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307B1 -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307B1
KR101790307B1 KR1020160139076A KR20160139076A KR101790307B1 KR 101790307 B1 KR101790307 B1 KR 101790307B1 KR 1020160139076 A KR1020160139076 A KR 1020160139076A KR 20160139076 A KR20160139076 A KR 20160139076A KR 101790307 B1 KR101790307 B1 KR 101790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septic tank
crushing
ai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오
한문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139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2Hydrogen sulf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2201/00Details, device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합류식 하수관거의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기 위한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는, 상기 정화조의 수면보다 아래로 설치되어 수면에 위치하는 스컴을 오수와 함께 유입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스컴 유입구와, 상기 스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스컴을 나선 날개의 회전에 의해 분쇄시키고 오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분쇄 및 흐름 유도부와, 상기 스컴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가 내부에 장착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분쇄 하우징과, 상기 분쇄부 및 흐름 유도부가 회전하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분쇄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에 의해 분쇄된 스컴이 포함된 오수가 유출되어 수중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출구와, 상기 분쇄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에 의해 분쇄된 스컴이 포함된 오수가 상기 정화조의 바닥부 측으로 향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출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APPARATUS FOR REDUCING FOUL ODOR IN SEWAGE DISPOSAL TANK}
본 발명은 정화조 내 악취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합류식 하수관거가 설치된 지역에서의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는 장치로서 부상후 상부에 쌓이는 스컴을 제거하고 공기 공급을 통하여 정화조 내 악취 제거를 위한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정화조에 정체되어 있는 오수 내의 악취 물질 또는 악취 유발 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수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두통이나 구토를 유발하거나 불쾌감 또는 혐오감을 유발하여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주민들의 쾌적한 생활을 방해한다. 이러한 악취는 합류식 하수처리 구역에서 주로 발생하며, 정화조와 같은 개인하수처리시설에서 생성되어 하수관거로 유입되며, 맨홀과 받이 등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공기중으로 나와 사람들에게 전달된다(도 5의 하수도에서의 악취발생원, 발산원, 배출원 참조). 악취 유발의 주요 물질로는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암모니아 등의 물질들이며, 일반적으로 부패 방식의 정화조를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악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는 두 가지 이 상의 악취물질이 함께 작용하여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이나 혐오감을 주는 냄새인 복합 악취도 문제될 수 있다.
우리나라는 1990년대 이전에는 대부분 오수와 우수를 동시에 배제시키는 합류식 하수관거 시스템을 적용하였으며, 합류식 하수 관거 지역에 수세식 변기를 설치하려는 자는 정화조나 오수처리시설을 설치하도록 하수도법시행령제24조를 통해 법제화하고 있다.
그러나, 하수처리구역 내에 정화조나 오수처리 시설을 설치하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하수처리구역 내에 정화조를 설치하는 이유는 하수관거의 매설 상태가 불량하기 때문에 분뇨를 하수관거에 직투입할 경우 분뇨의 유출로 인한 토양 및 지하수 오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이유로 설치한 정화조에서는 악취 물질의 생성이라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즉, 하수관거의 매설상태가 양호하여 정화조를 폐쇄하고 분뇨를 하수관거에 직투입할 수 있다면, 외국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화조에서 생성되는 악취에 의한 문제는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정화조가 설치되어 있는 합류식 하수처리구역 내에서는 하수관거의 매설 상태가 분뇨를 직투입할 수 있을 만큼 양호한 상태가 아니므로 정화조에서의 악취 물질 생성은 계속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악취물질이 공공하수도 유입 및 대기중으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정화조에 하수 악취 방지 장치의 설치가 제도화(하수도법, 악취방지법) 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정화조에 공기주입장치를 투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정화조 내에 공기 주입을 위해 정화조 하부에 별도의 산기관 및 송풍기를 설치하고 악취 저감을 위해 송풍기를 연속적으로 운전할 경우, 송풍기의 연속운전으로 인한 송풍기의 급속한 마모 및 송풍기에서의 소음 및 열 발생, 전기 사용량의 증가 등이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산기관의 파손시 악취 물질 및 유독 가스가 발생하는 정화조 내부에 인력이 투입되어 산기관을 교체해야 하는 위험 부담이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기존에 노후화된 정화조의 경우 스컴 발생으로 인해 정화조 상부에 두꺼운 스컴층이 쌓이게 되고, 그로 인해 정화조 내의 공기 확산 및 악취 물질 저감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신설 정화조의 경우에도 산기관의 기포가 닿지 않는 사구간이 발생할 경우 스컴 발생 등으로 인한 악취 저감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악취 저감을 위해 공기를 과다 투입할 경우 과다 투입된 공기량만큼 정화조의 외부로 공기 및 악취 물질이 유출될 수 있다.
