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1233B1 -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1233B1
KR102571233B1 KR1020230078688A KR20230078688A KR102571233B1 KR 102571233 B1 KR102571233 B1 KR 102571233B1 KR 1020230078688 A KR1020230078688 A KR 1020230078688A KR 20230078688 A KR20230078688 A KR 20230078688A KR 102571233 B1 KR102571233 B1 KR 102571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eptic tank
odor
sewage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8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만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Priority to KR1020230078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12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1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12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3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를 제공한다. 상기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는, 다수 세대로부터의 오수관들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관들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는, 상기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정화조 본체부와,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저장 공간을 이루는 내벽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고체상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이물질 분쇄부; 및 상기 정화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되는 오수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악취의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악취 농도를 이루도록 상기 저장 공간에 악취 제거제를 공급하는 악취 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Septic tank with odor removal function in apartment complex}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화조 본체부의 내부 벽체에서 이동 및 돌출 가능하여 회전되는 분쇄날을 구비하여, 정화조 내부 수용되는 오수에 포함되는 스컴 또는 이물질을 잘게 분쇄하고, 분쇄되는 고체 상의 이물질을 별도로 포집 한 이후 별도로 배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정화조 내부 자체에서 일정의 진동 및 일정의 열을 형성하여 저장되는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상태에서, 악취 농도에 따른 악취 제거제를 투입하여 일정 수준의 악취 농도를 유지하여 일정 이상의 악취가 역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두통이나 구토를 유발하거나 불쾌감 또는 혐오감을 유발하여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방해한다. 이러한 악취는 합류식 하수처리 구역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화조와 같은 개인하수처리시설에서 생성되어 하수관거로 유입되며, 맨홀과 받이 등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중으로 나와 사람들에게 전달된다(도 5의 하수도에서의 악취발생원, 발산원, 배출원 참조). 악취 유발의 주요 물질로는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암모니아 등의 물질들이며, 일반적으로 부패 방식의 정화조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악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는 두 가지 이 상의 악취물질이 함께 작용하여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주는 냄새인 복합 악취도 문제될 수 있다.
하수처리구역 내에 정화조나 오수처리 시설을 설치하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하수처리구역 내에 정화조를 설치하는 이유는 하수관거의 매설 상태가 불량하기 때문에 분뇨를 하수관거에 직투입할 경우 분뇨의 유출로 인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유로 설치한 정화조에서는 악취 물질의 생성이라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하수관거의 매설상태가 양호하여 정화조를 폐쇄하고 분뇨를 하수관거에 직투입할 수 있다면, 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화조에서 생성되는 악취에 의한 문제는 해결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정화조가 설치되어 있는 합류식 하수처리구역 내에서는 하수관거의 매설 상태가 분뇨를 직투입할 수 있을 만큼 양호한 상태가 아니므로 정화조에서의 악취 물질 생성은 계속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물질이 공공하수도 유입 및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화조에 하수 악취 방지장치의 설치가 제도화(하수도법, 악취방지법) 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정화조에 공기주입장치를 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정화조 내에 공기 주입을 위해 정화조 하부에 별도의 산기관 및 송풍기를 설치하고 악취 저감을 위해 송풍기를 연속적으로 운전할 경우, 송풍기의 연속운전으로 인한 송풍기의 급속한 마모 및 송풍기에서의 소음 및 열 발생, 전기 사용량의 증가 등이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산기관의 파손시 악취 물질 및 유독 가스가 발생하는 정화조 내부에 인력이 투입되어 산기관을 교체해야 하는 위험 부담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기존에 노후화 된 정화조의 경우 스컴 발생으로 인해 정화조 상부에 두꺼운 스컴층이 쌓이게 되고, 그로 인해 정화조 내의 공기 확산 및 악취 물질 저감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신설 정화조의 경우에도 산기관의 기포가 닿지 않는 사구간이 발생할 경우 스컴 발생 등으로 인한 악취 저감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악취 저감을 위해 공기를 과다투입할 경우 과다 투입된 공기량만큼 정화조의 외부로 공기 및 악취 물질이 유출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3635호(등록일자: 2017년 09월 26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화조 본체의 내부 벽체에서 이동 및 돌출 가능하여 회전되는 분쇄날을 구비하여, 정화조 내부 수용되는 오수에 포함되는 스컴 또는 이물질을 잘게 분쇄하고, 분쇄되는 고체 상의 이물질을 별도로 포집 한 이후 별도로 배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정화조 내부 자체에서 일정의 진동 및 일정의 열을 형성하여 저장되는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상태에서, 악취 농도에 따른 악취 제거제를 투입하여 일정 수준의 악취 농도를 유지하여 일정 이상의 악취가 역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동 주택 단지에 설치되어, 각 세대들로부터의 오수가 오수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는 동안에 오수관의 대수 위치에서 배출되는 오수에 포함되는 악취를 배출함과, 일정 주기에 이르면 오수관 내부를 세척 및 제거하여 악취의 근원을 제거할 수 있는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를 제공한다.
