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463B1 -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463B1
KR101957463B1 KR1020180095467A KR20180095467A KR101957463B1 KR 101957463 B1 KR101957463 B1 KR 101957463B1 KR 1020180095467 A KR1020180095467 A KR 1020180095467A KR 20180095467 A KR20180095467 A KR 20180095467A KR 101957463 B1 KR101957463 B1 KR 101957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cleaning
housing
uni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귀영
Original Assignee
정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귀영 filed Critical 정귀영
Priority to KR102018009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04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52Drainage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7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e.g. brushes,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20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 B08B9/2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using apparatus into or on to which containers, e.g. bottles, jars, cans are brought the apparatus cleaning by splash, spray, or jet application, with or without so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8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containers, e.g.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탱크의 플랜지에 밀착되게 고정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탱크의 내부로 배치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수단;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의 내부로 배치되며, 상기 세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이의 탱크 세척장치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수단을 통해 탱크의 내측에 구비되는 세척수단을 탱크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탱크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탱크의 내측 전체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Description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WASHING DEVICE FOR TANK AND WASHING OF TANK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탱크 세척장치를 통해 탱크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는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뇨, 화학물, 유류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운송하는 차량은 후방에 탱크가 설치된다. 전술한 내용물을 운송한 후, 탱크의 내면에는 내용물의 잔량이 부착된 채로 남아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 경우 잔량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퇴적층을 이루며, 잔량들이 부패하여 탱크의 내부가 심히 오염되어 악취는 물론 잔량들로부터 독소가 배출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된 탱크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매번 탱크에 들어가 탱크의 내부를 세척하는데, 이를 작업자가 직접적으로 수행할 경우 매우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심각하게는 화학물 또는 유류의 경우에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탱크의 내부를 세척하는 기계식 세척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세척장치와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83939호(2005.05.02) "탱크 세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따른 세척장치는 한 쌍의 가이드하우징과 하우징 플랜지를 구비한 승강부, 수개의 링크부재와 승강대 돌기부가 결합한 신축부 및 나사축을 돌리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세척장치는 대소형탱크의 내부를 균일하게 세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세척장치는 탱크의 내부를 세척하기 위하여,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만을 탱크의 내부면으로 분사하여 세척할 뿐, 다른 어떠한 구성이나 장치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탱크 내부의 세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세척장치는 신축부를 통해 노즐을 통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탱크의 내부를 세척한다고 하였으나, 이는 단순히 탱크의 내부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게 하는 특징으로, 이를 통해서는 탱크 내부에 퇴적된 이물질이나 모서리부분에 끼인 이물질 등을 완벽히 제거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탱크의 내부에는 지속적으로 이물질이 잔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물질의 부폐에 의한 독소 배출이나 악취 등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세척장치는 신축부가 설치되는 가이드하우징이 높낮이조정볼트에 의해 승강되나, 가이드하우징을 고정하거나 지지할 어떠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신축부가 작동되거나 노즐이 작동될 경우에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가이드하우징에 진동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신축부나 노즐 역시 진동이 발생되기 때문에 탱크 내부에 원하는 위치를 세척할 수 없으며, 심지어 외력에 의해 각 구성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세척장치는 탱크 내부에 분사된 세척수, 이의 세척수를 통해 제거된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없는 것은 물론, 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제거할 수도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세척장치는 탱크 내부에 이물질이 퇴적된 위치를 파악할 수 없는 것은 물론, 탱크 내부에 유지보수가 필요한 위치 등 특정 위치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세척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20-0383939호(2005.05.02) "탱크 세척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수단을 탱크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탱크의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는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세척수단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탱크의 내부에 고정시켜 세척수단의 이동과정이나 세척수의 분사과정 및 압축공기의 분사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방지할 수 있는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탱크 내부의 세척을 위해 분사된 세척수, 이의 세척수를 통해 제거된 이물질, 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 등을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는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탱크 내에 잔존하는 세척수, 이물질, 악취 등을 탱크 내부에 마련되는 흡입로로 유도할 수 있는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탱크의 내부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퇴적된 이물질의 위치, 부식이나 파손 등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는 탱크의 플랜지에 밀착되게 고정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탱크의 내부로 배치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수단;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의 내부로 배치되며, 상기 세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탱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추어 상기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커버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탱크의 바닥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내측면 일부분에 배치시키는 제1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의 폭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면서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내측면 다른 일부분에 배치시키는 제2이동부;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구비되는 회전축의 끝단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탱크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부는 내측에 상기 지지부가 관통상태로 수용되는 중공이 형성된 승강블럭; 및 상기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비되는 와이어의 끝단이 상기 승강블럭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승강블럭을 승강시키는 수직이동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승강블럭의 일측면에 상기 승강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승강블럭의 일측에 설치되고, 신축가능한 로드의 끝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를 신축시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다수개의 링크부재가 서로 절첩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들 중 일측에 배치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세척수단의 일측에 힌지연결되며, 타측에 배치된 상기 링크부재 중 하나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에 배치된 상기 링크부재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승강블럭의 일측에 힌지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들이 절첩되면서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폭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을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지지부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함체형태를 이루되, 하부에 제1연결홀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제1지지블럭; 상기 제1지지블럭에 대응되는 형태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함체형태를 이루되, 상부에 상기 제1지지블럭의 제1연결홀에 대응하는 형태의 제2연결돌기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제2연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돌기가 상기 제1지지블럭의 제1연결홀에 끼워져 상기 제1지지블럭과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제2지지블럭; 및 상기 탱크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2지지블럭의 제2연결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고정유닛은 