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010B1 -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010B1
KR101224010B1 KR1020120086449A KR20120086449A KR101224010B1 KR 101224010 B1 KR101224010 B1 KR 101224010B1 KR 1020120086449 A KR1020120086449 A KR 1020120086449A KR 20120086449 A KR20120086449 A KR 20120086449A KR 101224010 B1 KR101224010 B1 KR 101224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de oil
storage tank
pipe
temporary storag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배
권혁기
Original Assignee
(주)신원이앤씨
권혁기
황선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원이앤씨, 권혁기, 황선배 filed Critical (주)신원이앤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93Devic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of the container and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08B5/023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는, 슬러지가 포함된 원유저장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유저장탱크 상부에 하향되게 설치되어 내부로 원유를 분사하는 드라이빙노즐유닛(DRIVING NOZZLE UNIT)과;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을 수평 회전시키고, 상하 이동시키며,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원유저장탱크의 하부와 제1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로 상기 제1배관이 연결되어 원유저장탱크 내부로부터 원유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임시저장탱크와; 일측이 제2배관에 의해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임시저장탱크와 제3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임시저장탱크에 저장된 원유를 열교환시킨 후 드라이빙노즐유닛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와; 일측이 제4배관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있는 보일러와, 상기 열교환기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임시저장탱크 내부를 거쳐 보일러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으로 구성되어 보일러의 증기가 열교환기 및 임시저장탱크를 거쳐 순환하도록 구성된 원유가열장치와; 일측이 상기 임시저장탱크의 하단에 제5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임시저장탱크 바닥의 원유를 공급받아 원유 중에 포함된 슬러지 및 물을 분리하고, 타측은 제6배관에 의해 상기 임시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있어 슬러지 및 물이 분리된 원유를 공급하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보일러, 1,2차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분사용 유동성 액체를 고온화시켜 슬러지의 분쇄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분사 노즐이 상항 이동, 회전 운동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세척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여러 개의 구성요소를 컨테이너에 수용하여 유닛화함으로써 설비의 이동과 설치가 간편해진다.

Description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AUTO WASHING EQUIPMENT OF CRUDE OIL TANK}
본 발명은 원유 및 위험물 저장탱크(CRUDE OIL STORAGE TANK)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한 원유저장 탱크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저장탱크 내부의 원유(CRUDE OIL)를 여분의 저장탱크로 옮기고, 잔여 원유(CRUDE OIL) 및 SLUDGE를 탱크로부터 깨끗이 세척함에 있어 저장탱크 바닥의 원유 SLUDGE를 자동으로 세척하도록 한,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한 원유저장 탱크는 주기적인 저장탱크의 유지보수가 반드시 필요한데 이러한 유지보수를 위해서는 저장탱크 내부의 원유(CRUDE OIL)를 여분의 저장탱크로 옮기고, 잔여 원유(CRUDE OIL) 및 SLUDGE를 탱크로부터 깨끗이 세척해야 한다. 특히 원유를 저장한 저장탱크 바닥에는 SLUDGE가 쌓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세척이 매우 어려운데 이러한 원유 SLUDGE의 세척과정을 자동으로 세척하여 주는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에 관한 기술들이 제시되어 왔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탱크의 세정과 탱크내의 잔류액체의 회수 및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626호, 특허문헌 1)에는 탱크로부터 잔류액체를 흡인 및 방출시키는 흡인장치를 갖춘 제1시스템 유니트와, 방출된 잔류액체로부터 오일을 분리시키는 오일-물 분리기, 분리된 오일을 처리하는 수단 및 탱크안으로 세척액체를 공급하는 수단을 갖춘 제2시스템 유니트와, 불활성가스 발생기를 갖춘 제3시스템 유니트와, 그리고 이들 제1, 제2 및 제3시스템 유니트를 각각 처리될 탱크로 운반시키는 제1, 제2 및 제3운반수단으로 구성된 예가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은 저장탱크가 완전 밀폐된 상태에서 블로워(BLOWER)를 이용하여 저장탱크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게 