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999Y1 -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999Y1
KR200344999Y1 KR20-2003-0038274U KR20030038274U KR200344999Y1 KR 200344999 Y1 KR200344999 Y1 KR 200344999Y1 KR 20030038274 U KR20030038274 U KR 20030038274U KR 200344999 Y1 KR200344999 Y1 KR 2003449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ish
blocking plate
water
foreign ma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2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우균
Original Assignee
두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우균 filed Critical 두우균
Priority to KR20-2003-00382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9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9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9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개수통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과 이물질 차단판 및 식기 받침망을 차례로 설치하여 애벌 설거지를 하면서 식기 안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까지 포집 수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져 있는 식기(22)들을 개숫물(24)에 불려가면서 애벌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호퍼 형태의 개수통(11)과;
상기 개수통(11)에서 애벌 설거지를 할 때 애벌 설거지가 끝난 식기(22a)들을 개수통으로부터 옮겨 담아서 헹굼 설거지를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보조 개수통(15)과;
상기 개수통(11) 안에 식기 받침망(17)과 이물질 차단판(18) 및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을 거치할 수 있도록 개수통(11) 내측면의 중간부분에 수평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브래킷(19)과;
상기 브래킷(19)에 거치된 상태로 개수통(11) 안에 투입되는 식기(22)들을 받쳐 주면서 식기(22) 안에 담겨져 있던 음식물 쓰레기(20)들은 철망(17b)의 구멍을 통해 밑으로 침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식기 받침망(17)과;
상기 식기 받침망(17) 밑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식기 받침망(17)의 철망(17b)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20a)와 젓가락 같은 이물질을 받아서 그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 안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물질 차단판(18)과:
상기 브래킷(19)과 이물질 차단판(18) 사이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이물질 차단판(18)의 투입구(18a)를 통해 유입 침전되는 음식물 쓰레기(20b)들을 포집 수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structure of the sink dai with complex functions}
본 고안은 요식업소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수대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개수통의 형태를 달리 함과 함께 별도의 구성품을 내장하여 애벌 설거지를 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염분과 휴지 및 이쑤시개 등을 애벌 개숫물에 용해 희석시키거나 부유시켜서 제거하므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양질의 사료 및 퇴비 등으로 유익하게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식업소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개수대 배수구에 장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사용하여 상기 배수구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한 다음에 개숫물과 함께 하수관으로 배출시키거나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및 발효시켜서 퇴비 등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사용치 않을 경우 휴지나 이쑤시개 같은 이물질이 섞인 음식물 쓰레기를 공지의 방법으로 수거한 다음에 매립 및 소각 처리하거나 사료 또는 퇴비로 재활용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사용할 경우 설치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으며,
분쇄된 상태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도 바닥에 침전되면서 부패되어 심한 악취를 발생시킴은 물론 파손된 하수관을 통해 유출될 경우 토양과 지하수 오염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 매립 처리할 경우에는, 매립장을 건설하기 위해 대단위의 부지를 매입해야 함은 물론 지역주민들의 매립장 건설 반대를 무마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매립장에서 발생되는 대량의 침출수가 토양과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그 침출수를 정화 처리할 수 있는 별도의 시설을 건설해야 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 처리할 경우 소각장을 건설해야 하는데, 그 소각장 건설 역시 지역주민들의 소각장 건설 반대를 무마시켜야 하는 문제점과 소각처리 과정에서 대기 오염 물질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소각 및 매립 처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추진된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는, 음식물 쓰레기에 섞여서 수거된 휴지와 이쑤시개 같은 이물질이 가축을 폐사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는,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에 다량으로 함유된 염분이 토양을 오염시킴은 물론 작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포집 수거 및 그 처리 과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설거지 과정에서 애벌 개숫물을 이용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휴지와 이쑤시개 같은 이물질 및 염분 등을 부유시키거나 용해 희석시켜서 용이하게 제거함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포집 수거할 수 있도록 하여, 포집 수거 된 음식물 쓰레기를 양질의 퇴비와 사료 등으로 유익하게 재활용 할 수 있게 하는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b는 물 넘침 방지용 배수구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도시된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실시 예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를 실시 예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6a 내지 6v는 본 고안의 사용 과정을 참고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개수통 11a : 개수통 바닥
