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978B1 -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978B1
KR100675978B1 KR1020050057068A KR20050057068A KR100675978B1 KR 100675978 B1 KR100675978 B1 KR 100675978B1 KR 1020050057068 A KR1020050057068 A KR 1020050057068A KR 20050057068 A KR20050057068 A KR 20050057068A KR 100675978 B1 KR100675978 B1 KR 10067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embrane
waste water
cleaning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521A (ko
Inventor
임종순
Original Assignee
(주)송림워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림워터테크 filed Critical (주)송림워터테크
Priority to KR1020050057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9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0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7Modular desig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정화조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되면서 멤브레인의 세정과 오폐수의 유도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오폐수가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그 구성은 다수의 멤브레인이 수직이면서 이격되게 배열되고 상기 멤브레인과 연결되는 처리수배출관을 갖는 멤브레인 모듈과;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멤브레인의 표면을 세정하면서 오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멤브레인으로 유도하는 세정 및 유도부와; 상기 멤브레인 모듈과 세정 및 유도부가 착탈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한다.
오폐수, 처리, 소형, 정화조, 멤브레인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멤브레인 모듈
11 : 멤브레인 12 : 처리수배출관
20 : 세정 및 유도부
21 : 세정케이스 22 : 공기분사관 23 : 유입공
24 : 공기분쇄판 25 : 분쇄공
30 : 고정프레임
31 : 연결볼트홀 32 : 연결볼트 33 : 연결프레임
34 : 클램프
40 : 산기부
41 : 공기유입관 42 : 산기관 43 : 공기배출공
44 : 슬라이딩관 45 : 고정부재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정화조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되면서 멤브레인의 세정과 오폐수의 유도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오폐수가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처리되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등에서 발생된 생활오폐수는 관거시설 및 중계펌프시설을 통해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수집되고, 상기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수집된 다량의 오폐수는 한꺼번에 대량으로 처리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농, 어촌지역 및 휴양시설과 같이 오폐수 발생원이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 있고 소량의 오폐수가 발생하는 곳에 각 가정과 연결되는 관거시설 및 중계펌프장을 건설하여 오폐수를 처리하는 것은 매우 비경제적이면서 인력과 자원의 불필요한 낭비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비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농, 어촌 및 휴양시설이 오지의 분산된 지역에서 발생하는 오폐수는 곧바로 하천으로 방류되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넓은 지역에 분산된 상태로 소량의 오폐수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어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 정화조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되면서 멤브레인의 세정과 오폐수의 유도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오폐수가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처리되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이면서 조대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태로 멤브레인의 세정과 오폐수의 유도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멤브레인의 세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 정화조의 내부로 생물학적 반응에 의한 정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기부의 설치 높이가 원활히 조절되도록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는 다수의 멤브레인이 수직이면서 이격되게 배열되고 상기 멤브레인과 연결되는 처리수배출관을 갖는 멤브레인 모듈과,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멤브레인의 표면을 세정하면서 오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멤브레인으로 유도하는 세정 및 유도부와, 상기 멤브레인 모듈과 세정 및 유도부가 착탈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 및 유도부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의 하단에 연통되게 장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세정케이스와, 상기 세정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부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관과, 상기 세정케이스의 전면으로 형성되어 공기분사에 의한 흡입력으로 오폐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분사관의 상부측으로 상기 세정케이스의 내부에 다수의 분쇄공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분쇄판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형 정화조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수직으로 다수의 연결볼트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볼트홀에 결합되는 연결볼트에 의해 위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이 소형 정화조의 칸막이 상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단에 클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형 정화조의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에 산기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기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으로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며 하부가 수평으로 절곡된 공기유입관과, 상기 공기유입관의 절곡된 하부에 연통되게 부착되고 다수의 공기배출공을 갖는 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관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관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장착되는 슬라이딩관과, 상기 슬라이딩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관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후방 사시도이며,도 3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폐수 처리장치는 오폐수에서 물을 분리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멤브레인 모듈(10)과, 상기 멤브레인 모듈(10)을 세정하면서 오폐수를 상기 멤브레인 모듈(10)로 유도시키는 세정 및 유도부(20)와, 상기 멤브레인 모듈(10)과 세정 및 유도부(20)가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0)을 포함한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10)은 다수의 멤브레인(11)이 수직이면서 이격되게 배열되고 상기 멤브레인(11)과 연결되는 처리수배출관(12)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 멤브레인 모듈(10)은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멤브레인(11)에 의한 고액분리작용으로 소형 정화조의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에서 처리수를 흡입하여 처리수배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정화조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를 처리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멤브레인(11)에 발생되는 흡입력은 처리수배출관(12)에 연결된 흡입펌프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처리수배출관(12)에 설치된 흡입펌프의 작동으로 멤브레인(11)에 흡입력이 발생하면서 슬러지를 제외한 물만이 상기 멤브레인(11)의 내부로 흡입된 후에 상기 처리수배출관(12)으로 수집된 후에 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세정 및 유도부(20)는 멤브레인 모듈(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멤브레인 모듈(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멤브레인(11)의 표면을 세정하면서 오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멤브레인(11)으로 유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세정 및 유도부(20)는 멤브레인 모듈(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멤브레인(11)의 표면에 공기가 충돌하면서 그 표면에 점착된 슬러지를 세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분사되는 공기의 상승력으로 주변의 오폐수를 상기 멤브레인(11)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세정 및 유도부(20)는 멤브레인 모듈(10)의 하단에 연통되게 장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세정케이스(21)와, 상기 세정케이스(21)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부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관(22)과, 상기 세정케이스(21)의 전면으로 형성되어 공기분사에 의한 흡입력으로 오폐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공(23)을 포함한다.