상부에 상기 제2지지블럭의 제2연결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환홈이 마련되고, 하부에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판이 마련되며, 내부에 세척수나 이물질 등이 이동되는 흡입로가 마련되는 바디; 및 상기 연장판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의 바닥면에 흡착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바디를 상기 탱크의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흡착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는 하부에 외주면 일측으로부터 상기 탱크의 바닥면에 이르기까지 상기 탱크의 폭방향으로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어 상기 탱크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상기 세척수나 이물질 등이 상기 흡입로로 안내되도록 하는 안내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세척수단은 함체형태를 이루고, 내부에 다수개의 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이동유닛의 링크부재들 중 일측에 배치된 상기 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로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노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로 중 다른 어는 하나와 연결되고, 전방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과 상기 탱크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제1센서;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링크부재를 힌지연결하는 힌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상기 흡입로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탱크 내부에 기류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류형성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이 머무르는 위치에 존재하는 악취의 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농도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제2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탱크의 내측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신호를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검사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은 세척할 탱크에 탱크 세척장치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설치단계 후, 제1이동부를 통해 세척수단을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하강시킴과 동시에, 하우징의 전방면이 상기 탱크의 내측 상면을 향하도록 제1모터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제1회전값만큼 회전시키는 세척준비단계; 상기 세척준비단계 후, 상기 탱크의 내측면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및 상기 세척단계 중, 상기 탱크의 내측면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척수와 상기 탱크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로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단계;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세척준비단계 후, 제2이동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탱크의 내측 측면으로 전진이동시키면서 세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의 내측 상부면을 세척하는 제1세척단계; 상기 제1세척단계 후, 상기 제2이동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이 상기 탱크의 내측 측면으로부터 비교거리값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이 상기 탱크의 내측 측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1모터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1회전값만큼 회전시키면서 상기 세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의 상부측 모서리를 세척하는 제2세척단계; 상기 제2세척단계 후, 상기 제1이동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시키면서 상기 세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의 내측 측면을 세척하는 제3세척단계; 상기 제3세척단계 후, 상기 제1이동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이 상기 탱크의 내측 하면으로부터 상기 비교거리값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이 상기 탱크의 내측 하면을 향하도록 상기 제1모터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제1회전값만큼 회전시키면서 상기 세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의 하부측 모서리를 세척하는 제4세척단계; 및 상기 제4세척단계 후, 상기 제2이동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폭방향을 따라 중앙으로 후진이동시키면서 상기 세척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탱크의 내측 하부면을 세척하는 제5세척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단계와 동시에, 세척수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분사단계; 에어분사노즐을 통해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압출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단계; 및 회전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제3회전값만큼 상기 탱크의 둘레방향을 따라 왕복회전시키는 세척수단 회전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제1세척단계에서, 제1센서 중, 하부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모듈로 전달한 후, 비교부를 통해 상기 거리값과 설정된 비교거리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리값이 상기 비교거리값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이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1거리값측정단계; 및 상기 제2세척단계에서, 상기 제1센서 중, 하부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한 후, 상기 비교부를 통해 상기 거리값과 설정된 비교거리값을 비교하여 상기 거리값이 상기 비교거리값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1이동부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2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2거리값측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단계는 상기 제1세척단계 내지 제5세척단계 중, 검사유닛을 통해 상기 탱크의 내측면을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신호를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영상촬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를 이용한 탱크의 악취제거방법은 악취를 제거할 탱크에 탱크 세척장치를 설치하는 설치단계; 상기 설치단계 후, 제1이동부를 통해 세척수단을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하강시킴과 동시에, 하우징의 전방면이 상기 탱크의 내측 하면을 향하도록 제1모터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제1회전값만큼 회전시키는 악취제거준비단계; 상기 악취제거준비단계 후, 기류형성유닛을 통해 상기 탱크의 내부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단계; 상기 와류발생단계 후, 상기 세척수단을 이동시키면서 악취를 흡입로로 유도하는 악취유도단계; 및 상기 악취유도단계 중, 상기 기류형성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의 흐름으르 따라 유동되는 악취를 상기 흡입로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악취배출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악취유도단계는 상기 와류발생단계 후, 제2이동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폭방향을 따라 전후진 왕복 이동시키는 제1유도단계; 및 상기 제1이동단계 후, 제1이동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승강시키는 제2이동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악취유도단계와 동시에, 회전부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지지부를 기준으로 제3회전값만큼 상기 탱크의 둘레방향을 따라 왕복회전시키는 세척수단 회전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단계 전, 제2센서를 통해 상기 세척수단이 머무르는 위치에 존재하는 악취를 측정한 농도값을 제어모듈로 전달한 후, 비교부를 통해 상기 농도값과 설정된 농도비교값을 비교하여 상기 농도값이 상기 농도비교값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이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5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하는 농도측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에 의하면, 이동수단을 통해 탱크의 내측에 구비되는 세척수단을 탱크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탱크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를 이용하여 탱크의 내측 전체면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를 탱크 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세척수단이 지지부에 지지된 상태를 이룸에 따라 세척수단의 이동과정, 세척수의 분사과정, 압축공기의 분사과정 등 탱크의 내측면을 세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세척수단이 배치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입로를 통해 탱크의 내측면을 세척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척수, 이에 의해 분리되는 이물질 및 탱크 내에 존재하는 악취를 탱크의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단을 통해 탱크의 하부면을 세척하는 과정에서, 에어분사부를 통해 분사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탱크의 바닥면에 잔존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이 흡입로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고, 이동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은 안내돌기의 경사면을 따라 흡입로로 용이하게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기류형성유닛을 통해 탱크 내부에 형성되는 와류에 의해 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가 흡입로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즉, 탱크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탱크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검사유닛을 통해 탱크의 내측면에 퇴적된 이물질의 위치나 부식이나 파손 등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탱크 내측의 특정부분만을 집중적으로 세척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를 탱크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가능한 세척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탱크의 내측면을 세척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탱크 내에 존재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탱크의 세척방법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1), 세척수단(110), 이동수단(120) 및 제어모듈(180)을 포함한다.