상기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는, 다수 세대로부터의 오수관들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관들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는,
상기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정화조 본체부와,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저장 공간을 이루는 내벽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고체상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이물질 분쇄부; 및.
상기 정화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되는 오수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악취의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악취 농도를 이루도록 상기 저장 공간에 악취 제거제를 공급하는 악취 제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분쇄부는,
다수의 분쇄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분쇄 장치 각각은,
신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갖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분쇄날과,
상기 실린더와,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분쇄 장치 각각의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저장 공간을 이루는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내벽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악취의 농도에 일정 비율로 비례되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날의 회전 속도와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축의 돌출 및 삽입 동작에 따른 상기 축의 돌출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분쇄 장치 각각은, 브러쉬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브러쉬 수단은,
회전기와,
상기 회전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는, 제 1기어를 회전시키는 기어 모터와,
상기 제 1기어와 기어치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2기어를 갖고,
상기 브러쉬 부재는, 상기 제 2기어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 모터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기어의 외주 일부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 2기어는 내주에 제 2기어치가 형성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기어의 중공은, 상기 실린더에 끼워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기어의 상기 제 2기어치는, 상기 제 1기어의 외주에 기어치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주 다수 위치에는, 상기 제 2기어의 상기 제 2기어치에 기어치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아이들 기어들이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 부재는, 상기 제 2기어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 부재의 일면부는,
상기 저장 공간을 이루는 내벽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어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1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기어는 회전되고,
상기 제 2기어에 설치된 상기 브러쉬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내벽에 형성되는 응고된 이물질은 브러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내벽에는, 다수의 분사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분사 노즐은,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들과 연결되고,
상기 악취 제거부는,
상기 정화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 공간에서의 악취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악취의 농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냄새 센서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상기 저장공간으로 악취 제거제를 분사하는 악취 제거제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악취 제거제 분사부는,
상기 유로들과 연결되는 분사관들과,
상기 분사관들과 연결되어, 상기 악취 제거제를 공급하는 악취 제거제 공급기와,
상기 분사관들 상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상기 악취 제거제를 상기 유로들로 공급하는 공급 펌프들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악취의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 악취 농도를 이루도록 상기 악취 제거제 공급기와 상기 공급 펌프들을 사용하여 상기 저장 공간에 악취 제거제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정화조 본체의 내부 벽체에서 이동 및 돌출 가능하여 회전되는 분쇄날을 구비하여, 정화조 내부 수용되는 오수에 포함되는 스컴 또는 이물질을 잘게 분쇄하고, 분쇄되는 고체 상의 이물질을 별도로 포집 한 이후 별도로 배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정화조 내부 자체에서 일정의 진동 및 일정의 열을 형성하여 저장되는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상태에서, 악취 농도에 따른 악취 제거제를 투입하여 일정 수준의 악취 농도를 유지하여 일정 이상의 악취가 역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 주택 단지에 설치되어, 각 세대들로부터의 오수가 오수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는 동안에 오수관의 대수 위치에서 배출되는 오수에 포함되는 악취를 배출함과, 일정 주기에 이르면 오수관 내부를 세척 및 제거하여 악취의 근원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쇄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분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장치에 브러쉬 수단이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쇄 