상기 세정케이스(21)는 개방된 상부가 멤브레인 모듈(10)의 하단에 장착되어 공기분사관(22)을 통해 내측에 분사되는 공기를 상기 멤브레인 모듈(10)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관(22)은 공기를 송풍시키는 블로워와 연결되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세정케이스(21)의 내부로 유도한 후에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분사관(22)에 의해 분사되는 공기는 세정케이스(21)를 통해 상승되면서 멤브레인 모듈(10)의 내부로 유입된 후에 수직으로 설치된 멤브레인(11)의 표면을 세정하게 된다.
상기 유입공(23)은 공기분사관(22)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분사되는 공기의 상승력에 의해 세정케이스(21)의 내부에 있던 오폐수가 상승되면서 멤브레인(11)을 향해 유도될 때 상기 세정케이스(21)의 외부의 오폐수가 흡입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유입공(23)은 세정케이스(21)의 전면에 다수개가 미세하게 형성되어 조대한 이물질이 상기 세정케이스(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관(22)의 상부측으로 세정케이스(21)의 내부에 다수의 분쇄공(25)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분쇄판(24)이 부착되는데, 상기 공기분쇄판(24)은 상기 공기분사관(22)을 통해 상기 세정케이스(21)의 내부에서 분사되어 상승되는 공기를 분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이 분쇄된 공기에 의해 멤브레인(11)의 세정이 보다 균일하면서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은 멤브레인 모듈(10)과 세정 및 유도부(20)가 착탈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멤브레인 모듈(10)과 세정 및 유도부(20)가 원활히 고정되면서 동시에 소형 정화조의 내벽에 원활히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30)에 수직으로 다수의 연결볼트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볼트홀(31)에 결합되는 연결볼트(32)에 의해 위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33)이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볼트(32)에 의해 연결프레임(33)이 상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상단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고정프레임(30)의 높이가 손쉽게 조절되어 소형 정화조에 내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원활히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프레임(33)의 상단에 클램프(34)가 설치되는데, 상기 클램프(34)는 소형 정화조의 칸막이 상단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결프레임(33)이 소형 정화조의 칸막이 상단에 손쉽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소형 정화조의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30)에 산기부(4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산기부(40)는 고정프레임(30)의 전면으로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며 하부가 수평으로 절곡된 공기유입관(41)과, 상기 공기유입관(41)의 절곡된 하부에 연통되게 부착되고 다수의 공기배출공(43)을 갖는 산기관(42)을 포함한다.