커버(101)는 탱크(10)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의 개구를 이루는 플랜지(11)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101)는 원형의 판재로 형성되고, 끝단에 등간격으로 절개홈(101a)이 형성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커버(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의 플랜지(11) 상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절개홈(101a) 내부로 삽입되는 볼트와 이를 고정하는 너트에 의한 결합구조에 의해 탱크(10)의 커버(101)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일반적인 결합구조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커버(101)는 탱크(10)의 내부를 용이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커버(101)는 내측에 다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은 외부와 내부를 연통하는 구성으로,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진공펌프에 연결된 각종 호스 및 후술할 회전부(170)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연결부재 등이 관통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에는 탱크(10)의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패킹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세척수단(110)은 탱크(10)의 내부를 세척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 세척수분사노즐(112), 에어분사노즐(113), 세척부재(114), 제1센서(115) 및 제1모터(116)를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세척수단(110)의 각 구성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함체형태를 이루고, 내부에 다수개의 관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 즉, 탱크(10)의 내측면을 바라보는 전방면에 후술할 세척부재(114)가 장착되는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1)은 일측 또는 양측에 연결브라켓이 마련되고, 이의 연결브라켓에 후술할 제2이동부(160)의 링크부재(168)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된 상태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척수분사노즐(112)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별도로 마련되는 세척수저장조로부터 공급받는 세척수를 분사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세척수분사노즐(112)은 전술한 하우징(111)의 일측면 즉, 전방면에 배치되어 하우징(111)에 마련된 관로 중 하나인 세척수가 지나는 관로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이의 관로에 연통되게 연결된 세척수저장조의 세척수배출호스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하우징(111)의 전방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세척수분사노즐(112)은 내부에 체크밸브가 마련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세척수만을 하우징(111)의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에어분사노즐(113)은 에어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로 마련되는 진공펌프로부터 공급받는 압축공기를 분사시킬 수 있다. 자세하게는, 에어분사노즐(113)은 전술한 하우징(111)의 일측면 즉, 전방면에 배치되어 하우징(111)에 마련된 관로 중 하나인 압출공기가 지나는 관로에 연통되게 연결되고, 이의 관로에 연통되게 연결된 진공펌프의 에어배출호스로부터 공급받는 압축공기를 하우징(111)의 전방으로 분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에어분사노즐(113)은 내부에 체크밸브가 마련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공기만을 하우징(111)의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세척부재(114)는 탱크(10)의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으로, 소정의 형태를 이루는 스폰지나 우레탄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세척부재(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하우징(111)의 일측면 즉, 전방면에 마련되는 연결홈에 끼워져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하우징(111)의 전방면으로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세척부재(11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탱크(10)의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데, 후술할 탱크세척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1센서(115)는 하우징(111)의 전방면과 탱크(1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거리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센서(11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111)의 전방면을 향해 배치되어 마주보는 탱크(10)의 내측면과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값을 후술할 제어모듈(18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센서(115)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센서(115)는 하우징(111)의 전방면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배치되는 전방센서, 상측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상부센서 및 하측방향을 향해 배치되는 하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센서(115)는 각 센서들을 통해 하우징(111)의 전방면, 상측면, 하측면으로부터 탱크(1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를 제각기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제1모터(116)는 전술한 하우징(111)을 일정각도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통상적인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모터(116)는 하우징(1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1모터(116)는 하우징(111)의 연결브라켓 외측에 설치된 상태로, 하우징(111)의 연결브라켓과 후술할 제2이동부(160)의 링크부재(168)를 힌지연결하는 힌지축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모터(116)는 별도로 구비되는 기어 등을 통해 하우징(111)과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모터(116)는 후술할 제어모듈(180)의 데이터베이스부(181)에 저장되는 설정된 제1회전값에 따라 하우징(111)을 일정각도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제1회전값은 대략 90°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세척수단(110)은 제2센서(117), 기류형성유닛(118) 및 검사유닛(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센서(117)는 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의 농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악취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센서(11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될 수 있고, 하우징(111)이 머무르는 위치에 존재하는 악취의 농도를 감지한 농도값을 후술할 제어모듈(180)로 전달할 수 있다.
기류형성유닛(118)은 탱크(10)의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2모터(118a)와 이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회전팬(118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류형성유닛(11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기류형성유닛(118)의 회전팬(118b)은 하우징(111)의 전방면을 기준으로 상부로 기류를 발생시키는 상부팬, 하부로 기류를 발생시키는 하부팬, 전방으로 기류를 발생시키는 전방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류형성유닛(118)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팬(118b)을 통해 탱크(10) 내부에 기류를 발생시켜 와류를 형성하고, 와류의 흐름을 통해 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후술할 흡입로(138c)로 유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후술할 악취제거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검사유닛(119)은 탱크(10)의 내측면에 퇴적된 이물질의 위치, 부식이나 파손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위치 등을 파악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검사유닛(119)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하우징(111)의 전방면을 향해 배치되어 마주보는 탱크(10)의 내측면을 촬영한 영상신호를 제어모듈(18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동수단(120)은 전술한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30), 제1이동부(150), 제2이동부(160) 및 회전부(170)를 포함한다.
지지부(130)는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블럭(131), 제2지지블럭(133) 및 고정유닛(137)을 포함한다.
제1지지블럭(131)은 지지부(130)를 이루는 구성 중 하나의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함체형태를 이루고, 하부에 소정 형태의 제1연결홀(131a)이 형성되며, 상부에 후술할 회전부(170)의 회전축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지지블럭(131)의 함체가 이루는 외측 둘레의 형태는 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지지블럭(131)이 회전부(170)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구동력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는데, 이에 연결되는 후술할 승강블럭(151)을 함께 회전시키기 위함으로, 후술할 승강블럭(151)과 함께 설명한다.
그리고, 제1지지블럭(131)에 형성되는 제1연결홀(131a)의 형태는 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지지블럭(131)의 제1연결홀(131a)에 후술할 제2지지블럭(133)의 제2연결돌기(133a)가 끼워져 연결되는데, 이때 별도의 구성없이 후술할 회전부(170)에 의해 회전되는 제1지지블럭(131)에 연동되어 제2지지블럭(133)이 회전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이루기 위함이다.
제2지지블럭(133)은 지지부(130)를 이루는 구성 중 다른 하나의 구성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함체형태를 이루고, 상부에 전술한 제1지지블럭(131)의 제1연결홀(131a)에 대응하는 형태의 제2연결돌기(133a)가 돌출형성되며, 하부에 소정 형태의 제2연결홀(133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지블럭(133)은 상부에 형성된 제2연결돌기(133a)가 제1지지블럭(131)의 제1연결홀(131a)에 끼워짐에 따라 제1지지블럭(131)과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지지블럭(133)의 함체가 이루는 외측 둘레의 형태는 전술한 제1지지블럭(131)에 대응하는 외측 둘레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지지블럭(133)을 제1지지블럭(131)에 연결하여 제1지지블럭(131)의 형태 그대로 길이가 연장된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승강블럭(151)이 제1지지블럭(131)과 제2지지블럭(133)을 왕래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2지지블럭(133)의 제2연결홀(133b)의 형태는 예컨대, 원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지지블럭(133)의 제2연결홀(133b)에 후술할 고정유닛(137)의 바디(138)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정유닛(137)은 전술한 제1지지부(130) 및 제2지지부(1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탱크(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38) 및 흡착기(139)를 포함한다.
바디(138)는 전술한 제2지지블럭(133)과 연결되는 구성으로,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바디(138)는 환홈(138a), 연장판(138b) 및 흡입로(138c)를 포함한다.