만들어 SLUDGE를 흡인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 경우 저장탱크 내의 압력이 지나치게 낮아지게 되면 대형 저장탱크의 경우 탱크의 찌그러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그 반대의 경우 슬러지(SLUDGE)의 흡인이 잘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직경 80m 정도의 초대형 원유저장탱크가 일반화되어 탱크의 지붕(ROOF) 역시 고정형이 아니고 저장된 원유(CRUDE OIL)의 유량에 따라 상승 하강하는 부유형이므로 사실상 완전 밀폐가 불가능하여 이러한 형식의 세척장비는 부유형 원유저장 탱크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소형의 밀폐가능한 탱크에만 사용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슬러지 분쇄를 위하여 상온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는 방법은 원유 슬러지의 특성상 온도가 올라가면 유동성이 높아지고 온도가 낮아지면 유동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바, 고온고압의 유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슬러지의 분쇄와 배출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특히 겨울철 사용은 슬러지의 유동성이 현저히 떨어져 사용이 더욱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각자의 분리된 유닛(UNIT)을 운송수단에 탑재함으로써 설비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이러한 설비는 탱크세척 작업의 원가상승을 초래하며, 한정되어 있는 탱크 세척물량에 비하여 대단히 비생산적이다.
또, 탱크 세척설비는 슬러지의 흡입과 배출 세척과 유수분리에 많은 수의 펌프와 밸브의 조합으로 작동되고 있으나 이러한 작동방법이 모두 수동으로 되어 있어 많은 인력과 시간이 허비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탱크 세척중 분사노즐의 높이조정과 회전이 불가하여 효과적인 탱크의 세척이 어렵고 오랜 세척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기술로 미국 등록특허 제4,426,233호(특허문헌 2)에는 상온 고압의 유체를 분사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는데, 이 경우 고온 고압의 유체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해 슬러지의 분쇄와 배출에 오랜 시간이 필요하고, 특히 겨울철 탱크세척은 슬러지의 비 유동성이 증가하여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슬러지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이 걸러내는 분리 장치가 없어 이물질의 분리가 어려우며, 세척 중 분사노즐의 높이조정과 회전이 불가하여 효과적인 탱크의 세척이 어렵고 오랜 세척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KR 10-171626 (1998. 10. 21) US 4,426,233 (1984. 01. 17)
본 발명의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보일러, 1,2차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분사용 유동성 액체를 고온화시켜 슬러지의 분쇄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분사 노즐이 상항 이동, 회전 운동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세척 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아울러, 여러 개의 구성요소를 컨테이너에 수용하여 유닛화함으로써 설비의 이동과 설치가 간편해지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슬러지가 포함된 원유저장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유저장탱크 상부에 하향되게 설치되어 내부로 원유를 분사하는 드라이빙노즐유닛(DRIVING NOZZLE UNIT)과;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을 수평 회전시키고, 상하 이동시키며,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원유저장탱크의 하부와 제1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로 상기 제1배관이 연결되어 원유저장탱크 내부로부터 원유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임시저장탱크와; 일측이 제2배관에 의해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임시저장탱크와 제3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임시저장탱크에 저장된 원유를 열교환시킨 후 드라이빙노즐유닛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열교환기와; 일측이 제4배관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에 연결되어 있는 보일러와, 상기 열교환기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임시저장탱크 내부를 거쳐 보일러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으로 구성되어 보일러의 증기가 열교환기 및 임시저장탱크를 거쳐 순환하도록 구성된 원유가열장치와; 일측이 상기 임시저장탱크의 하단에 제5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임시저장탱크 바닥의 원유를 공급받아 원유 중에 포함된 슬러지 및 물을 분리하고, 타측은 제6배관에 의해 상기 임시저장탱크와 연결되어 있어 슬러지 및 물이 분리된 원유를 공급하는 원심분리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임시저장탱크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관에 보조열교환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은 제2배관에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와, 상기 호스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스프레이노즐(SPRAY