상기 산기부(40)는 정화조의 외부에 설치되고 공기를 송풍시키는 블로워와 연결되어 공기유입관(41)을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상기 공기유입관(41)의 절곡된 부위에 부착된 산기관(42)에 공기가 유입된 후에 상기 산기관(42)에 형성된 공기배출공(43)을 통해 배출함으로써, 정화조의 오폐수가 생물학적 반응에 의해 정화되도록 오폐수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배출공(43)은 산기관(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미세한 구멍으로, 상기 산기관(42)으로 유입된 공기를 미세하게 분산시킨 후에 오폐수의 내부에 안정적이면서 정밀하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관(41)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고정프레임(30)에 장착되는 슬라이딩관(44)과, 상기 슬라이딩관(44)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관(41)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5)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슬라이딩관(44)은 상기 공기유입관(41)의 높이조절 및 회전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고정부재(45)는 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진 상기 공기유입관(41)을 상기 슬라이딩관(44)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관(41)의 높이 조절 및 회전이 가능해짐으로써, 그 절곡된 부위 즉 산기관(42)이 구비된 부위가 정화조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산기관(42)이 회전되어 정화조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그에 따라 정화조의 내부로 공기의 공급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슬라이딩관(44)에 의해 공기유입관(41)이 정화조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움직일 수 있고, 이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관(41)을 움직인 후에 고정부재(45)를 통해 상기 슬라이딩관(44)에 상기 공기유입관(41)을 고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오폐수의 내부로 공기의 공급이 보다 원 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34)를 정화조의 칸막이 상단에 끼워 고정하면 연결프레임(33)의 하부로 고정프레임(30)에 장착된 멤브레인 모듈(10) 및 세정케이스(21)가 정화조의 내부벽면에 손쉽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클램프(34)를 통해 멤브레인 모듈(10)과 세정케이스(21)를 설치한 후에 상기 멤브레인 모듈(10) 및 세정케이스(21)가 오폐수의 내부에 침지되도록 고정프레임(30)에 장착된 연결프레임(33)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멤브레인 모듈(10) 및 세정케이스(21)가 오폐수의 내부에 침지된 상태로 정화조의 내벽에 설치한 후에 고정프레임(30)의 전방과 상기 멤브레인 모듈(10) 및 세정케이스(21)의 후방으로 슬라이딩관(44)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공기유입관(41)을 이동시켜 산기관(42)이 부착된 상기 공기유입관(41)의 절곡된 부위가 정화조의 바닥면에 맞닿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관(41)은 슬라이딩관(44)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기유입관(41)을 회전시켜 산기관(42)이 정화조의 바닥면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기유입관(41)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회전시켜 산기관(42)이 정화조의 바닥면에 적절히 위치시킨 후에 슬라이딩관(44)에 구비된 고정부재(45)를 체결하여 상기 공기유입관(41)이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모듈(10)에 수직으로 설치된 멤브레인(11)은 처리수배출관(12)과 연결된 흡입펌프에 의한 흡입력으로 오폐수에 포함된 처리수를 흡입한 후에 상기 처리수배출관(12)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멤브레인(11)이 처리수를 흡입하는 중에 멤브레인 모듈(10)의 하부로 설치된 세정케이스(21)의 내부로 공기분사관(22)을 통해 상부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분사관(22)을 통해 세정케이스(21)의 내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분사된 공기는 공기분쇄판(24)의 분쇄공(25)을 통과하면서 분쇄된 후에 계속 상승되어 멤브레인 모듈(10)에 수직으로 설치된 멤브레인(11)의 표면에 부딪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멤브레인(11)의 표면에 점착된 슬러지가 이 공기방울에 의해 탈리되면서 상기 멤브레인(11)이 세정된다.
이때, 상기 세정케이스(21)를 통해 멤브레인(11)으로 상승되는 공기의 상승력에 의해 상기 세정케이스(21)의 내부에 있던 오폐수도 함께 상부방향으로 유도되어 상승된다.
이와 같은 오폐수의 상승에 의해 상기 세정케이스(21)의 외부에 있는 오폐수가 유입공(23)을 통해 상기 세정케이스(21)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승되어 멤브레인(11)으로 유도된다.
이때, 상기 유입공(23)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세정케이스(21)의 외부에 있는 오폐수에 혼재된 조대한 물질이 상기 세정케이스(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오폐수 장치는 멤브레인(11)의 세정을 위한 공기의 분사를 통해 오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멤브레인(11)으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11)의 세정과 주변에 있는 오폐수의 공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오폐수의 처리가 보다 원활하면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형 정화조의 내부에 간편하게 설치되면서 멤브레인의 세정과 오폐수의 유도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오폐수가 정밀하면서 안정적으로 처리되도록 하고, 간단한 구조이면서 조대물질의 유입이 방지되는 상태로 멤브레인의 세정과 오폐수의 유도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농어촌 지역이나 벽지 및 휴양시설 등 소량으로 발생하는 생활오폐수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어 오폐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기 위한 관거설비 및 중계펌프시설이 불필요해지고 보다 합리적인 오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지며 사용빈도가 낮은 관거설비 및 중계펌프시설의 시공에 따른 인력 및 자원의 낭비가 미연에 방지되고 제작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 멤브레인의 세정 및 처리수의 생성률이 현저히 증대되며 조대물질에 의한 멤브레인의 손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멤브레인의 세정이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정 효율이 현저히 증진되고 멤브레인의 성능이 보다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소형 정화조의 깊이에 관계없이 멤브레인이 오폐수에 침지된 상태로 보다 손쉽게 설치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 정화조의 내부로 생물학적 반응에 의한 정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정화조 내부의 오폐수가 활성슬러지화되면서 물과 분리되어 처리수의 분리 및 배출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산기부의 설치 높이가 원활히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산기관이 정화조의 바닥면에 원활하게 배치되고 사용 및 설치상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삭제