환홈(138a)은 전술한 제2지지블럭(133)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으로, 바디(138)의 상부에 제2지지블럭(133)의 제2연결홀(133b)의 내측 둘레에 대응하는 둘레로 바디(138)의 외주연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홈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환홈(138a)은 바디(138)가 제2지지블럭(133)의 제2연결홀(133b)에 끼워진 상태에서, 홈부분으로 제2연결홀(133b)을 마련하는 제2지지블럭(133)의 일부분이 연결됨에 따라 제2지지블럭(133)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연장판(138b)은 후술할 흡착기(139)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바디(138)의 하부에 외주연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연장형성되는 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연장판(138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38)의 하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일측에 설치되는 흡착기(139)를 하단에 배치하기 위함이다. 즉, 연장판(138b)의 하단과 탱크(10)의 바닥면 사이에 흡착기(139)를 배치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흡입로(138c)는 전술한 세척수단(11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나 이의 세척수로 인해 제거되는 이물질 등이 흡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바디(138)의 하부로부터 내부를 관통하여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입로(138c)에는 전술한 진공펌프의 에어흡입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로(138c)는 전술한 진공펌프에 의한 흡입작용에 의해 탱크(1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세척수나 이물질 등이 흡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바디(138)는 안내돌기(138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돌기(138d)는 탱크(10)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세척수나 이물질 등이 전술한 흡입로(138c)로 안내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디(138)에 형성된 연장판(138b)의 하부에 배치되고, 바디(138)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주연을 따라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게 돌출형성되되, 바디(138)의 하단에 이르기까지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는 돌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돌기(138d)는 전술한 진공펌프에 의한 흡입작용에 의해 흡입되는 세척수나 이물질 등이 경사를 따라 탱크(10)의 바닥면으로부터 흡입로(138c)로 용이하게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흡착기(139)는 바디(138)를 탱크(10)의 바닥면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통상적인 진공흡착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착기(139)는 전술한 진공펌프의 다른 에어흡입호스가 연결된 상태로, 바디(138)의 연장판(138b)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기(139)는 진공펌프에 의한 흡입작용에 의해 부착면 즉, 탱크(10)의 바닥면에 흡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바디(138)를 탱크(10)의 바닥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부(130)는 전술한 지지부(130)의 구성들 간의 연결에 의해 탱크(10)의 길이만큼 길이가 갖춰질 수 있는데, 이는 사전에 탱크(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작할 수 있고, 지지부(13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3지지블럭(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지지블럭(135)은 지지부(130)를 이루는 별도의 구성 중 하나의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함체형태를 이루고, 상부에 전술한 제1지지블럭(131)의 제1연결홀(131a)에 대응하는 형태의 제3연결돌기(135a)가 돌출형성되며, 하부에 소정 형태의 제3연결홀(135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지지블럭(135)은 상부에 형성된 제3연결돌기(135a)가 제1지지블럭(131)의 제1연결홀(131a)에 끼워짐에 따라 제1지지블럭(131)과 일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지지블럭(135)의 함체가 이루는 외측 둘레의 형태는 전술한 제1지지블럭(131)에 대응하는 외측 둘레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지지블럭(135)을 제1지지블럭(131)과 제2지지블럭(133) 사이에 연결하여 제1지지블럭(131)과 제2지지블럭(133)의 형태 그대로 길이가 연장된 형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승강블럭(151)이 제1지지블럭(131) 내지 제3지지블럭(135)을 왕래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제3지지블럭(135)은 다양한 길이를 갖는 형태로 사전에 다수개 제작될 수 있고, 전술한 제1지지블럭(131)과 제2지지블럭(133)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지지부(130)의 전체길이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3지지블럭(135)에 형성되는 제3연결홀(135b)의 형태는 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지지블럭(135)의 제3연결홀(135b)에 전술한 제2지지블럭(133)의 제2연결돌기(133a)가 끼워져 연결되는데, 이때 별도의 구성없이 회전부(170)에 의해 회전되는 제3지지블럭(135)에 연동되어 제2지지블럭(133)이 회전될 수 있는 연결구조를 이루기 위함이다.
따라서, 지지부(130)는 사전에 소정의 길이로 제작된 제1지지블럭(131), 제2지지블럭(133), 제3지지블럭(135)의 연결을 통해 탱크(1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출 수 있고, 고정유닛(137)을 통해 탱크(10)의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지지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세척수단(110)을 이동시키기 위해 연결되는 후술할 제1이동부(150) 및 제2이동부(160)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세척수단(110)이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이동부(150)는 전술한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블럭(151) 및 수직이동유닛(153)을 포함한다.
승강블럭(151)은 후술할 수직이동유닛(153)에 의해 전술한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는 구성으로,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틀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승강블럭(151)의 중공이 이루는 형태는 전술한 지지부(130)의 외주면 형태에 대응되는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승강블럭(151)의 중공으로 전술한 지지부(130) 즉, 제1지지블럭(131), 제2지지블럭(133) 또는 제3지지블럭(135)이 관통상태로 수용되는데, 이때, 승강블럭(151)의 중공이 이루는 내측면과 제1지지블럭(131), 제2지지블럭(133) 또는 제3지지블럭(135)의 외측면이 서로 맞닿는 상태를 이루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승강블럭(15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지지부(130)와의 연결구조를 이룸에 따라 지지부(130)의 제1지지블럭(131) 내지 제3지지블럭(1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고, 후술할 회전부(170)에 의해 탱크(10)의 폭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부(1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탱크(10)의 폭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다.
