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82097B1 -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82097B1
KR100682097B1 KR1020060017714A KR20060017714A KR100682097B1 KR 100682097 B1 KR100682097 B1 KR 100682097B1 KR 1020060017714 A KR1020060017714 A KR 1020060017714A KR 20060017714 A KR20060017714 A KR 20060017714A KR 100682097 B1 KR100682097 B1 KR 100682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pipe
kitchen
food garbage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철
김훈철
Original Assignee
김훈철
김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철, 김두철 filed Critical 김훈철
Priority to KR102006001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2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를 미세 분쇄하되 이를 직접 오수 파이프를 통하여 버리는 대신, 중간에 친환경처리 촉진용 미생물을 투입하는 처리장치를 두어 필요한 상당기간 반응시켜서 완전 소화 처리하기 위한 음식쓰레기 친환경 처리장치로 상기 정화조탱크(60)의 상부커버(61)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호스(73)와 연결되는 가스역류방지관(10)과,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서 고정되고 정화조탱크(60) 내측으로 구비된 배출수단(20)과,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서 상기 정화조탱크(60) 내측으로 수면 아래까지 구비되며 열을 발생하기 위한 히터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가 구비된 온도제어장치(30)와,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 고정되고 정화조탱크(60) 내측의 수면 상면에 구비되어 미생물 분말을 투입하기 위한 미생물분말주입장치(40)와, 외부케이스(55) 측면에 하수역류방지관(56)가 구비된 여과장치(50)와, 상기 하수역류방지관(56)과 연결된 하수관(80)을 포함하여 구성되었으며, 상기 구성으로 인해 주부들이 음식쓰레기를 물로 미리 세척하여 음식쓰레기 분쇄장치에 넣어서 분쇄하는 것 외에는 거의 음식쓰레기에 손에 대지 않고도 주방용 음식쓰레기를 친환경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싱크대, 미생물, 음식쓰레기, 발효, 친환경

Description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Environment-Friendly food garbage processing unit for the kitchen that use microorganis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의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가스역류방지관 20 : 배출수단
21 : 찌거기배출관 22 : 가스배출관
30 : 온도제어장치 40 : 미생물분말주입장치
50 : 여과장치 51 : 회전필터
52 : 고정필터 53 : 회전 씨일
54 : 고정 씨일 55 : 외부케이스
56 : 하수역류방지관 60 : 정화조탱크
61 : 상부커버 70 : 분쇄기
90 : 씽크바닥 100 : 음식쓰레기처리장치
본 발명은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를 싱크대 현장에서 분쇄장치/그라인더(garbage grinder)로 미세 분쇄하되 이를 직접 오수 파이프를 통하여 버리는 대신, 중간에 친환경처리 촉진용 미생물을 투입하는 처리장치 통을 두어 필요한 상당기간 반응시켜서 완전 소화 처리시킴으로서 깨끗해진 물은 하수도로 내보내고 발생한 가스와 소화할 수 없는 찌꺼기는 따로 거둘 수 있게 구성된 음식쓰레기 친환경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곰팡이 등에 의해 발효되어 악취를 발생시킬 뿐 아니라 여타 병원균이 자생하게 되어 환경 및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매우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들이 많이 제안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예로, 음식물 쓰레기를 땅속에 매립하는 방법, 소각로 등을 이용하여 소각하는 방법, 건조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양을 감량시키는 방법, 발효기를 이용하여 비료 또는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발효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할 시에는 많은 양의 침출수가 필연적으로 발생 되어 주위환경은 물론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할 시에는 많은 양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여 제 경비가 많이 발생됨은 물론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인체에 악영향을 주게 되었으며, 건조방법은 인체에 유해한 폐가스 및 폐수의 배출 등에 따른 2차 오염의 문제가 있었고, 발효방법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시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음식쓰레기들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정화시 발생되는 찌꺼기와 배출가스 등을 함께 배출하고, 여과장치를 고정필터와 회전필터로 2단 구성이 되도록 