  2. 다수의 멤브레인(11)이 수직이면서 이격되게 배열되고 상기 멤브레인(11)과 연결되는 처리수배출관(12)을 갖는 멤브레인 모듈(10)과, 상기 멤브레인 모듈(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부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멤브레인(11)의 표면을 세정하면서 오폐수를 흡입하여 상기 멤브레인(11)으로 유도하는 세정 및 유도부(20)와, 상기 멤브레인 모듈(10)과 세정 및 유도부(20)가 착탈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30)을 포함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 및 유도부(20)는,
    상기 멤브레인 모듈(10)의 하단에 연통되게 장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세정케이스(21)와,
    상기 세정케이스(21)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부방향으로 분사하는 공기분사관(22)과,
    상기 세정케이스(21)의 전면으로 형성되어 공기분사에 의한 흡입력으로 오폐수가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공(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사관(22)의 상부측으로 상기 세정케이스(21)의 내부에 다수의 분쇄공(25)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분쇄판(24)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소형 정화조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30)에 수직으로 다수의 연결볼트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볼트홀(31)에 결합되는 연결볼트(32)에 의해 위치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3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33)이 소형 정화조의 칸막이 상단에 고정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33)의 상단에 클램프(3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소형 정화조의 내부에 저장된 오폐수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고정프레임(30)에 산기부(4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부(40)는,
    상기 고정프레임(30)의 전면으로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며 하부가 수평으로 절곡된 공기유입관(41)과,
    상기 공기유입관(41)의 절곡된 하부에 연통되게 부착되고 다수의 공기배출공(43)을 갖는 산기관(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관(41)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기유입관(41)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고정프레임(30)에 장착되는 슬라이딩관(44)과,
    상기 슬라이딩관(44)에 구비되어 상기 공기유입관(41)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
KR1020050057068A 2005-06-29 2005-06-29 오폐수 처리장치 KR100675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068A KR100675978B1 (ko) 2005-06-29 2005-06-29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068A KR100675978B1 (ko) 2005-06-29 2005-06-29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521A KR20070001521A (ko) 2007-01-04
KR100675978B1 true KR100675978B1 (ko) 2007-01-30

Family

ID=3786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068A KR100675978B1 (ko) 2005-06-29 2005-06-29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9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62B1 (ko) 2008-03-27 2008-11-27 주식회사 알오환경시스템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오폐수 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6201B1 (ko) * 2006-12-29 2007-12-17 주식회사 코오롱 카세트 세정용 산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세트의 세정방법
KR100834716B1 (ko) * 2006-12-29 2008-06-02 주식회사 코오롱 카세트 세정용 산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세트의 세정방법
CN108773986B (zh) * 2018-07-06 2021-04-06 云南世诚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布生物反应器及微滤膜过滤器的污废水处理方法
KR102522284B1 (ko) * 2020-02-28 2023-04-17 (주)황산 플라즈마 방전 반응식 나노버블 수질 정화 장치
KR102230460B1 (ko) * 2020-09-25 2021-03-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엔지니어링 슬러지 배출함의 여과망 청소장치
KR102627552B1 (ko) * 2022-01-24 2024-01-19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 포화도 조절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초음파 캐비테이션 조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562B1 (ko) 2008-03-27 2008-11-27 주식회사 알오환경시스템 오폐수 처리 장치 및 오폐수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521A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978B1 (ko) 오폐수 처리장치
RU2568221C2 (ru) Очиститель, включающий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деления твердых веществ,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KR101676335B1 (ko) 부상조와 침전조의 방식 전환 및 용량 변경이 가능한 다중구조의 수직유도판형 폐수 처리장치
CA2536556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KR101790307B1 (ko) 정화조 내 악취 저감 장치
CN108579148B (zh) 一种畜牧用粪便固液分离机
KR101568308B1 (ko) 종합 전처리설비
CN105016462B (zh) 滤料自动连续清洗的曝气生物滤池
KR101841958B1 (ko) 수처리를 위한 경사형 급속 공기용해 및 미세기포 발생장치
CN220351932U (zh) 一种可循环利用的畜牧养殖污水处理装置
CN216377632U (zh) 一种基于微生物分解的曝气式水体净化设备
CN215310463U (zh) 一种混凝土搅拌车废水处理装置
KR101315242B1 (ko) 벤츄리관을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CN211487629U (zh) 一种微波水解装置
KR101306870B1 (ko) 음식물 탈리액을 이용한 액상비료 제조용 호기성 분해조
CN108640273B (zh) 一种集约化养殖厌氧微生物反应器
KR20120091849A (ko) 수처리장치
KR101789994B1 (ko) 수처리를 위한 급속 공기용해 및 미세기포 발생장치
RU2297978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флота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воды
CN108928872A (zh) 一种一体化油污水高效处理装置
CN214936345U (zh) 一种曝气装置
CN116924539B (zh) 一种生活污水处理设备
KR20120138025A (ko) 부상 분리 장치
KR102028488B1 (ko) 수처리시설의 스컴제거장치
JP2015020162A (ja) 加圧浮上式スカム分離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