NOZZLE)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원유저장탱크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관과; 상기 고정관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호스가 관통하여 저부로 스프레이노즐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이동관과; 상기 이동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관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장치와; 일측이 상기 이동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고정관에 연결되어 있어 이동관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실린더와; 일측은 상기 이동관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링크에 의해 상기 스프레이노즐에 연결되어 스프레이노즐을 회전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배관에는 원유저장탱크 내부의 원유 중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오일필터와, 원유저장탱크 내부의 원유를 임시저장탱크로 흡입하는 흡입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3배관에는 임시저장탱크에서 열교환기를 거쳐 드라이빙노즐유닛으로 원유를 공급하는 분사펌프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5배관에는 임시저장탱크에서 원심분리기로 원유를 이송하는 이송펌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에는 보일러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분리기에는 원심분리기에서 분리된 비 유동성의 슬러지를 배출하는 스크류컨베이어 및 배출호퍼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유저장탱크와 배관 연결되어 원유저장탱크 내부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가스저장탱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보일러, 1,2차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분사용 유동성 액체를 고온화시켜 슬러지의 분쇄가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사 노즐이 상항 이동, 회전 운동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세척 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아울러, 여러 개의 구성요소를 컨테이너에 수용하여 유닛화함으로써 설비의 이동과 설치가 간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드라이빙노즐유닛과 구동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슬러지가 포함된 원유저장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는 크게 드라이빙노즐유닛(10), 구동장치(20), 임시저장탱크(30), 열교환기(40), 원유가열장치(50), 원심분리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드라이빙노즐유닛(10)은 원유저장탱크(1) 상부에 하향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임시저장탱크(30)를 거쳐 다시 순환환 원유(3)를 원유저장탱크(1) 내부로 분사하여 탱크 내부를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구동장치(20)는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10)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10)을 수평 회전시키고, 상하 이동시키며,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임시저장탱크(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유저장탱크(1)의 하부와 제1배관(3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로 상기 제1배관(31)이 연결되어 원유저장탱크(1) 내부로부터 원유(3)를 흡입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1배관(31)에는 원유저장탱크(1) 내부의 원유(3) 중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오일필터(31a)와, 원유저장탱크(1) 내부의 원유(3)를 임시저장탱크(30)로 흡입하는 흡입펌프(31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임시저장탱크(30)에는 예비탱크를 별도로 배관 연결할 수도 있다.
열교환기(40)는 일측이 제2배관(41)에 의해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10)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임시저장탱크(30)와 제3배관(42)에 의해 연결되어 임시저장탱크(30)에 저장된 원유(3)를 열교환시킨 후 드라이빙노즐유닛(10)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3배관(42)에는 임시저장탱크(30)에서 열교환기(40)를 거쳐 드라이빙노즐유닛(10)으로 원유(3)를 공급하는 분사펌프(42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유가열장치(50)는 일측이 제4배관(51a)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40)에 연결되어 있는 보일러(51)와, 상기 열교환기(40)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임시저장탱크(30) 내부를 거쳐 보일러(51)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52)으로 구성되어 보일러(51)의 증기가 열교환기(40) 및 임시저장탱크(30)를 거쳐 순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연결관(52)으로 하여금 임시저장탱크(30) 내부를 거치도록 한 것은 열교환기(40)에서 드라이빙노즐유닛(10)으로 공급되는 원유(3)를 가열하고 남은 잔열을 활용하여 임시저장탱크(30) 내부의 원유(3)를 