정화조 내에서 악취의 주요 원인인 황화수소(H2S)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습식 SOB(Sulfur-Oxidizing Bacteria) 매체를 이용하여 악취를 저감하는 방안이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2684(2014.05.27. 등록)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문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부패조(1, 2)와 부패조 일측에 형성되는 여과조(3)를 갖는 오수 처리조를 포함하는 하수도시설의 악취발생지역에서의 악취 저감 장치에 있어서, 여과조(3) 일측에 형성되는 방류조(100), 방류조(100) 일측에 형성되는 악취가스 처리조(200), 방류조(100) 수중 하부로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공기 주입 장치(400), 악취가스 처리조(200)에 설치되며 황화수소 산화 매체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황화수소를 산화반응시키기 위한 대기 악취가스 저감 유닛(500) 및 상기 방류조(100)의 악취가스를 대기 악취가스 저감 유닛(500)으로 안내하고 탈취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공급/배출 라인(610)을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황화수소 산화 매체를 이용하여 대기 중의 황화수소를 산화반응시키기 위한 대기악취가스 저감 유닛(500)으로 악취 가스를 일부 제거할 수는 있으나, 방류조(100) 내에서 오수의 수면 상에 쌓이게 되는 스컴으로 인해 공기나 오수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기본적으로 이러한 대기악취가스 저감 유닛(500) 만으로는 악취의 근본적인 원인물질을 제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방류조(100) 내에서 악취 원인 물질을 산화시키기 위해 오수의 수면에 쌓이게 되는 스컴을 분쇄함으로써 공기와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방안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02684(2014.05.27.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27714(2006.09.25.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합류식 하수 관거가 설치된 지역에서의 정화조에 있어서 악취의 주요 물질인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암모니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악취를 저감하기 위해, 정화조 내 수면 상에 쌓이는 스컴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정화조 내에서 공기와 스컴이 원활이 혼합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종래 정화조 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정화조 하부에 별도의 산기관과 송풍기 등을 설치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운전해야 함으로 인한 불편함 및 위험성을 감소하고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정화조 내의 황화수소의 농도에 따라 공기 공급관 개폐기를 제어하는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는, 합류식 하수관거의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기 위한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로서, 상기 정화조의 수면보다 아래로 설치되어 수면에 위치하는 스컴을 오수와 함께 유입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스컴 유입구와, 상기 스컴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스컴을 나선 날개의 회전에 의해 분쇄시키고 오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분쇄 및 흐름 유도부와, 상기 스컴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가 내부에 장착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분쇄 하우징과, 상기 분쇄부 및 흐름 유도부가 회전하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분쇄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에 의해 분쇄된 스컴이 포함된 오수가 유출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출구와, 상기 분쇄 하우징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에 의해 분쇄된 스컴이 포함된 오수가 상기 정화조의 바닥부 측으로 향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출구를 포함하여,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에 의해 분쇄된 스컴이 정화조 내에서 오수 속에 골고루 혼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는, 상기 정화조의 상부의 공기 중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계측기와, 상기 계측기에서 측정되는 황화수소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개방되어 공기 공급관 통해 공기가 상기 분쇄 하우징 내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 공급관 개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공기 공급관 개폐기가 개방되는 경우 음압을 발생시켜 공기를 상기 분쇄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컴 유입구는 입구에서부터 상기 분쇄 하우징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는, 상기 스컴 유입구가 상기 정화조 내 수면의 아래에서 소정 간격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부유체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는, 상기 부유체에 의해 상기 스컴 유입구와 상기 정화조 내 수면과의 간격 조정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는, 상기 정화조 내 수위를 