수직이동유닛(153)은 전술한 승강블럭(151)을 탱크(10)의 길이방향으로 수직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153b)가 구비된 일반적인 윈치(153a)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이동유닛(153)은 커버(101)의 일측에 윈치(153a)가 설치되고, 이에 구비된 와이어(153b)의 끝단이 승강블럭(151)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브라켓에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수직이동유닛(153)은 후술할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별도의 모터에 의해 윈치(153a)에 구비된 와이어(153b)를 감거나 풀어 와이어(153b)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이동유닛(153)은 와이어(153b)를 감거나 풀어 승강블럭(151)을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이동부(150)는 후술할 제2이동부(160)를 통해 승강블럭(151)에 연결되는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는데, 후술할 탱크세척과정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제2이동부(160)는 전술한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폭방향을 따라 전후진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61), 가이드부재(163), 실린더(165) 및 수평이동유닛(167)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61)은 후술할 가이드부재(163)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승강블럭(151)의 일측면 즉, 전방면에 상부에서 하부로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함몰형성되는 레일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레일(161)은 내측으로 구비되는 가이드부재(16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레일(161)은 후술할 가이드부재(163)가 이동가능하게 걸리도록 내측에 홈과 돌기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레일(161)에 구비된 가이드부재(163)가 가이드레일(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가이드부재(163)는 후술할 수평이동유닛(167)의 링크부재(168)를 절첩시키기 위한 구성 중 하나의 구성으로, 전술한 가이드레일(161)의 내측 둘레를 이루는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를 이루어 가이드레일(16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6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63)의 일측에 배치되고, 후술할 실린더(165)의 로드와 연결된 상태로 로드의 신축에 따라 가이드레일(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재(163)는 일측면에 전술한 가이드레일(161)에 형성된 홈과 돌기에 걸리도록 이에 대응하는 형태의 홈과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63)가 가이드레일(161)에 구비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16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이드레일(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실린더(165)는 전술한 가이드부재(163)를 가이드레일(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신축가능한 로드가 구비되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후술할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린더(165)는 승강부재의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에 설치되고, 구비된 로드의 끝단이 가이드부재(163)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165)는 로드를 신축시킴에 따라 가이드부재(163)를 가이드레일(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수평이동유닛(167)은 전술한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폭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다수개의 링크부재(168)가 서로 힌지연결된 상태로 절첩가능한 팬터그래프(pantograph)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이동유닛(167)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터그래프를 이루는 링크부재(168)들 중 일측에 마련된 링크부재(168)가 세척수단(110)의 일측에 배치된 연결브라켓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에 배치된 링크부재(168) 중 하나가 가이드부재(163)의 일측에 마련되는 연결브라켓에 연결되며, 타측에 배치된 링크부재(168) 중 다른 하나가 승강블럭(151)의 전방면에 마련되는 연결브라켓에 힌지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이동유닛(167)의 링크부재(168)는 실린더(165)의 로드에 의해 가이드부재(163)가 가이드레일(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가 변함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일반적인 절첩구조로, 이의 절첩과정이나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수평이동유닛(167)은 링크부재(168)에 연결된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부(170)는 전술한 지지부(130)를 탱크(1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제3모터(171)로, 통상적인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부(170)는 일측에 마련된 연결부재에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버(101)에 설치되고, 회전축이 연결된 연결부재가 커버(101)의 관통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되며, 이에 연결된 회전축의 끝단이 전술한 제1지지블럭(131)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170)는 지지부(130)를 탱크(10)의 둘레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회전부(170)는 지지부(130)에 연결된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둘레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회전부(170)는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제3회전값만큼 왕복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커버(101)를 통해 탱크(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세척수공급호스나 에어공급호스 및 별도로 마련되는 각종 케이블 등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컨대, 제3회전값은 360°이하로 설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18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모듈(1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각 구성들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특히 전술한 이동수단(120)을 제어하여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어모듈(180)은 커버(101)의 일측에 마련되는 별도의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전술한 구성들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PCB기판으로 구성되고, 이의 PCB기판에 데이터베이스부(181), 비교부(183) 및 제어부(185)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부(181)는 설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제1센서(115)를 통해 측정된 거리값과 이의 거리값에 비교되는 설정된 거리비교값, 제2센서(117)를 통해 측정된 농도값과 이의 농도값에 비교되는 설정된 농도비교값, 하우징(111)을 회전 또는 틸팅시키기 위해 설정된 제1모터(116)의 제1회전값, 회전팬(118b)을 회전시키기 위해 설정된 제2모터(118a)의 제2회전값, 지지부(130)를 회전시키기 위해 설정된 제3모터(171)의 제3회전값 및 검사유닛(119)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거리값은 세척수단(110)이 이동되면서 세척수단(110)의 전방면과 탱크(10)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측정값이 저장될 수 있고, 거리값의 비교대상인 거리비교값은 세척수단(110)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면으로부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도록 하는 입력값으로, 작업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농도값은 세척수단(110)이 머무르는 탱크(10)내 위치에 해당되는 농도를 측정한 측정값이 저장될 수 있고, 이의 비교대상인 농도비교값은 탱크(10) 내에 존재하는 악취의 허용범위를 설정하는 입력값으로, 작업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값, 제2회전값 및 제3회전값은 제각기 제1모터(116), 제2모터(118a) 및 제3모터(171)가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하는 입력값으로, 작업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부(181)는 제1이동부(150)에 의해 세척수단(110)이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하강되도록 하는 별도의 입력값이 저장될 수도 있다.
비교부(183)는 전술한 거리값과 거리비교값을 비교하거나 농도값과 농도비교값을 비교하는 구성으로, 제1센서(115)를 통해 측정된 거리값과 설정된 거리비교값을 비교하여 거리값이 거리비교값에 해당될 경우에 제1이동부(150)나 제2이동부(1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85)로 전달할 수 있고, 제2센서(117)를 통해 측정된 농도값과 설정된 농도비교값을 비교하여 농도값이 농도비교값에 해당될 경우에 제1이동부(150)나 제2이동부(1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85)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비교부(183)는 제1센서(115) 중, 전방센서를 통해 탱크(10)의 내측 상부면(10a)과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값이 거리비교값에 해당될 경우에 제1이동부(15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신호, 전방센서를 통해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과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값이 거리비교값에 해당될 경우에 제2이동부(16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2신호, 하부센서를 통해 탱크(10)의 내측 측면(10b)과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값이 거리비교값에 해당될 경우에 제2이동부(16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3신호, 하부센서를 통해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과의 거리를 측정한 거리값이 거리비교값에 해당될 경우에 제1이동부(15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4신호 및 제2센서(117)를 통해 측정한 농도값이 농도비교값에 해당될 경우에 제1이동부(1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5신호를 후술할 제어부(185)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85)는 전술한 각 구성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비교부(183)를 통해 전달받은 제1신호, 제2신호, 제3신호, 제4신호 또는 제5신호에 따라 제1이동부(150) 및 제2이동부(160)의 작동을 제각기 제어할 수 있고, 제1모터(116), 제2모터(118a) 및 제3모터(171)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100)는 모니터링수단(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니터링수단(190)은 모니터링수단(190)은 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의 농도를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술한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수단(190)은 커버(1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술한 제2센서(117)로부터 측정된 농도값을 스크린을 통해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수단(190)은 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의 농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수단(190)은 전술한 검사유닛(119)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전술한 제어모듈(180)과 유무선을 통해 연결되는 스크린을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니터링수단(190)은 전술한 데이터베이스부(181)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스크린을 통해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니터링수단(190)은 탱크(10) 내측면에 퇴적된 이물질의 위치, 부식 또는 파손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위치를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탱크 세척장치(100)의 구성을 이용하여, 탱크(10)의 내부를 자동적으로 세척하는 탱크세척과정 및 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는, 탱크(10)의 내부를 세척하는 탱크세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전술한 탱크 세척장치(1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에 설치한다.