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부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는 다수 세대로부터의 오수관들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관들(50)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쇄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는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정화조 본체부(100)와, 상기 정화조 본체부(100)의 저장 공간을 이루는 내벽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고체상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이물질 분쇄부(200)와, 상기 정화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되는 오수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악취의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악취 농도를 이루도록 상기 저장 공간에 악취 제거제를 공급하는 악취 제거부(30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분쇄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이물질 분쇄부(200)는 다수의 분쇄 장치(210)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분쇄 장치(210) 각각은 신축되는 축(211a)을 갖는 실린더(211)와, 상기 축(211a)의 단부에 설치되며, 회전축(212a)을 갖는 회전 모터(212)와, 상기 회전축(212a)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분쇄날(213)과, 상기 실린더(211)와, 상기 회전 모터(212)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21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분쇄 장치(210) 각각의 상기 실린더(211)는 상기 저장 공간을 이루는 상기 정화조 본체부(100)의 내벽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214)는 상기 측정되는 악취의 농도에 일정 비율로 비례되도록 상기 회전 모터(212)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날(213)의 회전 속도와 상기 실린더(211)를 사용하여 상기 축(211a)의 돌출 및 삽입 동작에 따른 상기 축(211a)의 돌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조 본체부(100)는 배출 유닛(900)을 구비한다
상기 배출 유닛(900)은 악취 배출관(910)과, 상기 악취 배출관(910) 상에 설치되는 펌프(P)와, 상기 악취 배출관(910) 상에 설치되는 배기팬(920)과, 소취제 제공부(930)를 포함한다.
상기 악취 배출관(910)의 일단은 상기 정화조 본체부(100)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펌프(P)와, 상기 배기팬(920)과 상기 소취제 제공부(930)는 제어기(214)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소취제 제공부(930)는 악취로 인한 냄새를 제거하는 소취제를 상기 악취 배출관(910)으로 공급하되, 상기 배기팬(920)의 전단에서 공급한다.
상기 구성을 통해 제어기(214)는 펌프(P) 및 배기팬(920)을 구동시킨다. 펌프(P)의 구동을 통해 정화조 본체부(100) 내부의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악취 배출관(91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배기팬(920)의 구동을 통해 상기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어기(214)는 악취 배출관(910)으로 소취제를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배출되는 악취를 포함한 공기는 공급되는 소취제에 의하여 악취가 중화되는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배출 유닛(900)은 구성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 장치에 브러쉬 수단이 구비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분쇄 장치들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다수의 분쇄 장치(210) 각각은, 브러쉬 수단(400)을 구비한다.
상기 브러쉬 수단(400)은 회전기(410)와, 상기 회전기(4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 부재(42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기(410)는 제 1기어(411a)를 회전시키는 기어 모터(411)와, 상기 제 1기어(411a)와 기어치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2기어(412)를 갖는다.
상기 브러쉬 부재(420)는 상기 제 2기어(412)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 모터(411)는 상기 실린더(211)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기어(411a)의 외주 일부는, 상기 실린더(211)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 2기어(412)는 내주에 제 2기어치가 형성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기어(412)의 중공은, 상기 실린더(211)에 끼워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기어(412)의 상기 제 2기어치는, 상기 제 1기어(411a)의 외주에 기어치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실린더(211)의 외주 다수 위치에는, 상기 제 2기어(412)의 상기 제 2기어치에 기어치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아이들 기어들(413)이 설치된다.
상기 브러쉬 부재(420)는, 상기 제 2기어(412)의 외주를 따라 결합된다.
상기 브러쉬 부재(420)의 일면부는 상기 저장 공간을 이루는 내벽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어기(214)는 상기 기어 모터(411)를 사용하여, 상기 제 1기어(411a)를 회전시킨다.
상기 제 1기어(411a)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기어(412)는 회전된다.
상기 제 2기어(412)에 설치된 상기 브러쉬 부재(4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내벽에 형성되는 응고된 이물질은 브러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부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정화조 본체부(100)의 내벽에는, 다수의 분사 노즐(110)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분사 노즐(110)은 상기 정화조 본체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들(120)과 연결된다.