하였으며 정화조 탱크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커버에 상기 장치들을 일체형이 되도록 구성하여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음식쓰레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 정화조탱크(60)의 상부커버(61)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호스(73)와 연결되는 가스역류방지관(10)과,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서 고정되고 정화조탱크(60) 내측으로 구비된 배출수단(20)과,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서 상기 정화조탱크(60) 내측으로 수면 아래까지 구비되며 열을 발생하기 위한 히터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가 구비된 온도제어장치(30)와,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 고정되고 정화조탱크(60) 내측의 수면 상면에 구비되어 미생물 분말을 투입하기 위한 미생물분말주입장치(40)와, 외부케이스(55) 측면에 고정된 하수역류방지관(56)이 구비된 여과장치(50)와, 상기 하수역류 방지관(56)과 연결된 하수관(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역류방지장치(10)와 하수역류방지관(56)은 'U'자형 관이며, 배출수단(20)은 상부커버(61) 상면에서 정화조탱크(60) 하면까지 구비되어 하면에 쌓인 찌거기를 흡입하기 위한 찌거기배출관(21)과, 미생물과의 반응으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여과장치(50)는 모터(512)에 착설된 회전축(511)에 의해 회동가능 하도록 구성된 회전필터(51)와, 상기 외부케이스(55)에 고정되는 고정필터(52)와, 상기 회전필터(51) 외측에 원형으로 감싸며 구비된 회전 씨일(53)과, 상기 회전 씨일(53) 외측으로 감싸는 고정 씨일(54)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필터(52)는 상대적으로 결이 거친(coarse) 15~20㎝ 정도의 유도관 형태의 필터이고, 상기 회전필터(51)는 정밀 박막형태의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의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우선,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는 싱크바닥(90) 하부에 안전망(71)과 유입관(72)이 구비되고 상기 안정망(71)에 의해 걸려진 찌꺼기를 분쇄기(70)에서 미세하고 분쇄하고, 상기 분쇄기(70) 하부에 구비된 연결호스(73)를 통해 미세하게 분쇄된 음식찌꺼들은 착탈가능한 상부커버(61) 사이에 씨일(62)이 구비된 정화조탱크(60)에 구비된 상기 가스역류방지관(10)을 통해 음식물 찌꺼기를 처리하기 위한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에 유입하게 된다.
우선, 도 1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음식 쓰레기처리장치(100)는 착탈 가능한 상부커버(61) 사이에 음식쓰레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씨일(62)이 구비된 정화조탱크(60)와, 상기 상부커버(61) 상면에 가스역류방지관(10)과, 배출수단(20)와, 온도제어장치(30)와, 미생물분말주입장치(40)와, 여과장치(50)등이 일체형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언제든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스역류방지관(10)은 상부커버(61) 상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연결호스(73)에 연결되어 분쇄된 음식찌꺼기를 상기 정화조탱크(60)로 내측으로 유입하기 위한 관으로 'U' 자형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출수단(20)는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서 고정되고 정화조탱크(60) 내측으로 구비되며, 상부커버(61) 상면에서 정화조탱크(60) 하면까지 구비되어 있으며, 하면에 쌓인 찌거기를 흡입하기 위한 찌거기배출관(21)과, 미생물과의 반응으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찌꺼기흡입관(21)은 정화가 되지 않는 흙, 돌 조각, 뼈 조각, 쇠 조각 등 비 정화물이 하수관(80)에 나가지 않게 하기 위해 별도로 진공장치(미도시)에 연결하여 흡입 수거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관(22)은 음식쓰레기 정화 과정에서 나오는 가스를 포집 하여 흡입장치(미도시)에 연결하여 의해 별도로 배출케 함으로서 메탄가스 등에 의한 냄새를 제거하며 정화과정에서 발생된 메탄가스에 의한 폭발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온도제어장치(30)는 상부에서 수면 아래까지 구비된 것으로, 미생물의 정화활동은 처리장치 통 내의 온도에 따라 예민하게 작용함으로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내의 온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그에 따라 온도제어장치(30)에 의한 열원을 제공함으로서 효과적으로 미생물활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장치인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의 반응을 일으키기 위한 상기 미생물분말주입장치(40)는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 고정되고 정화조탱크(60) 내측으로 수면 상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친환경성 미생물 분말을 첨가하여 음식쓰레기를 정화하기 위해 구비된 장치이다.