11b : 물 넘침 방지용 배수구 11c : 배수용 호스
11d : 패킹 11e : 호스 체결용 볼트
11f : 배수구 뚜껑 11g : 호스 체결용 뚜껑
12 : 배수관 12a : 배수관 뚜껑
13 : 배수용 밸브 13a : 밸브의 손잡이
14 : 개수대의 다리 15 : 보조 개수통
16 :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 16a : 포집망의 손잡이
16b : 포집망의 테두리 16c : 포집망의 철망
17 : 식기 받침망 17a : 받침망의 테두리
17b : 받침망의 철망 17c : 받침망의 다리
18 : 이물질 차단판 18a : 이물질 차단판의 투입구
18b : 이물질 차단판의 투입구 뚜껑 19 : 브래킷
20 : 식기에 담겨 있는 음식물 쓰레기 20a : 차단판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
20b : 포집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 21 :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용기
21a : 수거 용기의 손잡이 22 :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 있는 식기
22a : 애벌 설거지가 끝난 식기 23 : 휴지 또는 이쑤시개 같은 이물질
23a : 이물질 포집망 24 : 애벌 개숫물
24a : 헹굼 개숫물 24b : 배출되는 애벌 개숫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 있는 식기들을 개숫물에 불려가면서 애벌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호퍼 형태의 개수통과;
상기 개수통에서 애벌 설거지를 할 때 애벌 설거지가 끝난 식기들을 개수통으로부터 옮겨 담아서 헹굼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보조 개수통과;
상기 개수통 안에 식기 받침망과 이물질 차단판 및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을거치할 수 있도록 개수통 내측면의 중간부분에 수평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거치된 상태로 개수통 안에 투입되는 식기를 받쳐주면서 식기 안에 담겨 있던 음식물 쓰레기들은 철망의 구멍을 통해 밑으로 침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식기 받침망과;
상기 식기 받침망 밑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식기 받침망의 철망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와 젓가락 같은 이물질을 받아서 그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 안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물질 차단판과:
상기 브래킷과 이물질 차단판 사이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이물질 차단판의 투입구를 통해 유입 침전되는 음식물 쓰레기들을 용이하게 포집 수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도시한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도시된 분해 사시도며,
도 2a는 물 넘침 방지용 배수구를 확대 도시한 조립 단면도며,
도 2b는 도 2a의 분해 단면도며,
도 3a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도시된 분해 단면도며,
도 3b는 도 3a의 조립 단면도며,
도 4a는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실시 예에 따라 도시한 분해 단면도며,
도 4b는 도 4a의 조립 단면도며,
도 5a는 본 고안의 또 다른 형태를 실시 예에 따라 도시한 분해 단면도며,
도 5b는 도 5a의 조립 단면도며,
도 6a 내지 6v는 본 고안의 사용 과정을 참고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고안 실시 예는, 상단부분에는 물넘침 방지용 배수구(11b)가 형성돼 있으며, 그 배수구(11b)에는 넘치는 개숫물을 하수관으로 자동 배출시켜주는 배수용 호스(11c)가 부착되어 있고, 바닥에는 애벌 개숫물(24)을 배출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배수용 밸브(13)와 배수관(12) 및 다수개의 다리(14)가 부착되어 있는 호퍼 형태의 개수통(11)과;
상기 개수통(11)에서 애벌 설거지를 할 때 애벌 설거지가 끝난 식기(22a)들을 개수통으로부터 옮겨 담아서 헹굼 설거지를 할 수 있게 되어 있고, 헹굼 개숫물(24a)을 배출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배수관(12)과 그 배수관을 개폐시켜주는 뚜껑(12a)이 있으면서 다수개의 다리(14)가 부착되어 있는 보조 개수통(15)과;
상기 개수통(11) 안에 식기 받침망(17)과 이물질 차단판(18) 및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을 거치할 수 있도록 개수통(11) 내측면의 중간부분에 수평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브래킷(19)과;
상기 브래킷(19)에 거치된 상태로 개수통(11) 안에 투입되는 식기(22)들을 받쳐 주면서 식기(22) 안에 담겨져 있던 음식물 쓰레기(20)들은 철망(17b)의 구멍을 통해 밑으로 침전시킬 수 있게 구멍이 굵은 철망(17b)과 철망을 지지해주는 테두리(17a)로 구성된 식기 받침망(17)과;
상기 식기 받침망(17) 밑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식기 받침망(17)의 철망(17b)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20a)와 젓가락 같은 이물질을 받아서 그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 안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물질 차단판(18)과:
상기 브래킷(19)과 이물질 차단판(18) 사이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이물질 차단판(18)의 투입구(18a)를 통해 유입 침전되는 음식물 쓰레기(20b)들을 용이하게 포집 수거할 수 있도록 구멍이 작은 철망(16c)과 철망(16c)을 지지해주는 테두리(16b) 및 손잡이(16a)로 구성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으로 구성된 구조다.