예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단순히 연결관(52)으로 하여금 임시저장탱크(30)를 통과시키도록 하는 것보다 도시된 것처럼 보조열교환기(70)를 설치하여 연결관(52)을 여기에 연결함으로써 잔열을 최대한 활용하여 임시저장탱크(30) 내부의 원유(3)를 예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연결관(52)에는 보일러(51)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52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심분리기(60)는 일측이 상기 임시저장탱크(30)의 하단에 제5배관(61)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임시저장탱크(30) 바닥의 원유(3)를 공급받아 원유(3) 중에 포함된 슬러지(2) 및 물을 분리하고, 타측은 제6배관(62)에 의해 상기 임시저장탱크(30)와 연결되어 있어 슬러지(2) 및 물이 분리된 원유(3)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5배관(61)에는 임시저장탱크(30)에서 원심분리기(60)로 원유(3)를 이송하는 이송펌프(61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원심분리기(60)의 하부에는 도시된 것처럼 원심분리기(60)에서 분리된 비 유동성의 슬러지(2)를 배출하는 스크류컨베이어(63) 및 배출호퍼(64)가 연속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세척 작업 중에 정전기에 의한 탱크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유저장탱크(1)와 배관 연결되어 원유저장탱크(1) 내부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가스저장탱크(80)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10)과 구동장치(2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10)은 제2배관(41)에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11)와, 상기 호스(11)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스프레이노즐(12)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장치(20)는, 상기 원유저장탱크(1)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관(21)과;
상기 고정관(2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 호스(11)가 관통하여 저부로 스프레이노즐(12)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이동관(22)과;
상기 이동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관(22)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장치(23)와;
일측이 상기 이동관(22)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고정관(21)에 연결되어 있어 이동관(2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실린더(24)와;
일측은 상기 이동관(2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링크(25a)에 의해 상기 스프레이노즐(12)에 연결되어 스프레이노즐(12)을 회전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2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평회전장치(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에어모터(23b)와 기어(23a)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축방향 회전 방식을 적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각도조절실린더(25)와 스프레이노즐(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레이노즐(12)의 회전축과 일측이 연결된 링크(25a)를 구비하고, 이 링크(25a)에 각도조절실린더(25)를 연결함으로써 회전 가능해지게 된다.
이처럼 드라이빙노즐유닛(10)이 상하로 이동하고, 각도가 조절되며, 수평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탱크 내부의 높은 지점과 낮은 지점, 내부 둘레에 골고루 원유(3)를 분사할 수 있으며, 또한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분사 각도의 변화를 줘 높은 압력으로 분사하여 탱크 내부의 세척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의 작용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보일러(51)에서 고온의 수증기를 발생시키면 이 수증기는 열교환기(40)로 공급되게 된다.
이때, 임시저장탱크(30)에서 드라이빙노즐유닛(10)으로 원유(3)가 이송되는 제3배관(42)이 이 열교환기(40)에 연결되어 원유(3)가 열교환기(40)로 공급되게 된다.
즉, 열교환기(40)에 의해 드라이빙노즐유닛(10)으로 공급되는 원유(3)가 고온으로 가열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온 고압으로 원유(3)를 분사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슬러지(2)의 분쇄 및 배출 시간이 촉진되게 된다.
드라이빙노즐유닛(10)은 이러한 고온의 원유(3)를 원유저장탱크(1) 내부에 구동장치(20)의 작동에 따라 분사하게 되어 내부의 비 유동성 슬러지(2)를 분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구동장치(20)에 의해 수평 회전, 상하 이동 및 각도 조절됨에 따라 원유저장탱크(1) 내부를 구석구석 세척할 수 있게 된다.
분쇄된 비 유동성 슬러지(2)는 흡입펌프(31b)에 의해 원유(3)와 함께 임시저장탱크(30)로 이동하게 되는데 중간에서 오일필터(31a)에 의해 1차로 필터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임시저장탱크(30)로 유입된 슬러지(2)가 포함된 원유(3)는 임시저장탱크(30) 바닥에 쌓이게 되는데 바닥에 쌓인 물과 슬러지(2)는 이송펌프(61a)에 의해 원심분리기(60)로 공급되고, 여기서 물과 비 유동성 슬러지(2)는 각각 폐수탱크 및 스크류호퍼에 의해 분리 수거된 후 폐기된다.