센싱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수위 센싱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화조 내 수면 상에 쌓이는 스컴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정화조 내에서 스컴과 공기가 원활히 혼합되어 순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합류식 하수 관거가 설치된 지역에서의 정화조에 있어서 악취의 주요 물질인 황화수소(H2S), 메틸메르캅탄(CH3SH), 암모니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악취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조 내의 황화수소의 농도에 따라 공기 공급관 개폐기를 제어하는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정화조 내에 공기를 주입하기 위해 정화조 하부에 별도의 산기관과 송풍기 등을 설치하고 이를 연속적으로 운전해야 함으로 인한 불편함 및 위험성을 감소하고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송풍기 없이 정화조 내에 공기를 공급하며 정화조 내 황화수소 농도 측정을 통해 정화조내 공기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기계 전기적 문제인 소음, 열발생 및 송풍기 마모 등을 해결하고 간단한 악취 저감 장치의 투입만으로 설치가 완료됨으로 별도의 산기관 설치가 필요 없으므로 유지관리가 간편하며 정화조 내 공기공급량 조절을 통해 과잉의 공기 공급에 의한 악취물질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정화조 내 악취 저감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에서 분쇄 하우징(50)에 연결된 스컴 유입구(60)의 예들(60a, 60b)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하수도에서의 악취 발생원, 발산원, 및 배출원은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정화조 내에서 악취 원인 물질인 황화수소(H2S)를,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산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정화조 내에 공기를 공급하고자 할 때, 공기의 이동/순환을 방해하는 정화조의 수면 상부에 쌓여 있는 스컴을 기계적으로 분쇄하기 위한 방안이며, 스컴을 기계적으로 분쇄하고 이를 정화조 내부에 순환시킴과 동시에 공기를 공급하여 스컴과 혼합된 공기가 정화조 내에서 순환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악취 저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 하여금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해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 또는 도 3의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에서 분쇄 하우징(50)에 연결된 스컴 유입구(60)의 예들(60a, 60b)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합류식 하수관거의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기 위한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는, 스컴 유입구(60), 분쇄 하우징(50), 분쇄 및 흐름 유도부(42), 모터(40), 제1 유출구(70), 및 제2 유출구(7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는, 계측기(20)와 공기 공급관 개폐기(30)를 더 포함한다.
스컴 유입구(60)는 정화조(10)의 수면(14) 아래에 설치되어 수면에 위치하는 스컴(화살표 A1)을 오수와 함께 유입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한다. 스컴은 대체로 수면 부근에서 부유하는 상태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므로 이러한 스컴이 스컴 유입구(60)를 통해 유입되게 된다.
분쇄 하우징(50)은 그 내부에 분쇄 및 흐름 유도부(42)가 장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여, 내부에서 스컴의 분쇄와 분쇄된 스컴과 공기와의 혼합이 이루어진다. 분쇄 하우징(50)과 스컴 유입구(60)은 서로 연통되어 있다.
분쇄 및 흐름 유도부(42)는 스컴 흡입구(60)를 통해 유입되는 스컴을 나선 날개의 회전에 의해 분쇄시키고 오수의 흐름을 유도한다. 분쇄 및 흐름 유도부(42)의 회전은 모터(40)에 의존한다.
모터(40)는 분쇄부 및 흐름 유도부(42)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하며, 음압을 발생시켜, 공기 공급관 개폐기(30)가 개방되는 경우 공기를 상기 분쇄 하우징(50) 내부로 유입시킴으로써, 유입 공기와 분쇄된 스컴이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유출구(70)는, 분쇄 하우징(50)의 후단에 연결되어 분쇄 및 흐름 유도부(42)에 의해 분쇄된 스컴(화살표 A2)이 포함된 오수가 유출되어 수중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한다. 분쇄된 스컴 뿐만 아니라, 황화수소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공기 공급관 개폐기(30)가 개방될 것이고, 그에 따라 공기 공급관(3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분쇄된 스컴과 함께 혼합되어 이들이 제1 유출구(70)를 통해 유출될 수 있다.
제2 유출구(75)는 분쇄 하우징(50)의 후단에 연결되어 분쇄 및 흐름 유도부(42)에 의해 분쇄된 스컴(화살표 A3)이 포함된 오수가 정화조(10)의 바닥부(12) 측으로 향하도록 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분쇄된 스컴 뿐만 아니라, 황화수소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공기 공급관 개폐기(30)가 개방될 것이고, 그에 따라 공기 공급관(32)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분쇄된 스컴과 함께 혼합되어 이들이 제2 유출구(75)를 통해 유출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제2 유출구(75)는 제1 유출구(70)와는 달리, 바닥에 가라앉은 오수 내의 악취 원인 물질을 부상시키고 이들에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악취의 원인이 되는 물질에 공기를 공급하여 산화를 촉진할 수 있게 된다.