이하 참고로 첨부된 도 6a 내지 도 6v에 도시된 내용을 본 고안의 사용 실시예로 하면서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는 개수통 내부에 애벌 개숫물이 채워짐과 함께 보조 개수통에도 헹굼 개숫물이 채워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개수통(11) 내부에 부착돼 있는 브래킷(19)에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과 식기 받침망(17) 및 이물질 차단판(18)이 거치된 상태며, 개수통(11)의 애벌 개숫물(24)이 배수관(12)을 통해서 유출되지 않도록 배수관의 배수용 밸브(13)가 잠겨 있고, 보조 개수통(15)의 배수관 뚜껑(12a)이 덮여 있기 때문에 보조 개수통(15)의 헹굼 개숫물(24a) 역시 배수관(12)을 통해서 유출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개숫물(24, 24a)의 공급이 과다하면 이때 개수통(11, 15)들이 넘칠수 있는데 이런 경우 과다하게 공급된 개숫물(24, 24a)이 물넘침 방지용 배수구(11b)와 배수용 호스(11c)를 통해 자동 배출되면서 개숫물(24, 24a)의 수위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개숫물의 공급이 과다한 경우에도 개수통(11, 15)의 개숫물(24, 24a)이 넘치지 않게 된다.
한편 브래킷(19)이 상기 개수통(11)의 내측면 중간부분에 수평 상태로 부착돼 있으면서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과 식기 받침망(17) 및 이물질 차단판(18)을 개수통(11)의 중간부분에 거치시켜주므로,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과 식기 받침망(17) 및 이물질 차단판(18)이 개수통 바닥(11a) 쪽으로 가라앉지 않게 됨은 물론 식기 받침망의 철망(17b)이 식기(22)를 받쳐주므로 식기(22) 역시 개수통 바닥(11a) 쪽으로 가라앉지 않게 된다.
그리고 애벌 설거지를 할 때 가느다란 젓가락 같은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식기 받침망(17)을 통과하여 그 밑에 거치된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 안으로 빠져들어서 포집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20b)와 섞이게 되면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로 재활용하는 데 애로가 많게 된다.