다음,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150)에 의해 세척수단(110)이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하강된다. 이때, 세척수단(110)은 사전에 작업자가 데이터베이스부(181)에 별도로 저장시킨 입력값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하강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될 수도 있다.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수단(110)이 하강된 후,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상부면(10a)을 향하도록, 제1모터(116)에 의해 하우징(111)이 제1회전값만큼 회전된다.
여기서, 세척수단(110)은 제1모터(116)에 의해 제1회전값만큼 회전되더라도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상부면(10a)에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고 다소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때 하우징(111)에 배치되는 다수의 제1센서(115)들 중 전방센서들을 이용하여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상부면(10a)에 평행하도록 배치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탱크(10)의 내측 측면(10b) 및 내측 하부면(10c)에 평행하도록 배치시킬 수도 있다.
다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부(160)에 의해 세척수단(110)이 탱크(10)의 폭방향을 따라 탱크(10)의 측면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세척수단(110)은 제1센서(115) 중 전방센서를 통해 설정된 거리비교값만큼 탱크(10)의 내측면 즉, 탱크(10)의 내측 상부면(10a)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를 이루고, 이때, 세척수단(110)의 세척부재(114)가 탱크(10)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세척수단(110)은 탱크(1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세척부재(114)를 통해 탱크(10)의 내측 상부면(10a)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음,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단(110)이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에 다다를 경우, 세척수단(110)은 제1센서(115) 중 하부센서를 통해 설정된 거리비교값만큼 탱크(10)의 내측면 즉,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위치된다. 이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을 향하도록, 제1모터(116)에 의해 하우징(111)이 제1회전값만큼 회전된다. 이때, 하우징(111)이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을 향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재(114)가 탱크(10)의 모서리부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음,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150)에 의해 세척수단(110)이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된다.
여기서, 세척수단(110)은 제1센서(115) 중 전방센서를 통해 설정된 거리비교값만큼 탱크(10)의 내측면 즉,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를 이루고, 이때, 세척수단(110)의 세척부재(114)가 탱크(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세척수단(110)은 탱크(10)의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세척부재(114)를 통해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음,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단(110)이 탱크(10)의 하부면에 다다를 경우, 세척수단(110)은 제1센서(115) 중 하부센서를 통해 설정된 거리비교값만큼 탱크(10)의 내측면 즉,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위치된다. 이후,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을 향하도록, 제1모터(116)에 의해 하우징(111)이 제1회전값만큼 회전된다. 이때, 하우징(111)이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을 향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재(114)가 탱크(10)의 모서리부분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다음,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부(160)에 의해 세척수단(110)이 탱크(10)의 폭방향을 따라 탱크(10)의 중앙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세척수단(110)은 제1센서(115) 중 전방센서를 통해 설정된 거리비교값만큼 탱크(10)의 내측면 즉,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를 이루고, 이때, 세척수단(110)의 세척부재(114)가 탱크(1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세척수단(110)은 탱크(10)의 폭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세척부재(114)를 통해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탱크세척과정은 세척수분사노즐(112)을 통해 세척수를 탱크(10)의 내측면을 향해 지속적으로 분사시키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에어분사노즐(113)을 통해 압축공기를 탱크(10)의 내측면을 향해 지속적으로 분사시키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검사유닛(119)을 통해 탱크(10)의 내측면을 촬영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탱크세척과정은 회전부(17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탱크세척과정은 흡입로(138c)를 통해 탱크(10)의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 및 이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탱크세척과정은 설정된 탱크의 세척방법(200)에 따라 탱크 세척장치(100)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각각의 구성들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탱크세척과정을 통해 탱크(10)의 내측면을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고, 이에 사용된 세척수 및 이로 의해 분리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탱크(10)의 내측에 퇴적된 이물질의 위치는 물론 부식이나 파손 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탱크(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악취제거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전술한 탱크 세척장치(1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10)에 설치한다.
다음,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동부(150)에 의해 세척수단(110)이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하강된다. 이때, 세척수단(110)은 사전에 작업자가 데이터베이스부(181)에 별도로 저장시킨 입력값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하강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될 수도 있다.
다음,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수단(110)이 하강된 후,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을 향하도록, 제1모터(116)에 의해 하우징(111)이 제1회전값만큼 회전된다.
다음, 제어부(185)에 의해 기류형성유닛(118)이 작동된다. 이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류형성유닛(118)의 전방팬, 상부팬 및 하부팬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들에 의해 와류가 형성되고, 이러한 와류의 흐름에 따라 악취가 유동된다.
다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부(160)에 의해 세척수단(110)이 탱크(10)의 폭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된다.
다음, 세척수단(110)이 머무르는 위치에서 제2센서(117)를 통해 측정된 농도값이 농도비교값에 해당될 경우,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동부(160)에 의해 세척수단(110)이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된다.