위에서 언급한 상기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가 온도제어장치(30)와 미생물분말주입장치(40)을 구비함으로서 친환경성 미생물 분말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예정된 시간 내에 정화되도록 하고 미생물 분말의 공급에 따라 예민하게 작용함으로 미생물의 정화활동을 온도조절 기능과 연계하여 분말 공급량을 필요에 따라 조절하여 공급토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미생물에 의해 반응한 다음에는 여과하여 상기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에서 배출하기 위한 장치로,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한 상기 여과장치(50)를 거치게 되는 것이며, 여기서 상기 여과장치(50)는 전체를 감싸는 외부케이스(55) 측면에 'U'자형 관이 고정되어 하수관(80)에 연결된 하수역류방지관(56)이 구비되고, 모터(512) 에 착설된 회전축(511)에 의해 회동가능 하도록 구성된 회전필터(51)와, 상기 회전필터(51) 하부에 설치되고 외부케이스(55)에 고정되는 고정필터(52)와, 상기 회전필터(51) 외측에 원형으로 감싸며 구비된 회전 씨일(53)과, 상기 회전 씨일(53) 외측으로 감싸는 고정 씨일(54)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구성은 혹시나 있을 음식쓰레기 찌꺼기, 섬유질 조각 혹은 부유 상태의 고형물 등이 같이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여과장치(50)를 고정필터(52)와 회전필터(51)로 2단 구성으로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여과장치(50)를 고정필터(52)와 회전필터(51)로 2단 구성으로 나눈 것은 찌꺼기에 막혀 기능을 상실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고정필터(52)는 스폰지형태로 상대적으로 결이 거친(coarse) 15~20㎝ 정도의 유도관 형태로 더러운 것을 흡수하는 것이며, 상기 회전필터(51)는 250 ~ 400 메쉬(Mesh)로 정밀 박막형태의 필터이며 상기 모터(512)에 착설된 회전축(511)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씨일(53)과 함께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512)에 의해 10000rpm 정도로 고속회전시킴으로서 원심력에 의하여 혹시 붙어 있을 수 있는 찌꺼기를 분산시켜 자체적으로 정화하도록 하는 것이며, 고정필터(52)와 회전필터(51)는 필요에 따라 교체가 가능토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씨일(54)은 라비린스씰 (labyrinth seal) 이며 미로형씰로 통로는 있으나 거의 물이 통과하지 않도록 된 회전형 실로서, 상기 외부케이스(55)에 부착되어 회전운동하는 상기 회전 씨일(53)에 접촉만 하고 고정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상기 가스역류방지장치(10)와 하수역류방지관(56)은 'U'자형 관으로 함으로서 상기 음식쓰레기처리장치 (100)에서 정화된 물이 배출되는 하수관(80)에 연결된 하수역류방지관(56)과 음식찌꺼기를 분쇄한 분쇄기(70)에 연결된 상기 가스역류방지관(10) 사이에 발생하는 가스의 역류를 방지할 목적으로 이를 별도로 밖에 두지 않고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상기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는 고장시의 접근 교체가 용이하도록 할 목적으로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의 일체형으로 상부커버(61)를 정화조탱크(60)와 밀봉 가능하도록 씨일(62)이 설치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상부커버(61)에 위에서 언급한 가스역류방지관(10)과, 배출수단(20)와, 온도제어장치(30)와, 미생물분말주입장치(40)와, 여과장치(50)들을 모두 붙여 현장에서는 짧은 시간 안에 상기 상부커버(61) 전체를 교환하여 청소 및 수리 등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구성을 도식화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를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물류의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를 싱크대 현장에서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분쇄기(70)로 미세 분쇄하되 이를 직접 하수관(80)을 통하여 버리는 대신, 중간에 친환경처리 촉진용 미생물을 투입하기 위한 미생물분말주입장치(40)를 두어 필요한 상당기간 반응시켜서 완전 소화 처리시킴으로서 깨끗해진 물은 하수관(80)으로 내보내고 발생한 가스와 찌꺼기는 따로 가스배출관(22)과 찌거기배출관(21)에서 거둘 수 있게 구성된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이다.