그러나 식기 받침망(17)과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 사이에 이물질 차단판(18)이 거치되므로 가느다란 젓가락 같은 이물질이 식기 받침망(17)을 통과하여도 밑에 거치된 이물질 차단판(18) 위에 얹혀지게 되므로 애벌 설거지가 끝난 다음에 식기 받침망(17)을 들어내고 이물질 차단판(18) 위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20a)에서 젓가락 같은 이물질을 쉽게 가려낸 다음 투입구 뚜껑(18b)을 열고그 밑에 거치된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 안으로 이물질 차단판(18) 위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20a)를 쓸어 넣으므로 포집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20b) 안에 젓가락 같은 이물질이 섞이지 않게 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은 구멍이 작은 철망(16c)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애벌 설거지용 개숫물(24)을 배출할 때 음식물 쓰레기(20, 20a)에 함유되어 있는 염분과 국물 종류는 애벌 개숫물(24)과 함께 철망(16c)의 구멍과 배수관(12)을 통해 개수통(11)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으나, 고춧가루를 포함하는 미세한 음식물 쓰레기(20b)까지 포집 수거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6b는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 있는 식기들이 애벌 개숫물에 담겨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음식물 쓰레기(20)가 담겨 있는 식기(22)를 애벌 개숫물(24)에 불려가면서 애벌 설거지를 하면 상기 식기(22)에서 음식물 쓰레기(20)의 분리 제거가 쉽기 때문에 애벌 설거지가 용이해지며,
애벌 설거지를 할 때 식기 받침망(17)의 구멍을 통과 한 음식물 쓰레기(20a)가 이물질 차단판(18) 위에 쌓이면 그 음식물 쓰레기(20a)에서 젓가락 같은 이물질을 가려낸 다음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18a) 안으로 쓸어 넣어서 그 밑에 거치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으로 침전 포집되도록 하므로 음식물 쓰레기(20b)의 포집 수거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20, 20a)에 포함되어 있던 이쑤시개와 휴지 같은 이물질(23)이 애벌 개숫물(24) 위에 부유되므로 이물질 포집망(23a)으로 쉽게 포집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휴지와 이쑤시개 및 젓가락 같은 이물질(23)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20b)를 사료로 재활용 하여도 가축을 폐사시키는 것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20, 20a, 20b)에 함유된 염분 등이 애벌 개숫물(24)에 용해 희석되어 포집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20b)는 함유된 염분의 농도가 저절로 낮아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포집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20b)를 퇴비 등으로 재활용 하여도 염분에 의한 토양의 오염 및 작물의 생장 저해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계속해서, 도 6c는 애벌 설거지가 끝난 식기들을 보조 개수통의 헹굼 개숫물로 옮겨놓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6d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물질 차단판 위에 쌓인 상태에서 애벌 개숫물에 부유된 이쑤시개 및 휴지 같은 이물질을 이물질 포집망으로 포집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며,
도 6e는 이물질 차단판 위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에서 젓가락 같은 이물질을 가려내기 위해 식기 받침망을 개수통 밖으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6f는 이물질 차단판 위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에서 젓가락 등을 가려낸 다음 투입구 뚜껑을 열고 이물질 차단판 위에 쌓인 음식물 쓰레기들을 투입구에 쓸어 넣어서 그 밑에 거치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 안으로 침전시켜주는 과정을도시한 단면도며,
도 6g는 애벌 개숫물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개수통(11)의 애벌 개숫물(24)이 매우 혼탁해진 상태가 되면 배수용 밸브(13)의 손잡이(13a)를 돌려서 애벌 개숫물을 배출(24b)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도 6h는 애벌 개숫물의 배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밸브 손잡이를 돌려 배수관의 밸브를 닫아 놓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6i는 이물질 차단판의 투입구를 뚜껑으로 닫은 다음 식기 받침망을 재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6j는 개수통 안에 애벌 개숫물을 다시 채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6k는 애벌 설거지를 위해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져 있는 새로운 식기들을 애벌 개숫물에 담가 놓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6l은 애벌 설거지가 끝난 식기들을 보조 개수통의 헹굼 개숫물로 옮겨놓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6m은 음식물 쓰레기가 차단판 위에 쌓인 상태에서 애벌 개숫물에 부유되어 있는 휴지와 이쑤시개 같은 이물질을 포집망으로 제거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며,
도 6n은 식기 받침망을 개수통 밖으로 인출하여 이물질 차단판 위에 쌓여진 음식물 쓰레기에서 젓가락 같은 이물질을 가려낸 다음 투입구 뚜껑을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로 쓸어 넣어서 그 밑에 거치된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 안에 침전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며,
도 6o는 애벌 개숫물이 배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개수통의 애벌 개숫물(24)이 매우 혼탁해진 상태가 되면 배수용 밸브의 손잡이(13a)를 돌려서 애벌 개숫물을 배출(24b)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도 6p는 애벌 개숫물의 배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밸브 손잡이를 돌려 배수관의 밸브를 닫아 놓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애벌 개숫물이 배출되면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에 포집된 음식물 쓰레기의 량을 확인하여 포집 된 음식물 쓰레기의 량이 적을 경우에는 애벌 개숫물을 다시 받아서 애벌 설거지를 계속할 수 있으나, 도 6p에서는 포집된 음식물 쓰레기(20b)의 량이 많기 때문에 이를 수거하는 전단계의 과정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q는 포집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식기 받침망 외에도 이물질 차단판과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을 개수통 밖으로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물질 차단판(18)은 배출구(18a)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로 들어 올려서 인출하게 되며,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은 그 손잡이를 양손으로 잡고 들어 올려서 개수통 밖으로 인출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6r은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장으로 옮기기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용기에 옮겨 담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의 손잡이(16a)를 양손으로 잡고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용기(21)에 음식물 쓰레기(20b)를 옮겨 담은 다음 처리장으로 이동하여 음식물 쓰레기(20b)를 처리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6s는 포집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수거 용기에 옮겨 담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며,
도 6t는 음식물 쓰레기가 제거된 포집망과 이물질 차단판 및 식기 받침망을 개수통 내부에 재설치 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의 철망(16c)에 음식물 쓰레기의 찌꺼기가 많이 달라붙어 있을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을 뒤집어서 솔로 털고 물로 씻어서 음식물 쓰레기의 찌꺼기를 충분히 제거한 다음에 개수통 내부에 재설치 한다.