여기서, 세척수단(110)은 별도로 데이터베이스부(181)에 저장시킨 입력값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하강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하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악취제거과정은 세척수분사노즐(112)을 통해 세척수나 악취제거약품 등을 탱크(10)의 하부면을 향해 지속적으로 분사시키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에어분사노즐(113)을 통해 압축공기를 탱크(10)의 하부면을 향해 지속적으로 분사시키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악취제거과정은 회전부(17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설명한 악취제거과정은 흡입로(138c)를 통해 악취를 흡입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악취제거과정은 설정된 탱크의 악취제거방법(300)에 따라 탱크 세척장치(100)의 구성들 중 일부를 동시에 작동시키거나, 각각의 구성들을 설정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자에 의해 수동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악취제거과정을 통해 탱크(10)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술한 탱크 세척장치(100)의 구성을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200) 및 탱크의 악취제거방법(3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는, 탱크의 세척방법(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세척방법(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할 탱크(10)에 탱크 세척장치(100)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210); 설치단계(S210) 후, 제1이동부(15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하강시킴과 동시에,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상부면(10a)을 향하도록, 제1모터(116)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제1회전값만큼 회전시키는 세척준비단계(S220); 세척준비단계(S220) 후, 탱크(10)의 내측면을 세척하는 세척단계(S230); 및 세척단계(S230) 중, 탱크(10)의 내측면을 청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척수와 탱크(10)의 내측면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흡입로(138c)를 통해 흡입하여 탱크(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이물질배출단계(S2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척단계(S230)는 세척준비단계(S220) 후, 제2이동부(16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폭방향을 따라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으로 전진이동시키면서 세척부재(114)를 이용하여 탱크(10)의 내측 상부면(10a)을 세척하는 제1세척단계(S231); 제1세척단계(S231) 후, 제2이동부(160)를 통해 세척수단(110)이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으로부터 비교거리값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을 향하도록 제1모터(116)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제1회전값만큼 회전시키면서 세척부재(114)를 이용하여 탱크(10)의 상부측 모서리를 세척하는 제2세척단계(S232); 제2세척단계(S232) 후, 제1이동부(15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강시키면서 세척부재(114)를 이용하여 탱크(10)의 내측 측면(10b)을 세척하는 제3세척단계(S233); 제3세척단계(S233) 후, 제1이동부(150)를 통해 세척수단(110)이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으로부터 비교거리값에 해당되는 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을 향하도록 제1모터(116)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제1회전값만큼 회전시키면서 세척부재(114)를 이용하여 탱크(10)의 하부측 모서리를 세척하는 제4세척단계(S234); 및 제4세척단계(S234) 후, 제2이동부(16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폭방향을 따라 중앙으로 후진이동시키면서 세척부재(114)를 이용하여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을 세척하는 제5세척단계(S2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척단계(S230)와 동시에, 세척수분사노즐(112)을 통해 탱크(10)의 내측면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탱크(10)의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수분사단계(S250); 에어분사노즐(113)을 통해 탱크(10)의 내측면에 압출공기를 분사하여 탱크(10)의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에어분사단계(S260); 및 회전부(17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제3회전값만큼 탱크(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왕복회전시키는 세척수단 회전단계(S270);를 포함한다.
그리고, 세척단계(S230)는 제2세척단계(S232)에서 제1센서(115) 중, 하부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모듈(180)로 전달한 후, 비교부(183)를 통해 거리값과 설정된 비교거리값을 비교하여 거리값이 비교거리값에 해당될 경우, 제2이동부(16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3신호를 제어부(185)로 전달하는 제1거리값측정단계(S237); 및 상기 제4세척단계(S234)에서 제1센서(115) 중, 하부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값을 제어모듈(180)로 전달한 후, 비교부(183)를 통해 거리값과 설정된 비교거리값을 비교하여 거리값이 비교거리값에 해당될 경우, 제1이동부(150)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4신호를 제어부(185)로 전달하는 제2거리값측정단계(S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세척방법(200)은 전술한 탱크 세척장치(100)의 구성 및 탱크세척과정을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200)은 탱크(10)의 내측 전체를 세척하여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이에 사용된 세척수나 분리된 이물질을 탱크(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탱크의 악취제거방법(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악취제거방법(300)은 악취를 제거할 탱크(10)에 탱크 세척장치(100)를 설치하는 설치단계(S310); 설치단계(S310) 후, 제1이동부(15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만큼 하강시킴과 동시에, 하우징(111)의 전방면이 탱크(10)의 내측 하부면(10c)을 향하도록 제1모터(116)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제1회전값만큼 회전시키는 악취제거준비단계(S320); 악취제거준비단계(S320) 후, 기류형성유닛(118)을 통해 탱크(10)의 내부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와류발생단계(S330); 와류발생단계(S330) 후, 세척수단(110)을 이동시키면서 악취를 흡입로(138c)로 유도하는 악취유도단계(S340); 및 악취유도단계(S340) 중, 기류형성유닛(118)에 의해 발생되는 와류의 흐름을 따라 유동되는 악취를 흡입로(138c)를 통해 흡입하여 상기 탱크(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악취배출단계(S350);를 포함한다.
그리고, 악취유도단계(S340)는 와류발생단계(S330) 후, 제2이동부(16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탱크(10)의 폭방향을 따라 전후진 왕복 이동시키는 제1유도단계(S241); 및 제1유도단계(S241) 후, 제1이동부(15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승강시키는 제2유도단계(S2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악취유도단계(S340)와 동시에, 회전부(170)를 통해 세척수단(110)을 지지부(130)를 기준으로 제3회전값만큼 탱크(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왕복회전시키는 세척수단 회전단계(S3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유도단계(S242) 전, 제2센서(117)를 통해 세척수단(110)이 머무르는 위치에 존재하는 악취를 측정한 농도값을 제어모듈(180)로 전달한 후, 비교부(183)를 통해 농도값과 설정된 농도비교값을 비교하여 농도값이 농도비교값에 해당될 경우, 제2이동부(16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5신호를 제어부(185)로 전달하는 농도측정단계(S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탱크의 악취제거방법(300)은 전술한 탱크 세척장치(100)의 구성 및 악취제거과정을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세척장치(100)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악취제거방법(300)은 탱크(10) 내부에 와류를 형성하여 탱크(10)의 내부에 존재하는 악취를 탱크(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10 : 탱크 101 : 커버
100 : 탱크 세척장치 110 : 세척수단
111 : 하우징 112 : 세척수분사노즐
113 : 에어분사노즐 114 : 세척부재
115 : 제1센서 116 : 제1모터
117 : 제2센서 118 : 기류형성유닛
119 : 검사유닛 120 : 이동수단
130 : 지지부 131 : 제1지지블럭
133 : 제2지지블럭 135 : 제3지지블럭
137 : 고정유닛 138 : 바디
138a : 환홈 138b : 연장판
138c : 흡입로 138d : 안내돌기
139 : 흡착기 150 : 제1이동부
151 : 승강블럭 153 : 수직이동유닛
160 : 제2이동부 161 : 가이드레일
163 : 가이드부재 165 : 실린더
167 : 수평이동유닛 168 : 링크부재
170 : 회전부 171 : 제3모터
180 : 제어모듈 181 : 데이터베이스부
183 : 비교부 185 : 제어부
190 : 모니터링수단 200 : 탱크의 세척방법
S210 : 설치단계 S220 : 세척준비단계
S230 : 세척단계 S231 : 제1세척단계
S232 : 제2세척단계 S233 : 제3세척단계