한편, 보일러(51)에서 발생된 고온의 수증기는 열교환기(40)에서 원유(3)를 고온으로 가열하고, 나머지 잔류 열은 임시저장탱크(30)에 저장되어 있는 원유(3)를 예열시키면서 통과하게 되고, 임시저장탱크(30)를 통과하면서 수증기는 물로 변한 상태에서 물탱크(52a)로 유입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위해 미도시된 컨트롤장치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컨트롤장치는 불활성가스저장탱크(80)로 하여금 원유저장탱크(1)의 내부 산소량이 폭발 위험성이 전혀 없는 수준의 양까지 유지되도록 자동으로 공급과 정지가 반복되도록 하고, 보일러(51)의 가동과 정지 등은 각종 센서를 설치하여 센서의 탐지에 따라 자동으로 보일러(51), 모터, 실린더 등을 구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각각의 배관상에는 도시된 것처럼 밸브를 설치하여 원유(3)의 이동, 수증기의 이동 등을 통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 원유저장탱크 2 : 슬러지
3 : 원유 10 : 드라이빙노즐유닛
11 : 호스 12 : 스프레이노즐
20 : 구동장치 21 : 고정관
22 : 이동관 23 : 수평회전장치
23a : 기어 23b : 에어모터
24 : 수직이동실린더 25 : 각도조절실린더
25a : 링크 30 : 임시저장탱크
31 : 제1배관 31a : 오일필터
31b : 흡입펌프 40 : 열교환기
41 : 제2배관 42 : 제3배관
42a : 분사펌프 50 : 원유가열장치
51 : 보일러 51a : 제4배관
52 : 연결관 52a : 물탱크
60 : 원심분리기 61 : 제5배관
61a : 이송펌프 62 : 제6배관
63 : 스크류컨베이어 64 : 배출호퍼
70 : 보조열교환기 80 : 불활성가스저장탱크

Claims (4)

  1. 슬러지가 포함된 원유저장탱크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원유저장탱크(1) 상부에 하향되게 설치되어 내부로 원유(3)를 분사하는 드라이빙노즐유닛(10)과;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10)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10)을 수평 회전시키고, 상하 이동시키며,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장치(20)와;
    상기 원유저장탱크(1)의 하부와 제1배관(3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로 상기 제1배관(31)이 연결되어 원유저장탱크(1) 내부로부터 원유(3)를 흡입하여 저장하는 임시저장탱크(30)와;
    일측이 제2배관(41)에 의해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10)과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임시저장탱크(30)와 제3배관(42)에 의해 연결되어 임시저장탱크(30)에 저장된 원유(3)를 열교환시킨 후 드라이빙노즐유닛(1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열교환기(40)와;
    일측이 제4배관(51a)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40)에 연결되어 있는 보일러(51)와, 상기 열교환기(40)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임시저장탱크(30) 내부를 거쳐 보일러(51)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관(52)으로 구성되어 보일러(51)의 증기가 열교환기(40) 및 임시저장탱크(30)를 거쳐 순환하도록 구성된 원유가열장치(50)와;
    일측이 상기 임시저장탱크(30)의 하단에 제5배관(61)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 임시저장탱크(30) 바닥의 원유(3)를 공급받아 원유(3) 중에 포함된 슬러지 및 물을 분리하고, 타측은 제6배관(62)에 의해 상기 임시저장탱크(30)와 연결되어 있어 슬러지 및 물이 분리된 원유(3)를 공급하는 원심분리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드라이빙노즐유닛(10)은 제2배관(41)에 연결된 플렉시블 호스(11)와, 상기 호스(11)의 끝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스프레이노즐(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20)는,
    상기 원유저장탱크(1)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고정관(21)과;
    상기 고정관(2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플렉시블 호스(11)가 관통하여 저부로 스프레이노즐(12)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는 이동관(22)과;
    상기 이동관(22)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관(22)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수평회전장치(23)와;
    일측이 상기 이동관(22)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고정관(21)에 연결되어 있어 이동관(22)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실린더(24)와;