계속해서, 도 6u는 애벌 설거지를 위하여 개수통 내부에 애벌 개숫물을 다시 채운 상태를 나타내주는 단면도며,
도 6v는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 있는 새로운 식기를 다시 채워진 애벌 개숫물 안에 담가놓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도 6a 내지 도 6v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 방법을 반복하면 애벌 설거지와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포집 수거 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는, 식기 안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쉽게 제거하기 위해 식기를 개수통의 애벌 개숫물에 불려가면서 설거지를 하여도 식기에서 분리 된 음식물 쓰레기가 식기 받침판 아래로 침전되므로, 설거지 과정에서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들과 식기들이 뒤섞여서 설거지에 장애가 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거지를 용이하게 한 효과가 있으며,
휴지와 이쑤시개 같은 이물질을 애벌 개숫물에 부유시켜 음식물 쓰레기에서 쉽게 분리 포집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고,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 안에 젓가락과 이쑤시개 및 휴지 같은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양질의 사료로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염분 등을 애벌 개숫물에 용해 희석시켜 제거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시 발생하던 염분에 의한 작물의 생장 저해 및 토양 오염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단 측면에 물넘침 방지용 배수구(11b)가 형성돼 있으며, 그 배수구(11b)에는 넘치는 개숫물을 하수관으로 자동 배출시켜주는 배수용 호스(11c)가 부착되어 있고, 바닥에는 애벌 개숫물(24)을 배출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는 밸브(13)와 배수관(12)이 있으면서 다수개의 다리(14)가 부착되어 있는 호퍼 형태의 개수통(11)과;
    상기 개수통(11)에서 애벌 설거지를 할 때 애벌 설거지가 끝난 식기(22a)들을 개수통으로부터 옮겨 담아서 헹굼 설거지를 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개숫물(24a)을 배출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배수관(12)과 배수관을 개폐시켜주는 뚜껑(12a)이 있고, 밑에는 다수개의 다리(14)가 부착되어 있는 보조 개수통(15)과;
    상기 개수통(11) 안에 식기 받침망(17)과 이물질 차단판(18) 및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을 거치할 수 있도록 개수통(11) 내측면의 중간부분에 수평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브래킷(19)과;
    상기 브래킷(19)에 거치된 상태로 개수통(11) 안에 투입되는 식기(22)들을 받쳐 주면서 식기(22) 안에 담겨져 있던 음식물 쓰레기(20)들은 철망(17b)의 구멍을 통해 밑으로 침전시킬 수 있게 구멍이 굵은 철망(17b)과 철망(17b)을 지지해주는 테두리(17a) 및 다수개의 다리(17c)로 구성되어 있는 식기 받침망(17)과;
    상기 식기 받침망(17) 밑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식기 받침망(17)의 철망(17b)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20a)와 젓가락 같은 이물질을 받아서 그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 안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물질 차단판(18)과:
    상기 브래킷(19)과 이물질 차단판(18) 사이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이물질 차단판(18)의 투입구(18a)를 통해 유입 침전되는 음식물 쓰레기(20b)들을 용이하게 포집 수거할 수 있도록 구멍이 작은 철망(16c)과 철망(16c)을 지지해주는 테두리(16b) 및 손잡이(16a)로 구성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개수통(11)의 내측면 중간부분에 부착되어진 상태로 식기 받침망(17)과 이물질 차단판(18) 및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을 개수통(11) 중간에 거치시켜주는 브래킷(19)이 있는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굵은 구멍의 철망(17b)과 철망을 지지하는 테두리(17a) 및 다수개의 다리(17c)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개수통 내측면 중간부분에 수평 상태로 부착돼 있는 브래킷(19)에 거치된 상태로 애벌 설거지를 위해 개수통(11)에 투입되는 식기(22)를 받쳐서 그 식기들이 개수통 바닥(11a) 쪽으로 가라앉지 않게 해줌과 함께 식기보다 부피가 작은 