S234 : 제4세척단계 S235 : 제5세척단계
S236 : 제1거리값측정단계 S237 : 제2거리값측정단계
S240 : 이물질배출단계 S250 : 세척수분사단계
S260 : 에어분사단계 S270 : 세척수단 회전단계
300 : 탱크의 악취제거방법 S310 : 설치단계
S320 : 악취제거준비단계 S330 : 와류발생단계
S341 : 제1유도단계 S342 : 제2유도단계
S343 : 농도측정단계 S350 : 악취배출단계
S360 : 세척수단 회전단계

Claims (5)

  1. 탱크의 플랜지에 밀착되게 고정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
    상기 탱크의 내부로 배치되어 상기 탱크의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수단;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탱크의 내부로 배치되며, 상기 세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내측면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탱크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추어 상기 탱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상태로, 일측이 상기 커버에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탱크의 바닥에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되면서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내측면 일부분에 배치시키는 제1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탱크의 폭방향을 따라 전후진 왕복 이동되면서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내측면 다른 일부분에 배치시키는 제2이동부; 및
    상기 커버에 설치되고, 구비되는 회전축의 끝단이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를 상기 탱크의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이동부는,
    내측에 상기 지지부가 관통상태로 수용되는 중공이 형성된 승강블럭; 및
    상기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고, 구비되는 와이어의 끝단이 상기 승강블럭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풀어 상기 승강블럭을 승강시키는 수직이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승강블럭의 일측면에 상기 승강블럭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구비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승강블럭의 일측에 설치되고, 신축가능한 로드의 끝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로드를 신축시켜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실린더; 및
    다수개의 링크부재가 서로 절첩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상기 링크부재들 중 일측에 배치된 상기 링크부재가 상기 세척수단의 일측에 힌지연결되며, 타측에 배치된 상기 링크부재 중 하나가 상기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에 배치된 상기 링크부재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승강블럭의 일측에 힌지연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들이 절첩되면서 상기 세척수단을 상기 탱크의 폭방향으로 전후진 왕복 이동시키는 수평이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단은,
    함체형태를 이루고, 내부에 다수개의 관로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이동유닛의 링크부재들 중 일측에 배치된 상기 링크부재에 회전가능하게 힌지연결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로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전방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분사노즐;
    상기 하우징의 상기 관로 중 다른 어느 하나와 연결되고, 전방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노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탱크의 내측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부재;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방면과 상기 탱크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거리값을 상기 제어모듈로 전달하는 제1센서;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링크부재를 힌지연결하는 힌지축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제1모터;를 포함하는 탱크 세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95467A 2018-08-16 2018-08-16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KR10195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67A KR101957463B1 (ko) 2018-08-16 2018-08-16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467A KR101957463B1 (ko) 2018-08-16 2018-08-16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463B1 true KR101957463B1 (ko) 2019-06-19

Family

ID=6710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467A KR101957463B1 (ko) 2018-08-16 2018-08-16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4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2431A (zh) * 2018-05-09 2018-10-19 马鞍山市华夏液压机械设备有限公司 升降可调节式油缸清洗装置
CN112170407A (zh) * 2020-09-29 2021-01-05 淳安县九景新型建材厂 一种建筑施工用洗涤盆自动清洗器
CN112588739A (zh) * 2020-11-26 2021-04-02 河南省儿童医院郑州儿童医院 一种气管镜清洗装置
KR102571233B1 (ko) * 2023-06-20 2023-08-2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939Y1 (ko) 2005-02-24 2005-05-10 (주)서진산업 탱크 세척장치
KR101224010B1 (ko) * 2012-04-14 2013-01-21 (주)신원이앤씨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KR101298090B1 (ko) * 2011-07-22 2013-08-20 탱크테크 (주) 휴대형 랙기어부를 구비한 탱크세척기의 파킹장치
KR101535266B1 (ko) * 2014-04-16 2015-07-08 해원산업주식회사 원유저장탱크 세척용 세척수 분사장치
KR101693523B1 (ko) * 2014-12-04 2017-01-06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 구조물 세정장치
KR101849476B1 (ko) * 2016-11-30 2018-04-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원유 탱크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한 자동 세척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939Y1 (ko) 2005-02-24 2005-05-10 (주)서진산업 탱크 세척장치
KR101298090B1 (ko) * 2011-07-22 2013-08-20 탱크테크 (주) 휴대형 랙기어부를 구비한 탱크세척기의 파킹장치
KR101224010B1 (ko) * 2012-04-14 2013-01-21 (주)신원이앤씨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KR101535266B1 (ko) * 2014-04-16 2015-07-08 해원산업주식회사 원유저장탱크 세척용 세척수 분사장치
KR101693523B1 (ko) * 2014-12-04 2017-01-06 주식회사 포스코 수직 구조물 세정장치
KR101849476B1 (ko) * 2016-11-30 2018-04-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원유 탱크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한 자동 세척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72431A (zh) * 2018-05-09 2018-10-19 马鞍山市华夏液压机械设备有限公司 升降可调节式油缸清洗装置
CN112170407A (zh) * 2020-09-29 2021-01-05 淳安县九景新型建材厂 一种建筑施工用洗涤盆自动清洗器
CN112588739A (zh) * 2020-11-26 2021-04-02 河南省儿童医院郑州儿童医院 一种气管镜清洗装置
KR102571233B1 (ko) * 2023-06-20 2023-08-2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463B1 (ko)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US8454759B2 (en) Screen wash machine
KR100244071B1 (ko) 밀폐된 긴 탁트 내부를 점검 및 청소하는 장치
EP0638371A1 (en) Method of servicing interior of large container and service apparatus
US9132455B2 (en) Portable parts washer
KR101957465B1 (ko) 탱크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악취제거방법
KR100905465B1 (ko) 가변적인 프레임 구조를 갖는 건물의 외부관리 무인화 장치
JP2013163161A (ja) 筒状体洗浄装置、及び筒状体洗浄方法
JP6835640B2 (ja) タンク内吹付け装置及びタンクの内面に吹付け剤を吹付ける方法
JPH0673922A (ja) 煙突の清掃装置
KR101396245B1 (ko) 회전식 탈취기
CN210816613U (zh) 一种往复式油缸清洗机
JP3204563U (ja) 配管内の総合メインテナンス装置
KR200189655Y1 (ko) 페인팅 장치
WO2018185219A1 (en) A device and method for cleaning interior surfaces of tanks and containers
JP3936616B2 (ja) 煙突内壁洗浄装置
KR100313063B1 (ko) 터널 조명등 세척 장치
CN113977762B (zh) 一种混凝土管桩布料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842379B1 (ko) 관거 탐사장치
JPH1089893A (ja) 天井取付型エアコンデショナーの熱交換器の洗浄装置
CN219280588U (zh) 扫路机器人
KR102200191B1 (ko) 이동형 비산먼지 제거장치
JP3952186B2 (ja) 煙突内の有害物質除去装置
CN210010213U (zh) 一种原烟烟箱清洁装置
JPH1147709A (ja) 貯蔵設備の清掃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