계측기(20)는 정화조(10)의 상부(16)의 공기 중의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공기 공급관 개폐기(30) 측으로 공기 공급관(32) 개방 신호를 내보낸다. 황화수소 농도 측정을 위한 계측기(20)는 정화조의 내부에서 적절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정될 수 있다(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측기 고정부재(22)를 통해서 또는 그 밖의 다른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공기 공급관 개폐기(30)는 계측기(20)에서 측정한 황화수소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계측기(20)로부터 공기 공급관(32) 개방 신호를 수신하여 개방 상태로 전환된다. 공기 공급관 개폐기(30)가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공기 공급관(32)을 통해 공기가 상기 분쇄 하우징(50)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하여, 분쇄 하우징(50) 내에서는 스컴의 분쇄와 공기와의 혼합이 활발하게 이뤄지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화조 내의 악취 저감 장치를 설명한다. 상기 정화조 내의 악취 저감 장치는, 스컴 유입구(60), 분쇄 하우징(50), 분쇄 및 흐름 유도부(42), 모터(40), 제1 유출구(70), 제2 유출구(75), 계측기(20), 그리고 공기 공급관 개폐기(3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도 2에 설명된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정화조 내의 악취 저감 장치는, 부유체(90a, 90b)와 가이드 부재(86), 그리고 수위 센싱부(100)를 더 포함한다.
부유체(90a, 90b)는 스컴 유입구(60)와 정화조 내 수면과의 간격을 적절히 유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스컴이 수면 상에 부유하는 상태로 쌓이게 되므로, 스컴 유입구(60)가 지나치게 깊게 위치한다거나 수면 밖으로 나오게 설치되는 경우, 효과를 보기 어려우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유체(90a, 90b)를 이용하여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쌓이는 스컴의 두께도 가변적이므로 그에 따라 악취 저감 장치의 높이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 뿐만 아니라, 부유체(90a, 90b)에 의해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 상하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86)가 더 구비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취 저감 장치는 가이드 부재(86)를 따라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그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가이드 부재(86)를 따라 상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부에 지지 플레이트(80)가 더 구비될 수 있고, 지지 플레이트(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82a, 82b)에 의해 모터(40) 및 분쇄 하우징(50) 측에 고정되어 악취 저감 장치를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부재(86)와 지지 플레이트(80) 간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수위 센싱부(100)는 상기 정화조 내 수위를 센싱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모터의 작동을 중지시켜, 악취 저감 장치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에서 수위 센싱부(100)를 가이드 부재(86)에 부착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수위 센싱부(100)의 설치 위치는 정화조의 측벽이나 기타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스컴 유입구(60)의 형상을 설명한다. 스컴 유입구(60)는, (a)와 같이 전 구간에서 직경이 대체로 일정한 일자형(60a)으로 형성될 수도 있겠으나, 스컴 유입구(60) 측으로는 스컴이 계속해서 유입되어야 하고, 많은 양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b)와 같이 입구가 직경이 크고 분쇄 하우징(50) 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깔때기 형상(60b)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선된 방식의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기존과 달리 별도의 송풍기 없이 정화조 내에 공기를 공급하며 정화조 내 황화수소 농도 측정을 통해 정화조 내 공기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기계 전기적 문제인 소음, 열발생 및 송풍기 마모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간단한 악취 저감 장치의 투입만으로 설치가 완료됨으로 별도의 산기관 설치가 필요 없으므로 유지관리가 매우 간편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를 설명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면들 및 이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의도로 간략화되고 예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해져야 하는 것임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10 : 정화조 20 : 계측기
30 : 공기 공급관 개폐기 32 : 공기 공급관
40 : 모터 분쇄 및 흐름 유도부
50 : 분쇄 하우징 60 : 스컴 유입구
70 : 제1 유출구 75 : 제2 유출구
80 : 지지 플레이트

Claims (6)

  1. 합류식 하수관거의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기 위한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로서,
    상기 정화조의 수면보다 아래로 설치되어 수면에 위치하는 스컴을 오수와 함께 유입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스컴 유입구(60);
    상기 스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스컴을 나선 날개의 회전에 의해 분쇄시키고 오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분쇄 및 흐름 유도부(42);
    상기 스컴 유입구와 연통되고,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가 내부에 장착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분쇄 하우징(50);
    상기 분쇄 하우징(50)의 후단(F1)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에 의해 분쇄된 스컴이 포함된 오수가 유출되어 수중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출구(70);
    상기 분쇄 하우징(50)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에 의해 분쇄된 스컴이 포함된 오수가 상기 정화조의 바닥부 측으로 향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출구(75);