음식물 쓰레기는 철망(17b)의 구멍을 통해 침전시키는 식기 받침망(17)이 있는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중심부분에 투입구(18a)와 투입구 뚜껑(18b)이 있으면서 상기 식기 받침망(17) 밑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식기 받침망(17)의 철망(17b)을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20a)와 젓가락 같은 이물질을 받아서 그 이물질이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 안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물질 차단판(18)이 있는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9)과 이물질 차단판(18) 사이에 삽입 거치된 상태로, 배출구(20b)를 통해 유입 침전되는 음식물 쓰레기(20b)를 포집 수거할 수 있도록 손잡이(16a)와 구멍이 작은 철망(16c) 및 철망(16c)을 지지해주는 테두리(16b)로 구성되어진 음식물 쓰레기 포집망(16)이 있는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KR20-2003-0038274U 2003-12-08 2003-12-08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KR2003449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274U KR200344999Y1 (ko) 2003-12-08 2003-12-08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274U KR200344999Y1 (ko) 2003-12-08 2003-12-08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999Y1 true KR200344999Y1 (ko) 2004-03-11

Family

ID=49426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274U KR200344999Y1 (ko) 2003-12-08 2003-12-08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9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758B1 (ko) * 2008-01-25 2011-11-30 최순녀 다수개의 개수대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수단을 포함하여제공되는 주방용 싱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758B1 (ko) * 2008-01-25 2011-11-30 최순녀 다수개의 개수대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수단을 포함하여제공되는 주방용 싱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8553B1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CN206965315U (zh) 一种厨房生活污水处理装置
CN108423890B (zh) 一种家用废水分类处理器
CN107857385A (zh) 一种方便清理用于厨房污水油水分离处理装置
KR20130040980A (ko) 음식물 슬러지의 처리효율을 높인 주방용 싱크볼의 배수장치
KR101707765B1 (ko) 싱크대 거름망 커버
KR101836783B1 (ko) 식기 애벌세척장치
KR200344999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CN219272223U (zh) 一种隔油池油水分离结构
KR200344996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KR200344998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개수대의 구조
KR200420647Y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0730591B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Abd Alaziz et al. The reuse of greywater recycling for high rise buildings in Kuwait Country
CN108149756A (zh) 一种家庭污水处理重利用装置
KR101807839B1 (ko) 음식물 등의 재활용 자원화를 위한 분쇄물 회수장치
US9556602B2 (en) Self-contained oil flush toilet unit and sewage treatment system for separating and pre-treating waste
JP3988558B2 (ja) 食器洗浄機の残菜回収装置
KR200145609Y1 (ko) 분쇄기와 정화조가 설치된 싱크대
KR100679590B1 (ko) 공동주택 단지내의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구조물
KR200222074Y1 (ko) 싱크대 배수구 악취 차단 및 음식물 찌꺼기 처리 개선 장치
CN218911634U (zh) 防堵塞洗菜、洗碗一体化组合柜结构
KR200285087Y1 (ko)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분리처리시스템
CN212984073U (zh) 一种新型多功能厨房洗涤水槽
JP2024048186A (ja) 粗集かご、および排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