즉, 상기 음식쓰레기처리장치(100)는 주방의 싱크대 밑에 둘 수 있도록 하고 외벽에는 싱크대 밑의 음식쓰레기 분쇄기(70)에 연결하는 연결호스(73)와 밖으로 나가는 하수관(80)을 연결하고, 특별히 구성된 상부커버(61)에는 미생물 가루 주입하기 위한 미생물분말주입장치(40)와, 온도제어장치(30)와, 발생가스를 유도 배출하는 가스배출관(22), 깨끗한 물만 나가도록 하는 여과장치(50) 및 고형 찌꺼기 제거용 찌꺼기흡입관(21) 등 필요한 모든 기능관련 연결장치들을 연결하게 되어 있어, 처리장치의 청소 수리 관리나 교체가 쉽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방용 음식쓰레기 친환경 처리장치를 일체형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주방 세척용이나 자동 접시세척기와는 별도로 된 하수관에 설치하고, 그 자리에서 분쇄하여 분쇄된 슬러지(sludge)를 설치되어 있는 처리장치에 유도 보관함으로서 처리장치에서 미생물과 반응 정화되게 하여 깨끗해진 물만이 하수구로 배출되게 함으로서 주부들이 음식쓰레기를 물로 미리 세척하여 음식쓰레기 분쇄기에 넣어서 분쇄하는 것 외에는 거의 음식쓰레기에 손에 대지 않고도 주방용 음식쓰레기를 친환경적이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Claims (5)

  1. 싱크바닥(90)과 연결호스(73) 사이에 설치되고 안전망(71)과 유입관(72)이 구비되고 걸려진 찌꺼기를 분쇄하는 분쇄기(70)와, 상기 연결호스(73)에 연결되고 착탈 가능한 상부커버(61) 사이에 씨일(62)이 구비된 정화조탱크(60)로 구성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61)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연결호스(73)와 연결되는 가스역류방지관(10)과,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서 고정되고 정화조탱크(60) 내측으로 구비된 배출수단(20)과,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서 상기 정화조탱크(60) 내측으로 수면 아래까지 구비되며 열을 발생하기 위한 히터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장치가 구비된 온도제어장치(30)와, 상기 상부커버(61) 상부에 고정되고 정화조탱크(60) 내측의 수면 상면에 구비되어 미생물 분말을 투입하기 위한 미생물분말주입장치(40)와, 외부케이스(55) 측면에 고정된 하수역류방지관(56)이 구비된 여과장치(50)와, 상기 하수역류방지관(56)과 연결된 하수관(80)을 포함하여 구성된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역류방지장치(10)와 하수역류방지관(56)은 'U'자형 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20)는 상부커버(61) 상면에서 정화조탱크(60) 하면까지 구비되어 하면에 쌓인 찌거기를 흡입하기 위한 찌거기배출관(21)과, 미생물과의 반응으로 발생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관(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50)는 모터(512)에 착설된 회전축(511)에 의해 회동가능 하도록 구성된 회전필터(51)와, 상기 회전필터(51) 하부에 설치되고 외부케이스(55)에 고정되는 고정필터(52)와, 상기 회전필터(51) 외측에 원형으로 감싸며 구비된 회전 씨일(53)과, 상기 회전 씨일(53) 외측으로 감싸는 고정 씨일(5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필터(51)는 정밀 박막형태의 필터이고, 상기 고정필터(52)는 상대적으로 결이 거친(coarse) 15~20㎝ 정도의 유도관 형태의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KR1020060017714A 2006-02-23 2006-02-23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KR10068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714A KR100682097B1 (ko) 2006-02-23 2006-02-23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7714A KR100682097B1 (ko) 2006-02-23 2006-02-23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2097B1 true KR100682097B1 (ko) 2007-02-12

Family

ID=3810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714A KR100682097B1 (ko) 2006-02-23 2006-02-23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209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26A1 (ko) * 2009-11-13 2011-05-19 (주)우연더윙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308993B1 (ko) * 2013-05-08 2013-09-16 변상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10B1 (ko) * 2013-10-02 2014-08-06 주식회사 우먼파워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07861B1 (ko) * 2017-05-23 2017-12-11 (주)구츠 발효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10091900A (ko) * 2020-01-15 2021-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폐유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5928A (ko) * 2000-11-16 2002-08-1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
