730591B1 KR 1020060021358 A KR1020060021358 A KR 1020060021358A KR 20060021358 A KR20060021358 A KR 20060021358A KR 100730591 B1 KR100730591 B1 KR 100730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chen
aeration
sewage
filter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우정
Original Assignee
한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우정 filed Critical 한우정
Priority to KR1020060021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류되는 주방 오수로 인한 하천수의 오염억제와 악취 해소, 및 싱크대를 빠져나가는 잔오물의 수거편의도 제공되는 주방용 오물 걸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과제는, 주방의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주방 오수를 받아 잔오물을 걸러내는 망통이 비치되는 걸름부, 잔오물이 걸러진 후의 오수를 폭기와 살수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유분을 분해하여 발효되도록 촉진하는 폭기부, 및 폭기과정을 거쳐 오는 오수가 일시 머무는 동안 유분 분해물 등의 부유물을 제외한 순오수만 배출되도록 하는 저류부, 그리고 걸름부와 폭기부 및 저류부의 경계에 설치된 복수의 종레일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걸름부에 장전되어 수거된 잔오물을 수거하기 편케 한 탈착형 걸름통과; 상기한 앞쪽 종레일에 장전되어 걸름통에서도 걸러지지 아니한 미세한 부유 오물을 폭기부 유입을 억제하는 제1 칸막이와; 상기한 뒤쪽 종레일에 장전되어 분해 발효된 유분과 부유물의 저류조 유입을 억제하는 제2 칸막이와; 폭기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보급함으로써 잔오물이 걸러진 오수 중의 유기성분을 분해하는 폭기장치와 살수 헤드; 저류조에 설치된 배수 트랩을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주방 오수를 처리해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한 주방용 오물걸름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주방의 오물걸름용 배수장치, 걸름통, 복수개의 칸막이, 폭기부.

Description

주방용 오물걸름장치{REFUSE DISPOSAL APPARATUS FOR KITCHE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오물걸름장치의 부분 절개 분해도
도 2는 조립된 오물걸름장치를 주방에 설치한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걸름통에 장전된 망에 담긴 오물을 수거할 때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유입구
12: 걸름부 12a: 통걸이
13: 폭기부 14: 저류부
20: 걸름통 30a: 제1 칸막이
30b: 제2 칸막이 31,31a: 구멍
40: 폭기장치 50: 살수장치
60: 배수 트랩
본 발명은 호텔내 식당이나 각종 요식업소, 사무용 빌딩의 구내식당, 대형급 식소 등의 대형 주방에서 발생하는 주방 오수에서 잔오물의 수거 편의 제공과 고형화된 유분 등의 분해 및 발효에 의한 정화로 하천수의 오염방지에 기여할 있게 한 주방용 오물 걸름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주방과는 달리, 다수인이 이용하는 대형 식당의 주방에서는 음식물찌꺼기, 설거지물, 야채 세척수, 과일 세척수, 싱크대 청소물 등의 주방쓰레기와 오수가 대량으로 발생한다. 주방 오수 중에는 야채 부스러기, 밥알, 생선뼈나 고기뼈, 유분, 주방용 세제 등이 포함되기 십상이다.
대형식당이나 급식소의 주방에는 대개 바닥에 배수용 트랜치 관로가 설치되어 주방의 각 부서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와 오물 등이 물에 씻겨 내려가게 하며 관로의 말단부에 걸름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싱크대의 배수구에는 탈착형 걸름통이 비치되어 있지만, 비교적 덩어리가 큰 주방 오물만 걸러질 뿐 그 보다 작은 잔오물은 걸름통을 빠져나간다. 걸름통을 빠져나가는 잔 주방 오물은 하천수를 오염시키고 부패될 때의 악취로 환경공해를 야기하기도 한다.
또, 도시처럼 인구밀도가 높은 대부분의 지역에 갖춰진 하수정화시설은 일반 하수와 주방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것이긴 하지만, 그 운영에는 막대한 예산편성이 요구된다.