    일측은 상기 이동관(2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링크(25a)에 의해 상기 스프레이노즐(12)에 연결되어 스프레이노즐(12)을 회전시키는 각도조절실린더(2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배관(31)에는 원유저장탱크(1) 내부의 원유(3) 중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오일필터(31a)와, 원유저장탱크(1) 내부의 원유(3)를 임시저장탱크(30)로 흡입하는 흡입펌프(31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3배관(42)에는 임시저장탱크(30)에서 열교환기(40)를 거쳐 드라이빙노즐유닛(10)으로 원유(3)를 공급하는 분사펌프(4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5배관(61)에는 임시저장탱크(30)에서 원심분리기(60)로 원유(3)를 이송하는 이송펌프(61a)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관(52)에는 보일러(51)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52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분리기(60)에는 원심분리기(60)에서 분리된 비 유동성의 슬러지를 배출하는 스크류컨베이어(63) 및 배출호퍼(64)가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원유저장탱크(1)와 배관 연결되어 원유저장탱크(1) 내부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불활성가스저장탱크(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탱크(30) 내부를 관통하는 연결관(52)에 보조열교환기(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120086449A 2012-04-14 2012-08-07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KR101224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8836 2012-04-14
KR20120038836 2012-04-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4010B1 true KR101224010B1 (ko) 2013-01-21

Family

ID=4784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449A KR101224010B1 (ko) 2012-04-14 2012-08-07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4010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3345A (zh) * 2013-03-04 2013-07-17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油管预制冲洗施工方法
CN103252329A (zh) * 2013-04-09 2013-08-21 上海韵博科技有限公司 导热油在线清洗、修复的方法
KR101484663B1 (ko) * 2014-02-25 2015-01-20 미진정공(주) 액체저장탱크의 슬러지 침전방지, 교반 및 미세폭기 장치
KR101519637B1 (ko) * 2014-12-05 2015-05-12 주식회사 삼미정공 진동롤러 헤밍장치
KR101535266B1 (ko) * 2014-04-16 2015-07-08 해원산업주식회사 원유저장탱크 세척용 세척수 분사장치
KR101606914B1 (ko) 2014-12-12 2016-03-28 해원산업주식회사 원유저장탱크 세정장치
KR20160078671A (ko) 2014-12-24 2016-07-0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일 적하용 스팀 히터
KR101849476B1 (ko) * 2016-11-30 2018-04-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원유 탱크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한 자동 세척 방법
CN109078942A (zh) * 2018-08-22 2018-12-25 中船广西船舶及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船用锅炉水腔清洗装置
KR20190025448A (ko) * 2017-09-01 2019-03-11 티디이엔텍주식회사 원유탱크의 슬러지 흡입 노즐
KR101957463B1 (ko) * 2018-08-16 2019-06-19 정귀영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KR101957465B1 (ko) * 2018-08-16 2019-06-19 정귀영 탱크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악취제거방법
KR102041317B1 (ko) * 2018-05-17 2019-11-06 (주)포스코케미칼 슬러지 분쇄 기능을 구비한 콜타르 저장탱크
KR20200126060A (ko) 2019-04-29 2020-11-06 손성근 원유탱크 청소 시스템
CN113070302A (zh) * 2021-03-30 2021-07-06 安徽明泉水设备有限公司 一种供水箱用无死角清洗装置
KR20230022661A (ko) 2021-08-09 2023-02-16 손성근 원유탱크 청소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233A (en) * 1981-09-11 1984-01-17 Taiho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disposal of sludge in floating roof type oil tank
KR100935829B1 (ko) 2009-06-09 2010-01-08 한국철도공사 이원화된 패킹을 구비한 폐유 정제 장치
KR100937022B1 (ko) 2008-11-11 2010-01-15 한명규 원유 속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원유 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6233A (en) * 1981-09-11 1984-01-17 Taiho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disposal of sludge in floating roof type oil tank