상기 악취 제거부(300)는 상기 정화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 공간에서의 악취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악취의 농도를 상기 제어기(214)로 전송하는 냄새 센서(310)와, 상기 제어기(214)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정화조 본체부(100)의 상기 저장공간으로 악취 제거제를 분사하는 악취 제거제 분사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악취 제거제 분사부(320)는 상기 유로들(120)과 연결되는 분사관(321)과, 상기 분사관(321)과 연결되어, 상기 악취 제거제를 공급하는 악취 제거제 공급기(322)와, 상기 분사관(321) 상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상기 악취 제거제를 상기 유로들(120)로 공급하는 공급 펌프(323)를 구비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기(214)는 측정되는 상기 악취의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 악취 농도를 이루도록 상기 악취 제거제 공급기(322)와 상기 공급 펌프(323)를 사용하여 상기 저장 공간에 악취 제거제를 공급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정화조 본체의 내부 벽체에서 이동 및 돌출 가능하여 회전되는 분쇄날을 구비하여, 정화조 내부 수용되는 오수에 포함되는 스컴 또는 이물질을 잘게 분쇄하고, 분쇄되는 고체 상의 이물질을 별도로 포집 한 이후 별도로 배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정화조 내부 자체에서 일정의 진동 및 일정의 열을 형성하여 저장되는 오수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상태에서, 악취 농도에 따른 악취 제거제를 투입하여 일정 수준의 악취 농도를 유지하여 일정 이상의 악취가 역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공동 주택 단지에 설치되어, 각 세대들로부터의 오수가 오수관을 통해 정화조로 배출되는 동안에 오수관의 대수 위치에서 배출되는 오수에 포함되는 악취를 배출함과, 일정 주기에 이르면 오수관 내부를 세척 및 제거하여 악취의 근원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본체부
200 : 이물질 분쇄부
300 : 악취 제거부
400 : 브러쉬 수단
500 : 진동 발생기
600 : 포집부
700 : 건조부
800 : 밀대 수단
900 : 배출 유닛

Claims (4)

  1. 다수 세대로부터의 오수관들과 연결되어, 상기 오수관들을 통해 배출되는 오수가 저장되는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는,
    상기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정화조 본체부와,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저장 공간을 이루는 내벽에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오수에 포함되는 고체상의 이물질을 분쇄하는 이물질 분쇄부; 및,
    상기 정화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되는 오수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되는 악취의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악취 농도를 이루도록 상기 저장 공간에 악취 제거제를 공급하는 악취 제거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물질 분쇄부는,
    다수의 분쇄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분쇄 장치 각각은,
    신축되는 축을 갖는 실린더와,
    상기 축의 단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을 갖는 회전 모터와,
    상기 회전축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분쇄날과,
    상기 실린더와,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분쇄 장치 각각의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저장 공간을 이루는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내벽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정되는 악취의 농도에 일정 비율로 비례되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날의 회전 속도와 상기 실린더를 사용하여 상기 축의 돌출 및 삽입 동작에 따른 상기 축의 돌출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다수의 분쇄 장치 각각은, 브러쉬 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브러쉬 수단은,
    회전기와,
    상기 회전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기는, 제 1기어를 회전시키는 기어 모터와,
    상기 제 1기어와 기어치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2기어를 갖고,
    상기 브러쉬 부재는, 상기 제 2기어에 설치되고,
    상기 기어 모터는,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기어의 외주 일부는, 상기 실린더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 2기어는 내주에 제 2기어치가 형성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기어의 중공은, 상기 실린더에 끼워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기어의 상기 제 2기어치는, 상기 제 1기어의 외주에 기어치 방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주 다수 위치에는, 상기 제 2기어의 상기 제 2기어치에 기어치 방식으로 연결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아이들 기어들이 설치되고,
    상기 브러쉬 부재는, 상기 제 2기어의 외주를 따라 결합되고,
    상기 브러쉬 부재의 일면부는,
    상기 저장 공간을 이루는 내벽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기어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 1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기어는 회전되고,
    상기 제 2기어에 설치된 상기 브러쉬 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내벽에 형성되는 응고된 이물질은 브러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내벽에는, 다수의 분사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분사 노즐은,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들과 연결되고,
    상기 악취 제거부는,
    상기 정화조 본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 공간에서의 악취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악취의 농도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냄새 센서와,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정화조 본체부의 상기 저장공간으로 악취 제거제를 분사하는 악취 제거제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악취 제거제 분사부는,