하수처리시설의 운영예산을 절감하고 하천수의 오염과 부패로 인한 악취문제를 해소하려면 주방 오수가 하천으로 유입되기 전에 주방 오수의 탁도를 낮추고 유분 등은 분해하여 하수관벽에 엉겨 붙지 않게 하는 한편 하천에서 부패되는 것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류되는 주방 오수로 인한 하천수의 오염억제와 악취 해소, 및 싱크대를 빠져나가는 잔오물의 수거편의가 제공되는 주방 전용의 오물 걸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주방의 싱크대에서 배출되는 주방 오수를 받아 잔오물을 걸러내는 망통이 비치되는 걸름부, 잔오물이 걸러진 후의 오수를 폭기와 살수로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유분을 분해하여 발효되도록 촉진하는 폭기부, 및 폭기과정을 거쳐 오는 오수가 일시 머무는 동안 유분 분해물 등의 부유물을 제외한 순오수만 배출되도록 하는 저류부, 그리고 걸름부와 폭기부 및 저류부의 경계에 설치된 복수의 종레일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걸름부에 장전되어 수거된 잔오물을 수거하기 편하게 한 탈착형 걸름통과; 상기한 앞쪽 종레일에 장전되어 걸름통에서도 걸러지지 아니한 미세한 부유 오물을 폭기부 유입을 억제하는 제1 칸막이와; 상기한 뒤쪽 종레일에 장전되어 분해 발효된 유분과 부유물의 저류조 유입을 억제하는 제2 칸막이와; 폭기부에 설치되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보급함으로써 잔오물이 걸러진 오수 중의 유기성분을 분해하는 폭기장치와; 폭기부외 저류부 세척용 살수 헤드와; 저류조에 설치된 배수 트랩을 포함하여 효과적으로 주방 오수를 처리해 하천으로 방류하도록 한 주방용 오물걸름장치로 달성할 수 있다.
도 1,2에서, 본 발명의 주방용 오물걸름장치는 본체(10)와 걸름통(20), 복수의 칸막이(30a,b), 폭기장치(40), 살수 헤드(50), 및 배수 트랩(60)으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입구에 싱크대의 배수구를 빠져나와 트렌치(a)를 거쳐 유입되는 오수용 유입구(11)를 배치하고, 유입되는 주방 오수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앞쪽에서부터 차례로 걸름부(12)와 폭기부(13) 및 저류부(14)를 배치한 것이다.
걸름부(12)에는 걸름통(20)을 걸어두는 붙박이형 통걸이(12a)가 설치되어 있다. 통걸이(12a)는 거기에 걸터앉힌 걸름통(20)의 상변이 유입구(11)의 바닥보다도 약간 낮게 위치하도록 해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주방 오수가 걸름통(20) 안으로 차질 없이 들어갈 수 있게 한다.
걸름부(12)와 폭기부(13), 폭기부(13)와 저류부(14)의 각 경계에는 칸막이(30a,b)를 각기 탈착가능하게 장전하기 위한 제1,2 종레일(15a,b)이 설치하고, 저류부(14)의 벽에는 배수 트랩(60)과 연결된 배수관(16)도 설치한다.
걸름통(20)은 걸름실(12) 내에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주방 오수를 받아 잔오물을 걸러내고 오수만 빠져나가게 하는 것으로, 오수가 통과하기 쉬운 타공판제 또는 금망제 통이다. 상단에 부착된 플랜지(21)는 통걸이(12a)에 걸터앉히기 위한 것이다. 플랜지(21)에는 걸름부(12)에 대한 탈착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부착한 손잡이(22)도 있다. 도면 부호 (70)은 미세한 오물도 걸러지도록 하고 나중에 걸러진 주방 오물을 수거하기 편하게 하려고 가장자리를 걸름통(20)의 플랜지(21)에 휘감기게 장전한 미세한 망목의 수거망을 표시한다.
제1 칸막이(30a)는 제1 종레일(15a)에 장전하여 걸름부(12)와 폭기부(13)로 구분하고, 걸름부(12)에서 폭기부(13)로 넘어가는 오수 중에서 그 구멍보다도 작은 잔오물이 이월하지 못하게 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수 통과용 구멍(31)은 칸막이(30a)의 하반부에서 상부에 집중 배치하고, 상단에는 손가락으로 집어서 장전하고 인출하기 편하게 하는 손잡이(32)도 형성한다.
제2 칸막이(30b)는 제2 종레일(15b)에 장전하여 폭기부(13)와 저류부(14)로 구분하고, 폭기부(13)에서 저류부(14)로 넘어가는 오수 중에서 부유물이 섞여 가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오수 통과용 구멍(31a)은 칸막이(30b)의 하반부에서 그 하부에 집중되어 있으며, 제2 칸막이(30b)의 상단에는 제1 칸막이(30a)와 동형의 손잡이(32)가 형성되어 있다.
폭기장치(40)는 폭기부(13) 내의 오수에 외부공기를 도입하여 유분을 분해하고 수중 및 수면 부유물의 발효를 촉진하여 악취가 사라지도록 돕는 것이다.