KR20030051640A (ko) * 2000-09-07 2003-06-25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비수전해액 이차전지용 첨가제, 비수전해액 이차전지,비수전해액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첨가제 및 비수전해액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KR20030096113A (ko) * 2003-10-09 2003-12-24 주식회사 보아스와야긴 컨텐츠 키워드 광고시스템
KR20040010491A (ko) * 2003-12-29 2004-01-31 황성철 쑥뜸구
KR20040019756A (ko) * 2002-08-29 2004-03-06 박태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100588556B1 (ko) * 2005-02-22 2006-06-19 주식회사 싱크피아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1640A (ko) * 2000-09-07 2003-06-25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비수전해액 이차전지용 첨가제, 비수전해액 이차전지,비수전해액 전기 이중층 커패시터용 첨가제 및 비수전해액전기 이중층 커패시터
KR20020065928A (ko) * 2000-11-16 2002-08-14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및 통신 장치
KR20040019756A (ko) * 2002-08-29 2004-03-06 박태준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96113A (ko) * 2003-10-09 2003-12-24 주식회사 보아스와야긴 컨텐츠 키워드 광고시스템
KR20040010491A (ko) * 2003-12-29 2004-01-31 황성철 쑥뜸구
KR100588556B1 (ko) * 2005-02-22 2006-06-19 주식회사 싱크피아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5885560000
1020040019756
2002659280000
2003516400000
2003961130000
2004104910000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26A1 (ko) * 2009-11-13 2011-05-19 (주)우연더윙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308993B1 (ko) * 2013-05-08 2013-09-16 변상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13810B1 (ko) * 2013-10-02 2014-08-06 주식회사 우먼파워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07861B1 (ko) * 2017-05-23 2017-12-11 (주)구츠 발효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210091900A (ko) * 2020-01-15 2021-07-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폐유처리장치
KR102390015B1 (ko) 2020-01-15 2022-04-2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폐유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234B1 (ko) 쓰레기 분류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06820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주방용 친환경 음식쓰레기처리장치
KR10079145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0459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34232A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감량기
KR10185274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202272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588556B1 (ko) 싱크대 장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JP2006231329A (ja) 生ごみ処理器
KR101211106B1 (ko) 가열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60609A (ko) 3차 감량기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1577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
CN107253791B (zh) 智能环保厕所用的污物分离干燥装置
KR20110025713A (ko) 음식쓰레기 하수처리 시스템
KR100907480B1 (ko) 오수 재활용 장치
KR20140071773A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KR20110002603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530299B1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101581259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협잡물의 제거 및 건조장치
JP4341850B1 (ja) 集合住宅用生ごみ処理活用システム
KR200245093Y1 (ko) 음식물쓰레기분쇄장치
KR19980043079A (ko) 씽크대 오물(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KR101858670B1 (ko) 친환경 하수처리 시스템
KR200356326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199330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