KR100937022B1 (ko) 2008-11-11 2010-01-15 한명규 원유 속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원유 전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5829B1 (ko) 2009-06-09 2010-01-08 한국철도공사 이원화된 패킹을 구비한 폐유 정제 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3345A (zh) * 2013-03-04 2013-07-17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油管预制冲洗施工方法
CN103252329A (zh) * 2013-04-09 2013-08-21 上海韵博科技有限公司 导热油在线清洗、修复的方法
KR101484663B1 (ko) * 2014-02-25 2015-01-20 미진정공(주) 액체저장탱크의 슬러지 침전방지, 교반 및 미세폭기 장치
KR101535266B1 (ko) * 2014-04-16 2015-07-08 해원산업주식회사 원유저장탱크 세척용 세척수 분사장치
KR101519637B1 (ko) * 2014-12-05 2015-05-12 주식회사 삼미정공 진동롤러 헤밍장치
KR101606914B1 (ko) 2014-12-12 2016-03-28 해원산업주식회사 원유저장탱크 세정장치
KR20160078671A (ko) 2014-12-24 2016-07-05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오일 적하용 스팀 히터
KR101849476B1 (ko) * 2016-11-30 2018-04-1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원유 탱크 자동 세척 장치를 이용한 자동 세척 방법
KR20190025448A (ko) * 2017-09-01 2019-03-11 티디이엔텍주식회사 원유탱크의 슬러지 흡입 노즐
KR101963884B1 (ko) 2017-09-01 2019-04-01 티디이엔텍주식회사 원유탱크의 슬러지 흡입 노즐
KR102041317B1 (ko) * 2018-05-17 2019-11-06 (주)포스코케미칼 슬러지 분쇄 기능을 구비한 콜타르 저장탱크
KR101957465B1 (ko) * 2018-08-16 2019-06-19 정귀영 탱크 악취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악취제거방법
KR101957463B1 (ko) * 2018-08-16 2019-06-19 정귀영 탱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탱크의 세척방법
CN109078942A (zh) * 2018-08-22 2018-12-25 中船广西船舶及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船用锅炉水腔清洗装置
KR20200126060A (ko) 2019-04-29 2020-11-06 손성근 원유탱크 청소 시스템
CN113070302A (zh) * 2021-03-30 2021-07-06 安徽明泉水设备有限公司 一种供水箱用无死角清洗装置
KR20230022661A (ko) 2021-08-09 2023-02-16 손성근 원유탱크 청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010B1 (ko) 원유저장탱크 자동 세척장치
CN108620377A (zh) 油井作业在线密闭清洗装置
KR101804226B1 (ko) 슬러지 처리용 탈수 및 건조 장치
CN108526150A (zh) 一种采用冰浆清洗食品管道的方法
CN107605432A (zh) 清洁作业一体化装置
CN103817121B (zh) 油田储罐机械清罐装置
CN108311488B (zh) 一种油田清洁环保一体化系统
CN107344183A (zh) 一种铁路罐车的罐体清洗方法
US95925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the interior of an above ground storage tank
CN206519387U (zh) 工件表面污垢的清洗机
KR20160033018A (ko) 원유탱크 물 세정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3236130B (zh) 水循环风循环清孔防堵方法
CN203725458U (zh) 油田储罐机械清罐装置
RU147191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яных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ых резервуаров от отложений
CN102671881A (zh) 用于电视机零件的水洗洗涤装置
WO2018065630A1 (en) Filtering unit for waste collecting and treating equipment, waste collecting and treating equipment and process for collecting and treating waste
CN111359998A (zh) 油管杆环保清洗设备
CN107335657B (zh) 清洗机的回转机构
CN206695579U (zh) 一种药材循环喷洗烘干装置
RU2491134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епараторов газоперекачивающих станц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07522341A (zh) 一种节能高效的油水分离机
JP2009095809A (ja) 貯蔵タンク内堆積スラッジの除去方法および除去装置
SE1350547A1 (sv) Metod och system för invändig tvättning av cistern
KR101606914B1 (ko) 원유저장탱크 세정장치
JP7123763B2 (ja) し渣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