별도의 급수제어장치에 연결된 살수 헤드(50)는 폭기부(13)와 저류부(14)의 상부에 설치하여 필요시 세척수, 소독제, 세제를 살수하며, 주방 오수에 대한 처리작업을 마치고나서 세척수를 뿌려 내부 청소할 때 이용하는 세척수단이다.
폭기부(13)를 거쳐 저류조(14)로 유입되는 정화된 주방 오수에는 유분이 분해 발효되어 수면으로 떠오른 부유물과 그렇지 아니한 수중 부유물이 혼재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오물이 걸러지지 아니한 채 방류하면 하천수질이 저하될 것이다. 따라서 하천수의 오염을 방지하려면 저류부(14)를 빠져나가기 전에 어떤 형태로든 부유물을 여과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배수 트랩(60)이 존재하는 것이다. 배수 트랩(60)의 출구단에는 하수관으로 이어지는 배수관(16)을 연결한다.
도 3(a)와 같이 걸름통(20)에 봉투형 수거망(70)을 장전한다. 수거망(70)의 가장자리는 걸름통(20)의 플랜지(21) 겉으로 둘러씌워 걸름통(20)으로 쏟아지는 주방 오수가 넘쳐흐르지 않고 오로지 걸름통(20)에 담기도록 한다.
이같이 수거망(70)이 장전된 걸름통(20)을 걸름부(12)에 넣고 플랜지(21)를 통걸이(12a)에 걸터앉힌다. 제1,2 종레일(15a,b)에는 제1,2 칸막이(30a,b)를 수직방향으로 끼워 장전하고 주방 오수의 처리에 대비한다.
트렌치(a)를 거쳐 유입구(11)로 유입되는 주방 오수는 걸름통(20)으로 쏟아져 잔오물이 걸러진 다음에 제1 칸막이(30a)의 구멍(31)을 거쳐 폭기부(13)로 유입된다. 폭기부(13)의 수위가 오르는 동안에 폭기장치(40)를 가동한다. 이때 도입되는 외부공기와 폭기에 의하여 주방 오수 중의 유분이 분해되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발효되기도 한다. 폭기에 의한 분해와 발효를 거쳐 비중이 낮아진 부유물은 폭기부(13)의 수면으로 떠오르고, 대체로 맑아진 주방 오수만 구멍(31b)을 통해 저류부(14)로 유입된다.
저류부(14)에 모인 주방 오수에는 폭기부(13)를 통과한 미세한 오물 등이 섞였을 수도 있다. 이러한 오물은 배수 트랩(60)에 의해 방류가 저지당하므로 저류부(14)에 잔류하게 되고, 한층 맑아진 주방 오수만 배수 트랩(60)을 거쳐 배수관(16)으로 배수된다.
주방 오수에 대한 일련의 걸름작업이 종료되면 폭기장치(40)의 운전을 중지하고, 걸름부(12)의 수위가 최저에 이른 시점에서 도 3과 같이 잔오물(c)이 담긴 수거망(70)의 목을 걷어서 묶은 다음에 꺼내서 폐기물 대기장소로 옮긴다. 이후, 새로운 수거망(70)을 걸름통(20)에 재장전하여 후속 주방 오수에 대한 처리작업에 대비한다.
주방 오수의 처리작업을 반복하다가 제1,2 칸막이(30a,b)에 오물이 엉겨 붙어 손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2 칸막이(30a,b)을 인출하여 말끔하게 세척하고 재장전한다. 폭기장치(40)를 포함한 폭기부(13)와 배수 트랩(60)을 포함한 저류부(14)의 내부 청소가 필요한 경우에는 살수 헤드(50)로 청수를 살수하여 세척한다. 오염된 걸름통(20)은 인출하여 세척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주방용 오물걸름장치는 싱크대의 걸름통으로 빠져나가는 잔오물도 걸러 낼 수 있으므로 하천수의 오염억제 내지는 방지에 유효하고, 상기 걸름통을 통과한 유분과 미세 오물은 폭기를 통해 분해하고 발효시킴으로써 하천수의 오염가능성이 낮아지고 악취도 억제되며, 저류조의 배수 트랩을 이용하여 처리된 주방 오수를 더 맑게 하수관으로 방류할 수 있다.