    상기 유로들과 연결되는 분사관들과,
    상기 분사관들과 연결되어, 상기 악취 제거제를 공급하는 악취 제거제 공급기와,
    상기 분사관들 상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상기 악취 제거제를 상기 유로들로 공급하는 공급 펌프들을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측정되는 상기 악취의 농도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 악취 농도를 이루도록 상기 악취 제거제 공급기와 상기 공급 펌프들을 사용하여 상기 저장 공간에 악취 제거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1020230078688A 2023-06-20 2023-06-20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102571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688A KR102571233B1 (ko) 2023-06-20 2023-06-20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688A KR102571233B1 (ko) 2023-06-20 2023-06-20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1233B1 true KR102571233B1 (ko) 2023-08-25

Family

ID=87846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688A KR102571233B1 (ko) 2023-06-20 2023-06-20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12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72B1 (ko) * 2023-09-12 2024-01-02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구조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463A (ja) * 1992-04-07 1993-11-02 Ishikawajima Inspection & Instrumentation Co 水中清掃用吸盤
KR101783635B1 (ko) 2016-07-11 2017-10-23 (주)한길 하수관 및 정화조의 악취 정화 장치
KR101790307B1 (ko) * 2016-10-25 2017-10-25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KR101957463B1 (ko) * 2018-08-16 2019-06-19 정귀영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KR102063645B1 (ko) * 2019-10-04 2020-01-08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악취가스의 탈취장치
KR102282157B1 (ko) * 2021-03-02 2021-07-26 유한회사 코리아베스트환경 축사의 악취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 방법
KR102334347B1 (ko) * 2021-07-26 2021-12-03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20230050651A (ko)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에이시에스 하수처리장 악취 제거 장치 및 탈취제의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463A (ja) * 1992-04-07 1993-11-02 Ishikawajima Inspection & Instrumentation Co 水中清掃用吸盤
KR101783635B1 (ko) 2016-07-11 2017-10-23 (주)한길 하수관 및 정화조의 악취 정화 장치
KR101790307B1 (ko) * 2016-10-25 2017-10-25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KR101957463B1 (ko) * 2018-08-16 2019-06-19 정귀영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KR102063645B1 (ko) * 2019-10-04 2020-01-08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악취가스의 탈취장치
KR102282157B1 (ko) * 2021-03-02 2021-07-26 유한회사 코리아베스트환경 축사의 악취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악취물질 제거 방법
KR102334347B1 (ko) * 2021-07-26 2021-12-03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20230050651A (ko) * 2021-10-08 2023-04-17 주식회사 에이시에스 하수처리장 악취 제거 장치 및 탈취제의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72B1 (ko) * 2023-09-12 2024-01-02 (주)나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1233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IL118829A (en) Litter apparatus
KR102334347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JP2008504861A (ja) 移動式簡易トイレ
KR101790307B1 (ko)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KR10141736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자동세척장치 및 이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US6746612B2 (en) Water recycling system and method
KR1006820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CN111904317A (zh) 免冲水可回收粪尿资源的蹲坐两用厕具
KR102302481B1 (ko) 자정기능을 갖춘 음식물처리기
KR102302487B1 (ko) 음식물처리기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JP2007325998A (ja) ディスポーザ
KR10068686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12009B1 (ko) 하수처리장을 포함하는 수처리 시설 내 공기를 이용하는 풍력발전기
KR100640545B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CN111197330A (zh) 适用于抽吸式管道排污的餐厨废物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100307018B1 (ko) 브러쉬형 집진장치
KR2009012475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탈취장치
KR200356326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2619872B1 (ko) 공동주택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구조물
KR102649373B1 (ko) 공동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친환경 정화조 시설 구조물
KR20140040588A (ko) 주행풍을 이용하는 쓰레기통
JP3178329U (ja) バイオマストイレ
KR20050099423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0761756B1 (ko) 족동식 악취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