    상기 정화조의 상부의 공기 중 황화수소 농도를 측정하는 계측기(20);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가 회전하도록 회전 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분쇄 하우징의 전단(F2) - 상기 분쇄 하우징의 전단은 상기 제1 유출구 및 상기 제2 유출구가 위치한 상기 분쇄 하우징의 후단의 반대편임 - 에 연결되고, 음압을 발생시키는, 모터(40);
    상기 분쇄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될 공기의 경로를 제공하되, 상기 모터를 경유하는 공기 공급관(32); 및
    상기 계측기에서 측정되는 황화수소의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개방되어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해 공기가 상기 분쇄 하우징 내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 공급관 개폐기(30);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40)는 상기 공기 공급관 개폐기(30)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음압으로 상기 공기 공급관을 통해 상기 분쇄 하우징(5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분쇄 및 흐름 유도부의 나선 날개의 회전에 의한 스컴 분쇄시 상기 분쇄 하우징 내에서, 상기 공급관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혼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39076A 2016-10-25 2016-10-25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KR101790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76A KR101790307B1 (ko) 2016-10-25 2016-10-25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076A KR101790307B1 (ko) 2016-10-25 2016-10-25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307B1 true KR101790307B1 (ko) 2017-10-25

Family

ID=6029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076A KR101790307B1 (ko) 2016-10-25 2016-10-25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3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354B1 (ko) * 2018-09-27 2019-10-01 죽암건설 주식회사 약액 분산 투입 기능을 갖는 액이송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속회분식 반응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2069053B1 (ko) 2019-06-07 2020-02-11 장익수 악취 차단 정화조
KR102334347B1 (ko) * 2021-07-26 2021-12-03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102571233B1 (ko) * 2023-06-20 2023-08-2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20230143336A (ko) 2022-04-05 2023-10-12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생활오수 및 분뇨의 직투입을 위한 전처리 시설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005Y1 (ko) * 2003-07-28 2003-10-22 지효근 수중폭기장치
JP2006116476A (ja) * 2004-10-22 2006-05-11 Kowa:Kk 排水浄化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005Y1 (ko) * 2003-07-28 2003-10-22 지효근 수중폭기장치
JP2006116476A (ja) * 2004-10-22 2006-05-11 Kowa:Kk 排水浄化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354B1 (ko) * 2018-09-27 2019-10-01 죽암건설 주식회사 약액 분산 투입 기능을 갖는 액이송교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속회분식 반응장치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2069053B1 (ko) 2019-06-07 2020-02-11 장익수 악취 차단 정화조
KR102334347B1 (ko) * 2021-07-26 2021-12-03 (주)청화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KR20230143336A (ko) 2022-04-05 2023-10-12 주식회사 삼보기술단 생활오수 및 분뇨의 직투입을 위한 전처리 시설 및 그 방법
KR102571233B1 (ko) * 2023-06-20 2023-08-25 주식회사 건축사사무소광장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0307B1 (ko)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AU737091B2 (en) Stench trap for a urinal
CN104088349A (zh) 厕所装置
KR102334347B1 (ko) 공동주택 단지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US201501021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redding waste
KR100675978B1 (ko) 오폐수 처리장치
US20120311775A1 (en) Part of toilet bowl for removing foul odor of excrement
KR102571233B1 (ko) 공동주택 단지 내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정화조
CN107429508B (zh) 移动式冲水厕所系统
CN108409041B (zh) 一种生活污水多级处理装置
KR100811013B1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KR102388987B1 (ko) 오물 처리용 악취 제거 시스템
AU2009263971B2 (en) Lavatory systems
JPH0754392A (ja) 下水道施設内悪臭ガス引抜き設備
KR200180583Y1 (ko) 응집지내의 부유물 및 거품제거장치
WO2012108035A1 (ja) 下水道における汚水処理システム
JP7000569B2 (ja) 家庭雑排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家庭雑排水を処理する方法
KR20090085186A (ko) 오수 배출로에 설치되는 악취방지장치
JP4219110B2 (ja) スカム解消型汚水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2020037825A (ja) バイオトイレシステム
JP2006169807A (ja) 男性用循環式水洗トイレ
RU2649425C1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образования запахов дурно пахнущих веществ в системах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660354B1 (ko) 악취 저감 하수도 설비 및 하수도 설비의 악취 저감 방법
JP4425882B2 (ja) 汚水処理システム
KR200412853Y1 (ko) 달팽이관 노즐을 이용한 침사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