Claims (4)

  1. 주방 오수용 유입구, 유입되는 주방 오수를 받아 잔오물을 걸러내는 걸름통 비치용 통걸이를 가진 걸름부, 잔오물이 걸러진 주방 오수에 대한 폭기로 유분의 분해와 발효를 돕는 폭기부, 폭기과정을 거친 주방 오수가 머무는 저류부, 걸름부와 폭기부 및 저류부의 경계에 설치된 제1,2 종레일, 및 최종 처리된 주방 오수 배수용 배수관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걸름부에 비치하여 수거된 잔오물을 수거하기 편하도록 망을 장전하는 탈착형 걸름통과;
    상기 제1 종레일에 장전되어 걸름통에서도 걸러지지 아니한 미세한 부유 오물의 폭기부 유입을 억제하는 제1 칸막이와;
    상기 제2 종레일에 장전되어 분해 발효된 유분과 부유물의 저류조 유입을 억제하는 제2 칸막이와;
    상기 폭기부 내에서 도입되는 외부공기로 주방 오수를 폭기시키는 폭기장치와;
    상기 저류조에 설치된 배수 트랩;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칸막이(30a)는 하반부의 상부에 주방 오수 통과용 구멍(31)이 집중된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칸막이(30b)는 하반부의 하부에 주방 오수 통과용 구멍(31a)이 집중된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폭기부(13)과 저류부(14)에 살수 헤드(50)가 설치된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20060021358A 2006-03-07 2006-03-07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0730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358A KR100730591B1 (ko) 2006-03-07 2006-03-07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1358A KR100730591B1 (ko) 2006-03-07 2006-03-07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142U Division KR200420647Y1 (ko) 2006-03-07 2006-03-07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0591B1 true KR100730591B1 (ko) 2007-06-25

Family

ID=3837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358A KR100730591B1 (ko) 2006-03-07 2006-03-07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5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91B1 (ko) 2009-07-06 2009-11-24 김무영 세척식 배수트랜치가 구비된 조리장 세척배수장치
KR200459877Y1 (ko) * 2009-07-17 2012-04-20 (주)수도금속 식용기름 및 음식찌꺼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오수처리트랩
KR20210104274A (ko) * 2020-02-17 2021-08-25 도윤경 오폐수 수집 및 배출용 그리스 트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084A (ko) * 1995-03-03 1996-12-17 오노데라 료코 주방쓰레기 · 오수 합병처리장치
JP2002273104A (ja) * 2001-03-19 2002-09-24 Hiromichi Kawahara スカム解消型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20030078380A (ko) * 2002-03-29 2003-10-08 손기태 하수 재사용 정화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084A (ko) * 1995-03-03 1996-12-17 오노데라 료코 주방쓰레기 · 오수 합병처리장치
JP2002273104A (ja) * 2001-03-19 2002-09-24 Hiromichi Kawahara スカム解消型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20030078380A (ko) * 2002-03-29 2003-10-08 손기태 하수 재사용 정화 처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60041084
1020030078380
1427310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91B1 (ko) 2009-07-06 2009-11-24 김무영 세척식 배수트랜치가 구비된 조리장 세척배수장치
KR200459877Y1 (ko) * 2009-07-17 2012-04-20 (주)수도금속 식용기름 및 음식찌꺼기를 분리배출할 수 있는 오수처리트랩
KR20210104274A (ko) * 2020-02-17 2021-08-25 도윤경 오폐수 수집 및 배출용 그리스 트랩
KR102389700B1 (ko) * 2020-02-17 2022-04-22 도윤경 오폐수 수집 및 배출용 그리스 트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5352B2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CN108423890B (zh) 一种家用废水分类处理器
KR100730591B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200420647Y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JP2000135500A (ja) 廃水浄化設備
US9493937B2 (en) Recycling flush toilet system
KR20140109227A (ko)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RU139140U1 (ru) Система утилизации хозяйственно-бытовых стоков
JP2004105939A (ja) 残滓・浮上油・沈殿汚泥回収装置
KR20080089898A (ko) 오수 재활용 시스템
JP2004322060A (ja) 浄化装置およびその浄化装置をもつ浄化用タンク
KR101807839B1 (ko) 음식물 등의 재활용 자원화를 위한 분쇄물 회수장치
CN220394759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KR200145609Y1 (ko) 분쇄기와 정화조가 설치된 싱크대
CN216934892U (zh) 一种反冲洗油水分离器
KR20140007634A (ko) 분리배수를 이용한 친환경 생활하수 정화시스템
CN220812012U (zh) 一种屠宰场废水预处理装置
JP2004049424A (ja) 食器洗浄機の残菜回収装置
KR200344999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JPS5833770Y2 (ja) 雑排水処理装置
KR200344998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JP7345848B2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及び排液処理装置
CN201433438Y (zh) 中水处理装置
JPH0988174A (ja) 汚水マス
KR200236069Y1 (ko) 고효율 기름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